KR20130013168A - 선착순 기반 글로벌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착순 기반 글로벌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168A
KR20130013168A KR1020110074653A KR20110074653A KR20130013168A KR 20130013168 A KR20130013168 A KR 20130013168A KR 1020110074653 A KR1020110074653 A KR 1020110074653A KR 20110074653 A KR20110074653 A KR 20110074653A KR 20130013168 A KR20130013168 A KR 20130013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unt rate
joint purchase
service
service area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호
이규석
Original Assignee
안영호
이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호, 이규석 filed Critical 안영호
Priority to KR102011007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3168A/ko
Priority to US13/247,865 priority patent/US20130030885A1/en
Publication of KR20130013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착순 방식에 기반을 두고 공동구매량에 따라 할인율이 차등 적용되는 공동구매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에 따르면, 구매자 단말에 의한 상품의 공동구매량에 따라 로컬 서버가 단계별로 차등 할인율을 적용하도록 중앙 서버가 할인정책을 결정한다. 각각의 서비스 영역에서 구매자 단말이 로컬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면, 로컬 서버는 상품의 공동구매량에 따라 단계별로 차등 할인율을 적용한다. 판매 마감시간이 초과되거나 상품이 품절된 경우, 중앙 서버는 모든 서비스 영역의 공동구매량을 집계한 결과에 따라 최종 할인율을 적용한다.

Description

선착순 기반 글로벌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lobal Joint Purchase Service on First-come-first-served Basis}
본 발명은 공동구매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착순 방식에 기반을 두고 공동구매량에 따라 할인율이 차등 적용되는 공동구매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전자상거래를 통한 구매 방식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구매 방식 중에는 한정된 수량의 상품에 대하여 시중가격보다 낮은 가격을 미리 제시한 후 구매자 신청을 접수하여 거래를 진행시키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판매자 중심의 방식으로서, 판매자가 단위 제품의 판매가격을 미리 결정하고 구매량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구매자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구매량의 증가에 따른 누진적인 할인효과도 기대할 수 없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하나의 웹 사이트 혹은 하나의 국가에만 한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공동구매에 따른 박리다매의 이점을 최대한 살리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착순 방식에 기반을 두고 공동구매량에 따라 할인율이 차등 적용되는 공동구매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국가 또는 지역들 간 인터넷 및 모바일 기반의 글로벌 공동구매 또는 도매를 통해 국가 또는 지역들 간의 이동 없이 각 국가, 각 지역 또는 각 개인들의 방안에서도 실시간 글로벌 중계무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국가 또는 지역 간에 이루어지는 선착순 기반 공동구매량의 실시간 합계(Mega-demand or Mega-group purchasing Aggregation)를 통해 막대한 할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국가 안에서나 지역 등에 한정되어 이루어지는 공동구매 방식이 아니라, 글로벌 공동구매를 실시간으로 연동함으로써 대량 구매가 이루어지게 하며, 박리다매로 인한 가격 할인의 폭이 더 커지며 새로운 형태의 글로벌 중계무역 패러다임(Paradigm)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 국가/지역으로의 동일 상품에 대하여 배송 및 관세처리 등의 국제물류이동 절차를 일괄 수행할 수 있는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라인상의 단순 중계가 아닌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은, 서로 다른 서비스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 로컬 서버; 각각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로컬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다수개의 구매자 단말; 및 각각의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에 의한 상기 상품의 공동구매량에 따라 단계별로 차등 할인율을 적용하도록 할인정책을 결정하고, 판매 마감시간이 초과되거나 상기 상품이 품절된 경우 모든 상기 서비스 영역의 공동구매량을 집계한 결과에 따라 최종 할인율을 적용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할인율은 상기 적용된 단계별 차등 할인율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단계별로 미리 설정된 공동구매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차등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공동구매량의 집계 결과가 미리 설정된 공동구매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최종 할인율을 모든 상품 구매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영역은 국가, 지역, 네트워크 사업자의 서비스 영역, 마켓플레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구매량은 상기 서비스 영역별 혹은 개인별로 선착순에 따라 집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은, 각각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로컬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등록하는 다수개의 판매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서버와 상기 판매자 단말 중 하나는 구매된 상품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영역별로 상기 로컬 서버에 배송 및 관세업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처리를 위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은, 구매자 단말에 의한 상품의 공동구매량에 따라 로컬 서버가 단계별로 차등 할인율을 적용하도록 중앙 서버가 할인정책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구매자 단말이 상기 로컬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상품의 공동구매량에 따라 단계별로 상기 차등 할인율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판매 마감시간이 초과되거나 상품이 품절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 마감시간이 초과되거나 상기 상품이 품절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가 모든 상기 서비스 영역의 공동구매량을 집계한 결과에 따라 최종 할인율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할인율은 상기 적용된 단계별 차등 할인율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등 할인율의 적용 단계는 상기 단계별로 미리 설정된 공동구매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차등 할인율을 적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할인율의 적용 단계는 상기 공동구매량의 집계 결과가 미리 설정된 공동구매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최종 할인율을 모든 상품 구매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영역은 국가, 지역, 네트워크 사업자의 서비스 영역, 마켓플레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할인율의 적용 단계는 상기 서비스 영역별 혹은 개인별로 선착순에 따라 상기 공동구매량을 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은, 각각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판매자 단말이 상기 로컬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등록하면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상품 등록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중앙 서버와 상기 판매자 단말 중 하나로부터 구매 상품에 대한 배송 및 관세업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처리를 위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각 서비스 영역별 구매 수량을 실시간으로 합산하여 각 단계별로 공동구매 가격 할인율이 정해지고, 서비스 영역별로 발생하는 공동구매량, 증가율, 적용 할인율 등이 실시간으로 모든 서비스 영역에 공유되며,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발생하는 공동구매량은 실시간 기반으로 합산되어 글로벌 할인율에 반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글로벌 할인율을 각 서비스 영역의 모든 구매자와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모든 구매자가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최종 공동구매량에 따른 할인율을 선착순에 따라 먼저 구매한 구매자에게도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의 신속한 구매를 유도할 수 있어 판매 촉진의 이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되어지는 어느 하나의 마켓플레이스 또는 어느 하나의 국가, 지역 등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서비스 영역의 공동구매량을 통합하여 할인율을 적용함으로써, 실시간 글로벌 공동구매 및 가격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마켓플레이스가 서비스하는 서비스 영역의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다른 경우, 해당 언어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구매자별로 이루어지던 상품 배송 및 관세처리 등의 국제물류이동 절차를 동일 국가/지역으로의 동일 상품에 대해서 통합적으로 일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온라인상의 단순 중계가 아닌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의 할인율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의 할인율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거나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은 중앙 서버(10) 및 다수개의 로컬 서버(21, 22, 23)로 구성된다. 각각의 로컬 서버(21, 22, 23)는 서로 다른 서비스 영역(A, B, C)에 위치하며, 해당 서비스 영역에 공동구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영역은 국가, 지역, 네트워크 사업자의 서비스 영역, 그 밖의 설정 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영역 A, B, C는 한국, 미국, 스페인이 될 수도 있고, 미국의 동부, 중부, 서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개의 구매자 단말(31~36)과 다수개의 판매자 단말(41~43)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매자 단말(31~36)과 판매자 단말(41~43)은 특정 서비스 영역(A~C)에 위치하며 해당하는 로컬 서버(21~23)에 접속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매자는 자신의 단말(31~36)을 이용하여 자신이 속한 서비스 영역(A~C)을 관장하는 로컬 서버(21~23)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고 공동구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역시 자신의 단말(41~43)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로컬 서버(21~23)에 접속하고 공동구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는 모든 로컬 서버(21~23)를 관장하며, 특정 서비스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 글로벌 공동구매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중앙 서버(10)와 로컬 서버(21~23)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별개의 서버일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 장치에서 논리적으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중앙 서버(10)가 각 서비스 영역별로 서로 다른 URL(즉, 각 서비스 영역의 공동구매 사이트) 및 모바일 앱을 제공하는 것으로 로컬 서버를 대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마켓플레이스(예컨대, 이-마켓플레이스(e-marketplac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중앙 서버(10)나 로컬 서버(21~23)는 판매자가 상품을 등록하고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한다. 각각의 서비스 영역에 대응하는 각각의 마켓플레이스가 존재하며, 이러한 마켓플레이스는 예컨대 웹 페이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중앙 서버(10)와 로컬 서버(21~23)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며, 구매자 단말(31~36)과 판매자 단말(41~43)은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로컬 서버(21~23)에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모뎀(cable modem), 이더넷(Ethernet) 등의 고정 접속(Fixed Access) 방식의 망이 될 수 있다. 이 방식의 경우, 네트워크는 구매자 단말(31~36)과 유선으로 연결된 모뎀(modem),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등을 통해 구매자 단말(31~36)이 로컬 서버(21~23)에 접속하도록 유선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W-CDMA, CDMA2000, GSM, GPRS, LTE, LTE-Advanced 등의 이동 접속(Mobile Access) 방식의 망이 될 수 있다. 이 방식의 경우, 네트워크는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네트워크와 구매자 단말(31~36)간의 무선 구간 서비스를 제공하여 구매자 단말(31~36)이 로컬 서버(21~23)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방식의 망이 될 수 있다. 이 방식의 경우, 네트워크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및 액세스 라우터(Access Router)를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는 구매자 단말(31~36)에 무선 구간 서비스를 제공하여 구매자 단말(31~36)이 로컬 서버(21~23)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판매자 단말(41~43)은 자신이 속한 서비스 영역(A~C)의 로컬 서버(21~23)에 접속하여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S1 단계). 상품 등록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로서 상품명, 상품번호, 판매가, 출시시기 등을 입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품 등록 정보는 로컬 서버(21~23)에 저장되며 중앙 서버(10)에도 제공된다. 한편, 이 단계에서 로컬 서버(21~23)는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마켓플레이스를 판매자 단말(41~43)에 제공할 수 있고, 판매자는 자신의 단말(41~43)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로컬 서버(21~23)에 접속하고 해당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상품이 등록되면, 중앙 서버(10)는 할인정책을 결정한다(S2 단계). 할인정책은 공동구매량에 따른 각 단계별 할인율을 의미한다. 즉, 할인정책은 공동구매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계별로 차등 적용되는 할인율들을 일컫는 것으로, 예를 들어 특정 상품의 공동구매량이 100개가 되면 할인율이 10%이고 200개가 되면 20%라는 식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이 단계에서 중앙 서버(10)는 할인율의 적용 기준이 되는 공동구매량의 집계 방식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영역별로 구매량의 합계를 공동구매량으로 집계할 수도 있고, 개인별로 구매량의 합계를 공동구매량으로 집계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다시 설명할 것이다. 한편, 이 단계에서 중앙 서버(10)는 상품의 등록 정보를 각 서비스 영역(A~C)에 해당하는 언어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 변환은 각각의 로컬 서버(21~23)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할인정책을 결정한 후, 중앙 서버(10)는 각각의 로컬 서버(21~23)에 할인정책을 전달하고, 각각의 로컬 서버(21~23)는 등록된 상품의 정보와 할인정책을 고시한다(S3 단계). 이때, 상품 및 할인정책의 고시는 각 로컬 서버(21~23)가 제공하는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각 서비스 영역(A~C)의 구매자 단말(31~36)은 해당하는 로컬 서버(21~23)에 접속하여 상품과 할인정책의 고시를 확인하고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S4 단계). 이때, 상품의 구매량에 따라 1차적으로 할인율이 적용되어 판매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각 서비스 영역(A~C)에서의 구매 정보는 즉각 중앙 서버(10)로 전송되고, 중앙 서버(10)는 각각의 로컬 서버(21~23)로부터 수신한 구매 정보를 취합하여 공동구매량을 실시간으로 집계한다(S5 단계).
또한, 중앙 서버(10)는 판매 종료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S6 단계). 판매 종료 조건이란 미리 설정된 판매 마감시간의 도래 또는 해당 상품의 품절을 의미한다. 만약 판매 종료가 아닌 경우, 즉 판매 마감시간이 도래하지도 않고 해당 상품이 품절되지도 않은 경우, S4 단계의 상품 구매가 계속 진행된다. 이때, 중앙 서버(10)는 S5 단계에서 집계한 공동구매량을 각각의 로컬 서버(21~23)로 제공하며, 로컬 서버(21~23)는 이를 토대로 할인율을 적용하게 된다.
한편, S6 단계에서 판매 종료로 판단되는 경우, 즉 판매 마감시간이 도래하였거나 해당 상품이 품절된 경우, 중앙 서버(10)는 각각의 로컬 서버(21~23)에 판매 종료를 통보하고 최종 할인율을 적용한다(S7). 아울러, 최종 할인율의 적용에 따라 환불이 필요한 구매자에게는 환불을 시행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의 할인율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공동구매량에 따라 가격이 떨어지는, 즉 할인율이 커지는 구조를 가진다. 즉, 공동구매량의 증가에 따라, 공동구매량에 비례하는 각 단계별로 판매가격이 떨어지는 가격결정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식은 미리 정해진 일정량의 공동구매가 발생했을 때 정해진 할인율을 일괄 제공하는 방식과 차이가 있으며, 일정 구매가 발생하는 구간별로 미리 정해진 할인율을 적용하는 방식과도 차이가 있다. 전자의 방식은 예를 들어 공동구매량이 200개에 도달했을 때 비로소 20%의 일괄 할인율을 적용하는 방식이고, 후자의 방식은 예를 들어 공동구매량이 100개 이하일 때 10% 할인율을 적용하고 101개 내지 200개일 때 20% 할인율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즉, 이러한 방식들은 공동구매량이 어떤 구간에 있으면, 그 구간의 정해진 할인율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할인율 결정 방식은 공동구매량이 100개일 때 10%의 할인율을 적용한 후, 공동구매량이 200개에 이르렀을 때 20%의 할인율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특히, 공동구매량이 모두 200개가 되면, 앞서 10%의 할인율을 적용받았던 100개의 공동구매에 대해서도 20%의 할인율을 새로 적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상 설명한 방식들에 대하여 동일한 예를 들어 비교해 본다. 구매자 A가 100개를 구매한 후, 구매자 B가 70개를 구매하고, 구매자 C가 30개를 구매했다고 가정한다. 표 1은 이 경우 상기 방식들에 의해 각각의 구매자가 적용받는 할인율이다.
전자 방식 후자 방식 본 발명
구매자 A B C A B C A B C
구매량(개) 100 70 30 100 70 30 100 70 30
할인율(%) 0 0 20 10 20 20 20 20 20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할인율 결정 방식을 다시 설명하면, 판매 마감시간까지 3단계에 걸쳐 모든 물량이 공동구매로 판매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1단계 내지 3단계의 공동구매량에 대하여 각 단계의 할인율을 누적하여 적용한다. 즉, 1단계 내지 3단계에서 각 단계의 할인율이 10%씩이라고 가정하면, 1단계에서 판매된 공동구매량에 적용된 할인율이 10%이고, 2단계에서 판매된 공동구매량에 적용되는 할인율이 1단계의 할인율 10%에 다시 10%를 누적한 20%이고, 3단계에서 판매된 공동구매량에 적용되는 할인율이 1단계와 2단계의 할인율 20%에 다시 10%를 누적한 30%이나, 1단계 내지 3단계에서 판매된 모든 공동구매량에 할인율 30%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판매 마감시간까지 1단계의 공동구매량을 초과하였으나 2단계의 공동구매량을 초과하지 못한 경우, 1단계의 공동구매량에 대해서만 1단계의 할인율을 적용한다.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동일한 상품에 대한 공동구매뿐만 아니라 여러 상품들이라도 동일한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각 서비스 영역별 구매 수량을 실시간으로 합산하여 각 단계별로 공동구매 가격 할인율이 정해진다. 또한, 서비스 영역별로 발생하는 공동구매량, 증가율, 적용 할인율 등이 실시간으로 모든 서비스 영역에 공유되며,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발생하는 공동구매량은 실시간 기반으로 합산되어 글로벌 할인율에 반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글로벌 할인율을 각 서비스 영역의 모든 구매자와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모든 구매자가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비록 단계별로 할인율이 적용되었다 할지라도 최종판매 시점(즉, 공동구매 마감시점)에서 적용된 최고가 할인율이 앞선 모든 단계에 재적용되는 구조로서, 모든 글로벌 구매자는 각 서비스 영역에 동일하게 적용된 할인율이 아니라 글로벌 공동구매수량을 토대로 한 더 크거나 같은 할인율의 적용을 받아 구매가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각 서비스 영역의 공동구매량의 변화에 따라 각 단계별로 1, 2, 3, …, N차 할인율이 적용되고, 모든 서비스 영역의 공동구매량을 실시간 합산하여 각 서비스 영역의 할인율보다 더 크거나 같은 1+α, 2+β, 3+γ, …, N+δ차 할인율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할인율은 100개의 공동구매인 경우 10%, 200개의 공동구매의 경우 20%, …, 500개의 공동구매인 경우 50%라고 가정한다. 즉, 할인율이 각 단계별 100개당 10%의 할인율을 적용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판매 마감시간에 집계한 결과, 서비스 영역 A의 공동구매량이 100개이고, 서비스 영역 B의 공동구매량이 80개이며, 서비스 영역 C의 공동구매량이 120개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서비스 영역 A의 공동구매량에 대해서 1차로 10%의 할인율이 적용된다. 서비스 영역 B는 100개의 수량을 넘지 못하므로 1차로 0% 할인율이 적용되며, 공동구매는 실패로 돌아간다. 서비스 영역 C의 공동구매량에 대해서는 10%의 1차 할인율이 적용된다. 그런데 서비스 영역 A, B, C 모두의 공동구매량 합계는 300개가 되므로, 2차로 각 서비스 영역 A, B, C의 공동구매량에 대해 30%의 2차 글로벌 할인율을 적용하여 판매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할인율이 각 단계별 100개당 10%의 할인율을 적용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판매 마감시간에 집계한 결과, 서비스 영역 A의 공동구매량이 100개, 서비스 영역 B의 공동구매량이 30개, 서비스 영역 C의 공동구매량이 20개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서비스 영역 A의 공동구매량에 대해서 1차로 10%의 할인율이 적용된다. 서비스 영역 B는 100개의 수량을 넘지 못하여 1차로 0% 할인율이 적용되며, 공동구매는 실패로 돌아간다. 서비스 영역 C 또한 100개의 수량을 넘지 못하여 1차로 0% 할인율이 적용되며, 공동구매는 실패로 돌아간다. 이때, 서비스 영역 A, B, C 공동구매량의 합계는 150개가 되므로, 1차와 동일한 10%의 글로벌 할인율을 적용하여 판매하게 된다.
한편, 판매자는 모든 서비스 영역에 동일한 할인율이 적용된 판매 가격을 고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각 서비스 영역의 특성(예, 당일 항공특송, 30일 선박배송 등) 및 지불방법(Credit Card, Paypal, 계좌이체, 포인트 구매 등) 등을 고려하여 판매 가격은 서비스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선착순 방식에 기반을 둔다. 그런데 할인율을 결정하기 위한 공동구매량의 집계는 서비스 영역별 선착순 방식에 기반을 두고 수행할 수도 있고 개인별 선착순 방식에 기반을 두고 수행할 수도 있다.
서비스 영역별 선착순 방식은 일정량의 공동구매량에 먼저 도달하는 서비스 영역 순으로 할인율을 적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100개의 판매량에 대해 20% 할인율을 적용하는 경우, 선착순으로 서비스 영역 A에서 80개, 서비스 영역 B에서 30개, 서비스 영역 C에서 10개, 서비스 영역 A에서 다시 20개를 구매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서비스 영역 A에서 먼저 100개의 공동구매량에 도달하였으므로, 서비스 영역 A에서 구매한 공동구매량에 대해 20%의 할인율을 적용한다.
개인별 선착순 방식은 일정량의 공동구매량에 먼저 도달하는 개인에 대해 할인율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00개의 판매량에 대해 20% 할인율을 적용하는 경우, 선착순으로 서비스 영역 A의 '갑'이라는 개인이 80개, 서비스 영역 B의 '을'이라는 개인이 30개, 서비스 영역 C의 '병'이라는 개인이 10개, 서비스 영역 A의 '정'이라는 개인이 20개를 구매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갑'의 80개 및 '을'의 20개 구매량에 20% 할인율을 적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의 할인율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동구매가 실패한 경우, 그 전의 판매 시점에 적용된 할인율보다 더 높아진 할인율을 단계별로 구매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때, 할인율은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할인율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는 재고에서 판매된 수량을 나타내는 판매 수량, 재고에서 판매되지 않은 미판매 수량, 현재시간, 판매 마감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판매 수량 대비 미판매 수량이 많은 경우 할인율이 높아지며, 현재시간이 판매 시간에 가까워질수록 할인율이 높아진다. 이때, 할인율은 판매자가 미리 제시한 할인율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서버(21~23)는 공동구매 실패시 구매를 시도하였으나 일정량의 공동구매량을 채우지 못한 구매자들을 잠재적 구매자들로 분류하며, SMS나 이메일 등을 통해 해당 구매자들에게 더 낮은 할인율이 적용된 바로 다음 공동구매가 진행됨을 광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는 소셜 네트워크를 비롯한 다양한 방식에 따라 본인의 친구에게 마켓플레이스의 주소(예, URL)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마켓플레이스를 추천할 수 있으며, 추천에 따라 구매된 제품에 대해서는 일정 금액으로의 전환이나, 추후 구매시 가격 할인 등이 가능한 포인트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추천에 의한 포인트 지급의 범위는 모든 관계구조(hierarchy) 속에서 관계구조의 깊고 낮음에 의해서 차이가 나는 포인트나 금액 등을 지급받는 기존의 다단계 형태와는 달리, 모든 추천자에게 1차 관계자 구매에 대한 포인트를 지급하는 구조이다. 예컨대, A가 B, C, D와 1차 관계를 맺고 있고, B는 E, F와 1차 관계를 맺고 있다면, A의 포인트 지급의 범위는 B, C, D의 구매에 대해서만 한정되며, B의 포인트 지급 범위 또한 E, F의 구매로 한정된다.
본 발명은 판매 시작 전에 시중 판매가격, 최종 판매 마감시간, 단계별로 할인된 판매가격 또는 할인율, 최종 최소 판매가격 또는 최종 최대 할인율을 판매자로부터 제시받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계별 공동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동구매의 마감은 모든 상품이 품절(Sold Out)되었거나, 판매자가 미리 설정한 판매 마감시간이 종료된 경우에 마감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국가 또는 지역들 간 인터넷 및 모바일 기반의 글로벌 공동구매 또는 도매를 통해 국가 또는 지역들 간의 이동 없이 각 국가, 각 지역 또는 각 개인들의 방안에서도 실시간 글로벌 중계무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각 국가 또는 지역 간에 이루어지는 선착순 기반 공동구매량의 실시간 합계(Mega-demand or Mega-group purchasing Aggregation)를 통해 막대한 할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국가 안에서나 지역 등에 한정되어 이루어지는 공동구매 방식이 아니라, 글로벌 공동구매를 실시간으로 연동함으로써 대량 구매가 이루어지게 하며, 박리다매로 인한 가격 할인의 폭이 더 커지며 새로운 형태의 글로벌 중계무역 패러다임(Paradigm)을 제시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선착순 기반 글로벌 공동구매가 이루어진 후, 기존의 구매자 개인별이 아닌, 국가/지역별 공동배송, 공동관세 등 물류의 이동에 관한 오프라인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글로벌 전자상거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의 전자상거래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서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중계자적인 역할만 수행할 뿐, 배송이나 국가/지역간 관세 등을 포함한 직접적인 물류의 이동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은 사업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이는 전체적인 물류 비용의 상승 및 구매자의 구매행위에 불편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명의 한국 거주 구매자와 미국의 판매자간에 각 1개의 동일 상품에 대한 구매가 체결되었을 경우, 기존의 전자상거래는 미국의 판매자가 100개의 상품을 각각 포장한 후 100명의 한국 구매자에게 각각 100개의 다른 주소로 국제운송수단을 이용하여 배송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때 100개의 상품에 대해 관세가 부과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100명의 구매자 개개인은 직접 세관에 관세를 납부하고 구매상품을 직접 찾아가거나 배송 받을 수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상에서의 선착순 기반 글로벌 공동구매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상품배송 및 관세처리 등의 국제물류이동 절차에 대해서도 일괄 수행이 가능하다. 즉, 판매자는 각각의 구매자들의 주문을 받아 마켓플레이스를 대상으로 판매를 수행하며, 마켓플레이스는 각각의 구매자들을 대신하여 구매, 배송, 관세 등 오프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제물류이동 절차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중앙 서버 또는 판매자 단말이 구매 상품에 대하여 서비스 영역별로 로컬 서버에 배송 및 관세업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처리를 위임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국가/지역에 대하여 동일 상품의 대량 구매, 배송, 관세 등 물류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가중될 수 있는 상품배송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고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중앙 서버
21, 22, 23: 로컬 서버
31, 32, 33, 34, 35, 36: 구매자 단말
41, 42, 43: 판매자 단말

Claims (16)

  1. 서로 다른 서비스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 로컬 서버;
    각각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로컬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다수개의 구매자 단말; 및
    각각의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에 의한 상기 상품의 공동구매량에 따라 단계별로 차등 할인율을 적용하도록 할인정책을 결정하고, 판매 마감시간이 초과되거나 상기 상품이 품절된 경우 모든 상기 서비스 영역의 공동구매량을 집계한 결과에 따라 최종 할인율을 적용하는 중앙 서버;
    를 포함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할인율은 상기 적용된 단계별 차등 할인율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단계별로 미리 설정된 공동구매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차등 할인율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공동구매량의 집계 결과가 미리 설정된 공동구매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최종 할인율을 모든 상품 구매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은 국가, 지역, 네트워크 사업자의 서비스 영역, 마켓플레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량은 상기 서비스 영역별 혹은 개인별로 선착순에 따라 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로컬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등록하는 다수개의 판매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와 상기 판매자 단말 중 하나는 구매된 상품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영역별로 상기 로컬 서버에 배송 및 관세업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처리를 위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9. 구매자 단말에 의한 상품의 공동구매량에 따라 로컬 서버가 단계별로 차등 할인율을 적용하도록 중앙 서버가 할인정책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구매자 단말이 상기 로컬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상품의 공동구매량에 따라 단계별로 상기 차등 할인율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판매 마감시간이 초과되거나 상품이 품절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 마감시간이 초과되거나 상기 상품이 품절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가 모든 상기 서비스 영역의 공동구매량을 집계한 결과에 따라 최종 할인율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할인율은 상기 적용된 단계별 차등 할인율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 할인율의 적용 단계는 상기 단계별로 미리 설정된 공동구매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차등 할인율을 적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할인율의 적용 단계는 상기 공동구매량의 집계 결과가 미리 설정된 공동구매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최종 할인율을 모든 상품 구매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은 국가, 지역, 네트워크 사업자의 서비스 영역, 마켓플레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할인율의 적용 단계는 상기 서비스 영역별 혹은 개인별로 선착순에 따라 상기 공동구매량을 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판매자 단말이 상기 로컬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등록하면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상품 등록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중앙 서버와 상기 판매자 단말 중 하나로부터 구매 상품에 대한 배송 및 관세업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처리를 위임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KR1020110074653A 2011-07-27 2011-07-27 선착순 기반 글로벌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3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653A KR20130013168A (ko) 2011-07-27 2011-07-27 선착순 기반 글로벌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3/247,865 US20130030885A1 (en) 2011-07-27 2011-09-28 System and method for global group purchase service on first-come-first-served ba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653A KR20130013168A (ko) 2011-07-27 2011-07-27 선착순 기반 글로벌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168A true KR20130013168A (ko) 2013-02-06

Family

ID=4759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653A KR20130013168A (ko) 2011-07-27 2011-07-27 선착순 기반 글로벌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30885A1 (ko)
KR (1) KR201300131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678B1 (ko) 2022-04-18 2023-04-21 윤정탁 라이브 커머스에서의 차등적 가격 책정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0987A (zh) * 2014-03-13 2014-06-18 上海云享科技有限公司 一种团购方法及系统
CN105184619A (zh) * 2015-10-23 2015-12-2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团购方法及团购系统
CN110310437B (zh) * 2019-06-27 2021-09-17 深圳市丰巢科技有限公司 一种拼团代收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2017003B (zh) * 2020-08-28 2023-06-20 杭州拼便宜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9343B1 (en) * 1998-08-25 2001-07-31 Mobshop, Inc. On-line marketing system and method
US6631356B1 (en) * 1999-03-15 2003-10-07 Vulcan Portals, Inc. Demand aggregation through online buying groups
US20090083136A1 (en) * 2007-09-21 2009-03-26 Scott Kyle Blackwood Consolidating online purchase transa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678B1 (ko) 2022-04-18 2023-04-21 윤정탁 라이브 커머스에서의 차등적 가격 책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30885A1 (en)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073B1 (ko) 복수의 소셜 커머스 업체간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10410143B2 (en) Reservation exchange server system
CN103366283A (zh) 网络交易可变资金分帐方法及系统
US20130006805A1 (en) Online Marketplace for Collective Buying
US20120296759A1 (en) Online market for retail goods
US20150074000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negotiating online transactions
KR20190060188A (ko) 렌탈 분양몰 관리서버
KR20130013168A (ko) 선착순 기반 글로벌 공동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106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anced merchant self-enabled merchandising based on various data
KR20200137146A (ko) 고유url 코드를 이용한 판매업체와 마케터간 기간제 마케팅 시스템
US20130246190A1 (en)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face for integrated payment with regard to goods in integrated marketplace
CN105654364A (zh) 网络团购方法及系统
US202000271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through division of product groups
KR101287970B1 (ko) 지역 기반 통합 마케팅과 회원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N113570423B (zh) 基于个人平台的封闭式电子商务服务提供系统和方法
KR101637315B1 (ko) 개인 및 다수의 구매자가 적립한 포인트의 제공방법
KR20200119746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1902708B1 (ko) 떠리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30104372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US201202716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and Promoting Products and Services Over the Internet
KR20190135181A (ko)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b2c 중국 전용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1522559B1 (ko)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Yang et al. Bi, g
KR20130139436A (ko)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30015299A (ko) 판매물품평가를 이용한 전자신용결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411

Effective date: 201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