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745A - 의류 - Google Patents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745A
KR20130012745A KR1020110074093A KR20110074093A KR20130012745A KR 20130012745 A KR20130012745 A KR 20130012745A KR 1020110074093 A KR1020110074093 A KR 1020110074093A KR 20110074093 A KR20110074093 A KR 20110074093A KR 20130012745 A KR20130012745 A KR 20130012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muscles
long
pants
position corresp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교
레이코 미야코시
Original Assignee
(주)기가인터내셔날
마키크리에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인터내셔날, 마키크리에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기가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1007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745A/ko
Publication of KR2013001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41D2400/82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with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에 관한 것으로, 근육의 움직임을 착용자가 목적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의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는 인체에 착용되는 의류로써,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인체의 근육의 기시부(起始部)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긴체력(緊締力)을 상기 기시부에 부여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보다 신축도가 크고,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제1부분에 의해 긴체력이 부여된 상기 근육의 상기 기시부와 상기 근육의 정지부(停止部) 사이의 근육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분이 상기 기시부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 작은 긴체력을 상기 근육부분에 부여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Clothing}
본 발명은 인체에 착용되는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육의 기시부와 정지부 사이의 근육부분이 긴체력에 반하여 적절히 팽창할 수 있도록 하여 근육의 움직임을 착용자가 목적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92903호(2001.07.17. 공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컨디셔닝 웨어 등 인체에 착용했을 때 그 인체의 근육에 긴체력(緊締力)을 부여하는 의류는 기존에 알려져 있다. 그러한 의류는 상기 긴체력에 의해 근육을 서포트하는데, 예를 들어 근육 피로의 경감 등 스포츠 장애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착용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의류를 착용한 사람(이하, "착용자" 라 한다.)이 운동을 할 때, 그 착용자의 근육은 상기 긴체력을 부여받으면서도 그 착용자가 목적으로 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한 신축성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근육이 상기 긴체력에 의해 제동되면서도 본래의 탄력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한 의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근육의 움직임(늘어나고 줄어듦)을 착용자가 목적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 근육의 기시부(起始部)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기시부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근육이 그 신장방향(늘어나는 방향)으로 늘어나기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그 근육의 움직임의 지점이 정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근육의 움직임이 착용자가 목적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되어질 수 없을 뿐 아니라 근육이 피로해지기 쉬워져서 스포츠 장애가 유발되기 쉽다.
또한, 근육의 움직임을 착용자가 목적하는 운동에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근육의 기시부와 정지부 사이의 근육부분(근복[筋腹])이라 하며 늘었다 줄었다 하는 부분)이 긴체력에 반하여 적절히 팽창할 수 있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복근이 과도하게 긴체(緊締)되면 그 근육의 수축에 동반되는 팽창이 방해받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더불어 근육의 움직임이 착용자가 목적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근육의 움직임을 착용자가 목적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의류를 실현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는, 인체에 착용되는 의류로써,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인체의 근육의 기시부(起始部)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긴체력(緊締力)을 상기 기시부에 부여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보다 신축도가 크고,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제1부분에 의해 긴체력이 부여된 상기 근육의 상기 기시부와, 상기 근육의 정지부(停止部) 사이의 근육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분이 상기 기시부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 작은 긴체력을 상기 근육부분에 부여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보다도 신축도가 작고,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정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분이 상기 근육부분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 큰 긴체력을 상기 정지부에 부여하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기시부로부터 상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어지는 상기 근육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부분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근육은 골격근(骨格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의류에 있어서, 의류는 팬츠의 경우, 상기 골격근은 대둔근(大臀筋), 햄스트링(hamstring)근, 대퇴직근(大腿直筋), 봉공근(縫工筋), 복직근(腹直筋), 그리고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의류에 있어서, 의류는 탑스의 경우, 상기 골격근은 대흉근(大胸筋), 광배근(廣背筋), 그리고 극하근(棘下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에 의하면, 제1부분에 의해 비교적 강한 긴체력이 근육의 기시부에 부여된다. 그러므로 의류의 착용자가 운동을 할 때 근육의 기시부가 고정되고, 상기 근육의 움직임의 지점이 정해져 그 결과로 상기 근육은 정상적인 가동범위에 놓여서 움직이게(신축한다) 된다. 또한 근육의 생리학적 성질에 의해 기시부가 고정된 근육은 그 신장방향으로 늘어나기 쉬워진다. 더 나아가 제1부분에 의해 기시부에 긴체력이 부여된 근육의 기시부와 상기 근육의 정지부 사이의 근육부분에는 제2부분에 의해 비교적 약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그러므로 상기 근육부분 수축시에 팽창하기 쉬워지며 착용자의 운동에 요구되는 근력을 효율적으로 생기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효과에 의해 근육은 그 유연성이 향상되고, 착용자가 목적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하면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상기 근육의 피로의 경감, 그리고 스포츠 장애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의해 긴체력이 부여되는 근육의 장력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기시부 및 정지부가 고정된 근육은 그 신장방향으로 보다 늘어나기 쉽게 된다. 그 결과 근육의 움직임을 착용자가 목적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부분에 의해 상기 근육부분이 수축시에 팽창하기 쉬워지고, 착용자의 운동에 필요한 근력을 보다 효율 좋게 생기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근육 즉, 골격근의 경우 골격근이 부착되어 있는 뼈의 움직임이 착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운동에 적합하도록 상기 골격근이 적절히 신축한다.
또한, 의류는 팬츠의 경우 하지(下肢)를 움직이게 하는 근육군(筋肉群)이 적절히 신축할 수 있게 되고, 하지의 움직임이 착용자가 목적하는 운동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의류는 탑스의 경우 상지(上肢)를 움직이게 하는 근육군(筋肉群)이 적절히 신축할 수 있게 되고, 상지의 움직임이 착용자가 목적하는 운동에 적합하게 된다.
도 1은 탑스(10)를 전측(복측[腹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탑스(10)를 후측(배측[背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팬츠(20)를 전측(복측[腹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팬츠(20)를 후측(배측[背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팬츠(20)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의 (a)는 대흉근(大胸筋)을 나타낸 골격근(骨格筋) 도면이고, (b)는 탑스(10) 중에서 대둔근(大臀筋)에 긴체력(緊締力)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대흉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대흉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은 탑스(10)에 의한 원배자세(円背姿勢)의 교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9의 (a)는 광배근(廣背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고, (b)는 탑스(10)에서 광배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 및 (b)는 광배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광배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1의 (a)는 극하근(棘下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고, (b)는 탑스(10)에서 극하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a) 및 (b)는 극하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극하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3의 (a)는 대둔근(大臀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고, (b)는 팬츠(20)에서 대둔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대둔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대둔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5의 (a)는 대퇴이두근장두(大腿二頭筋長頭)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팬츠(20)에서 대퇴이두근장두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a)는 반막양근(半膜樣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고, (b)는 팬츠(20)에서 반막양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a)는 반건양근(半腱樣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고, (b)는 팬츠(20)에서 반건양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의 (a) 내지 (c)는 햄스트링(hamstring) 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햄스트링 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9의 (a)는 대퇴직근(大腿直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고, (b)는 팬츠(20)에서 대퇴직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의 (a)는 봉공근(縫工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고, (b)는 팬츠(20)에서 봉공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의 (a) 내지 (c)는 대퇴직금(大腿直筋) 및 봉공근(縫工筋)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대퇴직근 및 봉공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2의 (a)는 복직근(腹直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고, (b)는 팬츠(20)에서 복직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의 (a) 및 (b)는 복직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복직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4의 (a)는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고, (b)는 팬츠(20)에서 척추기립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의 (a) 내지 (c)는 척추기립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척추기립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6의 (a)는 강긴체부(强緊締部)의 편조직(編組織)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중긴체부(中緊締部)의 편조직을 나타낸 도면이이며, (c)는 약긴체부(弱緊締部)의 편조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의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우선, 본 발명은 인체에 착용되는 의류로써,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인체의 근육의 기시부(起始部: 시작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긴체력(緊締力)을 상기 기시부에 부여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보다 신축도가 크고,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제1부분에 의해 긴체력이 부여된 상기 근육의 상기 기시부와, 상기 근육의 정지부(停止部: 끝부분) 사이의 근육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분이 상기 기시부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 작은 긴체력을 상기 근육부분에 부여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의류이다.
이러한 구성의 의류를 인체에 착용하면, 제1부분에 의해 비교적 강한 긴체력이 근육의 기시부에 부여된다. 그러므로 의류의 착용자가 운동을 할 때 근육의 기시부가 고정되고, 상기 근육의 움직임의 지점이 정해져 그 결과로 상기 근육은 정상적인 가동범위에 놓여서 움직이게(신축한다) 된다. 또한 근육의 생리학적 성질에 의해 기시부가 고정된 근육은 그 신장방향으로 늘어나기 쉬워진다. 더 나아가 제1부분에 의해 기시부에 긴체력이 부여된 근육의 기시부와 상기 근육의 정지부 사이의 근육부분에는 제2부분에 의해 비교적 약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그러므로 상기 근육부분 수축시에 팽창하기 쉬워지며 착용자의 운동에 요구되는 근력을 효율적으로 생기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효과에 의해 근육은 그 유연성이 향상되고, 착용자가 목적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하면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상기 근육의 피로의 경감, 그리고 스포츠 장애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보다 신축도가 작으며,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정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분이 상기 근육부분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 큰 긴체력을 상기 정지부에 부여하는 제3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이런 구성의 의류라고 하면,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의해 긴체력이 부여되는 근육의 장력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기시부 및 정지부가 고정된 근육은 그 신장방향으로 보다 늘어나기 쉽게 된다. 그 결과 근육의 움직임을 착용자가 목적하고 있는 운동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기시부로부터 상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있어서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어지는 상기 근육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의류라면, 상기 근육부분이 수축시에 팽창하기 쉬워지고, 착용자의 운동에 필요한 근력을 보다 효율 좋게 생기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근육은 골격근을 지칭한다. 이러한 경우 골격근이 부착되어 있는 뼈의 움직임이 착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운동에 적합하도록 상기 골격근이 적절히 신축한다.
또한, 상기의 의류에 있어서, 의류는 팬츠의 경우 상기 골격근은 대둔근(大臀筋), 햄스트링근(hamstring筋), 대퇴직근(大腿直筋), 봉공근(縫工筋), 복직근(腹直筋) 그리고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이 포함된다. 이러한 경우 하지(下肢)를 움직이게 하는 근육군(筋肉群)이 적절히 신축할 수 있게 되고, 하지의 움직임이 착용자가 목적하는 운동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의류에 있어서, 의류는 탑스의 경우 상기 골격근은 대흉근(大胸筋), 광배근(廣背筋) 그리고 극하근(棘下筋)이 포함된다. 이러한 경우 상지(上肢)를 움직이게 하는 근육군(筋肉群)이 적절히 신축할 수 있게 되고, 상지의 움직임이 착용자가 목적하는 운동에 적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의 형상에 대하여)
본 발명의◎의류의 일 예로써,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상반신용 컨디셔닝 웨어(이하, 탑스(10)라 함) 및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하반신용 컨디셔닝 웨어(이하, 팬츠(20)라 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탑스(10)를 전측(복측[腹側])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탑스(10)를 후측(배측[背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팬츠(20)를 전측(복측[腹側])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팬츠(20)를 후측(배측[背側])에서 본 도면이며, 도 5는 팬츠(20)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각 도면은 인체에 착용된 상태의 탑스(10)와 팬츠(20)를 나타내고 있다.
탑스(10)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11)와 그 몸통부(11)에 봉합된 좌우 한 쌍의 팔부(12)를 갖고 있는 셔츠형의 컨디셔닝 웨어이다. 팬츠(20)는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부(21)와 그 허리부에 인접한 좌우 한 쌍의 다리부(22)를 가지고 있는 타이즈형의 컨디셔닝 웨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탑스(10)와 팬츠(20)는 모두 신축성을 가지는 원단으로 된 의류이며, 인체에 착용했을 때 꼭 맞아서(fit) 그 인체의 소정의 근육(소정의 근육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에 긴체력(緊締力)을 부여한다. 여기서 긴체력이라는 것은 원단의 장력에 의해 생기고, 근육을 잡아줌으로써 그 근육을 제동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말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탑스(10)와 팬츠(20)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신축도(伸縮度)가 다른 3종류의 원단부분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탑스(10)와 팬츠(20)는 모두 서로 신축도가 다른 3종류(도 1 내지 도 5에서 흰색, 회색, 흑색으로 나누어진 부분)로 되어 있다. 여기서, 신축도라는 것은 신축되기 쉬움의 정도를 말한다. 신축도가 작다(신축하기 어렵다)는 것은 원상태(외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기 쉬운 원단의 성질(즉, 큰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늘어나지 않고, 늘어난 상태에서 외력으로부터 해방된 경우 원상태로 쉽게 돌아가는 성질)을 나타낸다. 반대로 신축도가 크다(신축하기 쉽다)는 것은 원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원단의 성질(즉, 작은 외력으로도 늘어나고, 늘어난 상태에서 외력으로부터 해방된 경우 원상태로 쉽게 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탑스(10) 및 팬츠(20)의 각각의 원단의 신축도가 3단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그 탑스(10) 및 팬츠(20)의 각각이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근육에 부여되는 긴체력이 3단계로 설정되어지고, 그 긴체력은 원단의 신축도가 클수록 약해진다. 따라서 탑스(10) 및 팬츠(20)의 각각은 가장 신축도가 작아서 가장 강한 긴체력을 근육에 부여하는 원단부분(이하, 강긴체부[强緊締部])과, 가장 신축도가 커서 가장 약한 긴체력을 근육에 부여하는 원단부분(이하, 약긴체부[弱緊締部])과, 신축도가 강긴체부보다 크고 또한 약긴체부보다는 작아서 강긴체부보다 약하고 또한 약긴체부보다 강한 긴체력을 근육에 부여하는 원단부분(이하, 중긴체부[中緊締部])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 중 흰색으로 된 부분이 강긴체부에, 회색으로 된 부분은 중긴체부에, 흑색으로 된 부분이 약긴체부에 각각 대응된다.
이하, 탑스(10) 및 팬츠(20)의 각각에 있어서, 강긴체부, 중긴체부 및 약긴체부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탑스(10) 또는 팬츠(20)가 인체에 착용된 상태에서의 상기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아래 설명에서는 인체의 소정부위(예를 들어 소정의 근육, 뼈 등)에 대응되는 위치라는 것은 상기 소정부위를 덮는 위치를 의미한다(즉, 인체의 소정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의 속에 대응 소정부위가 존재한다).
<<탑스(10)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탑스(10)는 강긴체부(强緊締部), 중긴체부(中緊締部) 및 약긴체부(弱緊締部)가 각각 인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연계(連繫)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하, 탑스(10)에서의 강긴체부, 중긴체부, 약긴체부의 각각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강긴체부(强緊締部)의 배치>
탑스(10)의 전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긴체부가 목 아래쪽에서 겨드랑이 아래쪽으로 향해 X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강긴체부는 탑스(10)의 전면에서 칼라 라인에 따라 비스듬히 이어져 흉쇄관절(胸鎖關節)에 대응되는 위치 주변에서 합류하는 부분(도 1에서 부호 a11로 나타낸 부분)과 상기 a11의 합류 위치에서 다시 분기되어 겨드랑이 아래쪽으로 향해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이어진 부분(도 1에서 부호 a12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강긴체부는 흉쇄관절에 대응되는 위치 주변에서 어깨로 향해 쇄골(鎖骨)을 따라 신장된 부분(도 1에서 부호 a13으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탑스(10)의 전면에서는 강긴체부가 겨드랑이 아래쪽에서 몸통부(11)의 아래쪽으로 향해 X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강긴체부는 탑스(10)의 전면에서 겨드랑이 아랫부분 위치에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이어져서 배꼽에 대응되는 위치 주변에서 합류하는 부분(도 1에서 부호 a14로 나타낸 부분)과 상기 a14의 합류 위치에서 다시 분기되어 관골(寬骨)의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에 대응되는 위치를 향해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이어지는 부분(도 1에서 부호 a15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스(10)의 후면에서는 강긴체부가 목 주변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탑스(10)의 후면에서 강긴체부는 견갑골내측연(肩胛骨內側緣)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겨드랑이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이어진 부분(도 2에서 부호 a16으로 나타낸 부분)과 상기 부분 a16의 중간 위치에서 흉추(胸椎)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로 향해 이어지고, 그 위치에서 겨드랑이 아래쪽 방향 위치를 향해 비스듬히 이어지는 부분(도 2에서 부호 a17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분 a17은 겨드랑이 아래쪽의 하방위치에서 부분 a14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강긴체부는 탑스(10)의 후면에서 겨드랑이 아래쪽의 하방위치에서 골반(骨盤) 중앙(자세히 말하면, 요선추부[腰仙椎部])의 기부(基部))에 대응되는 위치를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이어지는 부분(도 2에서 부호 a18로 나타낸 부분)과 상기 부분 a18에 인접하여 몸통부(11)의 아래쪽까지 이어지는 부분(도 2에서 부호 a19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분 a19는 몸통부(11)의 아래쪽에서 부분 a15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몸통부(11)의 아래쪽에 있어서 강긴체부의 배치위치는 골반(骨盤)(자세히 말하면, 요선골부[腰仙骨部])을 둘러싼 것 같이 위치하고 있다.
<중긴체부(中緊締部)의 배치>
중긴체부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깨의 윗부분을 덮고 상완(上腕)을 둘러싼 것처럼 배치되어 있다. 즉, 중긴체부는 탑스(10)의 전면 및 후면의 양쪽에서 어깨봉우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완골두(上腕骨頭)에 대응되는 위치를 통과하여 겨드랑이 아래쪽 주변으로 향해 이어지는 부분(도 1 및 도 2에서 부호 b11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약긴체부(弱緊締部)의 배치>
탑스(10)의 전면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긴체부가 흉곽부(胸郭部)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배꼽에 대응되는 위치보다도 다소 상방의 위치까지 폭넓게 배치되어 있다. 즉, 약긴체부는 탑스(10)의 전면에 있어서 강긴체부의 부분 a12 및 부분 a14로 포위되어 횡격막(橫隔膜)에 대응되는 위치 주변을 덮는 부분(도 1에서 부호 c11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약긴체부는 탑스(10)의 전면에 있어서 몸통부(11)의 아래쪽에서 거의 삼각형상으로 넓어진 부분(도 1에서 부호 c12로 나타낸 부분)과, 강긴체부의 부분 a11 및 부분 a12와, 중긴체부의 부분 b11과의 사이에 있어서 겨드랑이 아래에서 어깨 전방을 덮는 부분(도 1에서 부호 c13으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한편, 탑스(10)의 후면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긴체부가 흉추(胸椎)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으로부터 허리의 윗부분까지 폭넓게 배치되어 있다. 즉, 약긴체부는 탑스(10)의 후면에 있어서 강긴체부의 부분 a17 및 a18로 포위되어 횡격막(橫隔膜)에 대응되는 위치 주변을 배면측에서 덮는 부분(도 1에서 부호 c14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약긴체부는 탑스(10)의 후면에 있어서 강긴체부의 부분 a17과 중긴체부의 부분 b11의 사이에 있어서 겨드랑이 아래쪽으로부터 어깨 후방을 덮는 부분(도 1에서 부호 c15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긴체부는 팔부(12)의 중앙으로부터 그 팔부(12)의 아래쪽에서 약간 위쪽 위치에 걸쳐 상완(上腕)을 둘러싼 부분(도 1 및 도 2에서 부호 c16으로 나타낸 부분)과 옆구리를 덮는 부분(도 1 및 도 2에서 부호 c17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팬츠(20)에 관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팬츠(20)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긴체부(强緊締部), 중긴체부(中緊締部) 및 약긴체부(弱緊締部)가 각각 인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연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하, 팬츠(20)에 있어서의 강긴체부, 중긴체부 및 약긴체부의 각각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강긴체부(强緊締部)의 배치>
팬츠(20)의 후면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긴체부가 치골(恥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선골(仙骨)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끌어올린 다음 장골능(腸骨稜)의 외측 상방에 대응되는 위치로 향하도록 대략 V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강긴체부는 팬츠(20)의 후면에 있어서 치골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역삼각 형상으로 넓어지고 선장관절(仙腸關節)에 대응되는 위치 주변을 덮는 부분(도 4에서 부호 a21로 나타낸 부분)과 부분 a21에서 좌우로 분기되어 장골능에 대응되는 위치를 향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이어지는 부분(도 4에서 부호 a22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강긴체부는 허리부(21)의 폭방향 선단에 있어서 상기 부분 a22와 연결되어 대전자(大轉子)에 대응되는 위치 주변까지 폭넓게 이어지는 부분(도 4 및 도 5에서 부호 a23으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강긴체부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a23의 하단부에서 분기되어 대퇴(大腿) 전측으로 향해 이어지는 부분(도 5에서 부호 a24로 나타낸 부분)과 대퇴의 후측으로 향해 이어지는 부분(도 5에서 부호 a25로 나타낸 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강긴체부는 팬츠(20)의 후면에 있어서 치골결합(恥骨結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골결절(坐骨結節)에 대응되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이어진 부분(도 4 및 도 5에서 부호 a26으로 나타낸 부분)과 치골결합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퇴(大腿) 내측을 덮는 부분(도 4에서 부호 a27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분 a27은 치골결합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삼각형상으로 넓어져 그 부분 a27과 연결된 부분 a25는 다리부(22)의 하단까지 이르고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20)의 전면에 있어서는 강긴체부가 장골능(腸骨稜)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퇴(大腿)의 서경부(鼠徑部 : 다리와 몸통의 경계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를 향해 X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강긴체부는 팬츠(20)의 전면에 있어서 장골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부분 a22와 연결되고, 그 연결 위치에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이어져 배꼽에 대응되는 위치보다 다소 상방의 위치에서 합류한 부분(도 3에서 부호 a28로 나타낸 부분)과 그 부분 a28의 합류위치에서 다시 분기되어 서경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향해 이어지는 부분(도 3에서 부호 a29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자(大轉子 : 대퇴골의 위쪽 바깥부분)에 대응되는 위치 주변에서 대퇴(大腿)의 전측을 향해 이어진 부분(즉, 부분 a24)이 대퇴의 전측까지 돌아가 그 서경부(鼠徑部)를 따라 치골결합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이르고 있다. 또한, 부분 a2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大腿)의 전면에서 대퇴 상부를 덮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팬츠(20)에서는 강긴체부가 골반(骨盤)을 둘러싸고 그 골반 전방에서 교차한 다음에 대퇴 상부로 이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긴체부(中緊締部)의 배치>
중긴체부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20)의 전면에 있어서 허리부(21)의 상단에서 역삼각 형상으로 넓어진 부분(도 3에서 부호 b21로 나타낸 부분)과 골반(骨盤) 전방에서 교차하여 대퇴 상부로 이어지는 강긴체부(구체적으로는 부분 a24, a28, a29)로 포위된 부분(도 3에서 부호 b22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긴체부는 대전자(大轉子)에 대응되는 위치보다도 하방의 위치에서 팬츠(20)의 전면으로 돌아가 대퇴 내측으로 향해 이어지는 부분(도 3 및 도 5에서 부호 b23으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부분 b2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퇴 전면에 있어서 대퇴 하부를 덮고 있다.
또한, 중긴체부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20)의 후면에 있어서 대퇴(大腿)의 후측에서 강긴체부(구체적으로는 부분 a25, a26, a27)로 포위되어 대략 삼각형상으로 넓어진 대퇴의 후측 상부를 덮는 부분(도 4에서 부호 b25로 나타낸 부분)과 허리부(21)의 상단에서 요선관절(腰仙關節)에 대응되는 위치 주변까지 역삼각 형상으로 넓어진 부분(도 4에서 부호 b26으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약긴체부(弱緊締部)의 배치>
약긴체부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20)의 후면에 있어서 대둔근(大臀筋)의 근복(筋腹)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부분(도 4 및 도 5에서 부호 c21로 나타낸 부분)과 팬츠(20)의 측면에 있어서 강긴체부의 부분 a25와 중긴체부의 부분 b23으로 포위된 대퇴(大腿)의 측면 하부를 덮는 부분(도 4 및 도 5에서 부호 c22로 나타낸 부분)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의류가 부여하는 긴체력(緊締力)과 근육(筋肉)과의 관계에 대해서)
컨디셔닝 웨어는 인체에 착용 되었을 때 그 인체의 근육에 긴체력을 부여하여 그 근육을 서포트한다. 이 컨디셔닝 웨어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되는 근육은 주로 골격근(骨格筋)이다. 골격근은 인체의 지주가 되는 골격에 부착되어 인간이 운동할 때 골격을 직접적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골격간의 관절의 움직임을 실현하고 있다. 그리고 골격근의 양단부에 위치하면서 뼈에 부착되어 있는 부위가 그 골격근의 기시부(起始部) 및 정지부(停止部)이다. 여기서 기시부(起始部)라는 것은 골격근의 양단부 중에서 인체의 중심에 좀더 가까운 쪽의 단부(端部)이고, 정지부(停止部)라는 것은 인체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쪽의 단부(端部)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관절이 움직일 때 그 관절을 구성하는 뼈(좀더 자세히 말하면 관절을 구성하는 한 쌍의 뼈 중에서 한쪽의 뼈)의 움직임의 지점이 되는 쪽의 단부가 기시부(起始部)이고, 그 뼈가 움직이기 위해 움직여지는 쪽의 단부가 정지부(停止部)이다. 또한, 일부 골격근(骨格筋)(예를 들어 후술의 대퇴직근[大腿直筋])에 대해서는 골격근의 양단부 중에서 골반(骨盤)에 더욱더 가까운 쪽의 단부(端部)가 기시부(起始部)이고, 골반에서 좀 더 먼 쪽의 단부(端部)가 정지부(停止部)이다.
상기 골격근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그 골격근의 움직임에는 단축성근수축(短縮性筋收縮)(콘센트릭 수축), 등척성근수축(等尺性筋收縮)(아이소메트릭 수축) 및 신장성근수축(伸長性筋收縮)(엑센트릭 수축)의 3가지 양식이 있다. 콘센트릭 수축은 골격근의 기시부로부터 정지부까지의 길이가 줄어들고 그 골격근이 부착되어 있는 뼈들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는 근수축(筋收縮)이다. 아이소메트릭 수축은 골격근의 기시부로부터 정지부까지의 길이의 변화가 없고 그 골격근이 부착되어 있는 뼈들의 거리도 변하지 않고 그 골격근이 일정한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수축하는 근수축(筋收縮)이다. 엑센트릭 수축은 골격근의 기시부와 정지부의 길이가 신장하여 그 골격근이 부착되어 있는 뼈들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근육이 신장(늘어남)하면서 수축하는 근수축(筋收縮)이다.
그런데 골격근(骨格筋)이 큰 부하를 받은 상태로 상기의 움직임(근수축[筋收縮])을 계속 한다면 그 골격근은 경화되어(유연성을 잃어) 근력도 저하되게 된다. 특히 엑센트릭 수축에 있어서는 골격근의 근섬유(筋纖維)의 액틴 및 미오신의 교차결합의 수가 줄어든 상태로 근력을 만들기 때문에 그 근섬유에 큰 부하(스트레스)를 쉽게 받게 된다. 그 결과 엑센트릭 수축을 반복한 골격근은 쉽게 피로해지고, 골격근의 유연성도 쉽게 저하된다. 골격근의 유연성의 저하가 진행되면 착용자의 운동능력의 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골격근의 유연성이 저하된 상태로 스포츠 등의 운동을 하게 되면, 소위 스포츠 장애를 쉽게 일으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골격근의 유연성이 저하된 상태에서의 운동은 근섬유를 덮는 근막(筋膜)의 염증이나 근육 단절 등 골격근 자체의 손상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골격근의 유연성의 저하로 인해 그 골격근의 힘줄에 가해지는 견인력(牽引力)(골격근을 그 골격근이 부착되어 있는 뼈에서 떼어 놓으려는 힘)이 강해지게 되는 결과, 건염(腱炎)이나 박리골절(剝離骨折)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또한, 골격근의 유연성이 저하된 상태에서의 운동은 그 골격근이 부착되어 있는 뼈로 구성된 관절에 있는 뼈의 위치가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기 쉬워져 그 결과 관절내에서의 압박마찰 등에 의한 관절연골의 손상이나 관절포염(關節包炎)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골격근의 움직임의 특성에 근거하여 그 골격근의 피로의 경감이나 스포츠 장애의 예방을 목적으로 컨디셔닝 웨어를 착용하게 된다. 한편에서는 컨디셔닝 웨어의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로 운동을 하면 그 컨디셔닝 웨어의 긴체력(緊締力)으로 인해 서포트를 받는 근육은 그 긴체력을 받으면서도 상기 착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운동에 적합하도록 신축할 수도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컨디셔닝 웨어는 관절을 확실하게 고정하는(관절의 어떤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등의 목적을 위해 골격근 전역에 강한 긴체력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골격근의 팽창이나 신축이 과도하게 제한을 받아 상기 골격근이 원래의 근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골격근의 신축이 지나치게 제한을 받게 되는 결과, 팔이나 다리의 가동범위가 좁아지고 착용자가 움직일 때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었다.
한편, 골격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을 약하게 해버리면 그 골격근의 기시부(起始部) 및 기시부가 부착된 관절을 고정시키기가 어려워져 쉽게 흔들리게 된다. 그리고 착용자가 운동하는 동안 기시부가 흔들리면 그 근육은 그 신장방향으로 신장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그 근육의 움직임의 지점이 정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운동 중인 착용자의 몸의 자세(폼)가 쉽게 흐트러지게 되고, 흐트러진 몸의 자세 그대로 운동을 계속하면 근육의 유연성이 상실되어(근육이 굳어짐) 근육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된다. 또한 이런 경우 상술한 스포츠 장애를 유발할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컨디셔닝 웨어(즉, 탑스(10) 및 팬츠(20))는 서로 다른 강도의 긴체력을 골격근에 부여하는 3종류의 부분을 구비하여 각 부분의 배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컨디셔닝 웨어가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그 인체의 골격근에 부여될 긴체력은 그 골격근의 부위에 맞게 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컨디셔닝 웨어가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제1부분이 그 인체의 골격근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긴체력을 그 기시부에 부여하고, 제2부분이 상기 제1부분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되는 상기 골격근의 기시부와 그 골격근의 정지부 사이에 있는 근육부분(소위, 근복[筋腹])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분이 상기 기시부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 작은 긴체력을 상기 근육부분에 부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골격근의 기시부는 제1부분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그 기시부는 좀더 강한 긴체력으로 제동된다(즉, 고정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골격근의 움직임의 지점이 정해지고, 그 결과 상기 골격근이 정상적인 가동범위내에서 움직이게(근수축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골격근의 움직임의 지점이 된 그 골격근의 기시부가 부착되어 있는 관절의 위치가 정해짐으로써 그 관절을 구성하는 뼈에 부착된 상기 골격근의 정지부가 적절하게 움직이게 되고, 그 정지부가 부착된 상기 뼈도 정상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근육은 그 근육의 기시부가 고정되면 그 근육의 신장방향으로 쉽게 신장하게 된다는 생리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효과로 인해 제1부분에 있어서 기시부에 긴체력이 부여된 골격근은 그 골격근의 본래의 신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골격근은 본래의 신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면 효율적으로 근수축(筋收縮)하기 때문에 그 골격근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한편, 골격근의 근복(筋腹)은 제2부분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그 근복을 긴체(緊締)하는 힘이 약해지고, 그 근복이 긴체력에 반하여 쉽게 팽창하게 된다. 그 결과, 근복은 효율적으로 근력을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결과로 골격근은 유연하게 신축하여 본래 가지고 있는 근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데, 특히 골격근이 다치기 쉬운 엑센트릭 수축에서는 그 골격근으로의 데미지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골격근이 정상적인 가동범위내에서 유연하게 신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그 골격의 움직임이 착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운동에 적합하게 되고 더불어 골격근의 피로의 경감이나 스포츠 장애의 예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상기의 내용에 대하여 탑스(10)와 팬츠(20)로 나누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탑스(10)가 서포트하는 골격근과 그 골격근에 부여되는 긴체력과의 관계>>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탑스(10)가 서포트하는 골격근과 그 골격근에 부여되는 긴체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탑스(10)는, 인체(구체적으로는 인체의 상반신)에 착용되었을 때에 그 인체의 골격근에 긴체력을 부여한다. 그리고 상반신의 골격근 중에서 대흉근(大胸筋), 광배근(廣背筋) 및 극하근(棘下筋)에 있어서는 그 기시부(起始部)가 탑스(10)의 제1부분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되며, 그 근복(筋腹)이 탑스(10)의 제2부분으로 인해 제1부분이 기시부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 약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이 결과, 탑스(10)를 착용함으로써 대흉근, 광배근 및 극하근의 각각이 적절하게 신축하여 몸통이나 상지대(上肢帶, shoulder girdle)의 움직임이 착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운동과 적합하게 된다. 이하, 대흉근, 광배근 및 극하근의 각 골격근에 있어서 그 역할과 그 골격근의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즉,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그 긴체력이 상기 골격근에 미치는 작용을 설명한다.
<대흉근(大胸筋)의 경우>
우선, 대흉근의 경우에 대하여 도 6의 (a) 및 도 6의 (b)와 도 7의 (a) 및 도 7의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의 (a)는 대흉근을 표시하는 골격근 도면이다. 도 6의 (b)는 탑스(10) 중에서 대흉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대흉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대흉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대흉근(大胸筋)은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의 복측(腹側)에 위치하며 그 기시부가 흉골, 제2~제6늑연골(肋軟骨) 및 쇄골(鎖骨)에 있고, 그 정지부가 상완골(上腕骨)의 대결절능(大結節稜)에 있는 근육이다. 이 대흉근은 어깨 전방을 보호하면서 팔을 앞쪽으로 흔드는 동작(예를 들어 투구동작, 이하 스윙 동작이라 함)에 있어 힘을 발휘한다. 또한, 대흉근은 스윙 동작의 준비 동작으로 하게 되는 테이크백 동작(팔을 후방으로 당기는 동작)에 있어서 상완골을 사이에 두고 팔을 떠받친다. 이때 팔의 무게로 인한 부하를 받으면서 엑센트릭 수축을 한다(신장한다). 또한, 대흉근은 테이크백 동작으로부터 스윙 동작(구체적으로는 후방으로 당긴 팔을 전방으로 힘을 더하면서 내는 액셀레이션 동작)에 걸쳐서 콘센트릭 수축을 한다. 그리고 대흉근은 스윙 동작으로부터 팔로우 동작(예를 들어 투구 동작에 있어서 공을 던진 위치에서 한층 더 하측에 팔을 내려치는 동작)에 걸쳐서 콘센트릭 수축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대흉근(大胸筋)은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스(10)를 착용했을 때 그 탑스(10)의 전면에서 대흉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인해 서포트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흉근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위치(더 구체적으로는 대흉근의 기시부 면적의 절반 이상에 걸친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강긴체부(强緊締部)인 부분 a11가 위치하고 있어, 대흉근의 기시부에는 그 부분 a11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한편, 대흉근의 근복에 대응되는 위치(더 구체적으로는, 대흉근의 근복 면적의 절반 이상에 걸친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약긴체부(弱緊締部)인 부분 c11 및 c13 이 위치하고 있어, 대흉근의 근복에는 그 부분 c11 및 c13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대흉근의 경우에 있어서는 강긴체부인 부분 a11이 제1부분에 상당하고, 약긴체부인 부분 c11 및 c13 이 제2부분에 상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탑스(10)에서는 대흉근(大胸筋)의 정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중긴체부인 부분 b11이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2부분 보다 신축도가 작고 컨디셔닝 웨어가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골격근의 정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제2부분이 근복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도 큰 긴체력을 상기 정지부에 부여하는 부분을 제3부분으로 한다. 대흉근의 경우에는 대흉근의 정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약긴체부인 부분의 c11 및 c13 보다도 더 강한 긴체력을 그 정지부에 부여하는 중긴체부인 부분 b11이 제3부분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대흉근(大胸筋)의 경우에는 그 근복에 가장 약한 긴체력이 부여되는 한편, 그 기시부에서는 가장 강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이로 인해 대흉근은 정상적인 가동범위에 있어서 유연하게 신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흉근의 정지부에서는 근복에 부여된 긴체력보다도 강한 긴체력이 부여되는 결과, 그 정지부도 제동되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대흉근은 팔을 후방으로 당기는 동작에 있어서 그 신장방향으로 더욱 쉽게 늘어나게 된다. 이상의 결과 탑스(10)의 착용자가 스윙 동작에 있어서의 일련의 동작(즉 테이크백 동작, 액셀레이션 동작 및 팔로우 동작)을 할 경우 대흉근은 이러한 동작에 적합하도록 신축하게 된다. 특히 스윙 동작에 있어서 대흉근은 콘센트릭 수축을 쉽게 하게 되기 때문에 스윙 동작에 필요한 근력을 효율적으로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윙 동작 전의 테이크백 동작에 있어서는 대흉근(大胸筋)은 도 7의 (a)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엑센트릭 수축을 하는(신장하는) 한편, 대흉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신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도 7의 (a)에서 실선 화살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대흉근(大胸筋)이 엑센트릭 수축을 할 때 과도하게 신장하는 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흉근은 스윙 동작에 있어서 콘센트릭 수축의 방향(도 7의 (b)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대흉근이 엑센트릭 수축을 한 상태에서 콘센트릭 수축을 하기 쉬워져 테이크백 동작으로부터 스윙 동작으로의 변환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즉, 후방으로 당긴 팔을 신속하게 전방으로 내려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흉근(大胸筋)이 그 대흉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도 8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져 탑스(10)의 착용자의 원배자세(円背姿勢 : 어깨와 척추가 구부정하게 구부러진 자세)를 교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원배자세에서는 견갑골(肩胛骨)이 정상적인 위치보다도 인체의 중심(즉, 등뼈)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고(즉, 견갑골이 바깥으로 돌아간 상태로 있고), 대흉근이 수축한 상태가 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탑스(10)를 착용하면 대흉근이 도 8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그 대흉근의 신장력이 자극을 받는다. 그 결과 대흉근이 그 신장방향(도 8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늘어나 견갑골이 인체의 중심으로 향해 정상적인 위치로 돌아가고(즉, 안으로 돌아가고) 원배자세가 개선되게 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탑스(10)로 인한 원배자세의 교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광배근(廣背筋)의 경우>>
다음으로 광배근(廣背筋)의 경우에 대하여 도 9의 (a) 및 (b),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의 (a)는 광배근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다. 도 9의 (b)는 탑스(10)에서 광배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 및 (b)는 광배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광배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광배근(廣背筋)은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의 배측에 위치하며, 그 기시부가 제6흉추 이하의 추골(椎骨)의 극돌기(棘突起), 장골능(腸骨稜) 및 선골(仙骨)에 있고 그 정지부가 상완골(上腕骨)의 소결절능(小結節稜)에 있는 근육이다. 광배근은 스윙 동작에 있어서, 대흉근의 길항근(拮抗筋)(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동시에 하는 한쌍의 근육)이 된다(즉, 대흉근과는 서로 상반되는 근수축을 함으로써 스윙 동작을 실현한다). 따라서 광배근은 스윙 동작(액셀레이션 동작으로부터 팔로우 동작)에 있어서 엑센트릭 수축을 한다. 한편, 광배근은 테이크백 동작에 있어서 콘센트릭 수축을 한다.
그리고 광배근(廣背筋)은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스(10)를 착용했을 때, 그 탑스(10)의 배면에 있어서 광배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해서 서포트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배근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위치(좀 더 구체적으로는, 광배근의 기시부 면적의 절반 이상에 걸친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강긴체부인 부분 a18 및 a19가 위치하고 있고, 광배근의 기시부는 부분 a18 및 a19 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 된다. 한편, 광배근의 근복에 대응되는 위치(좀더 구체적으로는, 광배근의 기시부 면적의 절반 이상에 걸친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약긴체부인 부분 c14 및 c15가 위치하고 있고, 광배근의 근복은 부분 c14 및 c15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또한, 광배근의 정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중긴체부인 부분 b11이 위치하고 있고, 광배근의 정지부는 부분 b11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광배근에 있어서는 강긴체부인 부분 a18 및 a19가 제1부분에 상당하고, 약긴체부인 부분 c12 및 c15가 제2부분에 상당하며, 중긴체부인 부분 b11이 제3부분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광배근(廣背筋)의 경우에서는 그 근복에 가장 약한 긴체력이 부여되는 한편, 그 기시부에는 가장 강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또한 광배근의 정지부에는 그 광배근의 근복에 부여된 긴체력보다 강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이로 인해 광배근은 정상적인 가동범위에 있어서 유연하게 신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액셀레이션 동작으로부터 팔로우 동작에 걸쳐서 그 신장방향(도 10의 (b)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신장하기 쉬워진다(즉, 엑센트릭 수축하기가 쉬워진다). 이 결과 탑스(10)의 착용자는 부드럽게 스윙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테이크백 동작에 있어서 광배근은 도 10의 (a)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수축(콘센트릭 수축)하는 한편, 광배근의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수축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10의 (a)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광배근은 콘센트릭 수축 하기가 쉬워진다.
<극하근(棘下筋)의 경우>
다음으로 극하근(棘下筋)의 경우에 대하여 도 11의 (a) 및 (b), 도 12의 (a) 및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의 (a)는 극하근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다. 도 11의 (b)는 탑스(10) 중에서 극하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 11의 (a) 및 (b)에서는 극하근 및 그 기시부, 정지부를 한측만 도시하기로 했다. 도 12의 (a) 및 (b)는 극하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극하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극하근(棘下筋)은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의 배측에 위치하여 그 기시부가 견갑골(肩胛骨)의 극하와(棘下窩)에 있고, 그 정지부가 상완골의 대결절에 있는 근육이다. 이 극하근은 견관절(肩關節)의 외선동작(外旋動作)(도 12의 (a)에서 이중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상완골이 움직이는 동작) 및 내선동작(內旋動作)(외선동작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상완골이 움직이는 동작)을 실현하는 근육이다. 극하근은 테이크백 동작시에 있어서 견관절이 외선동작을 할 때 콘센트릭 수축을 하고, 액셀레이션 동작으로부터 팔로우 동작에 걸쳐서 견관절이 내선동작을 할 때 엑센트릭 수축을 한다.
그리고 극하근(棘下筋)은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스(10)를 착용했을 때, 그 탑스(10)의 배면에 있어서 극하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해서 서포트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극하근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위치(좀 더 구체적으로는, 극하근의 기시부 전체에 걸친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강긴체부인 부분 a17이 위치하고 있다. 즉, 극하근의 기시부는 그 부분 a17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한편, 극하근의 근복(筋腹)에 대응되는 위치에 약긴체부인 c15가 위치하고 있다. 즉, 극하근의 근복은 그 부분 c15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또한 극하근의 정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는 중긴체부인 부분 b11이 위치하고 있다. 즉, 극하근의 정지부는 부분 b11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극하근의 경우에 있어서는 강긴체부인 부분 a17이 제1부분에 상당하고, 약긴체부인 부분 c15가 제2부분에 상당하며, 중긴체부인 부분b11이 제3부분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극하근(棘下筋)의 경우에는 그 근복에 가장 약한 긴체력이 부여 되며, 그 기시부에는 가장 강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또한 극하근의 정지부에는 그 극하근의 근복에 부여되는 긴체력보다 강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이로 인해 극하근은 정상적인 가동범위에 있어서 유연하게 신축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 결과 극하근의 움직임은 어깨의 외선동작 및 내선동작에 적합하게 된다.
특히 액셀레이션 동작으로부터 팔로우 동작에 걸쳐서 견관절(肩關節)이 내선동작을 할 때, 극하근은 상완골이 견갑골의 극하와(棘下窩)에서 떨어지지 않게 그 상완골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엑센트릭 수축(신장)하지만 신장방향(도 12의 (b)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신장하기 쉬워졌기 때문에 상완골에 대한 감속 효과를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 극하근은 그 극하근에 부여 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신장방향과는 반대 방향(도 12의 (b)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극하근의 과도한 신장을 억제하여, 그로 인해 극하근의 피로를 경감할 뿐 아니라 그 극하근에 발생하는 장애(예를 들어 건판염[腱板炎])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테이크백 동작에 있어서 견관절(肩關節)이 외선동작을 할 때, 극하근은 그 극하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콘센트릭 수축의 방향(도 12의 (a)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12의 (a)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로 인해 극하근은 콘센트릭 수축을 쉽게 하게 되고, 테이크백 동작에 필요한 근력을 효율 좋게 생기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팬츠(20)가 서포트하는 골격근과 그 골격근에 부여되는 긴체력과의 관계>>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팬츠(20)가 서포트하는 골격근과 그 골격근에 부여되는 긴체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인 팬츠(20)는 인체(주로 인체의 하반신)에 착용되었을 때, 그 인체의 골격근에 긴체력을 부여한다. 그리고 골격근 중 대둔근(大臀筋), 햄스트링근, 대퇴직근(大腿直筋), 봉공근(縫工筋), 복직근(腹直筋) 및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에 대해서는 그 기시부가 팬츠(20)의 제1부분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되고, 그 근복이 팬츠(20)의 제2부분으로 인해 제1부분이 기시부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 약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이 결과 팬츠(20)을 착용함으로써 대전근, 햄스트링근, 대퇴직근, 봉공근, 복직근 및 척추기립근 등 각각 힘줄이 적절하게 신축하게 되어, 하지(하체)가 착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운동에 적합하게 움직여지게 된다.
이하 대둔근, 햄스트링근, 대퇴직근, 봉공근, 복직근 및 척추기립근 등의 각 골격근에 대하여 그 역할과 그 골격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즉,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그 긴체력이 상기 골격근에 미치는 작용을 설명한다.
<대둔근(大臀筋)의 경우>
우선, 대둔근(大臀筋)의 경우에 대하여 도 13의 (a) 및 (b),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 (a)는 대둔근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다. 도 13 (b)는 팬츠(20)에 있어서 대둔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 13의 (a) 및 (b)에서는 대둔근 및 그 기시부, 정지부를 한측만 도시하기로 했다. 도 14는 대둔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대둔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대둔근(大臀筋)은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의 배측에 위치하며, 기시부가 장골외순(腸骨外脣), 선골(仙骨) 및 미골(尾骨)에 있고 정지부가 대퇴골의 둔근조면(臀筋粗面)에 있는 근육이다. 이 대둔근은 고관절(股關節)의 신장동작(후방으로 다리를 올리는 동작)에 있어서 콘센트릭 수축을 하여 힘을 발휘하는 근육이다. 또한 고관절(股關節)의 굴곡동작(전방으로 다리를 올리는 동작)에 있어서 다리가 착지할 때 착지하는 다리 쪽의 대둔근은 엑센트릭 수축을 한다.
그리고 대둔근(大臀筋)은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20)를 착용했을 때, 그 팬츠(20)의 후면에 있어서 대둔근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해서 서포트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둔근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위치(좀 더 구체적으로는, 대둔근의 기시부의 전체에 걸치는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강긴체부인 부분 a21이 위치하고 있고, 대둔근의 기시부는 그 부분 a21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한편, 대둔근의 근복에 대응되는 위치(좀 더 구체적으로는, 대둔근의 근복 면적의 절반 이상에 걸치는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약긴체부인 부분 c21이 위치하고 있고, 대둔근의 근복은 그 부분 c21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또한 대둔근의 정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강긴체부인 부분 a26이 위치하고 있고, 대둔근의 정지부는 그 부분 a26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대둔근에 있어서는 강긴체부인 부분 a21이 제1부분에 상당하고, 약긴체부인 부분 c21이 제2부분에 상당하며, 강긴체부인 부분 a26이 제3부분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대둔근(大臀筋)의 경우에는 그 기시부 및 정지부에 가장 강한 긴체력이 부여되는 한편, 그 근복에는 기시부 및 정지부에 부여되는 긴체력보다 약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이로 인해 대둔근은 정상적인 가동범위에 있어서 유연하게 신축하게 되는 결과, 고관절(股關節)의 신장동작 및 굴곡동작에 적합하도록 신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둔근(大臀筋)의 근복(筋腹)에 대해서는 근육량이 많고 팽창했을 때의 팽창량도 커지는 것을 고려하여, 도 13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둔근의 근복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주로 약긴체부인 부분 c21이 위치하고 있다. 즉, 대둔근의 근복의 광범위에는 신축도가 가장 높은(즉, 가장 늘어나기 쉬운) 약긴체부의 긴체력이 부여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대둔근의 근복이 신축하기 쉬워지고, 고관절이 신장동작 및 굴곡동작을 하기 쉬워진다. 특히 다리를 후방으로 치켜 올릴 때(즉, 고관절이 신축동작을 할 때) 대둔근은 콘센트릭 수축하기 쉬워지고, 다리를 후방으로 치켜 올리기 위해 근력을 효율 좋게 생기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효과로 인해 내디딜 때의 폭(즉, 보폭)을 넓히고 보행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부분인 약긴체부의 부분 c21이 대둔근의 기시부로부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도 13의 (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있어서 근복의 일단에서 타단(대둔근의 근복의 일단 및 타단에 대해서는 도 13의 (b)를 참조)에 미치는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교차방향이라는 것은, 근복의 근섬유(筋纖維) 방향과도 교차하는 방향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팬츠(20)에서는 대둔근의 근섬유와 교차하는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걸쳐있고, 대둔근의 기시부 및 정지부에 부여되는 긴체력보다 약한 긴체력을 그 대둔근의 근복에 부여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근육은 팽창할 때 그 근육의 근섬유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퍼지기 때문에 근섬유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근복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그 근복에 부여되는 긴체력이 약해질수록 그 근복은 팽창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2부분인 부분 c21이 대둔근의 기시부로부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와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있어서 근복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에 걸쳐 있는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대둔근의 근복은 좀 더 팽창하기 쉬워진다. 이로 인해 대둔근은 콘센트릭 수축하기가 쉽고, 근력을 좀 더 효율 좋게 생길 수 있게 한다.
또한, 기시부로부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이라는 것은 그 기시부로부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뿐만이 아니라, 그 기시부로부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과 직각 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도 포함된다.
또한, 고관절(股關節)의 굴곡동작에 있어서 대둔근은 그 대둔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엑센트릭 수축의 방향(즉, 신장방향이고 도 14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는 반대방향(도 14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로 인해 대둔근은 엑센트릭 수축을 한 상태에서 콘센트릭 수축하기가 쉬워진다. 이 결과 굴곡한 고관절은 다음의 동작 즉, 신장동작을 신속히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둔근이 신장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그 대둔근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햄스트링(hamstring)근의 경우>
다음으로 햄스트링(hamstring)근의 경우에 대하여 도 15의 (a) 및 (b), 도 16의 (a) 및 (b), 도 17의 (a) 및 (b), 도 18의 (a)부터 (c)까지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의 (a)는 대퇴이두근장두(大腿二頭筋長頭)를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다. 도 15의 (b)는 팬츠(20)에서 대퇴이두근장두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a)는 반막양근(半膜樣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다. 도 16의 (b)는 팬츠(20)에서 반막양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a)는 반건양근(半腱樣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다. 도 17의 (b)는 팬츠(20)에서 반건양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상기의 각 도면에서는 햄스트링근 및 그 기시부, 정지부를 한측만 나타내었다. 도 18의 (a)부터 (c)는 햄스트링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햄스트링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햄스트링(hamstring)근은 인체의 배측에 위치하며, 도 15의 (a)에 나타낸 대퇴이두근장두와, 도 16의 (a)에 나타낸 반막양근(半膜樣筋)과, 도 17의 (a)에 나타낸 반건양근(半腱樣筋)을 가지고 있다. 이 햄스트링근은 고관절(股關節)의 신장동작이나 슬관절(膝關節)의 굴곡동작에 있어서 콘센트릭 수축을 하여 힘을 발휘한다. 또한 다리를 전방으로 내밀어 그 다리가 착지할 때, 착지하는 다리 쪽의 햄스트링근은 엑센트릭 수축을 한다.
대퇴이두근장두(大腿二頭筋長頭)는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시부를 좌골결절(坐骨結節)에, 정지부를 비골두(骨頭)에 각각 가지고 있다. 대퇴이두근단두(大腿二頭筋短頭)는 기시부를 대퇴골조선(大腿骨粗線)에, 정지부를 비골두(骨頭)에 각각 가지며 대퇴이두근장두와 합류하고 있다. 반막양근(半膜樣筋)은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시부를 좌골결절(坐骨結節)에, 정지부를 경골내측과(脛骨內側顆)에 가지고 있다. 반건양근(半腱樣筋)은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시부를 좌골결절에, 정지부를 경골내측의 아족(足 : 무릎 내측)에 각각 가지고 있다.
그리고 햄스트링(hamstring)근은 도 15의 (b), 도 16의 (b) 및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20)가 착용되었을 때, 그 팬츠(20)의 배면에 있어서 햄스트링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해서 서포트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퇴이두근장두, 반막양근 및 반건양근 등 각각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위치(좀 더 구체적으로는 대퇴이두근장두, 반막양근 및 반건양근 등 각각의 기시부의 전체에 걸치는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강긴체부인 부분 a26이 위치하고 있다. 즉 햄스트링근의 기시부는 부분 a26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한편 햄스트링근의 근복(筋腹)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중긴체부인 부분 b25가 위치하고 있다. 즉, 햄스트링근의 근복은 그 부분 b25에 의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햄스트링근에 있어서는 강긴체부인 부분 a26이 제1부분에 상당하고, 중긴체부인 부분 b25가 제2부분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햄스트링(hamstring)근의 경우에는 기시부에 부여되는 긴체력이 가장 강하고, 근복에 부여되는 긴체력이 상기 기시부에 부여되는 긴체력보다 약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햄스트링근은 정상적인 가동범위에 있어서 유연하게 신축하게 되어서 고관절(股關節)의 신장동작 및 굴곡동작, 슬관절(膝關節)의 신장동작 및 굴곡동작에 각각 적합하도록 신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햄스트링(hamstring)근의 유연성이 향상되는 결과로 그 햄스트링근은 도 18의 (a)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엑센트릭 수축(신장)하기가 쉬워진다. 그 결과 햄스트링근의 엑센트릭 수축으로 인해 실현되는 고관절의 굴곡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관절의 굴곡동작에 있어서 햄스트링근은 그 햄스트링근의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신장방향과는 반대의 방향(도 18의 (a)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로 인해 엑센트릭 수축을 한 상태의 햄스트링근은 신속하게 콘센트릭 수축을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 결과에 따라 굴곡한 고관절이 신속하게 신장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효과로 인해 다리를 내딛는 폭을 넓히고 보행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햄스트링근(hamstring)의 이 신장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당겨지게 됨으로 인해, 예를 들어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를 크게 전방으로 내디뎠을 때 그 다리 쪽의 햄스트링근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햄스트링근에 발생하는 장애(예를 들어, 햄스트링근의 기시부가 부착되어 있는 좌골결절에 있어서의 힘줄의 염증이나 박리골절)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고관절(股關節)의 신장동작에 있어서 햄스트링(hamstring)근은 그 햄스트링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콘센트릭 수축의 방향(도 18의 (c)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의 동일한 방향(도 18의 (c)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로 인해 햄스트링근은 콘센트릭 수축하기가 쉬워지고 근력을 더 효율 좋게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5의 (b), 도 16의 (b), 도 17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부분인 중긴체부의 부분 b25가 대퇴이두근장두, 반막양근 및 반건양근 등 각각의 기시부로부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도 15의 (b), 도 16의 (b), 도 17의 (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있어서 그 각각의 근복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걸쳐 있는 범위(각각의 근복의 일단 및 타단에 대해서는 도 15의 (b), 도16의 (b), 도 17의 (b)를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햄스트링근은 더욱 팽창하기 쉬워지고 고관절의 신장동작에 필요한 근력을 더욱 효율 좋게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퇴직근(大腿直筋) 및 봉공근(縫工筋)의 경우>
다음으로 대퇴직근(大腿直筋) 및 봉공근(縫工筋)의 경우에 대하여 도 19의 (a) 및 (b), 도 20의 (a) 및 (b), 도 21의 (a) 및 도(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의 (a)는 대퇴직근(大腿直筋)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다. 도 19의 (b)는 팬츠(20)에서 대퇴직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의 (a)는 봉공근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다. 도 20의 (b)는 팬츠(20)에서 봉공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상기의 각 도면에서는 대퇴직근, 봉공근 및 이들의 기시부, 정지부를 한측만 나타내었다. 도 21의 (a)로부터 (c)까지는 대퇴직근 및 봉공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대퇴직근 및 봉공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대퇴직근(大腿直筋) 및 봉공근(縫工筋)은 모두 인체의 복측(腹側)에 위치하여 고관절의 신장동작 및 굴곡동작, 슬관절의 신장동작 및 굴곡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근육이다. 이 근육들은 고관절의 굴곡동작 및 슬관절의 신장동작에 있어서 콘센트릭 수축을 하고, 고관절의 신장동작 및 슬관절의 굴곡동작에 있어서 엑센트릭 수축을 한다. 대퇴직근은 도 1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시부를 관골(寬骨)의 하전장골극(下前腸骨棘)에, 정지부를 경골결절(脛骨結節)에 각각 가지고 있다. 봉공근은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시부를 관골의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에, 정지부를 경골내측(脛骨內側)의 아족(足)에 각각 가지고 있다.
그리고 대퇴직근(大腿直筋) 및 봉공근(縫工筋)의 각각은 도 19의 (b) 및 도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20)가 착용되었을 때, 그 팬츠(20)의 전면에 있어서 대퇴직근 및 봉공근의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해서 서포트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퇴직근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위치(좀 더 구체적으로는, 대퇴직근의 기시부 전체에 걸친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 및 봉공근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위치(좀 더 구체적으로는, 봉공근의 기시부 전체에 걸친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강긴체부인 부분 a24가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퇴직근 및 봉공근의 각각의 기시부는 상기 부분 a24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한편, 대퇴직근의 근복(筋腹)에 대응되는 위치 및 봉공근의 근복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중긴체부인 부분 b23이 위치하고 있고, 대퇴직근 및 봉공근의 각 근복은 그 부분 b23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대퇴직근 및 봉공근의 경우에는 강긴체부인 부분 a24가 제1부분에 상당하고, 중긴체부인 부분 b23이 제2부분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대퇴직근(大腿直筋) 및 봉공근(縫工筋)의 경우에는 기시부에 부여되는 긴체력이 가장 강하고, 근복에 부여되는 긴체력은 기시부에 부여되는 긴체력보다 약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대퇴직근 및 봉공근의 각각은 정상적인 가동범위에 있어서 유연하게 신축하게 되고, 그 결과 고관절의 신장동작 및 굴곡동작, 슬관절의 신장동작 및 굴곡동작에 각각 적합하도록 신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대퇴직근(大腿直筋) 및 봉공근(縫工筋)의 각각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대퇴직근 및 봉공근은 신장방향(도 21의 (a)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신장하기 쉬워진다(엑센트릭 수축하기가 쉬워진다). 따라서 대퇴직근 및 봉공근의 엑센트릭 수축으로 인해 실현되는 고관절의 신장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관절의 신장동작에 있어서 대퇴직근(大腿直筋) 및 봉공근(縫工筋)은 그 대퇴직근 및 봉공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신장방향과는 반대의 방향(도 21의 (a)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로 인해 대퇴직근 및 봉공근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것을 억제하여, 그 대퇴직근 및 봉공근에 발생하는 장애(즉, 대퇴직근 및 봉공근의 기시부가 부착되어 있는 전장골극(前腸骨棘)에 있어서의 박리골절 등)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효과는 도 2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를 전방으로 크게 내디뎌 무릎을 굴곡시키는 동작에 있어서 대퇴직근 및 봉공근이 엑센트릭 수축을 할 경우에 특히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1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를 들어 올리고 무릎을 굴곡시키는 동작에 있어서 대퇴직근(大腿直筋) 및 봉공근(縫工筋)은 콘센트릭 수축을 한다. 이때 대퇴직근 및 봉공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그 대퇴직근 및 봉공근은 수축방향(도 21의 (b)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21의 (b)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로 인해 대퇴직근 및 봉공근은 콘센트릭 수축하기 쉬워지며, 다리의 무게를 떠받치기에 충분한 근력을 효율 좋게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19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부분인 중긴체부의 부분 b23이 대퇴직근(大腿直筋)의 기시부로부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도 19의 (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있어서, 그 대퇴직근의 근복의 일단에서 타단(그 근복의 일단 및 타단에 대해서는 도 19의 (b) 참조)까지 걸쳐 있는 범위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분 b2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공근(縫工筋)의 기시부로부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도 20의 (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있어서는, 그 봉공근의 근복의 일단에서 타단(그 근복의 일단 및 타단에 관해서는 도 20의 (b) 참조)까지 걸쳐 있는 범위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퇴직근 및 봉공근은 더욱 팽창하기 쉬워지며, 상기 근력을 더욱 효율 좋게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효과로 인해 다리를 들어 올리는 양 및 들어올리는 속도를 크게 하여 보행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복직근(腹直筋)의 경우>
다음으로 복직근(腹直筋)의 경우에 대해서 도 22의 (a) 및 (b), 도 23의 (a) 및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2의 (a)는 복직근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다. 도 22의 (b)는 팬츠(20)에서 복직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 22의 (a) 및 (b)에서는 복직근 및 그 복직근의 기시부, 정지부를 한측만 나타내었다. 도 23의 (a) 및 (b)는 복직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복직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복직근(腹直筋)은 인체의 복측(腹側)에 위치하며, 도 2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시부가 취골결합(恥骨結合)에, 정지부가 흉골(胸骨)의 검상돌기(劍狀突起) 및 제5~제7늑연골(肋軟骨)에 각각 있는 근육이다. 복직근은 스윙 동작 중의 팔로우 동작 등에 있어서 체간(體幹)이 굴곡할 때(앞으로 굽힐 때) 콘센트릭 수축을 한다. 또한 복직근은 체간이 신장할 때(뒤로 젖힐 때) 때 엑센트릭 수축을 한다.
그리고 복직근(腹直筋)은 도 2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20)가 착용되었을 때 그 팬츠(20)의 전면에 있어서 복직근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해서 서포트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직근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위치(좀 더 구체적으로는 복직근의 기시부 전체에 걸친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강긴체부인 부분 a24가 위치하고 있다. 즉, 복직근의 기시부는 그 부분 a24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한편, 복직근의 근복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중긴체부인 부분 b21 및 b22가 위치하고 있다. 즉, 복직근의 근복은 그 부분 b21 및 b22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복직근의 경우에서는 강긴체부인 부분 a24가 제1부분에 상당하고, 중긴체부인 부분 b21 및 b22가 제2부분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복직근(腹直筋)의 경우에서는 기시부에 가장 강한 긴체력이 부여되는 한편, 근복(筋腹)에 상기 기시부에 부여되는 긴체력보다 약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이로 인해 복직근은 정상적인 가동범위에 있어서 유연하게 신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직근의 기시부가 부착된 골반이 안정되어 체간이 골반을 지점으로 해서 적절하게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복직근(腹直筋)은 그 유연성이 향상된 것으로 인해 신장방향(도 23의 (a)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신장하기 쉬워진다(엑센트릭 수축이 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도 2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크백 동작에 있어서 체간이 신장하기가 쉬워진다. 여기서 스윙 동작 중 테이크백 동작에서 액셀레이션 동작 및 팔로우 동작에 걸쳐서 팔을 내려치는 것과 동시에 체간이 신장상태로부터 굴곡하고 더 나아가 선회한다(몸의 정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비틀듯이 돌게 된다). 따라서 스윙 동작의 속도는 가속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크백 동작에 있어서 체간이 신장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스윙 동작의 속도를 좀 더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테이크백 동작에 있어서 복직근(腹直筋)은 그 복직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신장방향과는 반대의 방향(도 23의 (a)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로 인해 복직근은 엑센트릭 수축을 한 상태로부터 신속하게 콘센트릭 수축하기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그 결과 스윙 동작 중, 테이크백 동작으로부터 액셀레이션 동작으로의 변환이 부드러워지게 된다.
한편, 스윙 동작중의 액셀레이션 동작 및 팔로우 동작에 있어서 복직근(腹直筋)은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복직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콘센트릭 수축의 방향(도 23의 (b)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23의 (b)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 결과 액셀레이션 동작 및 팔로우 동작에 있어서 복직근은 콘센트릭 수축하기가 쉽고, 액셀레이션 동작 및 팔로우 동작에 필요한 근력을 효율 좋게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2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부분인 중긴체부의 부분 b21이 복직근의 기시부로부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도 22의 (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있어서 그 복직근의 근복의 일단에서 타단(그 근복의 일단 및 타단에 대해서는 도 22의 (b) 참조)에 걸치는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결과 복직근은 더욱 팽창하기 쉬워지고 근력을 보다 효율 좋게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의 경우>
다음으로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의 경우에 대해서 도 24의 (a) 및 (b), 도 25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4의 (a)는 척추기립근을 나타낸 골격근 도면이다. 도 24의 (b)는 팬츠(20)에서 척추기립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 24의 (b)에서는 척추기립근 및 그 척추기립근의 기시부, 정지부를 한측만 나타내었다. 도 25의 (a) 내지 (c)는 척추기립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부분이 그 척추기립근에 미치는 작용에 대해서의 설명도이다.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은 인체의 배측에 있어 척추를 지지하여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근육이고, 도 2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시부를 선골(仙骨) 및 장골능(腸骨稜)에 정지부를 흉곽부(胸廓部)의 상위흉추(上位胸椎)에 각각 가지고 있다. 척추기립근은 체간이 굴곡할 때에는 엑센트릭 수축을 하고, 체간이 신장할 때에는 콘센트릭 수축을 한다.
그리고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은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20) 가 착용되었을 때에 그 팬츠(20)의 후면에 있어서 척추기립근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해서 서포트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척추기립근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위치(좀 더 구체적으로는, 척추기립근의 기시부 전체에 걸치는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강긴체부인 부분 a21 및 a22가 위치하고 있다. 즉, 척추기립근의 기시부는 그 부분 a21 및 a22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한편, 척추기립근의 근복(筋腹)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중긴체부의 부분 b26이 위치하고 있다. 즉, 척추기립근의 근복은 그 부분 b26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척추기립근에 있어서는 강긴체부인 부분 a21 및 a22가 제1부분에 상당하고, 중긴체부인 부분 b26이 제2부분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의 경우에는 기시부에 가장 강한 긴체력이 부여되고, 근복에 상기 기시부에 부여되는 긴체력보다 약한 긴체력이 부여된다. 이로 인해 척추기립근은 정상적인 가동범위에 있어서 유연하게 신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척추기립근의 기시부가 부착된 골반이 안정되어 체간이 골반을 지점으로 하여 적절하게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은 그 유연성이 향상된 것으로 인해 굴곡방향(도 25의 (a)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엑센트릭 수축하기가 쉬워진다. 이 결과 체간(體幹)도 굴곡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스윙 동작에 있어서 체간을 신속하게 굴곡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좀 더 빠른 스윙 동작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척추기립근이 수축하기가 쉬워짐으로써 도 2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이른바 입위체전굴동작[立位體前屈動作])에 있어서 전굴도(前屈度)를 크게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테이크백 동작에 있어서 체간(體幹)이 신장할 때는 척추기립근이 콘센트릭 수축하기가 쉬워져 있기 때문에 체간이 신장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이때 척추기립근은 그 척추기립근에 부여되는 긴체력으로 인해 콘센트릭 수축의 방향(도 25의 (b)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25의 (b)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로 인해 복직근(腹直筋)은 신속하게 콘센트릭 수축을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테이크백 동작에 있어서 체간이 더욱 신장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스윙 동작의 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강긴체부(强緊締部), 중긴체부(中緊締部) 및 약긴체부(弱緊締部)의 형성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탑스(10) 및 팬츠(20)의 각각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근육의 각 부위에 부여되는 긴체력을 대응 부위에 각각 다르게 부여하기 위해서 서로 신축도가 다른 3종류의 부분(즉 강긴체부, 중긴체부 및 약긴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탑스(10) 및 팬츠(20)의 각각의 원단의 편조직을 전환함으로서(즉, 구별하며 편직함으로써) 상기 탑스(10) 및 팬츠(20)의 각각에 상기 3종류의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원단의 편조직을 전환한다(구별하며 편직한다)는 것은 원단 내에 있어서의 그물코의 밀도(도목밀도[度目密度]), 원사나 삽입사의 종류 및 각 종류의 실의 존재비율을 바꾸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탑스(10) 및 팬츠(20)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3종류의 부분의 형성방법에 대해서 도 2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6의 (a)는 강긴체부의 편조직(編組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의 (b)는 중긴체부의 편조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의 (c)는 약긴체부의 편조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6의 (a) 내지 (c)는 각각 화살표로 각 편조직의 세로 방향(도면에서 course 방향) 및 가로 방향(도면에서 wale 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탑스(10) 및 팬츠(20)의 원단이 무봉제형횡편기(無縫製型橫編機)로 제조된다. 그리고 그 무봉제형횡편기로 인한 원단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3종류로 구별하며 편직해서 완성된 원단에 서로 신축도가 다른 3종류의 부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원단 내의 도목밀도(度目密度 : 그물코 밀도)를 3단계로 변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편조직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나일론계 섬유 및 폴리우레탄계 섬유(통칭, 스판텍스)의 각각의 존재 비율을 3단계로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원단 내의 도목밀도(度目密度)를 변화시킬 방법으로서 편조직(編組織)을 형성할 때에 그물코빼기(loop 빼기)를 전혀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편조직의 세로 방향의 각부(course)에 연속된 그물코(wale)가 이어진다. 한편 그물코빼기를 한 경우, 그 그물코빼기를 한 곳에는 그물코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대신 그물코의 줄이 불연속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course에 있어서 wale이 편성되지 않는 곳이 많은 부분일수록(즉, 각 course를 편성할 때 그물코빼기의 횟수가 많은 부분일수록) 원단의 신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26의 (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코스를 편성할 때 그물코빼기의 횟수를 탑스(10) 및 팬츠(20)의 원단에서 강긴체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편조직에서 가장 적게 하고, 중긴체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편조직에서 두 번째로 적게 하며, 약긴체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편조직에서 가장 많게 한다(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강긴체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편조직에 대해서는 그물코빼기를 하지 않는다).
또한, 나일론계 섬유 및 폴리우레탄계 섬유의 각각의 존재비율에 대해서는 고탄성 성질이 더 큰 폴리우레탄계 섬유의 존재비율이 높은 부분일수록 원단의 신장저항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우레탄계 섬유의 존재비율을 강긴체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편조직에 있어서 가장 높게 하고, 중긴체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편조직에 있어서 두 번째로 높게 하고, 약긴체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편조직에 있어서 가장 낮게 한다.
이상과 같은 구별화된 편직방법에 의해 탑스(10) 및 팬츠(20)의 각 원단에 서로 신축도가 다른 3종류의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이 결과 완성품인 탑스(10)나 팬츠(20)에는 강긴체부, 중긴체부 및 약긴체부를 갖출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탑스(10)나 팬츠(20)에 강긴체부, 중긴체부 및 약긴체부를 갖추는 방법으로서는 상기의 방법 외에, 예를 들어 동일한 편조직으로 이루어진 원단(이를테면 구별화 된 편직방법을 사용하지 않은 원단이며, 이하 ‘무변조 원단’이라 함)의 뒷면에 강긴체부, 중긴체부 및 약긴체부의 배치에 상응하여 다른 원단을 꿰매어 붙이는 방법(이른바 속을 대고 봉합하는 법)도 고려할 수 있다. 즉, 무변조 원단의 강긴체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뒷면에는 신축도가 비교적으로 작은 원단을 꿰매어 붙이고, 중긴체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뒷면에는 신축도가 비교적으로 큰 원단을 꿰매어 붙이는 방법도 좋을 것이다.
단, 무변조 원단에 다른 원단을 꿰매어 붙여서 제조된 탑스(10)나 팬츠(20)를 착용하면, 무변조 원단의 뒷면에 원단이 겹치게 된 만큼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착압이 강해지고 그 착용자가 압박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무변조 원단의 뒷면에 원단을 꿰매어 붙이게 된 것으로 인해 형성되는 봉합사의 솔기가 착용자의 피부를 눌러 그 피부에 상기 솔기의 흔적이 남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탑스(10)나 팬츠(20)에서는 강긴체부, 중긴체부, 약긴체부가 구별화된 편직방법으로 인해 동일한 원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단을 꿰매어 붙이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착압의 상승이 회피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탑스(10)나 팬츠(20)의 각각의 원단은 무봉제형 횡편기로 제조되기 때문에 속을 대고 봉합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솔기의 개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탑스(10)나 팬츠(20)가 착용되었을 때 그 착용자의 피부에 솔기의 흔적이 남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탑스(10)나 팬츠(20)는 착용되었을 때에 적당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주고, 장시간의 착용에 적합한 컨디셔닝 웨어이다.
(기타의 실시 예)
이상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초로 하여 탑스(10) 및 하프 팬츠(20)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대해 쉽게 이해를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고,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형상(탑스 및 팬츠의 외형 형상이나 강긴체부, 중긴체부 및 약긴체부의 형상이나 배치 등)이나 원단의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탑스(10)가 착용되었을 때, 그 탑스(10)는 대흉근(大胸筋), 광배근(廣背筋) 및 극하근(棘下筋) 등 각각의 골격근의 기시부에는 제1부분의 긴체력을 부여하며, 상기 각각의 골격근의 근복에는 제2부분의 긴체력을 부여하기로 했다. 또한 팬츠(20)가 착용되었을 때, 그 팬츠(20)은 대둔근(大臀筋), 햄스트링근, 대퇴직근(大腿直筋), 봉공근(縫工筋), 복직근(腹直筋) 및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 등의 각각의 기시부에는 제1부분의 긴체력을 부여하며, 상기 각각의 골격근의 근복에는 제2부분의 긴체력을 부여하기로 했다. 단, 탑스(10)는 대흉근, 광배근 및 극하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골격근의 기시부에 제1부분의 긴체력을 부여하며, 그 적어도 하나의 골격근의 근복에 제2부분의 긴체력을 부여하는 것이라면 된다. 또한 팬츠(20)는 대둔근, 햄스트링근, 대퇴직근, 봉공근, 복직근 및 척추기립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골격근의 기시부에 제1부분의 긴체력을 부여하며, 그 적어도 하나의 골격근의 근복에 제2부분의 긴체력을 부여하는 것이라면 된다. 또한, 탑스(10) 및 팬츠(20)가 상기 이외의 골격근의 기시부에 제1부분의 긴체력을 부여하며, 그 골격근의 근복에 제2부분의 긴체력을 부여하는 것이라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인체에 착용되는 것에 의해 주로 그 인체의 골격근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컨디셔닝 웨어에 대해 설명하였다. 단, 본 발명의 컨디셔닝 웨어는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그 인체의 골격근 이외의 근육(예를 들어, 표피 등에 부착된 근육. 이하, 비골격근이라 함)에 긴체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컨디셔닝 웨어에 있어서 그 컨디셔닝 웨어의 제1부분이 상기 비골격근의 기시부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여 그 기시부에 긴체력을 부여하며, 상기 컨디셔닝 웨어의 제2부분이 상기 제1부분으로 인해 긴체력이 부여되는 상기 비골격근의 근복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분이 상기 기시부에 부여되는 긴체력보다 작은 긴체력을 상기 근복에 부여하는 것이라 해도 된다.
10 : 탑스 11 : 몸통부
12 : 팔부 20 : 팬츠
21 : 허리부 22 : 다리

Claims (6)

  1. 인체에 착용되는 의류로써,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인체의 근육의 기시부(起始部)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긴체력(緊締力)을 상기 기시부에 부여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보다 신축도가 크고,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제1부분에 의해 긴체력이 부여된 상기 근육의 상기 기시부와 상기 근육의 정지부(停止部) 사이의 근육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분이 상기 기시부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 작은 긴체력을 상기 근육부분에 부여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보다도 신축도가 작고, 상기 의류가 상기 인체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정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분이 상기 근육부분에 부여하는 긴체력보다 큰 긴체력을 상기 정지부에 부여하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기시부로부터 상기 정지부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어지는 상기 근육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부분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은 골격근(骨格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5. 제4항에 있어서,
    의류는 팬츠의 경우, 상기 골격근은 대둔근(大臀筋), 햄스트링근(hamstring筋), 대퇴직근(大腿直筋), 봉공근(縫工筋), 복직근(腹直筋), 그리고 척추기립근(脊椎起立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6. 제4항에 있어서,
    의류는 탑스의 경우, 상기 골격근은 대흉근(大胸筋), 광배근(廣背筋), 그리고 극하근(棘下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KR1020110074093A 2011-07-26 2011-07-26 의류 KR20130012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93A KR20130012745A (ko) 2011-07-26 2011-07-26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93A KR20130012745A (ko) 2011-07-26 2011-07-26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45A true KR20130012745A (ko) 2013-02-05

Family

ID=4789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93A KR20130012745A (ko) 2011-07-26 2011-07-26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7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3192A (zh) * 2015-09-17 2017-07-28 阿迪达斯股份公司 具有支撑元件的运动服装制品
USD841284S1 (en) 2015-11-27 2019-02-26 Adidas Ag Gar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3192A (zh) * 2015-09-17 2017-07-28 阿迪达斯股份公司 具有支撑元件的运动服装制品
US10357067B2 (en) 2015-09-17 2019-07-23 Adidas Ag Articles of sports apparel with support elements
CN106983192B (zh) * 2015-09-17 2019-11-19 阿迪达斯股份公司 具有支撑元件的运动服装制品
USD841284S1 (en) 2015-11-27 2019-02-26 Adidas Ag Garment
USD841937S1 (en) 2015-11-27 2019-03-05 Adidas Ag Garment
USD841938S1 (en) 2015-11-27 2019-03-05 Adidas Ag Gar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4296B2 (ja) 衣料
CN102573536B (zh) 加压服装和制造方法
KR101116580B1 (ko) 타이츠
KR101359442B1 (ko)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EP1342423B1 (en) Garment
CN104936560B (zh) 防止股骨髋臼冲击症的紧束器
CN103153404B (zh) 抗重力肌训练器服装及锻炼深姿和抗重力肌的方法
CN100452999C (zh) 带裆矫正衣
CN100594811C (zh) 用于从事体育运动的局部固持作用式紧身服
US10092048B2 (en) Garment
KR20140138936A (ko) 운동용 가랑이부를 갖는 의류
US20100299799A1 (en) Clothing item with heterogeneous contention effect for practising a sport
JP4956585B2 (ja) サッカー用ウェア
CN107183803B (zh) 运动紧身裤
KR101088802B1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KR101223912B1 (ko)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TW200900017A (en) Clothes made by flexible knitted fabrics
JP5486842B2 (ja) 衣料
JP5629807B2 (ja) 衣料
KR20130012745A (ko) 의류
CN106213605B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智能压迫无缝运动紧身裤
JP6543186B2 (ja) レッグウェア
KR101403169B1 (ko)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JP5333974B2 (ja)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半身用衣料
JP5778543B2 (ja) メディカルコンディショニングウ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