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689A -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689A
KR20130012689A KR1020110073991A KR20110073991A KR20130012689A KR 20130012689 A KR20130012689 A KR 20130012689A KR 1020110073991 A KR1020110073991 A KR 1020110073991A KR 20110073991 A KR20110073991 A KR 20110073991A KR 20130012689 A KR20130012689 A KR 20130012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ata communication
signal line
line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289B1 (ko
Inventor
고호성
소태섭
최석철
Original Assignee
(주)엠에이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이피테크 filed Critical (주)엠에이피테크
Priority to KR102011007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2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의 충전시 데이터통신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본체와; 휴대단말기에 형성된 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연결단자부와; 외부의 USB단자가 접속되게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된 USB포트와; 전원라인과 데이터통신라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USB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 및 데이터를 상기 연결단자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데이터통신라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데이터통신라인은 제1데이터신호라인과 제2데이터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 및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락 또는 단선시켜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는 데이터통신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 COVER FOR MOBILE HAVING CONTROL FUNCTION OF DATA COMMUNICATION }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의 충전시 데이터통신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과, 다양한 프로그램 저장이 가능하며, 활용도가 뛰어나 매우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 중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 음성통화가 가능한 특성으로 인하여 이용자 및 서비스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휴대단말기는 초기에 배터리 및 기타 소자들의 안정화를 위하여 그 크기가 매우 커서 휴대용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무게와 크기가 매우 큰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자의 개발과 배터리의 개발에 힘입어 무게와 크기가 매우 작아졌으며, 휴대단말기의 두께 또한 매우 얇아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와 충전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필요하고, 휴대단말기는 상기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필요하다.
커넥터 인터페이스 즉 접속단자는 휴대단말기의 충전기가 연결되는 통로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의 USB데이터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로로도 이용되고 있다.
즉, 휴대단말기에 형성된 접속단자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이를 통해 배터리충전뿐만 아니라 PC 등과 데이터통신을 하게 된다.
상기 접속단자에 전용아답터를 연결하여 콘센트에 접속될 경우에는 배터리충전만 수행하기 때문에 충전시간이 짧다.
그러나, 상기 접속단자에 PC 등과 연결된 USB케이블을 연결할 경우에는,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충전과 데이터통신 모두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충전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PC 등에 연결하여 배터리충전만을 하고자 할 경우에도, 휴대단말기는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충전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휴대단말기를 PC 등에 연결할 경우 사용자가 데이터통신의 여부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데이터통신이 불필요한 경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본체와; 휴대단말기에 형성된 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연결단자부와; 외부의 USB단자가 접속되게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된 USB포트와; 전원라인과 데이터통신라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USB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 및 데이터를 상기 연결단자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데이터통신라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데이터통신라인은 제1데이터신호라인과 제2데이터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 및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락 또는 단선시켜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는 데이터통신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외부의 1차코일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2차코일과;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유도기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를 상기 전송부에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라인은 데이터통신라인과 연결됨이 없이 상기 전원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전원라인과 연결됨이 없이 상기 데이터통신라인과 연결되되,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과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락시켜 데이터통신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과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선시켜 데이터통신을 온(ON)시킨다.
상기 커버본체는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되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덮는 배터리덮개부와; 상기 배터리덮개부에서 아랫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하부 및 측면을 감싸고, 상기 연결단자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덮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데이터통신라인의 온- 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는 외부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되,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 및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락시켰을 때의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는 외부 전원의 세기는,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 및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선시켰을 때의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는 외부 전원의 세기보다 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휴대단말기를 PC 등에 연결할 경우, 간단한 구조 및 조작을 통해 데이터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충전 및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통신없이 충전만 필요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충전이 이루어져 배터리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2차코일에 의해 무접점방식으로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커버본체가 휴대단말기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체는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 기존의 휴대단말기에 쉽게 장착되어 위와 같은 기능 및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커버체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100)는, 커버본체(110)와, 연결단자부(120)와, USB포트(130)와, 전송부(140)와, 스위치부(1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본체(110)는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200)에 장착된다.
상기 커버본체(11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본체(11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배면 및 측면을 덮어 휴대단말기(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휴대단말기(200)에 장착된 배터리커버를 제거하고 상기 커버본체(110)가 배터리커버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커버본체(110)는, 배터리덮개부(111)와, 하부덮개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덮개부(111)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배면에 배치되어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를 덮는다.
상기 하부덮개부(112)는 상기 배터리덮개부(111)에서 아랫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형성된 휴대단말기(200)의 하부 및 측면을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덮개부(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연결단자부(120)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덮개부(112)에 형성된 상기 연결단자부(120)는 휴대단말기(200)에 형성된 접속단자에 삽입된다.
상기 USB포트(130)는 외부의 아답터(210), PC(220) 등과 연결되어 있는 USB단자가 접속되는 곳으로써, 상기 커버본체(110)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USB포트(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덮개부(112)의 아랫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송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라인(141)과 데이터통신라인(142)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본체(110)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라인(141)은 (+5V)단자와 연결되어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에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데이터통신라인(142)은 (D+)단자와 연결되는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D-)단자와 연결되는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으로 이루어져 PC(220) 등과 휴대단말기(200) 상호간에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전송부(140)는 상기 USB포트(13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 및 데이터를 상기 연결단자부(120)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부(140)는 기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덮개부(112)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부(150)는 상기 커버본체(110)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덮개부(112)에 장착되어 상기 데이터통신라인(142)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150)는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 및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을 상호 단락 또는 단선시켜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전송되는 데이터통신의 온-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치부(150)는 상기 전원라인(141)과 연결됨이 없이 상기 데이터통신라인(14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부(150)는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을 상호 단락시켜 데이터통신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을 상호 단선시켜 데이터통신을 온(ON)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150)에 의해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이 상호 단락되면, 데이터통신이 오프(OFF)되어 상기 전송부(140)는 외부 전원을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에 충전하는 역할만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150)에 의해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이 상호 단선되면, 데이터통신이 온(ON)되어 상기 전송부(140)는 외부 전원을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에 충전하면서 동시에 휴대단말기(200)와 PC(220) 상호간에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스위치부(150)는 상기 데이터통신라인(142)의 온- 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전송부(140)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전송되는 외부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150)가 데이터통신의 오프(OFF)상태 즉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 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을 상호 단선시켰을 때의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전송되는 외부 전원의 세기는, 상기 스위치부(150)가 데이터통신의 온( OFF)상태 즉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 및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을 상호 단락시켰을 때의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전송되는 외부 전원의 세기보다 크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스위치부(150)가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을 상호 단선시키면 본 발명의 커버체(100)는 데이터통신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스위치부(150)가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을 상호 단락시키면 본 발명의 커버체(100)는 전원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위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50)를 조작함으로써, 데이터통신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충전만을 수행하게 되어 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데이터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충전과 함께 데이터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커버체(100)는, 상기 USB포트(130)를 통해 아답터(210), PC(220) 등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커버체(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실시예와 같이, 2차코일(160), 정류회로(170) 및 연결라인(18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2차코일(160)은 상기 커버본체(110)에 장착되고, 외부의 1차코일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생성하기 하게 된다.
상기 1차코일은 외부에 별도의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써, 상기 2차코일(160)이 상기 1차코일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1차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2차코일(160)에서는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코일(160)의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와의 사이에 차폐시트(190)가 덮여 있어, 상기 배터리의 간섭없이 상기 2차코일(160)에서 유도기전력이 잘 발생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류회로(170)는 상기 커버본체(110)에 장착되고, 상기 유도기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라인(180)은 상기 정류회로(170)를 상기 전송부(140)에 연결하여, 상기 2차코일(160)에서 발생된 전류가 상기 전송부(140)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라인(180)은 상기 전송부(140) 중 상기 데이터통신라인(142)과 연결됨이 없이 상기 전원라인(141)과 연결된다.
이는 상기 연결라인(180)이 상기 2차코일(160)에서 발생된 전류만을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통신라인(142)과 연결됨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커버체(100)가 휴대단말기(200)의 배면 및 측면을 덮는 보호커버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커버체(100)의 안쪽에 휴대단말기(200)를 삽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커버체(100)가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커버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휴대단말기(200) 배터리커버를 제거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버체(100)가 배터리를 덮도록 휴대단말기(200)의 배면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덮개부(111)는 상기 배터리를 덮고 있고, 상기 하부덮개부(112)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하부 및 측면을 감싸도록 한다.
상기 USB포트(130)에 아답터(210)가 연결된 경우에는, 아답터(210) 자체에서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을 단락시키거나, 상기 데이터통신라인(142)이 없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에 충전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USB포트(130)가 커넥터를 통해 PC(220) 등과 연결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부(150)를 ON시키면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이 상호 단선되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상기 휴대단말기(200)와 PC(220) 상호간에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충전시간이 상기 아답터(210)를 사용할 경우보다 더 길어지게 되지만,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USB포트(130)가 커넥터를 통해 PC(220) 등과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부(150)를 OFF시키면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이 상호 단락되어, 상기 휴대단말기(200)와 PC(220) 상호간에 데이터통신은 불가능하게 되고, 상기 휴대단말기(200) 배터리의 충전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는 데이터통신없이 충전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전시간이 상기 아답터(210)를 사용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코일을 외부의 제1코일과 커플링되도록 배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2코일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은 상기 정류회로(170), 연결라인(180), 전송부(140) 및 연결단자부(120)를 통해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로 충전되게 된다.
이때에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의 신속한 충전을 위해서는, 상기 위치부( 150)를 오프 상태 즉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143)과 제2데이터신호라인(144)이 상호 단락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커버체(100)에 의해, 간단한 구조 및 조작을 통해 데이터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충전 및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통신없이 충전만 필요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체(100)는 휴대단말기(2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 기존의 휴대단말기(200)에 쉽게 장착되어 위와 같은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커버체,
110 : 커버본체, 111 : 배터리덮개부, 112 : 하부덮개부, 120 : 연결단자부, 130 : USB포트, 140 : 전송부, 141 : 전원라인, 142 : 데이터통신라인, 143 : 제1데이터신호라인, 144 : 제2데이터신호라인, 150 : 스위치부, 160 : 2차코일, 170 : 정류회로, 180 : 연결라인, 190 : 차폐시트,
200 : 휴대단말기, 210 : 아답터, 220 : PC

Claims (5)

  1.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본체와;
    휴대단말기에 형성된 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연결단자부와;
    외부의 USB단자가 접속되게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된 USB포트와;
    전원라인과 데이터통신라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USB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 및 데이터를 상기 연결단자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데이터통신라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데이터통신라인은 제1데이터신호라인과 제2데이터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 및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락 또는 단선시켜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는 데이터통신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외부의 1차코일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2차코일과;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유도기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를 상기 전송부에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라인은 데이터통신라인과 연결됨이 없이 상기 전원라인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전원라인과 연결됨이 없이 상기 데이터통신라인과 연결되되,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과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락시켜 데이터통신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과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선시켜 데이터통신을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되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덮는 배터리덮개부와;
    상기 배터리덮개부에서 아랫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하부 및 측면을 감싸고, 상기 연결단자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데이터통신라인의 온- 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는 외부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되,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 및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락시켰을 때의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는 외부 전원의 세기는,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데이터신호라인 및 제2데이터신호라인을 상호 단선시켰을 때의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는 외부 전원의 세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
KR1020110073991A 2011-07-26 2011-07-26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KR101250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991A KR101250289B1 (ko) 2011-07-26 2011-07-26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991A KR101250289B1 (ko) 2011-07-26 2011-07-26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689A true KR20130012689A (ko) 2013-02-05
KR101250289B1 KR101250289B1 (ko) 2013-04-03

Family

ID=4789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991A KR101250289B1 (ko) 2011-07-26 2011-07-26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775A1 (en) * 2013-12-02 2015-06-11 New Wallet, Inc. Smart case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271B1 (ko) * 2005-11-28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90011326A (ko) * 2007-07-25 2009-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KR101041150B1 (ko) * 2009-01-30 2011-06-13 황인태 휴대폰 무접점 충전장치
KR101644150B1 (ko) * 2009-07-12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립모드 동작 갱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775A1 (en) * 2013-12-02 2015-06-11 New Wallet, Inc. Smart case for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289B1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8046U (ja) 携帯型給電装置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7863800B (zh) 无线充电电池
KR101406234B1 (ko)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KR101213027B1 (ko) 이동 전자전기기기의 유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2456936A (zh) 无线充电系统,具有无线充电功能的电池以及电子设备
JP3996171B2 (ja) 非接触充電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電池パック蓋及び該電池パック蓋を備えた携帯電話機
KR101725905B1 (ko)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유무선충전기
CN104065145B (zh) 无线充电装置及其充电方法
JP3204463U (ja) モバイル電源及びその保護ケース
CN103683365A (zh) 电子设备的充电系统和充电底座
KR101251316B1 (ko) 충전용 전원장치
KR101767622B1 (ko) 무접점 충전회로를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
KR20140117072A (ko) 다수의 외부 장치에 유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EP3518371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n the basis of back cover-type mobile power supply
KR101250289B1 (ko)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US9722655B2 (en) Smart ultra box and protective case with the same
CN206977118U (zh) 一种磁吸式充电装置
CN212136814U (zh) 一种便携式智能断电型接头
CN204992657U (zh) 手机无线充电装置
CN204013702U (zh) 一种带无线充电器的电话机
CN205725170U (zh) 无线充电开关
JP2011205830A (ja) 給電システム
CN205986257U (zh) 一种新型蓝牙耳机
KR101682664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