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326A -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326A
KR20090011326A KR1020070074776A KR20070074776A KR20090011326A KR 20090011326 A KR20090011326 A KR 20090011326A KR 1020070074776 A KR1020070074776 A KR 1020070074776A KR 20070074776 A KR20070074776 A KR 20070074776A KR 20090011326 A KR20090011326 A KR 20090011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nit
external device
usb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326A/ko
Publication of KR2009001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을 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원관리부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원관리부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는 5핀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 커넥터이며,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 핀, 데이터 통신을 위한 2개의 데이터 핀, 이어잭 및 핸즈프리와 같은 음성관련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핀, 접지 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핀의 접속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충전용 어댑터 또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로 인식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어댑터 충전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충전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어댑터 충전 및 USB 충전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USB, 충전용 어댑터, 충전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PORTABLE TERMINAL AND CHAR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어댑터(Adaptor) 충전 및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며 음성 및 영상통화, 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과 같은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기기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및 동영상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는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24 핀 입출력 단자, 상용 전원으로 배터리 충전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예컨대, DC 잭),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적외선 포트(IrDA port), 이어잭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등과 같은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각 단자에 할당된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휴대단말기를 슬림화하고 사용자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크기 및 수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들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어댑터 충전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을 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원관리부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원관리부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부는 5핀 USB 커넥터이며, 데이터 통신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2개의 데이터 핀, 충전 및 USB 전원 입력을 위한 전원 핀, 접지 핀, 이어잭 및 핸즈프리와 같은 음성관련 장치의 연결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으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USB부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상기 USB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접속부에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충전모드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충전 어댑터인 경우 충전모드로 진입하여 충전동작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단계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단말인 경우, USB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USB 모드에서 USB 충전 및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에 따라 USB 충전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24핀 입출력 단자와 DC 잭의 기능이 하나의 5핀 커넥터에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댑터 충전, USB 충전 및 데이터 통신과 같은 기능들을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슬라이드 형태의 휴대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10)에는 디스플레이부(110), 제1입력부(122), 영상 입력부(140), 오디오 출력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유기다이오드는 휴대전화나 카오디오, 디지털카메라와 같은 소형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를 감지하여 그 지점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touch panel)과 결합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입력부(122)는 통화 시작 및 종료, 취소, 메뉴 등과 같은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키(function key)이다.
상기 영상 입력부(14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을 취득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로는 전하 결합 소자 (CCD: Charge-Coupled Device) 또는 상보성금속산화물반도체(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 입력부(140)는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부착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휴대단말기의 후면 또는 측면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는 상기 제1바디(10)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외부로 음성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80)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에는 제2입력부(124), 제3입력부(126), 접속부(150), 오디오 입력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부(124)는 휴대단말기의 측면에 배치되며 카메라 및 MP3 플레이 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히 실행시킬 수 있는 단축키(Hot Key)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입력부(126)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의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키패드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입력부(122, 124, 126)는 입력부(120)로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와 같은 동작을 통해 조작된다. 상기 입력부(120)는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스크린, 돔 스위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휠 또는 조그 스틱과 같이 조작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150)는 휴대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 송수신 및 전원 공급 등을 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부(15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24핀 입출력(I/O) 단자 및 5핀 I/O 단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단자, 이어잭(ear-jack)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적외선(IrDA) 포트 및 블루투스(Bluetooth)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속부(150)는 5핀 I/O 단자 및 전원단자의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오디오 입력부(170)는 사용자의 음성 및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로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무선통신부(100),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메모리(130), 영상 입력부(140), 접속부(150), 전원관리부(160), 오디오 입력부(170), 오디오 출력부(180), 방송 수신부(190),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00)는 안테나(ANT)를 통해 음성, 영상, 문자 등의 데이터 및/또는 제어신호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00)는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 동영상, 애니메이션, 텍스트 등과 같은 형태의 각종 정보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상태 및 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표시장치뿐만 아니라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소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당된 기능키,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축키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터치 패널과의 결합으로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된 경우,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버튼에 터치가 감지되면 그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200)가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130)는 상기 휴대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제반 프로그램 및 그 동작 수행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130)는 플래시(flash) 메모리, SD(Secure Digital) 메모리,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입력부(14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외부로부터 영상을 취득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입력부(17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취득한 영상을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150)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배터리 충전 및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 어댑터(adaptor) 또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150)에는 상기한 외부 디바이스 이외에 이어잭(ear jack), 핸즈프리(hands free), 핸드셋(handset)과 같은 음성관련 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부(150)는 5핀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 커넥터(connector)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및 USB 전원 입력을 위한 전원 핀(VBUS), 데이터 통신을 위한 2개의 데이터 핀(D+, D-), 이어잭 및 핸드셋, 핸즈프리와 같은 음성관련 장치의 연결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핀(Detect), 접지 핀(GND)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핀(D+, D-)은 배터리 충전을 위해 상기 접속부(150)에 연결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충전용 어댑터 또는 단말)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전원관리부(160)는 상기 접속부(150)에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충전 또는/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관리부(160)는 도 4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62), 스위칭부(164), USB부(166)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부(162)는 상기 접속부(150)의 전원 핀(VBUS)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으로 배터리(B)를 충전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충전부(162)는 어댑터 충전 및 USB 충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스위칭부(164)는 상기 접속부(150)와 USB부(166)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 핀(VBUS)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USB부(166)로 공급하는 경로를 온/오프(on/off)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164)는 충전용 어댑터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USB부(166)의 전원 입력단을 차단하여 전원으로 인하여 상기 USB부(166)가 손상(damage)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없애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부(164)는 상기 USB부(166)로 과전압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OVP: Over Voltage Protec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부(166)는 상기 접속부(150)의 데이터 핀(D+, D-)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므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오디오 입력부(170)는 외부로부터 음성 및 소리 등과 같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전기신호를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신호는 통화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부(100)로 출력되고, 녹음하는 경우에는 메모리(130)로 출력된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는 상기 무선통신부(100)로부터 전송받는 음성 및 오디오 데이터 또는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성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가청주파수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는 휴대단말기의 기능 수행 및 상기 입력부(120)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효과음 또는 경고음 등을 출력한다.
상기 방송 수신부(190)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및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ic Program Guide)와 같은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수신부(19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신호처리를 거쳐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및 오디오 출력부(180)로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접속부(150)에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변경한다. 상기 변경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모드는 어댑터 충전모드, USB 충전모드, 데이터 통신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충전용 어댑터와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등과 같은 단말 중 하나이며,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는 상기 접속부(150)의 데이터 핀(D+, D-)의 접속여부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접속부(150)의 데이터 핀(D+, D-)에 접속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컴퓨터와 같은 단말로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 핀(D+, D-)에 접속이 감지되지 않으면 충전용 어댑터로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충전용 어댑터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충전부(162)가 충전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네이블(enable)시키고, 스위칭부(164)는 상기 USB부(166)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오프시키고, 상기 USB부(166)도 동작하지 않도록 디세이블(disable)시킨다.
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단말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에게 경고(alert)로 USB 충전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시하고, 사용자가 충전을 원하면 상기 충전부(162)를 이네이블시키고, 상기 스위칭부(164)와 상기 USB부(166)를 각각 온시키고 디세이블시켜 USB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충전을 원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충전부(162)를 디세이블시키고, 상기 스위칭부(164)와 상기 USB부(166)를 각각 온시키고 이네이블시킨다. 이에, 상기 USB부(166)에 의해 데이터 통신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충전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어부(200)는 접속부(150)의 접속 여부를 감지한다(S100). 상기 접속부(150)에 접속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접속부(150)에 접속된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를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접속부(150)의 데이터 핀(D+, D-)의 접속 여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충전용 어댑터인지 컴퓨터와 같은 단말인지를 인식한다(S102). 다시 말해서, 충전용 어댑터가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면 데이터 핀(D+, D-)에 접속이 감지되지 않는다. 반면에 휴대단말기에 단말이 USB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이 되면 상기 데이터 핀(D+, D-)에 접속이 감지된다. 즉, 상기 데이터 핀(D+, D-)으로부터 소정 레벨의 전압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압신호를 통해 접속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핀(D+, D-)의 접속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외부 디바이 스가 단말인 것으로 인식하고 동작모드를 USB 모드로 전환한다(S104). 이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USB 모드에서 USB 충전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를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한다(S106).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UI를 통해 USB 충전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USB 충전을 원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충전부(162)를 이네이블시키고, 스위칭부(164)와 USB부(166)를 각각 온 시키고 디세이블 시킨다. 상기 충전부(162)는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접속부(150)의 전원 핀(VBUS)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터리(B)를 충전한다(S108, S110).
또는, 사용자가 USB 충전을 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충전부(162)를 디세이블시키고,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스위칭부(164)와 상기 USB부(166)를 각각 온 시키고 이네이블 시킨다. 상기 USB부(166)는 상기 접속부(150)의 데이터 핀(D+, D-)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S112). 다시 말해서, 상기 USB부(166)는 상기 데이터 핀(D+, D-)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USB 충전 또는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USB 충전과 데이터 통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핀의 접속이 감지되면 USB 충전 및 USB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사용자가 메뉴설정을 통해 미리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데이터 핀(D+, D-)에 접속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 는 외부 디바이스가 충전용 어댑터인 것으로 인식하고, 어댑터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S102, S120). 이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USB부(166)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부(164)를 오프시키고, 상기 USB부(166)도 디세이블 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충전부(162)를 인네이블 시켜 상기 충전부(162)가 상기 접속부(150)의 전원 핀(VBUS)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으로 배터리(B)를 충전하게 한다(S108). 상기 충전 동작은 배터리(B)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된다(S110).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전원 핀(VBUS)에 배터리를 연결하여 충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전원 핀(VBUS)에 휴대단말기를 연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직접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접속부의 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전원관리부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충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USB 모드 설정이 표시된 화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무선통신부 110: 디스플레이부
120: 입력부 130: 메모리
140: 영상 입력부 150: 접속부
160: 전원관리부 170: 오디오 입력부
180: 오디오 출력부 190: 방송 수신부
200: 제어부

Claims (9)

  1.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을 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원관리부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원관리부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충전용 어댑터 및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와 같은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5핀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이며,
    데이터 통신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2개의 데이터 핀, 충전 및 USB 전원 입력을 위한 전원 핀, 접지 핀, 이어잭 및 핸즈프리와 같은 음성관련 장치의 연결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으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USB부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상기 USB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USB부로 과전압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의 데이터 핀의 접속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단말로 인식하며, 상기 데이터 핀의 접속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충전용 어댑터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방법.
  7. 휴대단말기의 접속부에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충전모드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충전 어댑터인 경우 충전모드로 진입하여 충전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계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단말인 경우, USB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USB 모드에서 USB 충전 및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에 따라 USB 충전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방법.
KR1020070074776A 2007-07-25 2007-07-25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KR20090011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76A KR20090011326A (ko) 2007-07-25 2007-07-25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76A KR20090011326A (ko) 2007-07-25 2007-07-25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26A true KR20090011326A (ko) 2009-02-02

Family

ID=4068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776A KR20090011326A (ko) 2007-07-25 2007-07-25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3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289B1 (ko) * 2011-07-26 2013-04-03 (주)엠에이피테크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KR20190138761A (ko) * 2019-11-29 2019-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289B1 (ko) * 2011-07-26 2013-04-03 (주)엠에이피테크 데이터통신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체
KR20190138761A (ko) * 2019-11-29 2019-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139B1 (ko) 이동 단말기
US8046039B2 (en) Mobile terminal and case for mobile terminal
EP2320626B1 (en)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detachable cover with solar cells
US8311592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ged status thereof
KR101640465B1 (ko) 휴대 단말기의 액세서리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060011603A (ko) 전압 분배를 이용한 다기능 이어키 장치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US8335870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on external device basis and external device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613953B1 (ko) 휴대 단말기
US20070232233A1 (en) Wireless handset with bluetooth remote control and dialing functionality on voip software application, and corresponding web phone
CN101534349A (zh) 在移动终端中确定外部连接装置的方法和设备
KR20120068274A (ko) 휴대 단말기의 통합 커넥터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US20140104491A1 (en) Protective shell having shutter pressing structure and image capturing method
CN108595003A (zh) 功能控制方法及相关设备
US2011004398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10543231B (zh) 电子装置控制方法及相关设备
KR1011396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KR20090011326A (ko) 휴대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KR101659024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4864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파우치
KR101360210B1 (ko) 휴대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13969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블루투스 헤드셋 충전방법
KR20160109114A (ko) 조명 기능을 갖는 충전 연결 장치
CN110308779B (zh) 智能终端、智能终端控制装置及方法
CN211655786U (zh) 电子设备及移动电源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