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616A - 조명 모듈 - Google Patents

조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616A
KR20130012616A KR1020110073861A KR20110073861A KR20130012616A KR 20130012616 A KR20130012616 A KR 20130012616A KR 1020110073861 A KR1020110073861 A KR 1020110073861A KR 20110073861 A KR20110073861 A KR 20110073861A KR 20130012616 A KR20130012616 A KR 20130012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osed
light
case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689B1 (ko
Inventor
김기현
김은화
맹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689B1/ko
Priority to CN201280036728.9A priority patent/CN103703302B/zh
Priority to JP2014522747A priority patent/JP6116563B2/ja
Priority to EP12817987.6A priority patent/EP2737243B1/en
Priority to PCT/KR2012/005907 priority patent/WO2013015602A2/en
Priority to US14/232,741 priority patent/US9880345B2/en
Priority to EP17150857.5A priority patent/EP3184880B1/en
Publication of KR2013001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2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mixing chambers, e.g. housings with reflectiv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with an elongated shape to cooperate with line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83Array of refle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광원부; 상기 제1 및 제2 광원부가 배치되는 제1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광학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모듈{LIGHTING MODULE}
실시 예는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등으로 전구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구나 형광등은 수명이 짧아 자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은 그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로 인해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제어성, 빠른 응답속도, 높은 전기 광 변환효율, 긴 수명, 적은 소비전력 및 높은 휘도의 특성 및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여러가지 형태의 조명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0004호(공개일: 2009.09.23)
실시 예는 동시에 위/아래로 광을 방출하는 조명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는 위로 방출하는 광의 양과 아래로 방출하는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명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내부의 광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광원부; 상기 제1 및 제2 광원부가 배치되는 제1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광학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갖는 광원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갖는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에 연결되고, 홀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연결된 광학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사용하면, 위/아래로 동시에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위로 방출하는 광의 양과 아래로 방출하는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의 광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모듈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으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케이스의 확대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의 내면을 정면으로 바라본 정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플레이트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반사체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A-A’으로의 다른 단면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A-A’으로의 또 다른 단면도.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모듈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플레이트(110a) 광학 플레이트(110b), 제1 및 제2 광원부(130a, 130b), 제1 및 제2 케이스(150a, 150b), 반사체(160) 및 제1 및 제2 엔드캡(170a, 170b)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케이스(150a, 150b)를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케이스(150a)는 제1 광원부(130a)를 수용하고, 제2 케이스(150b)는 제2 광원부(130b)를 수용한다. 또한, 제1 케이스(150a)는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의 일 측부를 수용하고, 제2 케이스(150b)는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의 다른 일 측부를 수용한다. 또한, 제1 케이스(150a)와 제2 케이스(150b) 사이에는 반사체(160)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케이스(150a)와 제2 케이스(150b) 사이에는 제1 및 제2 광원부(130a, 130b), 플레이트(110a), 광학 플레이트(110b) 및 반사체(160)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 케이스(150a, 150b)는 제1 및 제2 광원부(130a, 130b)로부터의 열을 용이하게 방열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제1 케이스(150a)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케이스(150a)와 제2 케이스(150b)는 동일하므로, 제2 케이스(150b)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제1 케이스(150a)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케이스(150a)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케이스(150a)는 베이스(151a), 상부 케이스(153a)와 하부 케이스(15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53a)와 하부 케이스(155a)는 나사 등을 통해 베이스(151a)에 결합될 수도 있고, 베이스(151a), 상부 케이스(153a)와 하부 케이스(155a)는 일체로서 제1 케이스(150a)를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151a)는 일 방향으로 길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151a)는 내면과 외면을 갖는다. 베이스(151a)의 내면에는 제1 광원부(130a)가 배치되고, 베이스(151a)의 외면은 외부에 노출된다.
상부 케이스(153a)는 베이스(151a)의 일 측에 연결된다. 상부 케이스(153a)는 일 방향으로 길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상부 케이스(153a)는 외면과 내면 및 홈(153a-1)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케이스(153a)의 외면은 외부에 노출되고, 홈(153a-1)은 플레이트(110a)의 일 측부를 수용한다. 상부 케이스(153a)의 내면은 하부 케이스(155a)의 내면과 마주본다. 상부 케이스(153a)의 내면과 베이스(151a)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는 실질적으로 수직에 가까울 수 있다. 상부 케이스(153a)의 내면에는 제1 광원부(130a)의 제1 반사부재(137a-1)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55a)는 베이스(151a)의 다른 일 측에 연결된다. 하부 케이스(155a)는 일 방향으로 길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일 수 있다.
하부 케이스(155a)는 외면과 내면 및 홈(155a-1)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155a)의 외면은 외부에 노출되고, 홈(155a-1)은 광학 플레이트(110b)의 일 측부를 수용한다. 하부 케이스(155a)의 내면은 상부 케이스(153a)의 내면과 마주본다. 하부 케이스(155a)의 내면과 베이스(151a)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는 실질적으로 수직에 가까울 수 있다. 하부 케이스(155a)의 내면에는 제1 광원부(130a)의 제2 반사부재(137a-2)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51a)의 내면, 상부 케이스(153a)의 내면 및 하부 케이스(155a)의 내면에 의해서, 수납부(157a)가 정의된다. 수납부(157a)는 제1 광원부(130a)를 수용 또는 수납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광원부(130a)는 제1 케이스(150a)에 수용 또는 수납된다. 여기서, 제1 광원부(130a)는 도 5에 도시된 제1 케이스(150a)의 수납부(157a)에 수납되어 베이스(151a)의 내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원부(130b)는 제2 케이스(150b)에 수용 또는 수납된다.
제1 및 제2 케이스(150a, 150b)에 각각 수납된 제1광원부(130a)와 제2 광원부(130b)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광원부(130a)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제2 광원부(130b)는 제1 광원부(130a)와 동일하므로, 제2 광원부(130b)의 설명은 후술하는 제1 광원부(130a)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1 광원부(130a)는 기판(131a)과 발광 소자(133a)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31a)의 일 면 위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133a)들이 일렬로 배치된다. 기판(131a)의 다른 일 면은 도 5에 도시된 제1 케이스(150a)의 베이스(151a)의 내면에 배치된다. 기판(131a)은 일 방향으로 길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일 수 있다.
기판(131a)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어 인쇄회로기판(MCPCB: Metal Core PCB),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CB) 또는 세라믹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33a)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133a)들은 동일 색을 갖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들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색을 갖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들일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133a)들간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발광 소자(133a)들간 간격은 다를 수 있다.
발광 소자(133a)는 청색 발광 소자일 수도 있고, 연색 지수(Color Rendering Index: CRI)가 높은 백색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백색 발광 소자는 청색 발광 칩 상부에 형광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가 몰딩되어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여기서, 형광체는 가넷(Garnet)계(YAG, TAG), 실리케이드(Silicate)계, 나이트라이드(Nitride)계 및 옥시나이트라이드(Oxynitride)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 수지에 황색 계열의 형광체만을 포함되도록 하여 자연광(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지만, 연색지수의 향상과 색온도의 저감을 위해 녹색 계열의 형광체나 적색 계열을 형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에 여러 종류의 형광체들이 혼합된 경우, 형광체의 색상에 따른 첨가 비율은 적색 계열의 형광체보다는 녹색 계열의 형광체를, 녹색 계열의 형광체보다는 황색 계열의 형광체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다. 황색 계열의 형광체로는 가넷계의 YAG, 실리케이트계, 옥시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하고, 녹색 계열의 형광체로는 실리케이트계, 옥시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하고, 적색 계열의 형광체는 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수지에 여러 종류의 형광체들이 혼합된 것 이외에도, 적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 녹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 및 황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이 각각 별개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원부(130a)의 발광 소자(133a)들은 제2 광원부(130b)의 발광 소자(133b)들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광원부(130a)의 발광 소자(133a)들과 제2 광원부(130b)의 발광 소자(133b)들은 서로 다른 색온도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30a)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 소자(133a)들은 웜 화이트 발광소자(Warm white LED)이고, 제2 광원부(130b)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 소자(133b)들은 쿨 화이트 발광 소자(Cool white LED)일 수 있다. 웜 화이트 발광 소자와 쿨 화이트 발광 소자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소자이다. 웜 화이트 발광 소자와 쿨 화이트 발광 소자가 각각 상관색 온도를 발산하여 혼합된 빛의 백색광을 발산시킬 수 있으므로, 자연 태양광에 가까움을 나타내는 연색지수(Color Rendering Index: CRI)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실제 물체의 색이 왜곡되는 곳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눈의 피로감을 감소시켜 준다.
제1 광원부(130a)는 방열시트(13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 시트(135a)는 기판(131a)과 제1 케이스(150a)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광원부(130a)는 제1 및 제2 반사부재(137a-1, 137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137a-1)와 제2 반사부재(137a-2)는 기판(131a) 상에 배치되고, 발광 소자(133a)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또한, 제1 반사부재(137a-1)와 제2 반사부재(137a-2)는 도 5에 도시된 제1 케이스(150a)의 수납부(157a)에 수납된다. 또한, 제1 반사부재(137a-1)는 도 5에 도시된 제1 케이스(150a)의 상부 케이스(153a)의 내면에 배치되고, 제2 반사부재(137a-2)는 제1 케이스(150a)의 하부 케이스(155a)의 내면에 배치된다.
제1 반사부재(137a-1)와 제2 반사부재(137a-2)는 발광 소자(133a)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다. 여기서 반사면은 평탄하거나 소정의 굴곡 또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반사부재(137a-1)의 반사면과 제2 반사부재(137a-2)의 반사면은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반사부재(137a-1)의 반사면과 제2 반사부재(137a-2)의 반사면은 쌍곡선(Hyperbola)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133a)에서 방출된 광은 제1 반사부재(137a-1)의 반사면과 제2 반사부재(137a-2)의 반사면을 따라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부재(137a-1)의 반사면과 제2 반사부재(137a-2)의 반사면은 타원(Ellipse)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133a)에서 방출된 광은 제1 반사부재(137a-1)의 반사면과 제2 반사부재(137a-2)의 반사면에 반사된 후, 어느 하나의 초점으로 향한다.
한편, 제1 반사부재(137a-1)의 반사면과 제2 반사부재(137a-2)의 반사면은 비대칭일 수 있다. 즉, 제1 반사부재(137a-1)의 반사면은 쌍곡선을 이루고, 제2 반사부재(137a-2)의 반사면은 타원을 이룰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반사부재(137a-1)의 반사면도 타원을 이루고, 제2 반사부재(137a-2)의 반사면도 타원을 이루되, 두 타원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133a)에서 방출된 광은 두 타원의 각 초점으로 향한다.
제2 반사부재(137a-2)는 발광 소자(133a)로부터의 광을 플레이트(110a)의 특정 부분으로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반사부재(137a-2)는 발광 소자(133a)로부터의 광을 도 6에 도시된 플레이트(110a)의 외곽부(113a)에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반사부재(137a-2)의 반사면의 초점이 도 6에 도시된 플레이트(110a)의 외곽부(113a)에 맺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2 반사부재(137a-2)로 입사되는 광의 대부분을 광학 플레이트(110b)로 향하도록 하여, 광학 플레이트(110b)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광이 플레이트(110a)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광보다 많게 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는 제1 케이스(150a)와 제2 케이스(150b) 사이에 배치된다.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 사이에 반사체(16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는 일 방향으로 길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일 수 있다.
플레이트(110a)의 일 측부는 제1 케이스(150a)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부는 제2 케이스(150b)에 연결된다. 광학 플레이트(110b)의 일 측부는 제1 케이스(150a)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부는 제2 케이스(150b)에 연결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는 서로 대응되도록 혹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양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는 제1 및 제2 광원부(130a, 130b)로부터의 광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플레이트(110a)의 내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플레이트(110a)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110a)의 내면을 정면으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10a)는 중심부(111a)와 외곽부(113a, 113b)을 가질 수 있다.
중심부(111a)는 플레이트(110a)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중심부(111a)는 홀(115a)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홀(115a)은 플레이트(110a)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한다. 상기 홀(115a)은 복수로 플레이트(110a)에 배치된다. 상기 홀(115a)의 형상은 도면에서 사각형상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플레이트(110a)의 다양한 변형 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플레이트(110a)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들이다.
도 7에 플레이트(110a’)는 중심부(111a)와 외곽부(113a, 113b)를 갖는다. 중심부(110a)는 복수의 홀(115a’)들을 갖는다. 상기 홀(115a’)은 도 6에 도시된 플레이트(110a)의 홀(115a)보다 더 작다.
도 8에 도시된 플레이트(110a’’)는 중심부(111a)와 외곽부(113a, 113b)를 갖는다. 중심부(110a)는 제1 홀(115a’’-1)과 복수의 제2 홀(115a’’-2)들을 갖는다. 제1 홀(115a’’-1)은 중심부(110a)의 중앙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제2 홀(115a’’-2)들은 제1 홀(115a’’-1)의 양측에 각각 1열로 배치된다. 제2 홀(115a’’-2)의 크기는 제1 홀(115a’’-1)의 크기보다 작다.
도 9에 도시된 플레이트(110a’’’)는 중심부(111a)와 외곽부(113a, 113b)를 갖는다. 중심부(110a)는 복수의 제1 홀(115a’’’-1)들과 복수의 제2 홀(115a’’’-2)들을 갖는다. 복수의 제1 홀(115a’’’-1)들은 중심부(110a)의 중앙에 일렬로 배치된다. 복수의 제2 홀(115a’’-2)들은 제1 홀(115a’’’-1)의 양측에 각각 1열로 배치된다. 제2 홀(115a’’’-2)의 크기는 제1 홀(115a’’’-1)의 크기보다 작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중심부(111a)는 도 4에 도시된 반사체(160)에서 반사되는 광과 광학 플레이트(110b)의 내면에서 반사되는 광이 입사된다. 여기서, 입사되는 광이 홀(115a)로 향하면, 입사되는 광은 홀(115a)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입사되는 광이 홀(115a)들 사이사이로 입사되면, 입사되는 광은 플레이트(110a)의 내면에 입사되어 다시 반사체(160) 또는 광학 플레이트(110b)로 반사된다.
외곽부(113a, 113b)는 플레이트(110a)의 양측 외곽에 배치된다. 외곽부(113a, 113b)는 중심부(111a)의 양 측에 배치된다.
외곽부(113a, 113b)는 홀(115a)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외곽부(113a, 113b)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광원부(130a, 130b)로부터의 광을 광학 플레이트(110b)로 반사한다. 이러한 외곽부(113a, 113b)는 광학 플레이트(110b)를 통해 방출되는 광의 양이 플레이트(110a)의 홀(115a)을 통해 방출되는 광의 양보다 많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광학 플레이트(110b)는 제1 및 제2 광원부(130a, 130b)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킨다. 이러한 광학 플레이트(110b)는 일반적인 투명한 유리, 플라스틱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판일 수 있다.
광학 플레이트(110b)는 내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 플레이트(110b)는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광학 플레이트(110b)는 제1 광원부(130a)의 발광 소자(133a)가 발광 다이오드인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133a)로부터의 광을 여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광학 플레이트(110b)는 앞서 설명한 형광 물질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반사체(160)는 제1 광원부(130a)와 제2 광원부(130b)로부터의 광을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로 반사한다.
반사체(160)는 제1 케이스(150a)와 제2 케이스(150b)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반사체(160)는 제1 케이스(150a)와 제2 케이스(150)b)의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반사체(160)는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반사체(160)는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의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반사체(160)는 제1 광원부(130a)와 제2 광원부(1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체(160)는 제1 광원부(130a)와 제2 광원부(130b)의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체(16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사체(160)의 반사면은 둥근 곡면이므로, 제1 및 제2 광원부(130a, 130b)로부터의 광을 넓게 분산(distribution)시킬 수 있다.
반사체(160)의 형상이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참조하여 반사체(160)의 다른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반사체(160)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반사체(160’)는 일 방향으로 긴 다각통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반사체(160’)의 단면이 마름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마름모 형태’란 기하학적으로 완벽한 마름모뿐만 아니라 마름모를 구성하는 4개의 변들이 반사체(16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만곡된 것도 포함한다.
반사체(160’)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반사면들(160’-1, 160’-2, 160’-3, 160’-4)을 가질 수 있다. 4개의 반사면들(160’-1, 160’-2, 160’-3, 160’-4)은 반사체(160’)의 내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4개의 반사면들(160’-1, 160’-2, 160’-3, 160’-4)은 반사체(160’)의 외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4개의 반사면들(160’-1, 160’-2, 160’-3, 160’-4)은 모두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반사면들(160’-1, 160’-2, 160’-3, 160’-4) 중 플레이트(110a)와 인접한 두 개의 반사면들(160’-1, 160’-2)과 광학 플레이트(110b)와 인접한 두 개의 반사면들(160’-3, 160’-4)의 곡률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4개의 반사면들(160’-1, 160’-2, 160’-3, 160’-4) 모두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반사체(160, 160’)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엔드캡(170a, 170b)에 연결되어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 사이 또는 제1 광원부(130a)와 제2 광원부(130b) 사이 또는 제1 케이스(150a)와 제2 케이스(1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엔드캡(170a, 170b)은 제1 및 제2 케이스(150a, 150b)와 플레이트(110a) 및 광학 플레이트(110b)에 만들어지는 직육면체의 두 개의 개구를 각각 커버한다.
제1 및 제2 엔드캡(170a, 170b)은 두 개구로 빠져나오는 광을 막으며,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제1 및 제2 엔드캡(170a, 170b)은 제1 및 제2 케이스(150a, 150b)에 나사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더욱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a, 110b)와도 함께 상기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엔드캡(170a, 170b)은 반사체(16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엔드캡(170a)은 반사체(160)의 일 측과 연결되고, 제2 엔드캡(170b)는 반사체(160)의 다른 일 측과 연결된다. 제1 및 제2 엔드캡(170a, 170b)에 의해, 반사체(160)는 플레이트(110a)와 광학 플레이트(110b) 사이 또는 제1 광원부(130a)와 제2 광원부(130b) 사이 또는 제1 케이스(150a)와 제2 케이스(1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엔드캡(170a, 170b)과 반사체(160)의 연결은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A-A’으로의 단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조명 모듈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조명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조명 모듈에 광학 시트(120a)를 더 추가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광학 시트(120a)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광학 시트(120a)는 플레이트(110a)의 내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광학 시트(120a)는 제1 및 제2 광원부(130a, 130b)로부터의 광과 반사체(160)로부터의 광을 반사한다.
광학 시트(120a)는 플레이트(110a)의 내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광원부(130a, 130b)로부터의 광과 반사체(160)로부터의 광을 확산한다. 광학 시트(120a)는 제1 및 제2 광원부(130a, 130b)로부터의 광과 반사체(160)로부터의 광을 난반사(Diffuse)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0a)가 난반사를 하면, 광학 플레이트(110b) 방향으로 많은 양의 광이 반사되고, 광학 플레이트(110b) 방향으로 향하는 광의 유니포머니(uniformity)가 향상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0a)는 형광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0a)에 형광 물질이 포함되면, 플레이트(110a)를 통해 방출되는 광의 연색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120a)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형광 물질을 광학 시트(120a)는 내부에서 고르게 분산시킨다. 또한, 광학 시트(120a)는 확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산제는 형광 물질의 여기율을 높여줄 수 있다.
한편, 광학 시트(120a)는 광학층(120a)일 수 있다. 광학층(120a)은 플레이트(110a)의 내면에 도장된 것일 수 있다. 광학층(120a)의 역할은 상술한 광학 시트(120a)의 역할과 동일하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A-A’으로의 단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조명 모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조명 모듈은 도 11에 도시된 조명 모듈에 확산판(190a)을 더 추가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확산판(190a)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확산판(190a)은 플레이트(110a)의 외면 위에 배치된다. 이러한 확산판(190a)은 플레이트(110a)의 홀(115a)을 통과한 광을 확산한다.
아래의 <표 1>은 앞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의 스펙(spec.)이다.
Product Item Value
Strip Spce.
(13S * 5P)

Voltage(V) 39
Current(mA) 350
Power(W) 13.65
Module Spec.




Total Lumen output(lm) Up Lumen Output 2,500
500
Down Lumen Output 2,000
Module Power(W)
27.3
Efficacy(lm/W)
90
CCT(K)
4,000
CRI
80
Fixture Spec.
Lumen Output(lm)
10,000(Up:2,000, Down:8,000)
DC Power Consumption(W)
11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서, 위로 방출되는 루멘값이 아래로 방출되는 루멘값보다 작다. 그러나 반대로 위로 방출되는 루멘값이 아래로 방출되는 루멘값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서, 아래로 방출되는 루멘값은 위로 방출되는 루멘값에 1 배 이상 9배 이하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의 폭(W(mm))*높이(H(mm))*길이(L(mm))는 80*12*560 또는 45*12*56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a: 플레이트
110b: 광학 플레이트
120a: 제1 광학 시트
120b: 제2 광학 시트
130a: 제1 광원부
130b: 제2 광원부
150a: 제1 케이스
150b: 제2 케이스
160, 160’: 반사체
170a: 제1 엔드캡
170b: 제2 엔드캡

Claims (27)

  1.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광원부;
    상기 제1 및 제2 광원부가 배치되는 제1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광학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홀을 갖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 양측에 배치된 외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는 상기 제1 및 제2 광원부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조명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광원부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의 반사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조명 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복수의 반사면들을 갖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들은 모두 동일한 곡률을 갖거나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조명 모듈.
  6.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광원부로부터의 광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제1 반사부재와 제2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부재의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부재의 반사면은 대칭 또는 비대칭인 조명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재의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부재의 반사면은 쌍곡선 또는 타원인 조명 모듈.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반사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엔드캡을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10.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갖는 광원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갖는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에 연결되고, 홀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연결된 광학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홀을 갖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 양측에 배치된 외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는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조명 모듈.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광학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원통 또는 단면이 마름모 형태를 갖는 다각통인 조명 모듈.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면에 배치된 제1 반사부재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면에 배치된 제2 반사부재를 갖는 조명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재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외곽부의 반사면으로 반사하는 조명 모듈.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재의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부재의 반사면은 대칭 또는 비대칭인 조명 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재의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부재의 반사면은 쌍곡선 또는 타원인 조명 모듈.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케이스의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 시트를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부를 수용하는 홈을 갖는 조명 모듈.
  20. 제 10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광학 플레이트의 일 측부를 수용하는 홈을 갖는 조명 모듈.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광학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반사체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광학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시키는 엔드캡을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22. 제 1 항, 제 2 항, 제 10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홀은 제1 홀과 상기 제1 홀의 크기와 다른 제2 홀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홀의 양 측에 배치된 조명 모듈.
  24. 제 1 항, 제 2 항, 제 10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에 배치된 확산판을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25. 제 1 항, 제 2 항, 제 10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에 배치된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트는 입사되는 광을 난반사하는 조명 모듈.
  27. 제 1 항, 제 2 항, 제 10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플레이트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 또는 여기하는 조명 모듈.
KR1020110073861A 2011-07-26 2011-07-26 조명 모듈 KR10127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861A KR101272689B1 (ko) 2011-07-26 2011-07-26 조명 모듈
CN201280036728.9A CN103703302B (zh) 2011-07-26 2012-07-25 发光模块
JP2014522747A JP6116563B2 (ja) 2011-07-26 2012-07-25 照明モジュール
EP12817987.6A EP2737243B1 (en) 2011-07-26 2012-07-25 Lighting module
PCT/KR2012/005907 WO2013015602A2 (en) 2011-07-26 2012-07-25 Lighting module
US14/232,741 US9880345B2 (en) 2011-07-26 2012-07-25 Lighting module
EP17150857.5A EP3184880B1 (en) 2011-07-26 2012-07-25 Light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861A KR101272689B1 (ko) 2011-07-26 2011-07-26 조명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616A true KR20130012616A (ko) 2013-02-05
KR101272689B1 KR101272689B1 (ko) 2013-06-10

Family

ID=4789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861A KR101272689B1 (ko) 2011-07-26 2011-07-26 조명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6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622A (ja) * 2006-11-02 2007-02-15 Fujiden Keiso Kk 照明装置
JP5208713B2 (ja) * 2008-12-22 2013-06-12 ミネベア株式会社 線状光源装置、および面状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689B1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0345B2 (en) Lighting module
US10323824B1 (en) LED light fixture with light shaping features
US9366410B2 (en) Reverse total internal reflection features in linear profile for lighting applications
US8382354B2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622599B2 (en) Lighting module
US20120127756A1 (en) Lighting module
US20080062682A1 (en) Illumination System
EP2314911A2 (en) Light source apparatus
WO2018196564A1 (zh) 一种发光模组及应用该发光模组的照明装置
KR101272687B1 (ko) 조명 모듈
KR20220098713A (ko) 조명 장치
KR101272689B1 (ko) 조명 모듈
KR101827712B1 (ko) 조명 모듈
KR101272690B1 (ko) 조명 모듈
KR101272688B1 (ko) 조명 모듈
KR101856657B1 (ko) 조명 모듈
KR101894080B1 (ko) 조명 모듈
KR20120132003A (ko) 조명 모듈
KR101862589B1 (ko) 조명 모듈
KR101315702B1 (ko) 조명 모듈
KR101315701B1 (ko) 조명 모듈
KR101798565B1 (ko) 조명 모듈
KR101815135B1 (ko) 조명 모듈
KR101839868B1 (ko) 조명 모듈
KR20170037140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