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848A - 컵홀더 - Google Patents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848A
KR20130011848A KR1020110073277A KR20110073277A KR20130011848A KR 20130011848 A KR20130011848 A KR 20130011848A KR 1020110073277 A KR1020110073277 A KR 1020110073277A KR 20110073277 A KR20110073277 A KR 20110073277A KR 20130011848 A KR20130011848 A KR 20130011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mounting portion
holde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빙휴
이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빙휴, 이의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빙휴
Priority to KR102011007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1848A/ko
Publication of KR2013001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47G23/0233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with a lid, e.g. for a beer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023/0275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47G2023/0283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for one glass or c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컵에 담긴 뜨거운 음료가 빨리 식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컵홀더가 개시된다. 상기 컵홀더는 종이컵이 장착될 수 있는 컵장착부와 상기 컵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본체 및 상기 홀더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컵장착부에 장착되는 컵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컵홀더{Cup holder}
본 발명은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뜨거운 음료가 담긴 종이컵, 플라스틱컵 등의 컵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컵홀더는 종이컵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고 하부를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 일측에 설치되어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존의 컵홀더는 뜨거운 음료가 담긴 종이컵을 장착하여 사람이 뜨거운 종이컵에 직접 손이 닿게 하지 않은 상태로도 종이컵을 들고 뜨거운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역할만 한다.
기존의 컵홀더를 이용하는 경우, 종이컵 등의 컵에 담긴 커피나 녹차 등의 뜨거운 음료가 빨리 식는다.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작업장 등의 장소에서 음료가 담긴 종이컵을 기존의 컵홀더에 장착하여 탁자 등의 위에 잠시 얹어두는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종이컵에 담긴 음료에 많이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된 컵에 담긴 뜨거운 음료가 빨리 식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 장착된 컵의 입구를 막아서 컵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장착부에 장착되는 컵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뚜껑을 홀더본체에 장착하여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더본체에 대해 탈착이 가능한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뚜껑을 회동시켜 컵장착부에 장착되는 컵의 입구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장소나 여건에 따라 뚜껑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료가 적게 소요되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컵이 장착될 수 있는 컵장착부와 상기 컵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본체를 포함하는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에는 상기 컵장착부에 장착되는 컵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설치하기 위한 뚜껑설치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뚜껑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컵장착부에 장착되는 컵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컵이 장착될 수 있는 컵장착부와 상기 컵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본체; 및 상기 홀더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컵장착부에 장착되는 컵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케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뚜껑설치부는 상기 뚜껑을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회동지지부이고 상기 뚜껑은 상기 회동지지부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본체에는 상기 뚜껑이 회동되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뚜껑의 일측을 잡아주어 상기 뚜껑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뚜껑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회동지지부는 축 또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에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홈 또는 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 가능케 결합되는 피회동지지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에는 손가락으로 눌러서 상기 뚜껑을 회동시켜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누름부가 상방 또는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설치부에 탈착 가능케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컵장착부는 상기 장착되는 컵의 상단에 걸리는 고리부, 상기 장착되는 컵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 및 상기 고리부와 상기 걸림턱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손잡이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컵장착부는 상기 손잡이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장착되는 컵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여 줄 수 있는 고리 또는 용기형상을 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상기 컵장착부는 상기 장착되는 컵의 상단에 걸리는 고리부, 상기 손잡이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고리부 반대쪽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 하측에서 상기 장착되는 컵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주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장착되는 컵의 하단 일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컵에 담겨진 뜨거운 음료가 빨리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이 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뚜껑을 쉽게 개방할 수 있고, 뚜껑을 개방한 상태로 홀더본체에 고정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뚜껑을 회동시켜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홀더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그 사용 장소나 사용 여건에 따라 뚜껑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뚜껑이 홀더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내지 5는 컵장착부에 컵을 장착하여 뚜껑을 닫은 상태, 뚜껑을 분리하여 개방한 상태 및 뚜껑을 회동시켜 개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컵장착부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컵장착부의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컵장착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뚜껑 개방방식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컵홀더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뚜껑이 홀더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내지 5는 컵장착부에 컵을 장착하여 뚜껑을 닫은 상태, 뚜껑을 분리하여 개방한 상태 및 뚜껑을 회동시켜 개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 이다.
도 1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100)는 홀더본체(110)를 구비한다. 이 홀더본체(110)는 종이컵 등의 컵(10)을 장착하여 잡아주고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컵(10)이 장착될 수 있는 컵장착부(111)와 이 컵장착부(111)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116)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의 컵장착부(111)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띠상의 연결체(111a)와 이 연결체(111a)의 상단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장착되는 컵의 상단에 걸릴 수 있는 고리부(111b) 및 장착되는 컵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111c)을 구비한다. 연결체(111a)는 고리부(111b)와 걸림턱(111c)을 일체로 연결하며 손잡이(116)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결체(111a)는 그 굴곡형태와 폭 등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홀더본체(110)의 재료로는 PP 등의 플라스틱이 적당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더본체(110)의 상단 일측면에는 축(113a)이 양측으로 돌출된 회동지지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지지부(113)는 뚜껑(130)을 회동 가능케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뚜껑설치부이다.
회동지지부(113)의 아래에는 뚜껑 고정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 고정부(114)는 뚜껑(130)을 회동시켜 개방한 상태에서 뚜껑(130)을 고정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100)는 뚜껑(130)을 구비한다. 이 뚜껑(130)은 컵장착부(111)에 장착되는 컵(10)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회동지지부(113)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장착된다. 이를 위해 뚜껑(13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회동지지부(113)에 회동 가능케 결합하기 위한 홈 형태의 피회동지지부(132)가 구비된다.
이 실시예에서 피회동지지부(132)는 하측이 개방된 개방홈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뚜껑(130)은 홀더본체(110)에 탈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동지지부(113)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시켜 홀더본체(110)에 장착되는 컵(10)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회동지지부(113)와 피회동지지부(132)는 그 형상을 서로 바꾸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뚜껑(130)의 피회동지지부(132)가 축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홀더본체(110)의 회동지지부(113)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홈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피회동지지부(132) 바깥쪽에는 표면이 회동지지부(113) 중심과의 거리가 점점 증가하는 형태로 편심표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편심표면부는 뚜껑(130)이 회동지지부(11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특정 각도로 열린 상태에서 뚜껑 고정부(114)에 가압 접촉됨으로써 뚜껑(130)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피회동지지부(132) 위쪽 뚜껑(130)의 가장자리에는 손가락으로 눌러서 뚜껑(130)을 회동시켜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누름부(136)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부(136)는 경우에 따라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누름부(136)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편심표면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뚜껑 고정부(114)에 걸려서 뚜껑(130)이 일정 각도로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30) 역시 PP 등의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100)는 컵장착부(111)에 컵(10)을 장착한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130)으로 컵(10)의 개구를 닫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130)을 홀더본체(110)에서 분리하여 컵(10)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뚜껑(130)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136)를 눌러 뚜껑(130)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시켜 개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5를 통해서는, 뚜껑(130)이 홀더본체(110)에서 분리될 수 있고 또한 회동지지부(113)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개방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뚜껑(130)을 홀더본체(110)에서 분리할 수 없게 한 상태에서 회동시켜 컵(10)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거나, 뚜껑(130)은 회동시켜 개방할 수 없고 단지 홀더본체(110)에 탈착에 의해서만 개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100)는 뚜껑(130)을 홀더본체(110)에 일체로 그리고 회동 가능케 설치하여 컵장착부(111)에 장착되는 컵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홀더본체(110)와 뚜껑(130)은 서로 다른 주체에 의해 별도로 만들어질 수 있고 서로 분리되어 별개의 상품으로 유통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100)는 뚜껑(130) 없이 홀더본체(110)로만 구성될 수 있다. 즉, 그 사용처에 따라 뚜껑 없이 종이컵 등의 컵(10)을 장착하여 사용하다가 필요할 때에만 홀더본체(110)의 회동지지부(113)에 뚜껑(13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컵장착부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컵장착부(111)는 컵의 하측부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용기형태로 구성한 점에서 앞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실시예의 컵장착부(111)에는 앞 실시예에서 설명한 고리부(111b)와 걸림턱(111c)이 필요치 않다. 뚜껑()은 홀더본체(110)의 상단부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컵장착부(111)는 컵의 하측부 일부 형상과 같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감소하는 원통형 용기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상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컵장착부(111)의 평단면 모양은 원형 외에도 타원형 또는 4각형, 5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7은 컵장착부의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컵장착부(111)는 하부가 뚫려 있는 링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은 컵장착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컵장착부(111)는 홀더폰체(110)의 상단에 컵의 상단을 잡아줄 수 있는 고리부(111b)를 형성하고, 그 아래쪽에 측방이 개방된 용기형상의 측면지지부(111d)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손잡이(116)는 측면지지부(111d) 일 측면에 설치되며, 측면지지부(111d)는 고리부(111b) 반대쪽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고리부 하측에서 컵장착부(111)에 장착되는 컵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준다. 이 경우 측면지지부(111d) 하단에 컵의 하단 일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받침부(111e)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6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는 뚜껑 개방방식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컵홀더의 평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홀더본체(110)에 수직축 형상의 회동지지부(113b)를 설치하고, 뚜껑(130)에 수직홈 또는 수직구멍 형태의 피회동지지부(132b)를 형성하여 뚜껑(130)을 수평으로 회동시켜 컵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반대로 홀더본체(110)에 수직홈 또는 수직구멍 형태의 회동지지부를 형성하고 뚜껑(130)에 수직축 형상의 피회동지지부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뚜껑(130)은 홀더본체(11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머지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뜨거운 음료가 담긴 종이컵 등을 장착하여 뜨거운 음료를 안전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의 제작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 컵 100: 컵홀더
110: 홀더본체 111: 컵장착부
113: 회동지지부 111a: 연결체
111b: 고리부 111c: 걸림턱
113: 회동지지부 114: 뚜껑 고정부
116: 손잡이 130: 뚜껑
132: 피회동지지부 134: 편심표면부

Claims (11)

  1. 컵이 장착될 수 있는 컵장착부와 상기 컵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본체를 포함하는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에는 상기 컵장착부에 장착되는 컵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설치하기 위한 뚜껑설치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컵장착부에 장착되는 컵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3. 컵이 장착될 수 있는 컵장착부와 상기 컵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본체; 및
    상기 홀더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컵장착부에 장착되는 컵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케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설치부는 상기 뚜껑을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회동지지부이고 상기 뚜껑은 상기 회동지지부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에는 상기 뚜껑이 회동되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뚜껑의 일측을 잡아주어 상기 뚜껑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뚜껑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는 축 또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에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홈 또는 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 가능케 결합되는 피회동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에는 손가락으로 눌러서 상기 뚜껑을 회동시켜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누름부가 상방 또는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설치부에 탈착 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9.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장착부는 상기 장착되는 컵의 상단에 걸리는 고리부, 상기 장착되는 컵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 및 상기 고리부와 상기 걸림턱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손잡이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장착부는 상기 손잡이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장착되는 컵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여 줄 수 있는 고리 또는 용기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11.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장착부는 상기 장착되는 컵의 상단에 걸리는 고리부, 상기 손잡이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고리부 반대쪽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 하측에서 상기 장착되는 컵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주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장착되는 컵의 하단 일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KR1020110073277A 2011-07-22 2011-07-22 컵홀더 KR20130011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277A KR20130011848A (ko) 2011-07-22 2011-07-22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277A KR20130011848A (ko) 2011-07-22 2011-07-22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48A true KR20130011848A (ko) 2013-01-30

Family

ID=4784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277A KR20130011848A (ko) 2011-07-22 2011-07-22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18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18A1 (ko) * 2014-08-27 2016-03-03 주식회사 플러스티움 애완견 대변 수거장치
KR102347088B1 (ko) * 2020-06-30 2022-01-05 홍영선 종이컵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18A1 (ko) * 2014-08-27 2016-03-03 주식회사 플러스티움 애완견 대변 수거장치
KR102347088B1 (ko) * 2020-06-30 2022-01-05 홍영선 종이컵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7254B2 (en) Hand drip coffee tumbler
KR200455016Y1 (ko) 테이크 아웃 컵용 뚜껑
KR20130011848A (ko) 컵홀더
KR101664779B1 (ko) 진공흡착수단을 갖춘 용기
JP2014525294A (ja) ケトル
KR20130020220A (ko) 빨대가 구비된 병뚜껑
KR200474741Y1 (ko) 유아용 컵뚜껑
JP2011111227A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KR101181512B1 (ko) 조리용기 뚜껑
KR20090124792A (ko) 소형 토출구가 구비된 용기뚜껑
KR101181510B1 (ko) 조리용기 뚜껑
KR200480691Y1 (ko) 빨대 지지부가 구비된 텀블러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EP0384179B1 (fr) Essoreuse
JP3230781U (ja) 調理容器の蓋
CN215157177U (zh) 饮用盖、饮用瓶以及食品制备家电组件
KR200482280Y1 (ko) 텀블러 캡
US20180055273A1 (en) Teapot
JP6712748B1 (ja) 液体容器
CN215533448U (zh) 一种带储物功能的水杯
CN113951729B (zh) 一种水箱体及饮品机
KR102375163B1 (ko) 올인원 드리퍼 보틀
KR20110081920A (ko) 컵뚜껑
KR20120014275A (ko) 서류 고정용 클립
JP3081171U (ja) ジュ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