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536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536A
KR20130011536A KR1020110072758A KR20110072758A KR20130011536A KR 20130011536 A KR20130011536 A KR 20130011536A KR 1020110072758 A KR1020110072758 A KR 1020110072758A KR 20110072758 A KR20110072758 A KR 20110072758A KR 20130011536 A KR20130011536 A KR 20130011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urse
area
informa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1536A/en
Publication of KR2013001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5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PURPOSE: A washing machine is provided to supply a predetermined course and a user course without converting the whole screen, thereby conveniently operating the washing machine. CONSTITUTION: A display includes a first screen(100) or a main screen. The first screen or the main screen includes a first area(110), a second area(120) and a third area(130). One or more courses in a washing machine ar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ar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 lot of information related to installation and/or set-up in the washing machine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Description

세탁장치 {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세탁장치는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를 제어하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을 구비한다. 도 17은 종래 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2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The washing machine generally includes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washing machine and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17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rol panel 20 of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도 17을 참조하면, 컨트롤패널(20)의 일측에는 세탁장치의 코스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와, 세탁장치가 구동하는 중에 세탁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선택부는 다수개의 세탁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메인선택부(32)와, 메인선택부(32)에 의해 선택된 코스의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단계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브선택부(34, 35, 36, 3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one side of the control panel 20 includes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course of a washing machine, and a display unit 22 for displaying washing information and the like while the washing machine is driven. Here, the selector includes a main selector 32 capable of selecting a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and one or more subselectors 34 and 35 capable of changing step conditions in one or more steps of the course selected by the main selector 32. , 36, 37).

즉, 메인선택부(32)는 세탁단계, 헹굼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코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선택부(32)는 표준코스, 이불코스, 아기옷코스, 속옷코스 및 스팀코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코스는 세탁단계, 헹굼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된 코스에 따라 세탁장치가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선택부(32)는 버튼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회전 가능한 로터리 형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메인선택부(32)를 회전하여 본인이 원하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 selection unit 3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rses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washing, rinsing, dehydrating and drying. For example, the main selector 32 may include a standard course, a duvet course, a baby clothes course, an underwear course, a steam course, and the like. Each of these courses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teps of a washing step, a rinsing step, a dehydration step, and a drying step, and the washing apparatus is driven according to the selected course. Here, the main selection unit 32 may be made of a button type, but preferably made of a rotatable rotary type,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main selection unit 32 to select a desired course.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가 메인선택부(32)에 의해 코스를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코스의 각 단계에 따라 단계조건들이 미리 제어부(미도시)에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코스를 선택하는 경우에 세탁단계의 물온도, 물의양, 헹굼단계의 헹굼횟수, 헹굼시간, 탈수단계의 탈수 회전속도(rpm), 건조단계의 건조시간 등에 대한 조건이 미리 제어부에 저장되어, 저장된 조건에 따라 세탁이 진행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각 단계의 조건들은 미리 저장되어 제어부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서브선택부(34, 35, 36, 37)를 조작하여 전술한 각 단계의 조건들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선택부(34, 35, 36, 37)는 선택된 코스의 각 단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17에서 서브선택부(34, 35, 36, 37)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단계에 대응하여 4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았으며 더 많은 서브선택부를 포함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course by the main selection unit 32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each step of the selected course, step conditions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d stored as default. For example, when the standard course is selected, the conditions for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washing step, the amount of water, the rinsing frequency in the rinsing step, the rinsing time, the spin speed of the dehydration step (rpm), and the drying time of the drying step are controlled in advance. Stored in, washing may proceed according to the stored conditions. By the way, the conditions of each step a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rol unit, it may be changed by the user's selection. In other words, the user may operate the sub-selectors 34, 35, 36, and 37 to change the conditions of the above-described steps. Accordingly, at least one sub-selector 34, 35, 36, 37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step of the selected course. In FIG. 17, four sub-selectors 34, 35, 36, and 37 are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response to washing, rinsing, dehydration, and drying,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Do.

한편, 컨트롤패널(20)의 일측에는 세탁장치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전원버튼(40)과, 선택된 코스를 구동시키도록 구동명령을 입력하는 시작버튼(4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버튼(40)에 의해 세탁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으며, 메인선택부(32) 및/또는 서브선택부(34, 35, 36, 37)에 의해 선택을 마친 다음에 시작버튼(42)에 의해 세탁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one side of the control panel 20 further includes a power button 40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washing machine and a start button 42 for inputting a driving command to drive the selected course. It can be provided. The user can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washing machine by the power button 40, and start after finishing the selection by the main selecting part 32 and / or the sub selecting parts 34, 35, 36, 37. The washing machine can be driven by the button 42.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선택부(32), 서브선택부(34, 35, 36, 37), 표시부(22)를 별도로 구비하게 되면 컨트롤패널의 조립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패널 상에 메인선택부(32), 서브선택부(34, 35, 36, 37), 표시부(22)에 포함되는 많은 수의 버튼과 램프 등이 배치되어 사용자가 적절한 조작을 통하여 세탁장치를 구동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제작 시에 이미 코스들이 하나 이상 미리 설정되어 출시되는데 이러한 기설정 코스는 사용자가 일부 조건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여러 종류의 세탁대상물을 혼합하여 세탁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f the main selection unit 32, the sub selection units 34, 35, 36, 37, and the display unit 22 are separately provided, a lot of time and cost may be required for assembling the control panel. Furthermore, a large number of buttons and lamps included in the main selector 32, the subselector 34, 35, 36, and 37 and the display unit 22 are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 washing machine through proper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drive the device. In addition, conventional washing machines are already released with one or more pre-set courses at the time of manufacture, such a preset course is possible for the user to change some conditions, but is not suitable for washing a mixture of different types of laundry objects There was discomfor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체 화면 전환 없이 기설정코스와 사용자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having a display capable of providing a preset course and a user course without changing the entire scre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최대한 많은 정보를 한번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that can provide a user with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at one time.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을 가급적 줄이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탁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Furtherm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operate a washing apparatus while reducing the screen switching of the display as much as possibl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코스를 표시하는 제1 영역과 세탁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구비하는 제1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display including a first screen having a first area displaying at least one course of the laundry machine and a second area displaying at least on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undry machine. It is achieved by a laund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전체 화면 전환 없이 기설정코스와 사용자코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세탁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et course and a user course without switching the entir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laundry machine more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을 하는 경우에 세탁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을 가급적 줄이면서 정보의 제공 및 선택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어렵지 않게 용이하게 세탁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erforms the operation, the screen switching of the display of the washing machine is preferably reduced while providing and selecting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washing machine without difficulty.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좀더 빨리 정보를 인식하여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user can recognize and manipulate the information faste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디스플레이의 제1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화면의 제1 영역의 전환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5 내지 도 9는 제2 화면(코스정보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구동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화면(코스정보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3에서 코스를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6은 지능형 전력망 하에서의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
도 17은 종래 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and 3 show a first screen of a display in FIG. 1,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switching of a first area of a first screen;
5 to 9 show a second screen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10 to 12 illustrate driving display screens;
13 to 14 show a second screen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of selectively deleting a course in FIG. 3;
1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under an intelligent power grid;
17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rol panel of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세탁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0)을 구비한다. 캐비닛(20)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미도시) 및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가 건조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캐비닛(20)의 내부에 터브를 제외하고 회전 가능한 드럼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ashing apparatus 10 includes a cabinet 20 that forms an appearance. The inside of the cabinet 20 may include a tub (not shown) for receiving wash water and a drum (not shown)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In the case where the laundry machin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ryer, a drum that is rotatable except for a tub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20.

한편, 캐비닛(20)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전면에 컨트롤패널(30)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30)을 통하여 세탁장치(10)의 세탁코스를 선택하거나, 세탁에 대한 각종 세탁정보, 부가정보 또는 구동정보를 수정하거나, 세탁장치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panel 3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binet 20, for example, the front surface. The user may select a washing course of the washing apparatus 10 through the control panel 30, modify various washing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information about washing, or recogniz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bout the washing apparatus.

그런데,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컨트롤패널에 코스 선택을 위한 코스선택부와, 코스에 대한 각종 코스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조작부와, 세탁장치가 구동하는 중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등을 별도로 구비하게 된다. 이처럼, 코스선택부, 조작부, 표시부를 별도로 구비하게 되면 컨트롤패널의 조립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패널 상에 코스선택부, 조작부, 표시부에 포함되는 많은 수의 버튼과 램프 등이 배치되어 사용자가 적절한 조작을 통하여 세탁장치를 구동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적절하도록 컨트롤패널의 구성을 단순화하면서 동시에 세탁장치의 간편한 조작 및 다양한 정보표시가 가능한 구성을 구비한 세탁장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s ar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for the course selection unit for the course selection, a control unit for modifying the various course information for the cours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while the washing machine is running do. As such, when the course selection unit, the oper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separately provided, a lot of time and cost may be required to assemble the control panel. Furthermore, a large number of buttons and lamps included in the course selection unit, the oper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so that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drive the washing machine through proper operation. Therefor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panel to be suitable for the user while at the same time look at a washing machine having a configuration that allows easy oper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display of the washing machine.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의 컨트롤패널(30)은 디스플레이(40)와 세탁장치의 동작을 시작하게 하는 구동 및 일시정지버튼(50)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는 컨트롤패널(30)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인식하게 하면서 동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세탁코스 등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0)를 조작하여 세탁장치(10)의 세탁코스를 선택하거나, 세탁에 대한 각종 코스정보, 부가정보 또는 구동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는 세탁장치가 구동하는 중에 세탁장치(10)에 대한 정보 또는 세탁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세탁코스를 선택한 경우에는 구동 및 일시정지버튼(50)을 조작하여 세탁장치의 구동을 실행하거나 일시 멈출 수 있다. 이 경우, 세탁장치(10)는 선택된 세탁코스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The control panel 30 of the wash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driving and pause button 50 for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40 and the washing apparatus. The display 40 is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30 and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type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various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user to select a washing course. Accordingly, the user may operate the display 40 to select a washing course of the washing apparatus 10 or to modify various course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information about washing. In addition, the display 4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washing apparatus 10 or the information on the washing course while the washing apparatus is driven so that the user may recognize it.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washing course can operate or stop the driving of the washing machine by operating the drive and pause button 50. In this case, the washing apparatus 10 is driven according to the selected washing course.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는 컨트롤패널(30)에 디스플레이(40)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40)에 의해 세탁장치의 조작, 정보수정 및 정보표시 등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에서 구현되는 화면의 전환 및/또는 배치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탁장치를 조작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탁장치를 조작함과 동시에 세탁장치에 대한 각종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전환 및/또는 배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Therefore, the wash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40 on the control panel 30, and the display 40 enables the washing machine to operate, modify information, and display information. However, even when the display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machine may be easily opera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hange and / or arrangement of the screen implemented in the display, and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operat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witching and / or arrangement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washing machine and at the same time easily recognize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washing machine.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디스플레이(40)만 확대해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2 and 3 are front views showing only the display 40 in FIG. 1 in an enlarged manner.

디스플레이(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세탁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를 비롯하여 각종 세탁정보, 부가정보 또는 구동정보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여 이후에 세탁장치를 다시 구동하는 경우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력회사에서 제공되는 에너지 정보, 예를 들어 월별 전기사용량 및/또는 시간별 전기세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40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enables the user to make various selections necessary for driving the washing apparatus based on the provid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may store various washing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etc., including the course selected by the user, so that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used when the washing apparatus is driven again later. In addition, energ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tility company may provide information such as monthly electricity consumption and / or hourly electricity bill. Hereinafter, look at in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는 세탁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코스를 표시하는 제1 영역(110)과 세탁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120)을 구비하는 제1 화면(100) 또는 메인화면(100)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화면(100)에는 세탁장치(10)의 설치 및/또는 설정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제3 영역(13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110)에는 세탁장치(10)의 구동을 위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코스, 또는 사용자가 지정하여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코스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제1 영역(110)에 세탁장치의 기설정코스가 표시되는 경우이며, 도 3은 제1 영역(110)에 사용자코스가 표시되는 경우이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40 includes a first area 110 displaying at least one course of the washing machine 10 and a second area 120 displaying at least on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The first screen 100 or the main screen 100 may be provided. Furthermore, the first screen 100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area 130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allation and / or setting of the laundry machine 10. That is, the first area 110 may display at least one course preset for driving the washing apparatus 10 or at least one user course designated and stored by the user. 2 illustrates a case where a preset course of the washing machine is displayed in the first region 110, and FIG. 3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user course is displayed in the first region 110.

최근 세탁장치들은 출하 당시부터 세탁장치에 저장되는 기설정코스 이외에 사용자가 임의로 코스를 생성하거나, 기설정코스를 수정하여 사용자코스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사용자코스를 다시 불러오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 예를 들어 별도의 버튼 등을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사용자코스를 표시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의 화면 전체가 전환되어 사용자코스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버튼 등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나아가 화면 전체가 전환되어 표시하게 되므로 다른 기능을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In recent years, the laundry machines, in addition to the preset course stored in the laundry machine from the time of shipment, may generate a course at random or modify the preset course and store the course as a user course. However, in order to recall the user course, a separate means, for example, a separate button should be selected. In addition, when the user course is displayed,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is switched to display the user course. Such a method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press a button directly, and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other functions cannot be selected because the entire screen is switched and displayed. 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디스플레이(40)의 제1 화면의 제1 영역(110)에 표시되는 각종 구역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zone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110 of the first screen of the display 40.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코스를 구비하는 사용자구역(1100)과 세탁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코스를 구비하는 기설정구역(1200, 1300, 1400)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ser zone 1100 having at least one user course and the preset zones 1200, 1300, 1400 having at least one preset course of the washing mach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tinuously change. It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가상의 배경면(1000)을 구비하고 상기 배경면(1000)을 구획하여 사용자구역(1100)과 기설정구역(1200, 1300, 14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구역(1100)과 기설정구역(1200, 1300, 1400)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사용자구역(1100)과 3개의 기설정구역(1200, 1300, 1400)을 구비한 예를 도시하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복수개의 사용자구역을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For example, the user area 1100 and the preset areas 1200, 1300, and 1400 may be disposed by providing a virtual background surface 1000 and partitioning the background surface 1000. In this case, at least one user zone 1100 and preset zones 1200, 1300, and 1400 may be provided. In the drawing, an example having one user zone 1100 and three preset zones 1200, 1300, and 1400 is shown.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a plurality of user zones may be provided.

전술한 바와 같이, 배경면(1000)을 따라 사용자구역(1100)과 기설정구역(1200, 1300, 1400)을 배치하게 되면, 사용자구역(1100)과 기설정구역(1200, 1300, 1400)은 제1 영역(110)에서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또는 연속적으로 스크롤(scroll)되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3개의 기설정구역(1200, 1300, 1400)중에서 첫번째 기설정구역(1200)이 도시되는 경우에 배경면(1000)이 화살표(A)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제1 영역(110)에는 사용자구역(1100)의 사용자코스가 표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zone 1100 and the preset zones 1200, 1300, and 1400 are disposed along the background surface 1000, the user zone 1100 and the preset zones 1200, 1300, and 1400 The first region 110 may be continuously changed or continuously scrolled to be sequentially displayed. That is, when the first preset zone 1200 is shown among the three preset zones 1200, 1300, and 1400 as shown in FIG. 4, when the background surface 1000 moves along the arrow A, the first zone ( In 110, a user course of the user area 1100 may be displayed.

한편, 배경면(1000)이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과정이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첫번째 기설정구역(1200)이 표시되는 제1 영역(110)의 전부가 한번에 사용자구역(1100)으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배경면(1000)의 이동에 따라 첫번째 기설정구역(1200)이 제1 영역(110)의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점차 보이지 않게 되면서 제1 영역(110)의 왼쪽에서 사용자구역(1100)이 슬라이딩되어 제1 영역(110)으로 진입하여 보이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구역(1100)이 제1 영역(110)으로 모두 진입하게 되면 사용자구역(1100)이 제1 영역(110)에 고정되어 표시되며 첫번째 기설정구역(1200)은 표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구역(1100) 및 기설정구역(1200, 1300, 1400)의 어느 하나가 제1 영역(110)으로 진입하여 고정되어 표시되면 다른 하나는 제1 영역(110)에 표시되지 않는 것이다.Meanwhile, when the background surface 1000 moves, the moving process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That is, not all of the first area 110 in which the first preset area 1200 is displayed is switched to the user area 1100 at once, but the first preset area 1200 is moved as the background surface 1000 moves. The user area 1100 is slid from the left side of the first area 110 by sliding to the right of the first area 110 and enters the first area 110. When the user area 1100 enters all of the first area 110, the user area 1100 is fixedly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0 and the first preset area 1200 is not displayed. That is, when any one of the user zone 1100 and the preset zones 1200, 1300, and 1400 enter the first area 110 and is fixedly displayed, the other area is no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0.

한편, 전술한 가상의 배경면(1000)은 실제로 보이지 않도록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배경면(1000)이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눈에는 기설정구역(1200, 1300, 1400)에 구비된 코스 아이콘(1210, 도 2 참조) 또는 사용자구역(1100)의 코스 아이콘(1110)이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또한, 제1 영역(110)에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세탁장치의 제어부에 의해서 배경화면이 구비되는 경우에 전술한 배경면(1000)의 이동에 관계없이 배경화면은 계속해서 제1 영역(110)에 표시될 수 있다. 결국, 제1 영역(110)에 배경화면이 구비되고 배경화면의 전방에서 투명한 배경면(1000)이 코스 아이콘(1110, 1210)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virtual background surface 1000 may be provided to be transparent so that it is not actually seen. That is, when the background surface 1000 moves, the course icon 1210 (refer to FIG. 2) provided in the preset zones 1200, 1300, and 1400 or the course icon 1110 of the user zone 1100 in the user's eyes. This is recognized as moving. In addition, when the background screen is provided by the user's selection or the controller of the washing apparatus in the first area 110, the background screen continues to the first area 110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background surface 1000 described above. Can be displayed. As a result, it may be defined that the background screen is provided in the first area 110 and the transparent background surface 1000 moves along with the course icons 1110 and 1210 in front of the background screen.

따라서, 제1 영역(110)은 화면전환과 같이 모든 부분이 한번에 바뀌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사용자구역 또는 기설정구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면(1000)의 이동, 또는 제1 영역(110)의 전환은 도 2 또는 도 3에서 이동영역(112, 114)을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동영역(112, 114)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10)의 좌우에 화살표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영역(112, 114)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이동영역(112, 114)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경면(1000)이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area 110 may display the user area or the preset area by continuously changing all parts instead of changing them at once, such as screen switching. The movement of the background surface 1000 or the switching of the first region 110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the moving regions 112 and 114 in FIG. 2 or 3. As illustrated in FIG. 2 or FIG. 3, the moving areas 112 and 114 may be illustrated in the form of arrow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area 110. 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oving areas 112 and 114, the background surface 1000 may mov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direction of the selected moving areas 112 and 114.

즉, 우측 이동영역(112)을 선택하게 되면 배경면(100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배경면(1000)에서 제1 영역(110)의 우측에 놓여진 구역이 제1 영역(110)으로 이동하여 보이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배경면(1000)이 수평방향으로 스크롤 되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경면이 수직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right side moving area 112 is selected, the background surface 1000 moves to the left side so that the area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area 110 on the background surface 1000 moves to the first area 110 to be visible. do. Meanwhile, although the drawing illustrates that the background surface 1000 is scro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displayed sequenti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ackground surface may be scrolled vertically to display sequentially.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화면(100)은 제1 영역(110) 이외에 세탁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1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120)은 제1 화면(100)의 소정위치, 예를 들어 상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110)에서 사용자구역(1100) 및 기설정구역(1200, 1300, 1400)이 서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도 제2 영역(120)은 변환 없이 미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2, the first screen 100 may include a second area 120 display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undry machine in addition to the first area 110. In this case, the second area 120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creen 100. That is, even when the user zone 1100 and the preset zones 1200, 1300, and 1400 continuously change in each other in the first zone 110, the second zone 120 may display preset information without conversion. .

예를 들어, 제2 영역(120)은 제1 영역(110)에 표시되는 각종 구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역표시영역(1200)과 세탁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정보영역(1300)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area 120 may include a zone display area 1200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various zone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0 and a device information area 1300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a washing machine. It may include.

구역표시영역(1200)은 제1 영역(110)에 표시되는 구역이 전술한 가상의 배경면(1000)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려준다. 즉, 도 2와 같이 기설정코스가 표시되는 첫번째 기설정구역(1200)이 표시되는 경우에 'LG Cycle'이란 명칭에 의해 기설정코스가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상의 배경면(1000)에 구비되는 구역의 개수에 대응하여 표시부(1210)를 구비한다. 표시부(1210)의 숫자는 배경면(1000)에 구비되는 구역의 개수에 대응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도 2에서 4개의 표시부(1210)를 구비함은 배경면(1000)에 4개의 구역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왼쪽에서 두번째 표시부가 다른 표시부와 다르게 표시, 예를 들어 더 어둡게 표시되어 제1 영역(110)에 표시되는 구역이 전체 4개 구역에서 두번째, 즉 왼쪽에서 두번째 구역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좌측 이동영역(114)을 선택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배경면(1000)의 첫번째 구역이 도시된다. 여기서, 첫번째 구역은 사용자구역(1100)으로 미리 설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구역(1100)이 표시된다. 물론, 구역표시영역(1200)의 명칭도 'My Cycle'로 변화되어 사용자는 사용자코스가 표시됨을 인식할 수 있다.The zone display area 1200 indicates where the zon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0 is located on the above-described virtual background surface 1000. That is, when the first preset area 1200 in which the preset cours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2 is displayed, the preset course is displayed by the name 'LG Cycl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1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zones provided in the virtual background surface 1000. The number of the display unit 1210 may increase or decrease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zones provided in the background surface 1000. In FIG. 2, having four display units 1210 means that there are four zones on the background surface 100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second display unit at the left is displayed differently from other display units, for example, darker, so that the zone displayed in the first region 110 is the second in all four zones, that is, the second zone from the left.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the left moving area 114, the first area of the background surface 1000 is illustrated as shown in FIG. 3. Here, since the first zone is a preset state as the user zone 1100, the user zone 1100 is displayed. Of course, the name of the zone display area 1200 is also changed to 'My Cycl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user course is displayed.

한편, 장치정보영역(1300)은 세탁-장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무선통신표시부(1310)와 소위 '지능형전력망(스마트 그리드, smart grid)'의 상태를 표시하는 스마트그리드표시부(132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표시부는 각종 심벌, 상징, 도형, 문자로 표시 가능하며, 도면과 같이 아이콘(icon)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vice information area 1300 provide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bout the laundry-devic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isplay unit 1310 for display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and a smart grid display unit 1320 for displaying a state of a so-called 'smart grid' may be provided. The display unit may be displayed in various symbols, symbols, figures, and characters, and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as shown in the drawing.

무선통신표시부(1310)는 무선랜(WIFI, wireless Fidelity, Wireless Lan)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무선랜아이콘(1312)과,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센서네트워크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네트워크아이콘(1314)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세탁장치는 무선통신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무선랜아이콘(1312)을 통하여 무선랜의 접속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는 무선센서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무선통신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센서네트워크의 접속여부를 네트워크아이콘(1314)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무선랜과 무선센서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무선통신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isplay unit 1310 may include a wireless LAN icon 1312 indic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wireless LAN (WIFI) and a network icon indic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such as a zigbee. 1314). That is, the laundry machine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and display whether the wireless LAN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LAN icon 1312. In addition, the laundry machine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nd display whether the wireless sensor network is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icon 1314.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LAN and the wireless sensor network, respectively.

한편, 스마트그리드표시부(1320)는 스마트그리드아이콘을 구비하여 소위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에 따른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지능형 전력망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mart grid display unit 1320 may include a smart grid icon to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a so-called 'smart grid'. The intelligent power grid is as follows.

지능형 전력망은 종래와 같이 전력 수요처에서 일방적으로 전기를 공급받는 것만을 떠나서, 전력을 사용하는 수요처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소 및/또는 발전소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요처의 상황을 전력소, 발전소로 통지하여 수요처의 상황에 따라 전기 생산 및 전기분배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전력소 및/또는 발전소의 상황에 따라 수요처가 적절한 전력공급원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The intelligent power grid means a system in which two-way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a power source and / or a power plant that supplies power, except for being unilaterally supplied with electricity at a power source as in the related art. Therefore, the power source and the power plant can be notifi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power plant, and electricity can be produced and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and / or the power plant can select an appropriate pow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power source and / or the power plant.

또한, 지능형 전력망에서는 전력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전력정보에 관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전력공급에 따른 다양한 수요자의 반응, 즉 "실시간 전력망 반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간대에 따라 전력의 가격이 달라지거나, 전력공급회사에 따라 전력의 가격이 달라지는 경우 수요자는 그러한 조건을 고려하여 전력 사용량이나 전력소비시간을 변경 내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자는 수요자의 반응에 따라 전력 가격의 조정 내지 전력 공급량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eal-time communication about the power information between the power supplier and the consumer in the intelligent power grid is possible, the response of various consumers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that is, "real-time grid response" is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price of power varies according to time zones or the price of power varies depending on the power supply company, the consumer can change or adjust the power consumption or power consumption time in consideration of such conditions. In addition, the power supplier can adjust the power price or the amount of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consumer.

따라서, 지능형 전력망에서는 수요처의 실시간 전력관리 및 소요전력의 실시간 예측을 담당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및 전력의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리관리장치 및 계측장치는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장치에 두 장치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intelligent power grid will have an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that is responsible for real-time power management and real-time prediction of power demand at the customer's destination, and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that measures power consumption in real time. Can b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the measurement device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devices, o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both devices in one device.

따라서, 지능형 전력망에서 사용되는 계측장치는 "가격 대 장치(Prices to Devices)" 와 같은 소비자 친화적인 효율성 개념을 가능케 한다. 즉, 전력시장의 실시간 가격정보가 각 가정에 설치된 에너지관리장치(EMS)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각 가정에 구비된 전기장치와 통신을 하며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에너지관리장치(EMS)에 의해 각 전기장치의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소모전력량이나 전기요금 한계설정 등과 같은 전력정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전술한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로컬에너지관리장치(Local EMS)와, 상기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로컬에너지관리장치(Local EMS)에서 취합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에너지관리장치(Central EMS)로 구성될 수 있다.Thus, the instrumentation used in the intelligent grid enables a consumer friendly efficiency concept such as "Prices to Devices". That is, real-time pric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ower market may be transmitted through an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nstalled in each home,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control and communicate with an electric device provided in each home. Accordingly, the user can save power and energy by recognizing power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and performing power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power consumption amount or electric charge limit setting based on the power information. The above-described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s a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Local EMS) used in the office or hom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Local EMS)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t can be configured as a central energy management device (Central EMS) for processing.

도 16은 지능형 전력망의 주요 수요처인 가정에서의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5)을 도시한 개략도이다.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5 in a home, which is a major consumer of an intelligent power grid.

도 16을 참조하면,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5)은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 및/또는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스마트미터)(1), 상기 계측장치(1) 및 복수개의 가전장치와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장치(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각 가정의 전기요금은 시간당 요금으로 과금될 수 있으며, 전력소모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시간구간에서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비싸지며, 전력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시간과 같은 때에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저렴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5 includes a measuring device (smart meter) 1, a measuring device 1, and a plurality of measuring devices capable of measuring in real time power and / or electricity rates supplied to each home. It can be provided with an energy management device (2) connected to the two home appliances and control their op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ity bill of each household can be charged as an hourly rate, and the hourly electricity bill becomes expensive in the time period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sharply increased, and the hourly electricity bill becomes cheaper at night time such as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Can be.

에너지관리장치(2)는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냉장고(6), 세탁장치(10), 에어컨(7), TV(8) 또는 조리기기(9)와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이들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가정 내부에서의 통신은 무선 또는 PLC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전기제품들도 다른 전기제품들과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2 is connected to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a refrigerator 6, a washing machine 10, an air conditioner 7, a TV 8 or a cooking appliance 9 through a network in the hom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possible. Communication inside the home can be via wireless or wired, such as a PLC. In addition, each electrical appliance may also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appliances to enable communication.

에너지관리장치(2)는 전력정보 및/또는 외부의 환경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3),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4), 외부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미도시), 시계(미도시),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장치(2)는 터치패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부(3)를 구비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2 includes a display unit 3 for displaying electric power information and / or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an input unit 4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clock (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2 may include a touch panel, and the display unit 3 may be provided on the touch panel.

지능형 전력망에서 에너지관리장치(2)는 표시부(3)를 통하여 전력정보 및/또는 외부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정보는 현재 전기사용량, 전기요금, 누적된 히스토리에 의하여 예상되는 예상요금, 이산화 탄소 발생량과 같은 금일의 에너지 정보, 현재 시간이 속하는 구간의 전기요금, 다음 시간구간의 전기요금, 전기요금이 변하는 시간구간을 포함하는 실시간 에너지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 정보는 현재의 날씨, 온도, 습도, 강수량, 바람과 같은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정보는 사용 가전기기의 시간구간별 전력소모량 및/또는 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시간구간별 전기요금 추이 그래프도 나타날 수 있다.In the intelligent power gri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2 may provide power information and / or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3. Here, the power information is the current electricity consumption, the electricity bill, the expected charges based on the accumulated history, the energy information of the day such as carbon dioxide generation, the electricity bill of the section to which the current time belongs, the electricity bill of the next time period, and the electricity bil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real-time energy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ing time interval. In additi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such as current weather,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wind. In addition, the power information may display a graph indicating a power consumption amount and / or a change in the time interval of the home appliance used, and may also show a graph of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time period.

이러한 전력정보 및/또는 외부 환경 정보는 에너지관리장치를 통하여 제공되거나 또는 전술한 세탁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스마트그리드아이콘이 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40)를 통하여 전술한 각종 전력정보 및/또는 외부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화면(100)이 스마트그리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화면(미도시)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전환은 사용자의 선택,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그리드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그리드 정보가 변화하는 경우, 예를 들어 세탁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시간당 전기요금이 변화하는 등의 정보 변화가 있는 경우에 세탁장치의 제어부가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Such power information and / or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o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above-described laundry machine. That is, when the aforementioned smart grid icon is activated, the above-described various power information and / or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40. To this end, the first screen 100 may be switched to a smart grid screen (not shown) capable of providing smart grid information. This screen switching may be performed when the user selects,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smart grid icon. Alternatively, when the smart grid information changes, for example, when there is a change in information such as an hourly electricity rate when using a washing machine, the controller of the washing apparatus may automatically display the information.

이 경우 에너지관리장치와 세탁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에 전술한 무선랜 또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에너지관리장치와 세탁장치는 데이터송신부(미도시)와 데이터수신부(미도시)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the laundry device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by wire or wirelessly. In addi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communication may be possible through the aforementioned WLAN or wireless sensor network. To this e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the laundry device may include a data transmitter (not shown) and a data receiver (not shown), respectively.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화면(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장치(10)의 설치 및/또는 설정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제3 영역(1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영역(130)은 제1 화면(100)에 제2 영역(120)과 겹치지 않도록 소정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영역(130)은 제1 화면(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2, the first screen 100 may include a third area 130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allation and / or setting of the washing apparatus 10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region 13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first screen 100 so as not to overlap the second region 120. For example, the third area 130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screen 100.

제3 영역(130)은 세탁장치의 각종 설정을 조작할 수 있는 '설정(set up)' 아이콘(132), 세탁장치(10)의 설치를 도와주는 '가이드(guide)' 아이콘(134)을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area 130 includes a 'set up' icon 132 that can manipulate various settings of the washing machine, and a 'guide' icon 134 that helps the install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0. It can be provided.

사용자가 설정 아이콘(132)을 선택하게 되면 설정화면(미도시)으로 전환되어 각종 소리음(beeper) 조절,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절, 디스플레이의 언어선택, 표시 옵션(display option), 무선랜 설정, 제품등록, 리셋(reset), 인스톨레이션(installation)과 같은 조작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옵션이라 함은 세탁장치의 전원을 온(on)한 경우에 사용자구역과 기설정구역 중에 어느 구역을 먼저 제1 영역(110)에 표시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다. 또한, 인스톨레이션이라 함은 세탁장치의 설치 및/또는 유지보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세탁장치의 수평조절, 급수 및 배수 호스 연결과 같은 세탁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setting icon 132, the display is switched to a setting screen (not shown) to adjust various beepers, adjust display brightness, select a display language, display option, wireless LAN setting, and product registration. You can perform operations such as reset and installation. Here, the display option is an option for setting which one of the user area and the preset area to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0 when the washing apparatus is turned on.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may display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allation and / or maintenance of the laundry machine.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washing machine, such as leveling the washing machine and connecting water and drain hoses.

또한, 사용자가 설정 아이콘(132)을 선택하는 경우에 기설정코스 또는 사용자코스의 아이콘의 형태 및/또는 명칭의 변경, 부가정보영역(250)의 주영역(2500) 및 보조영역(2600)에 표시되는 세탁정보, 부가정보 및/또는 구동조건의 종류 및 개수의 조절, 사용자구역에 폴더의 생성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setting icon 132, the shape and / or name of the icon of the preset course or the user course is changed, and the main area 2500 and the auxiliary area 2600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250 are changed. It is possible to manipulate the type and number of washing information displayed, additional information and / or driving conditions, and to create a folder in a user area.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한편, 사용자가 가이드 아이콘(134)을 선택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각종 세탁정보, 부가정보 또는 구동조건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각 정보 및 조건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각종 세탁정보, 부가정보 또는 구동조건은 세탁 온도, 헹굼 온도, 헹굼 횟수, 탈수 속도, 오염 정도, 삶음 정도, 얼룩 정도, 찬물 세탁 여부, 추가 급수 여부 및 유연제 추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guide icon 134, the display provides a guide for each information and condi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various washing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conditions. Here, the various washing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conditions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washing temperature, rinsing temperature, rinsing frequency, dehydration rate, degree of contamination, degree of boil, stain, cold water washing, additional water supply, and softening agent. have.

나아가, 제3 영역(130)은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코스를 소정개수 만큼 표시하는 '기사용코스' 아이콘(13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기사용코스는 전술한 사용자코스에 비하여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이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세탁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가 사용한 코스를 소정개수, 예를 들어 3개까지 저장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기사용코스를 3개까지 저장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함). 따라서, 사용자가 기사용코스 아이콘(136)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는 제1 화면(100)을 기사용코스표시화면(미도시)으로 전환하여 이미 사용한 코스를 3개까지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코스를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일이 코스를 찾거나 또는 코스의 각종 정보를 수정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사용자가 이미 사용한 코스가 3개가 될 때까지 계속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미 저장된 코스가 3개인 경우에 또다시 사용자가 코스를 선택하여 세타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제어부는 가장 먼저 저장된 코스를 순차적으로 삭제하여 새로운 코스를 기사용코스로 저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hird area 130 may further include an 'used course' icon 136 that displays a predetermined number of courses recently used by the user. The driver's course has a difference in that it is automatically stored by the controller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user course. That is, the controller of the washing apparatus may store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up to three courses used by the user (hereinafter, only the case of storing up to three driver courses) will be described. Accordingly, when the user selects the driver's course icon 136, the controller may switch the first screen 100 to the driver's course display screen (not shown) to display up to three course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This is to eliminate the hassle of finding a course or modifying various information of a course when a user wants to reuse a recently used course. Accordingly, the controller may continue to store until three courses are already used by the user. On the other hand, if there are three courses already stored and the user selects a course again and uses the theta device, the controller deletes the first stored course sequentially and stores the new course as an article course.

이하, 사용자가 사용자구역(1100)에서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여 세탁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tep in which the user selects any one course in the user zone 1100 and drives the wash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은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한 사용자코스를 제1 영역에 표시한다. 사용자코스는 각종 심벌, 상징, 도형, 문자로 표시 가능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icon)(1110)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콘과 함께 각 코스의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 형태 및/또는 명칭 중에 적어도 하나는 변경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전술한 '설정(set up)'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IG. 3 displays a user course that the user arbitrarily stores in the first area. The user course may be displayed in various symbols, symbols, figures, and characters, and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1110 as shown in FIG. 3. In addition, the name of each course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con. At least one of the icon type and / or name may be changed. That is, the user may change the selection by selecting the above-described 'set up' icon.

도 3에서는 '세탁 성능(Wash Performance)'(1120)과 '코튼/노멀(Cotton/Normal)' 코스(11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세탁 성능 코스라 함은 세탁장치에 새로운 코스 등을 다운로드받는 경우에 새로운 코스가 저장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세탁장치는 출하 시에 다양한 기설정코스를 구비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좀더 다양한 코스가 개발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코스는 제조사의 서버 등을 통하여 각 세탁장치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코스의 다운로드는 사용자가 세탁장치를 구입하는 경우에 제조사의 서버에 세탁장치를 등록함으로써 가능하다. 새로운 코스의 다운로드는 유선 또는 전술한 무선랜 및/또는 무선센서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세탁 성능 코스에 새로운 코스가 다운로드되면, 세탁장치의 제어부는 다운로드 받은 코스를 인식하여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에 사용자에게 기존 코스와 함께 새로운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FIG. 3, a 'Wash Performance' 1120 and a 'Cotton / Normal' course 1110 are provided. Here, the washing performance course may be defined as a space in which a new course is stored when a new course is downloaded to the washing apparatus. That is, the washing machine has various preset courses at the time of shipment, but more various courses may be developed over time. These new courses can be downloaded to each washing machine via the manufacturer's server or the like. This new course can be downloaded by registering the washing machine on the manufacturer's server when the user purchases the washing machine. Downloading a new course may be performed by wire or by the aforementioned wireless LAN and / or wireless sensor network. When a new course is downloaded to the washing performance course, the controller of the washing apparatus recognizes and sets the downloaded course. Therefore, a new cours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later along with the existing course.

한편, 도 3에서 코튼/노멀 코스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코스에 해당한다. 사용자코스는 사용자가 기설정코스가 아니라 사용자코스임을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징 또는 심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사용자코스를 저장하는 경우에 아이콘 및 명칭을 기존의 기설정코스와 동일하게 하면 사용자코스인지 기설정코스인지 용이하게 구별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코스의 아이콘은 하나의 사용자심벌(1112), 예를 들어 하트 형태의 사용자심벌(111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코스 아이콘에 하트 형태의 사용자심벌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지정코스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tton / normal course in FIG. 3 corresponds to the user course stored by the user. The user course may include at least one symbol or symbol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user course is not a preset course.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stores the user course, if the icon and name are the same as the existing preset course, it is difficult to easily distinguish between the user course and the preset cours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the icon of the user course may include one user symbol 1112, for example, a user symbol 1112 in the form of a heart. That is,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user designated course when the user icon in the form of a heart in the course icon.

한편, 사용자가 코튼/노멀 코스에 의해 세탁을 수행하기 위하여 코튼/노멀 코스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코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2 화면(200)으로 전환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selects the cotton / normal course icon to perform washing by the cotton / normal course, the user may be switched to the second screen 200 displaying at least on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urse.

도 5는 도 3에서 코튼/노멀 코스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에 코튼/노멀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화면(200) 또는 코스정보표시화면(200)(이하, '코스정보표시화면'이라 함)을 도시한다.FIG. 5 shows a second screen 200 or a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cotton / normal course when the cotton / normal course icon is selected in FIG. ).

도 5를 참조하면, 코스정보표시화면(200)은 전술한 제1 화면(100)과 같이 세탁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정보영역(13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정보영역(1300)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5,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may include a device information area 1300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a washing apparatus as in the first screen 100 described above. Since the device information area 1300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코스정보표시화면(200)은 선택된 코스에 대한 명칭을 표시하는 명칭영역(210)과 선택된 코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며 부가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부가정보영역(2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시간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시간정보영역(230)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코스정보표시화면(200)은 선택된 코스의 저장 또는 삭제를 선택할 수 있는 저장및삭제영역(2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may include a name area 210 for displaying a name of a selected course,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250 for displaying at least on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course and modify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have. In addition, a time information area 230 displaying at least one piece of time-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urthermore,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may include a storage and deletion area 270 for selecting to save or delete the selected course.

명칭영역(210)은 선택된 코스에 대한 아이콘(212) 및 명칭(214)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콘(2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코스임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심벌(111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스정보표시화면(200)에서도 선택된 코스가 사용자코스인지 아니면 기설정코스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The name area 210 may include an icon 212 and a name 214 for the selected course. In this case, the icon 212 may include a user symbol 1112 to indicate that the user cours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user may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selected course is the user course or the preset course on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한편, 시간정보영역(230)은 선택된 코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시간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관련 정보는 선택된 코스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 각 행정별 예상 소요 시간, 예상 잔여 시간, 종료 지연 시간 및 시작 지연 시간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예상 잔여 시간 표시부(232)와, 시작 지연 시간 선택부(234)를 구비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eanwhile, the time information area 230 may display at least one time-relat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urse. Here, the tim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stimated time required for the selected course, an estimated time required for each administration, an estimated remaining time, an end delay time, and a start delay time. For example, although FIG. 5 includes an expected remaining time display unit 232 and a start delay time selector 234,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상 잔여 시간 표시부(232)는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대한 예상 잔여 시간을 표시한다. 세탁장치의 제어부는 선택된 코스에 따른 예상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예상 잔여 시간 표시부(232)에 표시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잔여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제어부는 먼저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포량 또는 최대용량의 절반 정도에 맞추어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코스만 먼저 선택하고 세탁대상물을 아직 드럼에 투입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한 예상 잔여 시간은 추후에 사용자가 도어(60)를 닫고서 구동 및 일시정지버튼(50)을 누르는 경우에 포량을 감지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estimated remaining time display unit 232 displays the estimated remaining time for the course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of the washing apparatus calculates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the selected course and displays the estimated remaining time on the display unit 232 and displays the remaining time as time passes. The control unit may first calculate the estimated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r the maximum amount of capacity mainly used by the user. This is because the user may select only the course first and do not put the laundry object into the drum yet. Therefore, the accurate estimated remaining time can be calculated by detecting the amount of dose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60 and presses the drive and pause button 50 later.

한편, 시작 시간 지연 선택부(234)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세탁장치의 구동시간을 지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작 시간 지연 선택부(234)의 증가부(235)를 선택하여 세탁장치의 구동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시작 시간 지연 선택부(234)의 증가부(235)를 선택하여 세탁장치의 구동시간이 1시간 지연된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증가부(235)를 선택하는 경우에 지연되는 시간의 단위는 적절히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번 선택할 때마다 30분씩 또는 1시간씩 지연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세탁장치의 구동이 1시간 지연된 경우에 세탁장치를 정상적으로 지연 없이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작 시간 지연 선택부(234)의 감소부(236)를 선택하여 시간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감소부(236)를 한번 선택할 경우에 30분씩 또는 1시간씩 시간이 줄도록 설정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tart time delay selection unit 234 may delay the driving time of the washing machine by the user's selection.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he increase unit 235 of the start time delay selector 234 to delay the driving time of the washing apparatus.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driving time of the washing apparatus is delayed by one hour by the user selecting the increase unit 235 of the start time delay selecting unit 234. The unit of time delayed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increase unit 235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For example, it can be set to delay 30 minutes or 1 hour for each sel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of the washing machine is delayed by one hour, when the washing machine is to be driven normally without delay, the time delay may be reduced by selecting the reducing unit 236 of the start time delay selecting unit 234. Similarly, when the reduction unit 236 is selected once, the time can be set to decrease by 30 minutes or 1 hour.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코스정보표시화면(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코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며 부가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부가정보영역(2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gain,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may include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250 that displays at least on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urse and may modify the additional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부가정보영역(250)에 표시될 수 있는 부가정보는 세탁 온도, 헹굼 온도, 헹굼 횟수, 탈수 속도, 오염 정도, 삶음 정도, 얼룩 정도, 찬물 세탁 여부, 추가 급수 여부 및 유연제 추가 여부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250 includes at least one of washing temperature, rinsing temperature, rinsing frequency, dehydration rate, contamination level, boiling degree, stain level, cold water washing, additional water supply, and softening agent. It may include.

즉, 세탁장치를 구동하는 경우에 세탁장치의 구동과 관련하여 각종 구동조건을 표시하며, 나아가 표시된 구동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장치의 각 구동조건을 표시하고 변경하는 경우에 화면의 전환없이 하나의 화면에서 모든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명칭영역(210)에서 명칭을 표시하고, 시간정보영역(2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관련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시간 관련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부가정보영역(250)도 세탁장치의 구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조건 또는 부가정보를 표시하며, 나아가 상기 구동조건 또는 부가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살펴본다.That is, in the case of driving the washing machine, various driving conditions may be displayed in relation to the driving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isplayed driving conditions may be further adjuste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washing apparatus are displayed and changed, all operations may be performed on one screen without changing the screen. That is, the name may be displayed in the aforementioned name area 210, at least one time-relat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time information area 230, and the time-related information may be modified. In addi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250 to be described later may display at least one driving condi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washing machine, and may further modify the driving condition 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It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정보영역(250)은 전술한 부가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며 수정이 가능한 주영역(2500)과 나머지 부가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며 수정가능한 보조영역(2600)으로 구획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250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information and displays a main area 2500 that can be modified and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an auxiliary area 2600 that can be modified. Can be partitioned into

여기서, 주영역(2500)과 보조영역(2600)에 표시되는 부가정보의 종류는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장치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보다 빈번하게 조작을 하는 구동조건을 주영역(25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정도, 세탁/헹굼 온도 및 탈수속도를 주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주영역(2500)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된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주영역(2500)에 표시되는 구동조건 또는 부가정보의 종류 및 개수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설정(set up)' 아이콘(132)의 선택에 의해 주영역(250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 및/또는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Here, the type of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main area 2500 and the sub area 2600 can be se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user drives the washing machine, the main area is a driving condition for more frequent operation. (2500) can be displayed.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washing / rinsing temperature, and dehydration rate may be displayed in the main area. The number of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main area 2500 is appropriately adjustable and is not limited to the three shown in the drawings. Furthermore, the type and number of driving conditions or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ain area 2500 may be selected by a user's selection. The user may change the type and / or number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ain area 2500 by selecting the 'set up' icon 132 described above.

한편, 주영역(2500)은 부가정보의 내용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수정이 가능한 표시및수정영역(2510)을 구비한다. 이러한 표시및수정영역(2510)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스크롤바(2512)를 구비하여 스크롤바(2512)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구동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주영역(2500)에 표시되는 오염정도를 수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area 25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and correction area 2510 that can not only display the content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but also can be modified. The display and correction area 251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a scroll bar 2512 is provided at one side to change a driving condition displayed by manipulation of the scroll bar 2512. hav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llution degree displayed on the main region 2500 is corrected.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세탁대상물의 오염정도를 수정하는 경우에 오염정도를 표시하는 오염정도 표시및수정영역(2510)의 스크롤바(2512)를 조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크롤바(2512)를 조작하여 오염정도를 '노멀(Normal)'에서 '헤비(Heavy)'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스크롤바(2512)의 조작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구동조건의 값이 달라지게 된다. 주영역(2500)에 포함되는 나머지 정보의 수정도 유사한 방식으로 가능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correct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object, the user manipulates the scroll bar 2512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display and correction area 2510 that display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For exampl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may be adjusted from 'normal' to 'heavy' by manipulating the scroll bar 2512. That is, the value of the driving condition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manipulation of the scroll bar 2512 is changed. Since the remain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ain area 2500 can be modified in a similar manner,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영역(2600)에 삶음정도, 헹굼 횟수, 얼룩정도, 추가급수, 찬물 세탁 여부 및 유연제 추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주영역(2500)과 마찬가지로 보조영역(2600)에 표시되는 정보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된 6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보조영역(2600)에 표시되는 구동조건 또는 부가정보의 종류 및 개수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설정(set up)' 아이콘(132)의 선택에 의해 보조영역(260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 및/또는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5, in the present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boiling, the number of rinsing, the degree of staining, additional water supply, whether the cold water is washed, and whether the softening agent is added may be displayed on the auxiliary area 2600. Like the main area 2500, the number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ub area 260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is not limited to the six shown in the drawing. In addition, the type and number of driving conditions or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uxiliary area 2600 may be selected by a user's selection. The user may change the type and / or number of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uxiliary area 2600 by selecting the 'set up' icon 132 described above.

보조영역(2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활용 정도를 볼 때, 주영역(2500)에 표시되는 부가정도 또는 구동조건에 비하여 그 활용도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영역(2600)은 표시되는 정보의 각 영역의 넓이가 주영역(2500)에 비하여 협소할 수 있으므로 주영역(2500)과 같이 표시 및 수정이 동시에 가능한 영역을 구비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보조영역(2600)은 구비되는 부가정보 또는 구동조건을 표시하는 표시부(2610)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수정이 필요한 부가정보 또는 구동조건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부가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보조창이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area 2600 may be regarded as having a lower utilization than the additional degree or driving conditions displayed on the main area 2500. Therefore, since the area of each area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may be narrower than that of the main area 2500,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sub-region 2600 that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and modified like the main area 2500. Accordingly, the auxiliary area 2600 includes a display unit 2610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conditions, and the auxiliary window capable of correcting the selected additional information when the user selects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conditions that need correction. It can be configured to be generated.

도 8은 보조영역(2600)에 표시되는 삶음정도를 수정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of modifying the degree of life displayed on the auxiliary area 2600.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보조영역(2600)에 표시되는 부가정보 또는 구동조건 중에 삶음정도(삶음시간)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삶음정도를 표시하는 삶음정도표시부(2610)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삶음정도를 변경할 수 있는 보조창(2612)이 생성될 수 있다. 보조창(26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삶음시간을 15분,30분, 45분, 60분, 120분, 180분 단위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조창에 구비되는 삶음시간은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삶음정도의 보조창에서 30분을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30분을 선택하게 되면 삶음정도(삶음시간)표시부(2610)는 '30분'으로 표시하게 된다. 나아가, 삶음정도를 30분으로 설정하게 되면 세탁장치의 구동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예상 잔여 시간도 부가정보의 변경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삶음정도가 30분으로 설정되어 구동시간이 30분 증가하게 되면 예상 잔여 시간 표시부(232)에 표시되는 예상 잔여 시간도 30분 증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보조영역(2600)에 표시되는 다른 부가정보 또는 구동조건도 전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degree of boiling (boiling time) dur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conditions displayed on the auxiliary area 2600, the user may select the degree of boiling display 2610 that displays the degree of boiling. have. In this case, the auxiliary window 2612 may be generated to change the degree of life. As shown in FIG. 8, the auxiliary window 2612 may be provided to change the boiling time in units of 15 minutes, 30 minutes, 45 minutes, 60 minutes, 120 minutes, and 180 minutes. Boiling time provided in the auxiliary window is of course adjustabl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user selects 30 minutes in the auxiliary window of the degree of boiling. As shown in FIG. 9, when the user selects 30 minutes, the degree of boiling (boiling time) display unit 2610 is displayed as '30 minutes'. Furthermore, if the degree of boil is set to 30 minutes, the driving time of the washing machine is increased, and thus the estimated remaining time also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degree of boil is set to 30 minutes and the driving time is increased by 30 minutes, the estimated remaining time displayed on the estimated remaining time display unit 232 may also be increased by 30 minutes.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conditions displayed on the auxiliary area 2600 may also be chang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us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코스정보표시화면(200)은 선택된 코스의 저장 또는 삭제를 선택할 수 있는 저장및삭제영역(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설정코스를 사용자코스로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코스로 이미 선택된 코스를 사용자코스에서 삭제할 수 있는 영역이다. 도 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 저장한 사용자코스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 저장및삭제영역(270)은 삭제여부를 문의하는 삭제선택부(272)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저장된 사용자코스이므로 또 다시 사용자코스로 저장할 것을 문의하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미 저장된 사용자코스 중에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삭제여부를 문의하는 삭제선택부(272)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5,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may include a storage and deletion area 270 for selecting to save or delete the selected course. This is an area in which the user can save a preset course selected by the user as a user course or delete a course already selected as the user course from the user course. 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selects one of the user courses already stor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torage and deletion area 270 may display a deletion selection unit 272 that inquires whether or not to delete. This is because it's already stored user course, so it's meaningless to ask to save as user course again. Therefore, when displaying any one of the user courses already stored, the deletion selection unit 272 may be displayed to ask the user whether or not to delete.

한편, 도 6, 도 7 또는 도 9와 같이 코스정보표시화면(200)에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정보, 부가정보 또는 구동조건을 변경한 경우에 저장및삭제영역(270)은 저장여부를 문의하는 저장선택부(274)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코스라 하여도 사용자가 다시 구동조건, 부가정보 등을 변경하였으므로 사용자에게 새롭게 사용자코스로 저장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기설정코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y one of the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conditions displayed on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is changed as shown in FIG. The storage selector 274 may be displayed. This is because, even in the user course, since the user has changed the driving conditions, additional information, etc., it is preferable to ask the user whether to save as the user course. The case in which one of the preset courses is selec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10은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탁대상물을 드럼의 내부로 투입하고 도어(60)를 닫은 상태에서 구동 및 일시정지버튼(50)을 눌러서 세탁장치의 구동을 시작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FIG. 10 illustrates a display when the user starts driving the washing apparatus by pressing the driving and pause button 50 while the user inserts the laundry object into the drum and closes the door 60 in the state of FIG. 5.

도 10을 참조하면, 세탁장치가 구동을 시작하면 디스플레이(40)는 구동 중에 세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화면(300) 또는 구동표시화면(30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washing apparatus starts to drive, the display 40 includes a third screen 300 or a driving display screen 300 which display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washing during driving.

구동표시화면(300)은 선택한 코스, 예상 잔여 시간 및 해당 행정 중에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구동표시영역(310)을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display screen 300 may include a driving display area 310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selected course, an estimated remaining time, and a corresponding stroke.

구동표시영역(310)의 소정위치, 예를 들어 상부에는 선택한 코스의 명칭 및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는 명칭표시영역(3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코스에 따라 세탁장치를 구동하는 경우라면 아이콘에 사용자코스를 표시하는 사용자심벌(1112)을 구비할 수 있다.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display region 310, a name display region 312 may be provided to display a name and an icon of a selected course. In this case, when driving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user course, a user symbol 1112 for displaying the user course on the icon may be provided.

또한, 구동표시영역(310)은 예상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잔여시간표시영역(314)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된 코스, 세탁대상물의 양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잔여 시간을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display area 310 may include a remaining time display area 314 that displays an estimated remaining time. The remaining tim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lected course, the amount of laundry and the passage of time.

나아가, 구동표시영역(310)은 해당 행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행정표시영역(316)을 구비할 수 있다. 행정표시영역(316)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및/또는 건조행정과 같은 정보를 비롯하여 포량감지상태, 세탁수 공급상태, 세제 공급 상태와 같은 세부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사용자가 구동 및 일시정지버튼(50)을 누름에 따라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상태임을 표시한다. 제어부는 포량감지를 통하여 정확한 포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포량에 따른 정확한 예상 소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도어(60)가 닫혀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메시지창(340)이 생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drive display area 310 may include a stroke display area 316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troke. The administration display area 316 may provide information such as a washing stroke, a rinsing stroke, a dehydrating stroke, and / or a drying stroke, as well as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a quantity detection state, a washing water supply state, and a detergent supply state. In FIG. 10, the user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the amount of the amount of the amount of detected amount is detected as the user presses the driving and pause button 50. The controller may detect the correct amount of quantity through the quantity of detection and display the accurate estimated time according to the detected amount of quantity. In addition, a separate message window 340 may be generated to indicate that the door 60 is closed.

한편, 구동표시화면(300)은 제1 화면(100)으로 돌아갈 수 있는 '홈(home)' 영역(320)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홈영역(320)을 선택하게 되면 구동표시화면(300)이 제1 화면(100)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다만, 세탁장치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홈영역(320)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세탁장치의 구동 중에 사용자가 홈영역의 선택에 의해 제1 화면으로 돌아가서 세탁코스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세탁장치의 구동 중에 사용자가 구동 및 일시정지버튼(50)을 눌러서 세탁장치의 구동을 일시 멈춘 경우에는 홈영역(32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세탁장치의 구동이 일시 멈추게 되었으므로 제1 화면(100)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driving display screen 300 may include a 'home' area 320 that may return to the first screen 100. When the user selects the home area 320, the driving display screen 300 is switched to the first screen 100. However, when the washing apparatus is being driven, the home region 320 may be deactivated. This is to prevent the user from returning to the first screen and changing the washing course by selecting the home area while the washing apparatus is being driv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auses the driving of the washing machine by pressing the drive and pause button 50 during the driving of the washing machine, the home area 320 may be activated.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turn to the first screen 100 because the driving of the washing machine is paused by the user's selection.

한편, 구동표시화면(300)은 어린이 등이 세탁장치를 조작하여 세탁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위 '차일드락(child lock)' 여부를 표시하는 차일드락표시부(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차일드락 기능의 활성화는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다른 조작부, 예를 들어 구동 및 일시정지버튼(50)을 소정시간 동안 누르는 경우에 활성화될 수 있다. 차일드락의 해제는 활성화와 마찬가지의 방법, 예를 들어 구동 및 일시정지버튼(50)을 소정시간 동안 누르는 경우에 해제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display screen 300 may further include a child lock display unit 330 indicating whether or not a child lock is used to prevent a laundry machine from malfunctioning by operating a laundry machine. have. The activation of the child lock function may be activated when another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for example, the driving and pause button 50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release of the child lock may be relea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ctivation,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and pause button 50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포량감지가 끝나게 되면 도 11과 같이 세탁대상물의 추가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대상물의 추가문의는 전술한 행정표시영역(316)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포량감지가 종료되면, 선택한 코스에 따라 세탁장치를 구동하기에 앞서서 최종적으로 세탁대상물의 추가여부를 문의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세탁대상물이 있는 경우에 도어(60)를 개방하여 추가할 수 있다. 도어(60)의 개방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다시 포량을 감지하여 추가된 세탁대상물을 반영하여 예상 잔여 시간을 다시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에 도어(60)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추가 세탁대상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된 코스에 따라 세탁장치를 구동하게 된다.When the quantity detection is finished, it can be inquired whether the laundry object is added as shown in FIG. 11. Further inquiries of the laundry object may be made through the above-described administrative display area 316. That is, when the quantity detection is finished, the control unit finally inquires whether to add the laundry object before driving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lected course. At this time, if there is a laundry object to be added by the user can be added by opening the door 60.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6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may again detect the amount of water and reflect the added laundry object to calculate and display the estimated remaining time again. On the other hand, if the opening of the door 60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re is no additional laundry object and drives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lected course.

한편, 구동표시영역(310)은 세탁장치의 구동 중에 소요시간 및 잔여시간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시간표시영역(31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표시영역(318)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표시영역(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요시간 및/또는 잔여시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간표시영역(318)을 도시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비례하여 시간표시영역(318)을 따라 상이한 색깔의 바(bar)(319)가 진행하여 상기 바(bar)로 시간표시영역(318)을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잔여시간표시영역(314)을 통하여 잔여시간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시간표시영역(318)을 통하여 전체 소요시간 중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였고, 또한 어느 정도의 시간이 남았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display area 310 may further include a time display area 318 that can visually display the required time and the remaining time during the driving of the laundry machine. For example, the time display area 318 may be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driving display area 310 as shown in FIG. 11. Accordingly, the time display area 318 may be illustrat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required time and / or remaining time as time passes.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bars 319 of different colors may progress along the time display area 318 to fill the time display area 318 with the bar in proportion to the passage of time. have.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remaining time numerically through the remaining time display area 314, and how much time has elapsed and how much time remains in the total time required through the time display area 318.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도 12는 선택한 코스에 따라 세탁장치의 구동이 완료된 경우를 도시한다.12 illustrates a case where driving of the washing apparatus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course.

도 12를 참조하면, 잔여시간표시영역(314)에는 구동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Complete'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간표시영역(318)은 전술한 바(bar)에 의해 모두 채워져 사용자는 세탁장치의 구동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세탁장치의 구동이 완료된 경우에 구동표시화면(300)은 선택한 코스의 저장여부를 문의하는 저장표시부(350)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선택한 코스가 사용자코스에 해당하며 사용자코스의 정보를 수정하지 않고 진행한 경우에는 이미 사용자코스로 저장된 코스이기 때문에 전술한 저장표시부(350)가 표시되지 않는다. 반면에, 기설정코스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이 종료된 경우, 또는 사용자코스라 하여도 세탁정보, 부가정보 또는 구동조건 중에 적어도 하나를 수정한 경우에는 아직 사용자코스로 저장되지 않은 코스이므로 상기 저장표시부(35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표시부(350)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한 코스가 새로운 사용자코스르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12, a 'Complete' message indicating that driving is completed may be displayed in the remaining time display area 314. In addition, the time display area 318 is all filled by the bar (bar)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s completed. Meanwhile, when driving of the washing apparatus is completed, the driving display screen 300 may display the storage display unit 350 inquiring whether to store the selected course. However, when the selected course corresponds to the user course and the user course is performed without modify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course, the above-described storage display unit 350 is not displayed because the course is already stored as the user course. On the other hand, if the driving is terminat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preset courses, or if at least one of washing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conditions is modified even in the user course, the course is not yet stored as the user course. The storage display unit 350 may be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age display unit 350, the selected course is stored as a new user course.

도 13은 도 2와 같이 기설정코스가 표시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한 경우에 코스정보표시화면(200)을 도시한다.FIG. 13 illustrates a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when one course is selected when a preset cours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2.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2의 상태에서 코튼/노멀 코스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에 코튼/노멀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화면(200) 또는 코스정보표시화면(20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코스정보표시화면(200)은 전술한 도 5 내지 도 9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3, when the user selects the cotton / normal course icon in the state of FIG. 2,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second screen 200 or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cotton / normal course. have. Since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is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FIGS. 5 to 9 described above,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코스의 코스정보표시화면(200)의 명칭영역(210)에 표시되는 아이콘(212)에는 사용자코스가 아니므로 사용자코스를 표시하는 심벌을 구비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13, the icon 212 displayed on the name area 210 of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of the preset course is not a user course, and thus does not include a symbol indicating a user course.

한편, 코스정보표시화면(200)에 구비되는 저장및삭제영역(270)의 선택부 표시는 기설정코스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기설정코스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코스정보표시화면(200)으로 전환되면 저장및삭제영역(270)은 저장여부를 문의하는 저장선택부(274)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이미 기설정코스로 저장된 코스라 하여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코스로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코스의 아이콘 및/또는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시간 관련 정보, 부가정보 또는 구동조건 중에 어느 하나를 변경한 경우에도 저장및삭제영역(270)은 저장여부를 문의하는 저장선택부(274)를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of the selector of the storage and deletion area 270 provided on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when a preset course is selected.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preset courses and switches to the course information display screen 200, the storage and deletion area 270 may display a storage selection unit 274 that inquires whether to save. This is because even a course already stored as a preset course can be stored as a user course by the user's selectio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change the icon and / or name of the user course.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changes any one of time-related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conditions, the storage and deletion area 270 may display a storage selection unit 274 that inquires whether to store the data.

사용자가 저장선택부(274)를 선택하게 되면 도 14와 같이 사용자코스로 저장이 되었음을 표시하는 메시지창(275)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코스가 사용자코스로 저장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age selection unit 274, a message window 275 indicating that the user is saved as the user course may be generated as shown in FIG. 14. Thus,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desired course is stored as the user course.

한편, 사용자가 새로운 코스를 사용자코스로 저장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사용자구역의 개수에 제한이 있거나, 또는 하나의 사용자구역에 저장 가능한 사용자코스의 개수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사용자구역을 활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사용자구역에 6개의 사용자코스를 저장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stores a new course as a user course, there may be a limit on the number of available user zones or a limit on the number of user courses that can be stored in one user zone. Hereinafter, a case where one user zone can be used and six user courses can be stored in one user zone will be described.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화면(100)의 제1 영역(110)에 사용자코스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3 illustrates a display in which a user course i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110 of the first screen 100 as described above.

도 3을 참조하면, 새로운 코스를 다운받기 위한 '세탁 성능(Wash Performance)'코스와 사용자가 이미 저장한 '코튼/노멀(Cotton/Normal)' 코스가 표시된다. 세탁성능코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세탁장치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코스가 개발된 경우에 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세탁성능코스는 제품 출하 시에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제공되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삭제될 수 없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Wash Performance' course for downloading a new course and a 'Cotton / Normal' course already stored by the user are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performance course is defined as a space in which a new course applicable to the washing apparatus can be downloaded when a new course is developed. Therefore, the washing performance course is basically stored and provided at the time of product shipment, and can be defined as a space that cannot be arbitrarily deleted by the user.

한편, 도 3에 도시된 코튼/노멀 코스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코스로 저장된 코스이다. 사용자코스로 저장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코스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코스로 저장하거나, 또는 이미 사용자코스로 저장된 코스의 세탁정보, 부가정보 또는 구동조건을 변경하여 사용자코스로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전술한 저장및삭제영역(270)의 저장선택부(274)를 선택하거나 또는 저장표시부(350)를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코스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코스는 사용자가 저장하는 순서대로 사용자구역(1100)에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순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코스를 표시하는 아이콘을 드래그(drag)하여 그 위치를 서로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tton / normal course shown in FIG. 3 is a course stored as a user course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storing as a user course is to select one of the preset courses and store it as a user course, or change the washing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or driving conditions of a course already stored as a user course and store it as a user course. Can be. Specifically,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age selection unit 274 of the storage and deletion area 270 described above or the storage display unit 350, the user course may be stored. On the other hand, the user course may be displayed in the user area 1100 in the order in which the user stores. Furthermore, the order may be adjusted by the user's selection. For example, in the screen of FIG. 3, a user may drag an icon indicating a user course and change its position.

그런데, 하나의 사용자구역에 6개의 사용자코스를 저장할 수 있는 경우라면 기본적인 세탁성능코스를 제외하고 최대 5개의 사용자코스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사용자구역에 이미 최대 개수의 사용자코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미 저장된 어느 하나의 사용자코스가 삭제되어야 새로운 코스가 사용자코스로 저장될 수 있다. 삭제대상이 되는 사용자코스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순서대로 살펴본다.However, if six user courses can be stored in one user area, up to five user courses can be stored except for the basic washing performance course. Therefore, when a maximum number of user courses are already stored in one user area, any one user course already stored must be deleted before the new course can be stored as a user course. The user course to be deleted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controller or determined by the user's selection. In the following, it looks in order.

제어부에 의해 삭제대상이 되는 사용자코스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나의 사용자구역에 최대 개수의 사용자코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저장및삭제영역(270)의 저장선택부(274)를 선택하거나 또는 저장표시부(350)를 선택한 경우에 제어부는 사용자구역에 가장 먼저 저장된 사용자코스를 삭제하고 새로운 코스를 사용자코스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에 의해 가장 먼저 저장된 사용자코스를 자동으로 삭제하고 새로운 코스를 사용자코스로 저장하는 것이다. 물론, 삭제 대상 코스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에게 삭제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삭제에 동의하지 않으면 차순위로 저장된 사용자코스를 삭제하도록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The method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a user course to be deleted by the controller is as follows. When the maximum number of user courses are stored in one user area,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age selection unit 274 of the storage and deletion area 270 or the storage display unit 350, the control unit is located in the user area. You can delete the first saved user course and save the new course as a user course. That is,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deletes the first stored user course and stores the new course as the user cours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sk the user whether or not to delete by presenting the course to be deleted to the user. In this case, if the user does not agree to delete, the user may be asked to delete the next stored user course.

한편, 삭제대상이 되는 사용자코스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을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5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삭제될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화면(100)을 도시한 도면이다.Meanwhile,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 course to be deleted by the user's sel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screen 100 in which a course to be deleted may be selected by a user's selection.

도 15를 참조하면, 하나의 사용자구역에 최대 개수의 사용자코스가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새로운 코스를 사용자코스로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구역에 구비된 사용자코스를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도록 각 사용자코스에 삭제심벌(1114)이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코스는 사용자가 저장한 코스임을 나타내는 사용자심벌(111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삭제심벌(1114)은 전술한 사용자심벌(1112)이 변환되어 아이콘(1110)에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삭제하고자 하는 코스의 삭제심벌(1114)을 선택하여 코스를 삭제하고 새로운 코스를 사용자코스로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when a maximum number of user courses are stored in one user area, and a user wants to save a new course as a user course, each user course can be selectively deleted in the user area. Delete symbol 1114 may b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ourse may include a user symbol 1112 indicating that the course is stor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delete symbol 1114 may be generated in the icon 1110 after the above-described user symbol 1112 is converted.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the deletion symbol 1114 of the course to be deleted to delete the course and store the new course as the user course.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사용자구역에 둘 이상의 사용자코스를 구비하는 경우에 사용자코스가 소정개수끼리 집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구역에 하나의 폴더를 생성하여 상기 폴더에 사용자코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폴더의 생성은 '설정(set up)'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사용자코스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다른 하나의 사용자코스에 겹치게 놓는 경우에 자동으로 폴더가 생성될 수 있다. 폴더 명칭은 물론 설정 아이콘의 선택에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wo or more user courses are provided in one user area, a predetermined number of user courses may be collected and displayed. For example, one folder can be created in a user zone to store user courses in that folder. Creation of such a folder may be possible by selection of a 'set up' icon. In addition, a folder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when a user drags one user course icon to overlap another user course. The folder name may of course be selected for the setting icon.

한편, 전술한 세탁장치의 설명은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의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또는 건조 및 세탁을 수행하는 건조겸용 세탁기의 경우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washing machine described above was described as the case of the washing machine to perform the wash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may be sufficiently applied even in the case of a dryer for drying or a combined-use washing machine for drying and washing.

10...세탁장치. 20...캐비닛
30...컨트롤패널 40...디스플레이
50...구동및일시정지버튼 60...도어
100...제1 화면 110...제1 영역
120...제2 영역 130...제3 영역
200...제2 화면 210...명칭영역
230...시간정보영역 250...부가영역
300...구동표시화면 2500...주영역
2600...보조영역
10 ... washing machine. 20 ... cabinet
30.Control panel 40 ... Display
50 Drive and Pause Buttons 60 Door
100 ... First Screen 110 ... First Area
120 ... Second Zone 130 ... Third Zone
200 ... Second Screen 210 ... Name Area
230 ... Time information area 250 ... Additional area
300 ... Drive display 2500 ... Main area
2600 ... Secondary area

Claims (19)

세탁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코스를 표시하는 제1 영역과 세탁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구비하는 제1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And a first screen having a first area displaying at least one course of the laundry machine and a second area display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undry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gion is changed continuous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코스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구역과 상기 세탁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코스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irst region includes at least one user zone having at least one user course and at least one preset zone having at least one preset course of the laundry mach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구역과 상기 기설정구역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user zone and the preset zo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tinuously chan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구역과 상기 기설정구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스크롤되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user zone and the preset zone are sequentially scrolled and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first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구역과 상기 기설정구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user zone and the preset zone are sequentially scro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구역과 상기 기설정구역 중에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되어 표시되는 경우에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when one of the user zone and the preset zone is fixedly displayed in the first area, the other is no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코스는 명칭, 아이콘 중에 적어도 하나가 변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user course is a laund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name, icon is changeab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사용자구역에 표시될 수 있는 최대 개수 이상의 사용자코스가 저장되는 경우에 가장 먼저 저장된 사용자코스가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ored user course is deleted when the maximum number of user courses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one user area is stor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사용자구역에 표시될 수 있는 최대 개수 이상의 사용자코스가 저장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 저장된 사용자코스가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aund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ed user courses are deleted by the user's selection when the maximum number of user courses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one user zone is stor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사용자구역에 상기 사용자코스가 소정개수끼리 집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he user course is displayed in the one user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구역에 표시된 상기 사용자코스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사용자코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2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when the user course displayed in the user area is selected, a laundry screen is switched to a second screen in which at least on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user course is display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표시되는 정보가 상기 사용자코스 임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징(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second screen includes at least one symbol (symbol) indicating that the displayed information is the user cours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선택된 코스에 대한 명칭을 표시하는 명칭영역과, 상기 선택된 코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부가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부가정보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screen includes a name area for displaying a name of the selected course,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for displaying at least on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course and modify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선택된 코스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수정할 수 있는 시간정보영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탁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second screen further comprises a time information area for displaying and modifying at least one tim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urse.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선택된 사용자코스를 저장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저장및삭제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The second screen further comprises a storage and deletion area for storing or deleting the selected user cours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및삭제영역은 상기 제2 화면으로 전환되는 경우에 삭제표시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storage and deletion area displays a deletion display unit when the storage and deletion area is switched to the second scree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영역, 부가정보영역 또는 시간정보영역의 선택에 의해 상기 사용자코스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수정되면 상기 수정된 사용자코스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및삭제영역이 저장표시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세탁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when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user course is modified by selecting the name area,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or the time information area, the storage and deletion areas display a storage display unit so as to store the modified user course. Laundry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화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cond area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screen.
KR1020110072758A 2011-07-22 2011-07-22 Washing machine KR201300115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758A KR20130011536A (en) 2011-07-22 2011-07-22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758A KR20130011536A (en) 2011-07-22 2011-07-22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536A true KR20130011536A (en) 2013-01-30

Family

ID=4784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758A KR20130011536A (en) 2011-07-22 2011-07-22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153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744A1 (en) * 2022-09-27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744A1 (en) * 2022-09-27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1537A (en) Washing machine
CN106245282B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EP0844326B1 (en) Control system of the consumptions of a household appliance
KR102504104B1 (en) Washing machine, Mobil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1830733B1 (en) Laundry Machine
CN104508197B (en) Operation device
EP266248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KR101710399B1 (en) Method for contolling a laundry machine
CN106480659B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502522A (en) Control panel and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furth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221077B2 (en)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 equipment control system, electrical equipment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KR20140002617A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controller for an electrical energy supply network having an associated data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ler of a household appliance on said energy supply network
CN106480658B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3530698U (en) Washing machine
US7787964B2 (en) Operating and display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and system
WO2012053158A1 (en)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KR101850717B1 (en) Laundry machine
KR101820963B1 (en)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omponent
KR20130011538A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KR20120080082A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CN111172705A (en) Program recommendation control method for household appliances
KR20120084494A (en) Laundry machine
KR20130011536A (en) Washing machine
CN111206377B (en) Parameter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household appliance
CN109116755A (en)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