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773A -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773A
KR20130010773A KR1020110071628A KR20110071628A KR20130010773A KR 20130010773 A KR20130010773 A KR 20130010773A KR 1020110071628 A KR1020110071628 A KR 1020110071628A KR 20110071628 A KR20110071628 A KR 20110071628A KR 20130010773 A KR20130010773 A KR 20130010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tab
division
print target
target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0773A/ko
Priority to US13/445,964 priority patent/US20130021645A1/en
Publication of KR2013001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25Managing optional units, e.g. sorters, document feeders
    • G06K15/403Managing optional units, e.g. sorters, document feeders handling the outputted documents, e.g. staplers, sorters
    • G06K15/404Managing other optional outputs, e.g. collators, stap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4Forming notches in marginal portion of work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63Controlling cutting, cutting resulting in special shapes of the cutting line, e.g. controlling cutting positions, e.g. for cutting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a printed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6Printing mechanisms combined with apparatu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12Sheets, papers, or cards having edges cut away to facilitate indexing, e.g. thumb cuts on boo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01Input data handling means
    • G06K15/1803Receiving particular commands
    • G06K15/1806Receiving job control commands
    • G06K15/1809Receiving job control commands relating to the print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61/00Manufacturing; 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인쇄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인쇄 제어 방법은, 인쇄 대상 문서를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하기 위한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는 단계, 구분 탭 생성 기능에 따라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 복수의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 탭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인쇄 대상 문서를 인쇄하는 단계 및 인쇄된 인쇄 대상 문서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결정된 구분 탭 위치에서 커팅을 수행하여, 구분 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 Image forming apparatus, printing contorl terminal apparatus and printing control method and thereof }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처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 개발에 힘입어, 컴퓨터뿐만 아니라 프린터, 스캐너 등의 주변기기의 보급도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프린터의 경우, 각 제조업체에서 앞다투어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메일박스(mailbox), 피니셔(finisher), 북렛(booklet) 등과 같은 후처리 기능도 개발되고 있다.
한편, Chapter 가 구분되어 있는 양이 많은 문서를 출력할 때, Chapter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탭을 붙이거나 표시를 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하게 되면 여러 부를 출력하거나 많은 chapter로 나뉘어 있는 출력물은 제본시에 사용자의 손이 많이 가게 되고, 시간적 금전적으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Chapter를 구분하기 위해서 음각 탭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문서를 전체 다 출력한 다음 제본을 위한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여 음각을 수동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에 따라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제본소를 찾아다녀야 하는 시간적 공간적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구분하는 구분 탭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은,
인쇄 대상 문서를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하기 위한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는 단계,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 탭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된 인쇄 대상 문서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결정된 구분 탭 위치에서 커팅을 수행하여, 구분 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뉴는, 자동 설정 옵션, 수동 설정 옵션 및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인쇄 대상 문서에 기설정된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수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페이지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 각각에 대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 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페이지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음각 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 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페이지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의 이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역음각 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구분 탭 위치 및 구분 탭 개수에 대한 프리뷰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 대상 문서는, 제본 원고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구분하기 위한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 탭 위치를 결정하는 구분 탭 설정부,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인쇄하는 출력부, 및 상기 인쇄된 인쇄 문서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결정된 구분 탭 위치에서 커팅을 수행하여 구분 탭을 생성하도록 인쇄 후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메뉴는, 자동 설정 옵션, 수동 설정 옵션 및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인쇄 대상 문서에서 기설정된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페이지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 각각에 대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페이지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 이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음각 탭을 생성하거나,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페이지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 이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역음각 탭을 생성하도록 상기 인쇄 후처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인쇄 제어 단말 장치는,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구분하기 위한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 탭 위치를 결정하는 구분 탭 설정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인쇄된 인쇄 문서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결정된 구분 탭 위치에서 커팅을 수행하여 구분 탭을 생성하도록 인쇄 후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메뉴는, 자동 설정 옵션, 수동 설정 옵션 및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인쇄 대상 문서에서 기설정된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페이지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 각각에 대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결정된 구분 탭 위치 및 구분 탭 개수에 대한 프리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제어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각 탭 생성을 위한 커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방향 음각 탭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역방향 음각 탭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장치와 연결가능하고, 자원절약모드를 지원하고, 문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와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기능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화상 처리를 위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는 인쇄 이미지 또는 스캔 이미지를 입력받고, 생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입력부(110)는 호스트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버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 또는 에뮬레이션(emulation) 등을 통해 생성된 RGB 렌더링(rendering) 이미지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복사의 경우에는 RGB 센서로 스캔된 스캔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RGB 공간의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화상 처리부(12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입력 데이터에 대한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화상처리부(120)는 RGB로 생성된 채널별 8 bit 이미지를 컬러 변환을 통해 CMYK 색상을 갖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에 대해 화질 개선을 수행하고, 하프토닝을 통해 1bit 이미지(이진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화상 처리부(120)에 의해 화상처리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레이저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OPC(미도시) 표면은 대전 유닛(미도시)에 의해 대전되고, 대전된 영역 상에는 LSU(미도시)에 의해 잠상(latent image)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상 유닛(미도시)에 의해 현상이 이루어지면 잠상에 토너가 부착되어, 전사 유닛(미도시)에 의해 용지 측으로 전사된다. 전사된 토너는 정착 유닛(미도시)에 의해 용지에 정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명령이 입력되는 조작키(미도시) 및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창(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진행 중인 잡의 진행 사항 및 그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종 인쇄 잡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 제어할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구분하기 위한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는, 자동 설정 옵션, 수동 설정 옵션 및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결정된 구분 탭 개수 및 위치에 대한 미리 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분 탭 설정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구분 탭 생성 기능이 설정되면,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고, 복수의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 탭 개수 및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분 탭 설정부(150)에 의해 인쇄 대상 문서에 대한 구분 탭 개수 및 위치가 설정되면,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 보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출력부(130)는 해당 인쇄 대상 문서에 대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기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구분 탭 개수 및 위치가 설정된 인쇄 대상 문서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출력된 인쇄 대상 문서에 대해 구분 탭을 생성하도록 인쇄 후처리 장치 예를 들어, 커터(cutter)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커터는 인쇄 후처리 장치 중 피니셔(finisher)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60)는 네트워크를 통한 외부장치(미도시)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DLNA 네트워크, 로컬 방식,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어 PC와 같은 호스트 장치가 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0)는 구분 탭 생성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각 탭 생성 형태, 구분 탭 개수 및 위치 설정 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자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인쇄 대상 문서에서 기설정된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도록 구분 탭 설정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수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페이지 정보에 따라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도록 구분 탭 설정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 각각에 대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도록 구분 탭 설정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 이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음각 탭을 생성하도록 인쇄 후처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페이지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 이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역음각 탭을 생성하도록 인쇄 후처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구분 탭 설정과 관련된 기능이 화상형성장치(10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을 통해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상술한 모든 기능들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프린터 드라이버(미도시) 또는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제어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인쇄제어단말장치(200)는 자원절약모드를 지원하고, 문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다. 인쇄제어단말장치(100)는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PDA, PMP, 휴대폰 등을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되며, 인쇄 잡에 대한 변환된 인쇄 데이터(변환된 문서데이터 및 선택된 출력옵션 정보 등)를 화상형성장치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인쇄제어장치(100)를 화상형성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병렬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무선 모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스캔 대상 페이지에 대한 프리 스캔 또는 메인 스캔된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인쇄제어단말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출력할 문서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문서데이터에 적용될 출력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인쇄제어단말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구분하기 위한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는, 자동 설정 옵션, 수동 설정 옵션 및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결정된 구분 탭 개수 및 위치에 대한 미리 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에 표시되는 객체 및 표시 형태 등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분 탭 설정부(2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구분 탭 생성 기능이 설정되면,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고, 복수의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 탭 개수 및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분 탭 설정부(230)에 의해 인쇄 대상 문서에 대한 구분 탭 개수 및 위치가 설정되면,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 보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구분 탭 설정부(230)의 기능은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적어도 하나의 언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해당 언어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문서를 인쇄하려는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는 사용자가 인쇄 잡을 수행하고자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인식 가능한 인쇄 언어 형태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통신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수신한 화상형성장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40)는 상술한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 모델별 지원하는 인쇄 옵션, 지원하는 인쇄 언어 정보 등이 저장된 스크립터를 기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기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인쇄제어단말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250)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선택된 출력옵션에 따라 인쇄 잡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50)는 구분 탭 개수 및 위치가 설정된 인쇄 대상 문서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출력된 인쇄 대상 문서에 대해 구분 탭을 생성하도록 인쇄 후처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처리 장치의 피니셔(Finisher)에 음각탭의 구성페이지 Start/End Page, Cutting 하는 범위 등을 알려줄 수 있다. 이는 PJL Command 나 출력 데이터 내에서 특정 커맨드(command)로 음각탭의 위치, 시작페이지, 종료페이지, 음각탭 구성 페이지 개수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니셔(Finisher)에서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Cutter의 위치 및 Cutting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인쇄제어단말장치(200)가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가능한 화상형성잡의 한도 내에서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적용되는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쇄 제어 단말 장치의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제공하는 메뉴 형태로 도시하였으며, 이하에서는 구분 탭을 음각 탭으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따르면, 음각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는 자동 설정 옵션, 수동 설정 옵션 및 한부 음각 탭 설정 옵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옵션 형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각 설정 옵션에 따른 음각 탭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자동 설정 옵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자동 설정 옵션을 선택한 경우, 인쇄 대상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기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음각 탭의 개수와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F나 Microsoft Word의 목차에 연결되어 있는 페이지를 음각탭의 Chapter 설정으로 가정하면, 총 Chapter 수를 계산하고, 인쇄 용지의 옆면의 길이를 "총 chapter의 수 + 1" 로 나누어 구분 탭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개의 Chapter가 존재하며 인쇄 용지의 옆면 길이가 297mm 인 경우, 297mm 를 11(총 chapter의 수 + 1)로 나눈 결과인 27mm 단위로 구분 탭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첫번 째 음각 탭 위치는 인쇄 용지의 상단으로부터 27mm 떨어진 위치가 될 수 있고, 두번 째 음각 탭 위치는 인쇄 용지의 상단으로부터 54mm 떨어진 위치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번 째 음각 탭 위치는 인쇄 용지의 상단으로부터 81mm 떨어진 위치가 되며, 열번 째 음각 탭 위치는 인쇄 용지의 상단으로부터 270mm 떨어진 위치가 될 수 있다.
수동 설정 옵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 설정 옵션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인쇄 페이지에 음각 탭이 설정될 수 있다.
한부 음각 탭 설정 옵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한부 음각 탭 옵션을 선택하여, 사용자는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에 대해 음각 탭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한부 음각 탭 옵션을 선택한 경우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 각각에 대한 음각 탭의 개수 및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10개의 인쇄 대상 문서를 한 권의 책으로 제본하기 위해서는 인쇄 대상 문서를 각각 출력하여 한 권의 책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 경우, 첫번 째 문서는 1 / 10 으로 설정하고, 두번 째 문서는 2 / 10 으로 설정하고, 세번 째 문서는 3 / 10 으로 설정하고, 열번 째 문서는 10 / 10 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 각각에 대해 음각 탭을 설정하여 한 권의 책으로 제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역음각 탭 설정 기능, 음각 커팅(Cutting) 매수 설정 기능 등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음각 커팅 매수 설정 기능은 하나의 음각 탭을 설정함에 있어 커팅이 수행되는 페이지 수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며, 역음각 탭 설정 기능을 음각 탭 형태를 역으로 설정하는 기능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각 탭 생성을 위한 커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될 data가 실제 Chapter로 구분되어 있는지, Chapter를 구분하여 음각 탭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이 경우 후처리 장치에 커팅 기능이 있는지 확인하고 Chapter 이전에 페이지가 음각탭을 구성하는데 충분한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분할 Chapter의 개수를 확인하여 음각 탭을 Cutting 할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이는 인쇄물의 옆면 길이와 출력되는 페이지의 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어서, 출력부에서 인쇄를 수행하고, 음각 탭을 구성하기 위해 음각을 Cutting 해야 할 페이지가 출력되면 후처리 장치(예를 들어, Finisher 및 Cutter)에서 각 페이지마다 음각 탭을 위한 Cutting 작업을 수행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방향 음각 탭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하고자 하는 페이지 구간의 이전 페이지들에서 커팅을 수행하여 음각 탭을 생성할 수 있다.
커터(Cutter)가 일정한 직경의 원 형태인 경우, 커팅 영역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커터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페이지의 중앙 쪽으로 이동하여 커팅을 수행할 수 있다(P-50부터 P-1까지). 여기서, P로 표시된 페이지는 Capter의 첫 페이지이며, P-1은 Capter의 첫 페이지 이전 페이지이며, P-2는 Capter의 첫 페이지 이이전 페이지가 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가 되는 Chapter의 첫 페이지(P)는 커팅을 하지 않음으로써 음각 탭을 완성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역방향 음각 탭(역음각 탭)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에 도시된 방법과 반대의 순서로 커팅을 수행하여 역방향 음각 탭을 생성할 수 있다.
순방향 음각 탭과는 달리 역방향 음각 탭은 커팅 영역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커터의 위치를 페이지의 외곽 쪽으로 이동하여 커팅을 수행할 수 있다(P부터 P+50까지). 여기서, P로 표시된 페이지는 Capter의 첫 페이지이며, P+1은 Capter의 첫 페이지 다음 페이지이며, P+2는 Capter의 첫 페이지 다다음 페이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순방향 음각 탭과는 달리 목표가 되는 Chapter의 첫 페이지(P)는 커팅을 수행함으로써 음각 탭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Chapter로 구분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여러 문서를 같이 출력할 경우 각 문서를 Chapter로 간주하여 음각 탭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을 원하는 문서의 리스트를 입력하면 각 문서를 Chapter로 간주하고 음각 탭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스트에 있는 문서의 총 개수를 Chapter의 총 개수로 판단하고, 문서 리스트의 순서대로 음각 탭의 위치를 결정하여 커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인쇄 대상 문서를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하기 위한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으면(S610), 구분 탭 생성 기능에 따라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한다(S620). 여기서, 인쇄 대상 문서는, 제본 원고가 될 수 있다.
이어서, S620 단계에서 분류된 복수의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 탭 위치를 결정한다(S630).
이어서, 인쇄 대상 문서를 인쇄한다(S640).
이 후, 인쇄된 인쇄 대상 문서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결정된 구분 탭 위치에서 커팅을 수행하여, 구분 탭을 생성한다(S650).
또한, S610 단계에서는,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뉴는 자동 설정 옵션, 수동 설정 옵션 및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S620 단계에서는, 자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인쇄 대상 문서에 기설정된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S620 단계에서는, 수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페이지 정보에 따라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S620 단계에서는,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 각각에 대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구분 탭을 생성하는 S650 단계에서는,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페이지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음각 탭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구분 탭을 생성하는 S650 단계에서는,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의 이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역음각 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S630 단계에서 결정된 구분 탭 위치 및 구분 탭 개수에 대한 프리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이 인쇄제어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 즉, 인쇄 기능 및 커팅 기능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많은 양의 문서를 출력할 때 Chapter 별로 구분자를 두어 찾기 쉽도록 인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한 원형의 커팅 장치를 통해서 음각 탭을 구성할 수 있어 소규모의 사용자에게도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본 기능을 구비하는 Copier와 같은 대형의 인쇄 장치에서는 음각 탭 생성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매체, 즉,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입력부
120: 화상 처리부 130: 출력부
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50: 구분 탭 설정부
160: 통신 인터페이스부 170: 저장부
180: 제어부

Claims (20)

  1. 인쇄 대상 문서를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하기 위한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는 단계;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 탭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된 인쇄 대상 문서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결정된 구분 탭 위치에서 커팅을 수행하여, 구분 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뉴는, 자동 설정 옵션, 수동 설정 옵션 및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인쇄 대상 문서에 기설정된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수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페이지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 각각에 대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페이지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음각 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페이지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의 이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역음각 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구분 탭 위치 및 구분 탭 개수에 대한 프리뷰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 문서는,
    제본 원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10.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구분하기 위한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 탭 위치를 결정하는 구분 탭 설정부;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인쇄하는 출력부; 및
    상기 인쇄된 인쇄 문서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결정된 구분 탭 위치에서 커팅을 수행하여 구분 탭을 생성하도록 인쇄 후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메뉴는, 자동 설정 옵션, 수동 설정 옵션 및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인쇄 대상 문서에서 기설정된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페이지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 각각에 대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페이지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 이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음각 탭을 생성하거나,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중 하나의 페이지 구간을 구성하는 첫페이지 이후 페이지들에 대해 커팅 크기가 순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역음각 탭을 생성하도록 상기 인쇄 후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인쇄 제어 단말 장치에 있어서,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구분하기 위한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페이지 구간 별로 구분 탭 위치를 결정하는 구분 탭 설정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인쇄된 인쇄 문서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결정된 구분 탭 위치에서 커팅을 수행하여 구분 탭을 생성하도록 인쇄 후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단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구분 탭 생성 기능을 설정받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메뉴는, 자동 설정 옵션, 수동 설정 옵션 및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인쇄 대상 문서에서 기설정된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페이지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한부 구분 탭 설정 옵션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인쇄 대상 문서 각각에 대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 문서를 복수의 페이지 구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결정된 구분 탭 위치 및 구분 탭 개수에 대한 프리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 장치.
KR1020110071628A 2011-07-19 2011-07-19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KR20130010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628A KR20130010773A (ko) 2011-07-19 2011-07-19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US13/445,964 US20130021645A1 (en) 2011-07-19 2012-04-13 Image forming apparatus, printing control terminal apparatus, printing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628A KR20130010773A (ko) 2011-07-19 2011-07-19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773A true KR20130010773A (ko) 2013-01-29

Family

ID=4755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628A KR20130010773A (ko) 2011-07-19 2011-07-19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21645A1 (ko)
KR (1) KR201300107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8895A (ja) * 2010-12-08 2012-07-19 Canon Inc データ作成装置、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200669A1 (en) * 2015-06-07 2016-12-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related application windows
CN108038779A (zh) * 2017-12-08 2018-05-15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面签身份审核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4868A1 (en) * 2000-05-17 2001-11-22 Tomas Roztocil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representation and manipulation of tabs on a production printer
JP2008023831A (ja) * 2006-07-20 2008-02-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で実行される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を制御する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JP5884491B2 (ja) * 2011-02-01 2016-03-15 株式会社リコー 印刷制御プログラム、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21645A1 (en)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593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job processing method, printing system, and program
US8115949B2 (en) Image form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JP2008110576A (ja) 印刷装置及びその印刷実行方法、並びに印刷実行のプログラム
JP6238711B2 (ja) 印刷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55154B2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inter driver recorded thereon, copying machine, and multi-function peripheral
US20080184156A1 (en) Controll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ling program
US91418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edi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6568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JP2007233591A (ja) プリンタドライバおよびそのテスト印刷方法、印刷装置
US9076096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rint setting information
US1098374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and an external server configured in a case image information in an unsupported format is not supported, controls so as to perform conversion of the unsupported format
KR20130010773A (ko) 화상형성장치, 인쇄 제어 단말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JP5577766B2 (ja)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US2011022211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printing instruction apparatus,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ed with a progra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or printing instruc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111758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JP450684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デバイスドライバ並びに印刷制御方法
JP2015207056A (ja) 機能設定プログラム、機能設定方法
JP2009233947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06654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リンタドライバプログラム
US8773711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display setting screen based on selected printer driver
JP725527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10602005B2 (en) Image forming system, printer dri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electronic file
US2023028910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802425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0188598A (ja) 印刷装置、ドライバープログラム、印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