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756A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756A
KR20130010756A KR1020110071601A KR20110071601A KR20130010756A KR 20130010756 A KR20130010756 A KR 20130010756A KR 1020110071601 A KR1020110071601 A KR 1020110071601A KR 20110071601 A KR20110071601 A KR 20110071601A KR 20130010756 A KR20130010756 A KR 20130010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olicy
data
movement trend
network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407B1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4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을 개시한다. 즉, 정책관리장치가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로그데이터수집단계; 상기 정책관리장치가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이동추이판단단계; 상기 정책관리장치가 상기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 정책제공단계; 상기 송신장치가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단계; 및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단말장치의 이동 추이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함으로써,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서 최적의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접속을 효율적으로 통제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데이터 동시 전송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시 전송하는데 있어서, 단말장치의 이동 추이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과, 송신장치 및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 그리고 정책관리장치 및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접속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접속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정책관리장치가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며, 상기 송신장치가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장치의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판단되는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며,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며,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장치의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 정책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장치의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송신장치는,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송신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송신장치는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획득부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하여,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책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시간대 별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획득부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하여,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책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획득부는, 현재 위치에서 수집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하여,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책관리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획득부는,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하여, 정책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센싱신호를 토대로 판단되는 이동 추이에 대응하도록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정책관리장치는,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보관리부;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이동성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 정책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관리부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부터 시간대 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성판단부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책요청에 따라,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한 해당 시간대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성판단부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책요청에 따라,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한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성판단부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위치에서 수집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에 따라,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특정 송신장치의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성판단부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에 따라, 상기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은, 정책관리장치가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로그데이터수집단계; 상기 정책관리장치가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이동추이판단단계; 상기 정책관리장치가 상기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 정책제공단계;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송신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단계; 및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판단되는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단계;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네트워크선택단계;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보관리단계;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이동추이판단단계; 상기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는 정책결정단계; 및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 정책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관리단계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부터 시간대 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획득단계; 및 상기 로그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추이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정책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한 해당 시간대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추이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정책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한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추이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수집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송신장치의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추이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시 전송하는데 있어서, 단말장치의 이동 추이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함으로써,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서 최적의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접속을 효율적으로 통제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데이터 분할 전송을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며,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는 송신장치서의 단말장치(1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장치(400)로부터 결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500) 및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구성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관리장치(400)에서 세션 분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 각각과 연결되기 때문에 관리장치(400) 입장에서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단말장치(100)의 링크라는 것을 인지하고 하나의 단말장치(100) 즉 하나의 주체로 관리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동신 전송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 및 관리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기종 네트워크는 예컨대,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다양한 접속 네트워크가 해당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다시 말해 업링크 과정 및 다운링크 과정에 따라, 송신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장치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위치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장치(100)로 상정하여 설명하고, 단말장치(100)에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장치(400)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정책관리장치(400)로부터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다수의 단말장치(100)에 대해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해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예 : CDR)를 수집하는 정책관리장치(600)에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상기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단말장치(100)는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장치(600)에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게 된다.
예컨대, 단말장치(100)는 현재 위치에서 네트워크 스캔 동작을 통해 수집되는 네트워크 정보 다시 말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셀 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인식하고, 인식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장치(600)에 전달함으로써,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책관리장치(600)는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게 되며,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해 수집된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확인된 현재 위치에서의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함으로써,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100)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시간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 전달 이외에 예컨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서버(600)에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상기 센싱신호를 토대로 판단되는 이동 추이에 대응하도록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구성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인을 위해 스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되나, 상기와 같이 가속도 센서를 통해 현재 이동 상태가 확인될 경우, 3G 네트워크 대비 이동성 지원이 미약한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대한 스캔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스캔 동작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의 경우, 단말장치(100)가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우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에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우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단말장치(100)는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술한 동시 전송 서비스가 아닌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 하나 만을 이용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별도의 데이터 분할 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의 선택을 통해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별도의 데이터 분할 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의 선택을 통해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 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단말장치(100)는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접속대상 네트워크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별된 특정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데이터 분할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가 선택될 경우,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에 선택된 전체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즉, 관리장치(4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 및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통해 인지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장치(500)로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처럼 단말장치(100)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관리장치(400)에 의해 결합되어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되고,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로서 최종 목적지인 외부장치(500)로 전달된다.
정책관리장치(600)는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정책관리장치(600)는 다수의 단말장치(100)에 대해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부터 시간대 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예 : CDR)를 수집하게 되며, 이러한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 또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여 접속된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장치(예 : AAA)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아울러, 정책관리장치(600)는 수집된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이용시간에 대응하는 핸드오버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게 된다.
참고로, 정책관리장치(60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 별 상태정보 이외에,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한다.
즉,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시간정보가 포함된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시간정보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단말장치(100)에 대한 시간대 별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또는,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100)부터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을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단말장치(100)에 대한 지역 별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정책관리장치(6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 이외에 단말장치(100)로부터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센싱신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구성 또한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판단된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100)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한다.
즉,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100)가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우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여 이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정책관리장치(60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 이외에,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간 상대적 이용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보획득부(110),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정보획득부(110) 및 제어부(120)는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OS 커널에 탑재된 형태를 가지며, 단말장치(100)에 내장 또는 다운로드되어 탑재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동신 전송 서비스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통신부(13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며,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게 된다.
정보획득부(110)는 정책관리장치(400)로부터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한다.
즉, 정보획득부(110)는 다수의 단말장치(100)에 대해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해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예 : CDR)를 수집하는 정책관리장치(600)에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상기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정보획득부(110)는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장치(600)에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게 된다.
예컨대, 정보획득부(110)는 현재 위치에서 네트워크 스캔 동작을 통해 수집되는 네트워크 정보 다시 말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셀 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인식하고, 인식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장치(600)에 전달함으로써,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게 된다.
한편, 정보획득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시간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 전달 이외에 예컨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서버(600)에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상기 센싱신호를 토대로 판단되는 이동 추이에 대응하도록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구성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
즉, 제어부(12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에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우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술한 동시 전송 서비스가 아닌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 하나 만을 이용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별도의 데이터 분할 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의 선택을 통해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별도의 데이터 분할 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의 선택을 통해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 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통신부(130)는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통신부(130)는 접속대상 네트워크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별된 특정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한편, 통신부(13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데이터 분할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가 선택될 경우,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에 선택된 전체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관리장치(6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정책관리장치(600)는,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보관리부(610),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이동성판단부(620), 및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는 정책제공부(6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정보관리부(610)는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정보관리부(610)는 다수의 단말장치(100)에 대해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부터 시간대 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예 : CDR)를 수집하게 되며, 이러한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 또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여 접속된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장치(예 : AAA)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아울러, 정보관리부(610)는 수집된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이용시간에 대응하는 핸드오버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게 된다.
참고로, 정보관리부(61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 별 상태정보 이외에,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동성판단부(620)는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한다.
즉, 이동성판단부(6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시간정보가 포함된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시간정보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단말장치(100)에 대한 시간대 별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또는, 이동성판단부(620)는 단말장치(100)부터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을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이동성판단부(6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단말장치(100)에 대한 지역 별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이동성판단부(6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 이외에 단말장치(100)로부터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센싱신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구성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정책제공부(63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판단된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100)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한다.
즉, 정책제공부(630)는 단말장치(100)가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우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여 이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정책제공부(63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 이외에,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간 상대적 이용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시 전송하는데 있어서, 단말장치의 이동 추이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함으로써,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서 최적의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접속을 효율적으로 통제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데이터 분할 전송을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정책관리장치(600)가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를 획득한다(S10-S130).
바람직하게는, 정책관리장치(600)는 다수의 단말장치(100)에 대해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부터 시간대 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예 : CDR)를 수집하게 되며, 이러한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 또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여 접속된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장치(예 : AAA)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아울러, 정책관리장치(600)는 수집된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이용시간에 대응하는 핸드오버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게 된다.
참고로, 정책관리장치(60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 별 상태정보 이외에,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가 정책관리장치(400)에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요청한다(S14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정책관리장치(600)에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상기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단말장치(100)는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장치(600)에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요청하게 된다.
예컨대, 단말장치(100)는 현재 위치에서 네트워크 스캔 동작을 통해 수집되는 네트워크 정보 다시 말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셀 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인식하고, 인식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장치(600)에 전달함으로써,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요청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시간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 전달 이외에 예컨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서버(600)에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상기 센싱신호를 토대로 판단되는 이동 추이에 대응하도록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요청하는 구성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책관리장치(600)가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한다(S150-S160).
바람직하게는,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시간정보가 포함된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시간정보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단말장치(100)에 대한 시간대 별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또는,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100)부터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을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단말장치(100)에 대한 지역 별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정책관리장치(6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 이외에 단말장치(100)로부터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센싱신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구성 또한 적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정책관리장치(600)가 단말장치(100)에 대해 판단된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100)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한다(S170-S180).
바람직하게는,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100)가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우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여 이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정책관리장치(60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 이외에,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간 상대적 이용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장치(100)가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S19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에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우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단말장치(100)는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술한 동시 전송 서비스가 아닌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 하나 만을 이용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별도의 데이터 분할 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의 선택을 통해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별도의 데이터 분할 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의 선택을 통해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 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단말장치(100)는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가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한다(S20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접속대상 네트워크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별된 특정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데이터 분할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가 선택될 경우,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에 선택된 전체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이후, 관리장치(400)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S210-S22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4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 및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통해 인지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장치(500)로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처럼 단말장치(100)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관리장치(400)에 의해 결합되어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되고,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로서 최종 목적지인 외부장치(500)로 전달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정책관리장치(400)로부터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한다(S310-S330).
바람직하게는, 정보획득부(110)는 다수의 단말장치(100)에 대해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해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예 : CDR)를 수집하는 정책관리장치(600)에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상기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정보획득부(110)는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장치(600)에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게 된다.
예컨대, 정보획득부(110)는 현재 위치에서 네트워크 스캔 동작을 통해 수집되는 네트워크 정보 다시 말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셀 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인식하고, 인식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장치(600)에 전달함으로써,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게 된다.
한편, 정보획득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시간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 전달 이외에 예컨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정책관리서버(600)에 전달함으로써,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상기 센싱신호를 토대로 판단되는 이동 추이에 대응하도록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구성 또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S34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2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에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우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술한 동시 전송 서비스가 아닌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 하나 만을 이용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별도의 데이터 분할 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의 선택을 통해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별도의 데이터 분할 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의 선택을 통해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 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이동 추이를 고려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한다(S35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30)는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통신부(130)는 접속대상 네트워크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별된 특정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한편, 통신부(13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데이터 분할과정 없이 전체 데이터가 선택될 경우,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에 선택된 전체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관리장치(6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를 획득하여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를 판단한(S410-430).
바람직하게는, 정보관리부(610)는 다수의 단말장치(100)에 대해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부터 시간대 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예 : CDR)를 수집하게 되며, 이러한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 또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여 접속된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장치(예 : AAA)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아울러, 정보관리부(610)는 수집된 네트워크 별 로그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이용시간에 대응하는 핸드오버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시간대 및 지역 별 이동 추이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게 된다.
참고로, 정보관리부(61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 별 상태정보 이외에,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의 정책요청에 따라 이동 추이를 판단한다(S440-S460).
바람직하게는, 이동성판단부(6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시간정보가 포함된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시간정보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단말장치(100)에 대한 시간대 별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또는, 이동성판단부(620)는 단말장치(100)부터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을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이동성판단부(6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단말장치(100)에 대한 지역 별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이동성판단부(6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요청 이외에 단말장치(100)로부터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센싱신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구성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100)에 대해 판단된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100)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한다(S470-S480).
바람직하게는, 정책제공부(630)는 단말장치(100)가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이동 성향이 강할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대한 우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고정 성향이 강할 경우, 3G 네트워크 대비 커버리지가 적으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여 이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정책제공부(63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이동 추이 이외에,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에 대응하도록 분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간 상대적 이용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시 전송하는데 있어서, 단말장치의 이동 추이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함으로써,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에서 최적의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접속을 효율적으로 통제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데이터 분할 전송을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시 전송하는데 있어서, 단말장치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정보획득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200: 제1네트워크장치
300: 제2네트워크장치
400: 관리장치
500: 외부장치
600: 정책관리장치
610: 정보관리부 620: 이동성판단부
630: 정책제공부

Claims (20)

  1.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송신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하여,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책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시간대 별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하여,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책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현재 위치에서 수집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하여,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책관리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전달하여, 정책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센싱신호를 토대로 판단되는 이동 추이에 대응하도록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7.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보관리부;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이동성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 정책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부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부터 시간대 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판단부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책요청에 따라,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한 해당 시간대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판단부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책요청에 따라,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한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판단부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위치에서 수집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에 따라,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특정 송신장치의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판단부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에 따라, 상기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
  13. 정책관리장치가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로그데이터수집단계;
    상기 정책관리장치가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이동추이판단단계;
    상기 정책관리장치가 상기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 정책제공단계;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단계; 및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14.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판단되는 이동 추이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단계;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네트워크선택단계;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
  15.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보관리단계;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이동추이판단단계;
    상기 판단된 이동 추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는 정책결정단계; 및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선택 접속을 유도하는 정책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단계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부터 시간대 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획득단계; 및
    상기 로그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송신장치 별 이동 추이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추이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정책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한 해당 시간대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추이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정책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한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추이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수집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정책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송신장치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송신장치의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추이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이동 추이 판단을 위한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정책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센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장치의 이동 추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10071601A 2011-07-19 2011-07-1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799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601A KR101799407B1 (ko) 2011-07-19 2011-07-1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601A KR101799407B1 (ko) 2011-07-19 2011-07-1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756A true KR20130010756A (ko) 2013-01-29
KR101799407B1 KR101799407B1 (ko) 2017-11-21

Family

ID=4783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601A KR101799407B1 (ko) 2011-07-19 2011-07-1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4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407B1 (ko)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86941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service based on heterogeneous networks
JP2013042499A (ja) 多重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同時データ伝送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00319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6998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30010756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8194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29330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7555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2943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관리장치
KR10126859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630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30024333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7248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47113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37154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20139414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7115B1 (ko)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0266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58063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455342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80581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0751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794732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23802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6045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