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487B1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487B1
KR101672487B1 KR1020110081373A KR20110081373A KR101672487B1 KR 101672487 B1 KR101672487 B1 KR 101672487B1 KR 1020110081373 A KR1020110081373 A KR 1020110081373A KR 20110081373 A KR20110081373 A KR 20110081373A KR 101672487 B1 KR101672487 B1 KR 10167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olicy
data
selection policy
network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301A (ko
Inventor
김경훈
장재성
한경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48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을 개시한다. 즉, 관리장치가 단말장치가 접속할 2 이상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트 별 데이터 전송비율, 및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입자유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책획득단계; 상기 관리장치가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는 정책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 및 단말장치가 상기 분할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수신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도록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이용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선택정책 적용 방안을 정의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이시켜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데이터 동시 전송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도록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이용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선택정책 적용 방안을 정의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과,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접속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접속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관리장치가 단말장치가 접속할 2 이상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트 별 데이터 전송비율, 및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입자유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면, 단말장치가 상기 분할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이용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선택정책 적용 방안을 정의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이용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선택정책 적용 방안을 정의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관리장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는 정책설정부; 상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설정부는, 단말장치가 접속할 2 이상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트 별 데이터 전송비율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설정부는, 단말장치가 접속할 2 이상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입자유형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설정부는, 상기 가입자유형을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입자유형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설정부는,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과금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입자유형을 기초로, 특정 네트워크의 과금정보가 다른 네트워크의 과금정보와 상이할 경우, 각각의 과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비율을 상기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비율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설정부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 저장하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는 특정장치로부터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특정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은, 관리장치가 단말장치가 접속할 2 이상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트 별 데이터 전송비율, 및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입자유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책획득단계; 상기 관리장치가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는 정책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분할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책획득단계;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는 정책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단계; 및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획득단계는, 단말장치가 접속할 2 이상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트 별 데이터 전송비율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획득단계는, 단말장치가 접속할 2 이상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입자유형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설정단계는, 상기 가입자유형을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입자유형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설정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과금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입자유형을 기초로, 특정 네트워크의 과금정보가 다른 네트워크의 과금정보와 상이할 경우, 각각의 과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비율을 상기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비율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획득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 저장하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는 특정장치로부터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특정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도록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이용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선택정책 적용 방안을 정의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이시켜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선택정책 획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며,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는 송신장치서의 관리장치(100)와, 관리장치(100)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관리치(100)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장치(100)에 전달하여 단말장치(400)로의 전달을 요청하는 외부장치(500),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600) 및 상기 정책관리장치(600) 이외에 별도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하는 정책운용장치(7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400)와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구성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관리장치(100)에서 세션 분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단말장치(400)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 각각과 연결되기 때문에 관리장치(100) 입장에서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단말장치(400)의 링크라는 것을 인지하고 하나의 단말장치(400) 즉 하나의 주체로 관리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단말장치(400)에 대응하여 동신 전송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 및 관리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여기서,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100)를 통해 단말장치(4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1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4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단말장치(400)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여 관리장치(100)와 단말장치(40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관리장치(100)에 제공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은 관리장치(100)가 데이터 전송의 주체가 되는 다운링크 동작에 적용되며, 아울러, 단말장치(400)에 제공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의 경우, 단말장치(400)가 데이터 전송의 주체가 되는 업링크 동작에 적용되게 된다.
이기종 네트워크는 예컨대,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다양한 접속 네트워크가 해당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또한, 관리장치(100) 및 단말장치(4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다시 말해 업링크 과정 및 다운링크 과정에 따라, 송신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장치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위치하여 단말장치(400)에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100)를 상정하여 설명하고, 상기 관리장치(1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400)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장치(100)는 가입자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여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한다.
즉, 관리장치(100)는 상이한 경로 및 방안을 통해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유형의 경우, 예컨대, 특정 서비스 가입자(예 : 무제한 데이터 서비스) 여부, 서비스 중인 요금제, 및 헤비 유저(Heavy User) 여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준으로 구분되어 지정될 수 있다.
우선, 관리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함으로써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400)는 관리장치(1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를 사전에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정책운용장치(700)의 동시전송활성화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가입자유형 등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한 이후 관리장치(100)에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을 전달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관리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단말장치(400) 및 별도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하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함으로써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400)는 관리장치(1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를 사전에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정책운용장치(700)의 동시전송활성화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가입자유형 등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한 이후 관리장치(100)에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을 전달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정책운용장치(700)는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전송활성화요청 전달과 동시에, 관리장치(100)에 별도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포함하는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전달함으로써, 관리장치(100)로 하여금 단말장치(400) 및 정책운용장치(700)를 통해 전달되는 각각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조합하여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하게 된다.
아울러, 관리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함으로써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관리장치(100)는 정책관리장치(600) 이외에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하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수신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정책갱신요청에 포함된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여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하게 된다.
한편, 관리장치(100)는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도록 지정되어 자체 저장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장치(100)는 예컨대, 특정 서비스 가입자 여부, 서비스 중인 요금제, 및 헤비 유저(Heavy User) 여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준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지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사전에 저장하게 된다. 나아가, 관리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 또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전달되는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통해 가입자유형정보 만을 취득하게 되며, 상기 취득된 가입자유형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하게 된다.
나아가, 관리장치(100)는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
즉, 관리장치(1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수신처인 단말장치(40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단말장치(400)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따라 전송데이터를 분할하게 된다.
다시 말해, 관리장치(100)는 단말장치(400)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관리장치(100)는 가입자유형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 즉,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선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100% : WiFi 네트워크 0%, 및 3G 네트워크 0% : WiFi 네트워크 100%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장치(100)는 가입자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즉, 관리장치(100)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관리장치(100)는 접속대상 네트워크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별된 특정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단말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분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S160).
즉, 단말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관리장치(1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4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 및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관리장치(100)는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설정하는 정책설정부(110), 상기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가입자유형에 대응하여 선택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통신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통신부(13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며,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게 된다.
정책설정부(110)는 가입자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여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한다.
즉, 정책설정부(110)는 상이한 경로 및 방안을 통해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유형의 경우, 예컨대, 특정 서비스 가입자 여부, 서비스 중인 요금제, 및 헤비 유저(Heavy User) 여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준으로 구분되어 지정될 수 있다.
우선, 정책설정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함으로써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400)는 관리장치(1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를 사전에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정책운용장치(700)의 동시전송활성화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가입자유형 등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한 이후 관리장치(100)에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을 전달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정책설정부(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단말장치(400) 및 별도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하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함으로써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400)는 관리장치(1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를 사전에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정책운용장치(700)의 동시전송활성화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가입자유형 등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한 이후 관리장치(100)에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을 전달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정책운용장치(700)는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전송활성화요청 전달과 동시에, 관리장치(100)에 별도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포함하는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전달함으로써, 정책설정부(110)로 하여금 단말장치(400) 및 정책운용장치(700)를 통해 전달되는 각각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조합하여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하게 된다.
아울러, 정책설정부(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함으로써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정책설정부(110)는 정책관리장치(600) 이외에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하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수신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정책갱신요청에 포함된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여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하게 된다.
한편, 정책설정부(110)는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도록 지정되어 자체 저장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책설정부(110)는 예컨대, 특정 서비스 가입자 여부, 서비스 중인 요금제, 및 헤비 유저(Heavy User) 여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준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지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사전에 저장하게 된다. 나아가, 정책설정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 또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전달되는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통해 가입자유형정보 만을 취득하게 되며, 상기 취득된 가입자유형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하게 된다.
제어부(120)는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
즉, 제어부(12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수신처인 단말장치(40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단말장치(400)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따라 전송데이터를 분할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단말장치(400)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가입자유형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 즉,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선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100% : WiFi 네트워크 0%, 및 3G 네트워크 0% : WiFi 네트워크 100%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가입자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즉, 통신부(130)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통신부(130)는 접속대상 네트워크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별된 특정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도록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이용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선택정책 적용 방안을 정의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이시켜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장치(100)가 가입자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100)는 상이한 경로 및 방안을 통해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한다.
즉, 관리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400)는 관리장치(1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를 사전에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정책운용장치(700)의 동시전송활성화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가입자유형 등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한 이후 관리장치(100)에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을 전달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관리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단말장치(400) 및 별도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하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400)는 관리장치(1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를 사전에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정책운용장치(700)의 동시전송활성화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가입자유형 등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한 이후 관리장치(100)에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을 전달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정책운용장치(700)는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전송활성화요청 전달과 동시에, 관리장치(100)에 별도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포함하는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전달함으로써, 관리장치(100)로 하여금 단말장치(400) 및 정책운용장치(700)를 통해 전달되는 각각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조합하여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관리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즉, 관리장치(100)는 정책관리장치(600) 이외에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하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수신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정책갱신요청에 포함된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관리장치(100)가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설정한다(S12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수신되는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가입자식별정보(예컨대, IMSI)에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설정하게 된다.
한편, 관리장치(100)는 단말장치(4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없을 경우,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도록 지정되어 자체 저장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장치(100)는 예컨대, 특정 서비스 가입자 여부, 서비스 중인 요금제, 및 헤비 유저(Heavy User) 여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준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지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사전에 저장하게 된다. 나아가, 관리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 또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전달되는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통해 가입자유형정보 만을 취득하게 되며, 상기 취득된 가입자유형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관리장치(100)가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S130-S15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1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수신처인 단말장치(40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단말장치(400)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따라 전송데이터를 분할하게 된다.
다시 말해, 관리장치(100)는 단말장치(400)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관리장치(100)는 가입자유형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 즉,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선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100% : WiFi 네트워크 0%, 및 3G 네트워크 0% : WiFi 네트워크 100%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장치(100)가 가입자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16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100)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관리장치(100)는 접속대상 네트워크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별된 특정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이후, 단말장치(400)가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분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S17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관리장치(1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즉, 단말장치(4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 및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입자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한다(S210).
바람직하게는, 정책설정부(110)는 상이한 경로 및 방안을 통해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한다.
즉, 정책설정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400)는 관리장치(1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를 사전에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정책운용장치(700)의 동시전송활성화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가입자유형 등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한 이후 관리장치(100)에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을 전달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정책설정부(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단말장치(400) 및 별도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하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400)는 관리장치(1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를 사전에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정책운용장치(700)의 동시전송활성화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가입자유형 등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한 이후 관리장치(100)에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을 전달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정책운용장치(700)는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전송활성화요청 전달과 동시에, 관리장치(100)에 별도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포함하는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전달함으로써, 정책설정부(110)로 하여금 단말장치(400) 및 정책운용장치(700)를 통해 전달되는 각각의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조합하여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정책설정부(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정책설정부(110)는 정책관리장치(600) 이외에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하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수신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정책갱신요청에 포함된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설정한다(S220-S250).
바람직하게는, 정책설정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4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수신되는 가입자유형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지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가입자식별정보(예컨대, IMSI)에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설정하게 된다.
한편, 정책설정부(110)는 단말장치(4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할 수 없을 경우,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도록 지정되어 자체 저장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장치(100)는 예컨대, 특정 서비스 가입자 여부, 서비스 중인 요금제, 및 헤비 유저(Heavy User) 여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준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지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사전에 저장하게 된다. 나아가, 관리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단말장치(4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단말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등록요청(Binding Update), 또는 정책운용장치(700)로부터 전달되는 정책갱신요청(Poilicy Update)을 통해 가입자유형정보 만을 취득하게 되며, 상기 취득된 가입자유형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입자 별 네트워크선택정책으로 설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S260-S27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2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수신처인 단말장치(40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단말장치(400)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대응하는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따라 전송데이터를 분할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단말장치(400)의 가입자유형에 따라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가입자유형에 따라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 즉,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선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100% : WiFi 네트워크 0%, 및 3G 네트워크 0% : WiFi 네트워크 100%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후, 가입자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28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30)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통신부(130)는 접속대상 네트워크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별된 특정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도록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이용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선택정책 적용 방안을 정의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이시켜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가입자유형에 대응하도록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이용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선택정책 적용 방안을 정의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관리장치
110: 정책설정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200: 제1네트워크장치
300: 제2네트워크장치
400: 단말장치
500: 외부장치
600: 정책관리장치
700: 정책운용장치

Claims (9)

  1.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입자유형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는 특정장치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거나 또는 분할 전송 여부를 설정하는 정책설정부;
    상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설정부는,
    상기 가입자유형을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설정부는,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과금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입자유형을 기초로, 특정 네트워크의 과금정보가 다른 네트워크의 과금정보와 상이할 경우, 각각의 과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비율을 상기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비율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설정부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 저장하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는 특정장치로부터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특정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
  5. 관리장치가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입자유형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는 특정장치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책획득단계;
    상기 관리장치가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거나 또는 분할 전송 여부를 설정하는 정책설정단계;
    상기 관리장치가 상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 및
    단말장치가 상기 분할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6.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입자유형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는 특정장치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는 정책획득단계;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거나 또는 분할 전송 여부를 설정하는 정책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단계; 및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설정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과금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입자유형을 기초로, 특정 네트워크의 과금정보가 다른 네트워크의 과금정보와 상이할 경우, 각각의 과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비율을 상기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비율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획득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 저장하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는 특정장치로부터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특정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9.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입자유형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는 특정장치로부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이기종 네트워크 동시 전송 여부와 접속 네트워크별 전송비율을 설정하는 정책설정부;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동시 전송 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
KR1020110081373A 2011-08-16 2011-08-16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7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373A KR101672487B1 (ko) 2011-08-16 2011-08-16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373A KR101672487B1 (ko) 2011-08-16 2011-08-16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301A KR20130019301A (ko) 2013-02-26
KR101672487B1 true KR101672487B1 (ko) 2016-11-03

Family

ID=4789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373A KR101672487B1 (ko) 2011-08-16 2011-08-16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4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805B1 (ko) * 2017-10-24 2020-02-11 주식회사 케이티 세션 관리 방법 및 세션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624A (ko) * 2004-12-07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망에서 퍼지 다기준 의사 결정 방법을 이용한 액세스네트워크의 선택 방법
KR100874152B1 (ko) * 2005-10-14 2008-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이종 무선망들을 이용한 동시 데이터 서비스 장치및 방법
KR20090065310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1514647B1 (ko) * 2008-01-24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301A (ko)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19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7248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47113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68194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20120012250A (ko) 이종 융합 통신 서비스 시스템, 이종 융합 통신 서버 및 그 운용 방법, 다중 통신 단말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49254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42676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97555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7428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82304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19364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관리장치
KR10137154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0630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455342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7429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29330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759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80581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2943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관리장치
KR101207030B1 (ko) 송수신장치 및 송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79862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9940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8063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56918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30017880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