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862B1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862B1
KR101779862B1 KR1020110059208A KR20110059208A KR101779862B1 KR 101779862 B1 KR101779862 B1 KR 101779862B1 KR 1020110059208 A KR1020110059208 A KR 1020110059208A KR 20110059208 A KR20110059208 A KR 20110059208A KR 101779862 B1 KR101779862 B1 KR 101779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ata
data
connection information
network
networ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416A (ko
Inventor
이규민
김정수
한경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86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25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using a measured number of retransmissions as a link metric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송신장치가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면, 제1네트워크장치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 제공하고, 제2네트워크장치 상기 송신장치로부터의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상기 수신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따르는 송신장치 및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 이에 따르는 수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접속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접속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송신장치가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면, 제1네트워크장치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 제공하고, 제2네트워크장치 상기 송신장치로부터의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상기 수신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송신장치 및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수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며,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는 송신장치;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네트워크장치;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네트워크장치; 및 상기 제1네트워크장치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네트워크장치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송신장치는,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며,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특정 관리장치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회신되는 응답을 통해 인지되는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기 정의된 특정 접속정보 생성정책에 따라, 기 보유한 장치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보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로서 보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제1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제2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된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제1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수신장치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제2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수신장치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수신장치는,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응되는 응답에 상기 송신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할당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회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트를 결합하여, 상기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트를 결합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은, 송신장치가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장치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제2네트워크장치 상기 송신장치로부터의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상기 수신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단계;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제1부분데이터 전송단계; 및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제2부분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부분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부분데이터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단계;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부분데이터 선택단계;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제1부분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부분데이터 제공단계;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하는 제2부분데이터 제공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특정 관리장치로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회신되는 응답에 근거하여 인지되는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보유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 정의된 특정 접속정보 생성정책에 따라, 기 보유한 장치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보유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로서 보유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부분데이터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생성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상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트를 결합하여, 상기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생성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상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트를 결합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의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단말장치 별로 추가 할당/관리함으로써, 하나의 세션에 대한 복수개의 분할 세션을 하나의 세션으로 관리하여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의 업링크 과정의 서비스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의 다운링크 과정의 서비스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며,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는 송신장치서의 단말장치(1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장치(400)로부터 결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500) 및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구성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관리장치(400)에서 세션 분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과 연결되기 때문에 관리장치(400) 입장에서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단말장치(100)의 링크라는 것을 인지하고 하나의 단말장치(100) 즉 하나의 주체로 관리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동신 전송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관리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결정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이기종 네트워크는 예컨대,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다양한 접속 네트워크가 해당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다시 말해 업링크 과정 및 다운링크 과정에 따라, 송신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장치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위치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장치(100)로 상정하여 설명하고, 단말장치(100)에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장치(400)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 접속정보 획득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기존의 접속정보 할당 방식에 따라 자신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를 할당 받고,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를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요청하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기존의 접속정보 할당 방식에 따라 자신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를 할당 받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접속정보 요청에 따라 주소할당장치(700) 예컨대, DNS서버로부터 관리장치(400)에 대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 즉, 사설(Private)IP로서의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를 획득하여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할 수 있는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를 인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를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추가로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주소할당장치(700) 예컨대, DNS서버로부터 관리장치(400)에 대한 WiFi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 즉,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에 매핑되는 공용(Public)IP로서의 WiFi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를 획득하여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제2네트워크 즉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할 수 있는 WiFi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를 인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가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요청하여 관리장치(400)에 대한 있는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및 WiFi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를 획득/인지하는 것은 일 실시예일 뿐이며, 단말장치(100)에서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및 WiFi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를 획득/인지하는 것은 이 밖에 다양한 절차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
다음, 상술한 관리장치(4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가 완료된 경우,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 서비스 등록 절차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획득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 및 WiFi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획득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를 토대로 제1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Binding Update)를 송신함으로써 단말장치(100) 자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부가정보 예컨대, 장치식별정보(예 : IMSI),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금번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올려 보내는 네트워크 종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타입정보(예 : 3G),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를 확인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Binding Update Ack)를 단말장치(100)로 회신함으로써, 3G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등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획득된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를 토대로 제2네트워크 즉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Binding Update)를 송신함으로써 단말장치(100) 자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부가정보 예컨대, 장치식별정보(예 : IMSI),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 금번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올려 보내는 네트워크 종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타입정보(예 : WiFi),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를 확인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Binding Update Ack)를 단말장치(100)로 회신함으로써,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등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 받아 보유하며, 이에 대하여 관리장치(400)가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등록 절차에서 관리장치(400)로부터 할당되는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수신하여 보유할 수 있고, 또는 기 보유한 장치식별정보(예 : MDN, IMSI, IMEI 등)에 근거하여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자체적으로 생성/보유할 수 있고, 또는 기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또는 WiFi IP)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로서 이용/보유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관리장치(4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부가정보에 근거하여,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 예컨대,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단말장치의 장치식별정보(예 : IMSI)를 기준으로 매핑된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WiFi IP),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 등을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장치(40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 분배를 위한 네트워크 선택 정책 예컨대, 트래픽 구분을 위한 Source IP, Source Port, Destination IP, Destination Port, Protocol(UDP, TCP 등) 정보,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 등을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추가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등록 관리할 수 있으며, 추가로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효율적 제공을 위해서 네트워크 상태 감지를 통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실시간으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시,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제공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받아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등록 관리하거나,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과,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시, 단말장치(100)를 통해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조합하여 등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상태 감지를 통한 네트워크 선택 정책 변경의 경우, 예컨대,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 데이터 동시 서비스 이용 시, 일정시간 동안 전달된 데이터의 초당 비트수(Throughput) 확인 및 네트워크 링크상태 감지에 따른 상태보고, 및 일정 주기를 갖는 상태신호 수신 여부를 통한 네트워크 단절 감지를 인지한 관리장치(400)에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 변경을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감지된 정보의 경우 필요에 따라 정책관리장치(600)에 전송되어 새로운 네트워크 선택 정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반 절차가 완료되면,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동신 전송 서비스가 개시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장치(100)가 관리장치(4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업링크 절차를 기반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및 실시간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키고,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킨다.
물론,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이외에도 해당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자신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해당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 즉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및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등을 포함시킬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이외에도 해당 제2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자신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 및 해당 제2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 즉 WiFi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및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등을 포함시킬 것이다.
이 후,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처럼 단말장치(100)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로 전달되고 분할된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로 전달된다.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즉, 관리장치(4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통해 인지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장치(500)로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처럼 단말장치(100)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는 이기종 네트워크(3G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관리장치(400)에 의해 결합되어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되고,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로서 최종 목적지인 외부장치(500)로 전달된다.
다음,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절차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관리장치(400)가 단말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운링크 절차를 기반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 요청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장치(40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리장치(400)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관리장치(400)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및 실시간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기 관리하고 있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금번 데이터 전송의 최종 목적지가 되는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각 네트워크 별 접속정보 및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WiFi IP) 및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키고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킨다.
물론,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이외에도 해당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자신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및 해당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3G IP) 및 최초 송신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등을 포함시킬 것이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이외에도 해당 제2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자신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및 해당 제2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WiFi IP) 및 최초 송신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등을 포함시킬 것이다.
이 후,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처럼 외부장치(5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관리장치(40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분할되며, 관리장치(400)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로 전달되고 분할된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로 전달된다.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관리장치(4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즉, 단말장치(1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자신의 기 할당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더불어 최초 송신지에 해당되는 접속정보 즉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확인하여 동일 외부장치(500)로부터의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관리장치(400)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는 이기종 네트워크(3G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달되고 단말장치(100)에서 결합되어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각 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키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20)와,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2통신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OS 커널에 탑재된 형태를 가지며, 단말장치(100)에 내장 또는 다운로드되어 탑재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동신 전송 서비스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제1통신부(12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며, 제2통신부(130)는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게 된다.
제어부(11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제어부(11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에 대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및 관리장치 WiFi IP)를 획득을 통한 서비스 등록 이후,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부(110)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및 실시간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키고,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킨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 받아 보유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회신되는 응답을 통해 인지되는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전술과 같이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는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회신하는 서비스 등록 절차에서,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획득/인지하고, 이를 보유할 수 있다. 이 경우는 관리장치(400)가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해주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관리장치(400)에서는 전술과 같이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금번 할당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제어부(110)는, 기 정의된 특정 접속정보 생성정책에 따라, 기 보유한 장치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보유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자신만의 유니크한 장치식별정보(예 : MDN, IMSI, IMEI 등)를 보유할 것이다.
이에, 제어부(110)는, 기 보유된 장치식별정보(예 : MDN, IMSI, IMEI 등)를 기 정의된 특정 접속정보 생성정책에 반영하여, 접속정보 생성정책에 따라 자체적으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생성하여 보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에서 자체 생성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하여,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전술과 같이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금번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는 제어부(110)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로서 보유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3G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기존의 접속정보 할당 방식에 따라 자신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를 할당 받고, WiFi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기존의 접속정보 할당 방식에 따라 자신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를 할당 받을 것이다.
이에, 제어부(110)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또는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로서 병행 사용하고자 보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에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로서의 3G IP 또는 WiFi IP)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하여,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전술과 같이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금번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로서의 3G IP 또는 WiFi IP)를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에 제어부(110)는, 전술과 같이 제1부분데이터에 기 보유된 자신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키고,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킨다.
이에,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는,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가 실리게 된다.
더불어, 제어부(11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제1통신부(12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1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통신부(130)는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제1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제1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제2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된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통신부(120)에서 송신되는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단말장치(100)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술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관리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130)에서 송신되는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단말장치(100)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술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관리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된 단말장치(100)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터널링 헤더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단말장치(100)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 및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 즉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터널링 헤더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터널링 헤더를 부가하는 주체는, 제어부(110)일 수 있고 또는 제1통신부(120) 및 제2통신부(130) 각각일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제어부(110)와,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120)와,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30)의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에서 수신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는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부터 송신/제공되는 부분데이터일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OS 커널에 탑재된 형태를 가지며, 관리장치(400)로부터 전달된 분할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데이터를 단말장치(100)에 내장 또는 다운로드되어 탑재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게 된다.
제어부(11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제어부(11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접속정보들에 따라 경유되는 전달경로를 통해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즉, 제어부(11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된 제1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제1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수신장치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제2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제2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수신장치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통신부(120)에서 수신된 관리장치(400)로부터의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관리장치(400)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3G IP),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130)에서 수신된 관리장치(400)로부터의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관리장치(400)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WiFi IP),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수신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자신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트를 인지하여 동일한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결합함으로써, 최초 송신지에 해당하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된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410)와,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420)와,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수신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는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부터 송신/제공되는 부분데이터일 것이다.
제1통신부(41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며, 제2통신부(420)는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게 된다.
제어부(4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제어부(43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접속정보들에 따라 경유되는 전달경로를 통해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통신부(420)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43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즉, 제어부(43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되는 제1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제1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제2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된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통신부(410)에서 수신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단말장치(100)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관리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420) 에서 수신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단말장치(100)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술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관리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수신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하나의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하여 하나의 단말장치(100)로부터 분할/송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추출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트를 인지하여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동일한 외부장치(500)로의 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금번 생성한 데이터를 해당 외부장치(500)에 전송한다. 즉, 제어부(11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통해 인지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장치(500)로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각 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키는 제어부(430)와,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410)와,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2통신부(420)의 구성을 갖는다.
제어부(43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제어부(430)는,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가 수신되어 단말장치(100)로 전송이 요청되면,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제어부(43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30)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부(430)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및 실시간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30)는 전술과 같은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부가정보에 근거하여,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 예컨대,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단말장치의 장치식별정보(예 : IMSI)를 기준으로 매핑된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WiFi IP),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 등을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30)는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예 :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술과 같은 서비스 등록이 요청되면,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응되는 응답에 금번 할당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회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전술과 같이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는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회신/제공하는 서비스 등록 절차에서,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할당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켜 회신할 수 있다. 이 경우는 관리장치(400)가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해주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제어부(430)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금번 할당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430)는, 서비스 등록된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자신에 해당되는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가 제공되면,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금번 제공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제어부(430)는, 기 관리하고 있는 전술과 같은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금번 데이터 전송의 최종 목적지가 되는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각 네트워크 별 접속정보 및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30)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WiFi IP) 및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제어부(430)는, 제1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키고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킨다.
이에,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가 실리게 된다.
더불어, 제어부(43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최초 송신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제1통신부(41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1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통신부(420)는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제1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제1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수신장치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제2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제2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수신장치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통신부(410)에서 송신되는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관리장치(400)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3G IP),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420)에서 송신되는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관리장치(400)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WiFi IP),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관리장치(400)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3G IP)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터널링 헤더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관리장치(400)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WiFi IP)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 즉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터널링 헤더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터널링 헤더를 부가하는 주체는, 제어부(430)일 수 있고 또는 제1통신부(410) 및 제2통신부(420) 각각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의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단말장치 별로 추가 할당/관리함으로써, 하나의 세션에 대한 복수개의 분할 세션을 하나의 세션으로 관리하여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의 업링크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S10,S15).
본 발명에서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 받아 보유하며(S20), 이에 대하여 관리장치(400)가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등록 절차에서 관리장치(400)로부터 할당되는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수신하여 보유할 수 있고, 또는 기 보유한 장치식별정보(예 : MDN, IMSI, IMEI 등)에 근거하여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자체적으로 생성/보유할 수 있고, 또는 기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또는 WiFi IP)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로서 이용/보유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관리장치(4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부가정보에 근거하여,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 예컨대,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단말장치의 장치식별정보(예 : IMSI)를 기준으로 매핑된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WiFi IP),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 등을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30).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키고,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킨다(S40).
물론,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이외에도 해당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자신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해당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및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등을 포함시킬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이외에도 해당 제2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자신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 및 해당 제2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및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등을 포함시킬 것이다.
이 후,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S50).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S55).
이처럼 단말장치(100)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로 전달되고 분할된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로 전달된다.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S60).
즉, 관리장치(4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통해 인지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장치(500)로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한다(S70).
이처럼 단말장치(100)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는 이기종 네트워크(3G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관리장치(400)에 의해 결합되어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되고,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로서 최종 목적지인 외부장치(500)로 전달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의 다운링크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 요청되는 데이터가 전송되면(S80), 관리장치(40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100).
한편, 관리장치(400)는 기 관리하고 있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금번 외부장치(50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의 최종 목적지가 되는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각 네트워크 별 접속정보 및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확인한다(S90).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WiFi IP) 및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키고,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킨다(S110).
물론,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이외에도 해당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자신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및 해당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3G IP) 및 최초 송신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등을 포함시킬 것이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이외에도 해당 제2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자신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및 해당 제2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WiFi IP) 및 최초 송신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등을 포함시킬 것이다.
이 후,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S120).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S125).
이처럼 외부장치(5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관리장치(40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분할되며, 관리장치(400)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로 전달되고 분할된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로 전달된다.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관리장치(4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S130).
즉, 단말장치(1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자신의 기 할당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더불어 최초 송신지에 해당되는 접속정보 즉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확인하여 동일 외부장치(500)로부터의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관리장치(400)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는 이기종 네트워크(3G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달되고 단말장치(100)에서 결합되어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신 전송 서비스의 업링크 과정에서 송신장치로서 동작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 받아 보유한다(S20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회신되는 응답을 통해 인지되는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는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회신하는 서비스 등록 절차에서,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획득/인지하고, 이를 보유할 수 있다. 이 경우는 관리장치(400)가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해주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관리장치(400)에서는 전술과 같이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금번 할당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정의된 특정 접속정보 생성정책에 따라, 기 보유한 장치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보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자신만의 유니크한 장치식별정보(예 : MDN, IMSI, IMEI 등)를 보유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보유된 장치식별정보(예 : MDN, IMSI, IMEI 등)를 기 정의된 특정 접속정보 생성정책에 반영하여, 접속정보 생성정책에 따라 자체적으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생성하여 보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자체 생성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하여,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전술과 같이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금번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로서 보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3G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기존의 접속정보 할당 방식에 따라 자신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를 할당 받고, WiFi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기존의 접속정보 할당 방식에 따라 자신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를 할당 받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또는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로서 병행 사용하고자 보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로서의 3G IP 또는 WiFi IP)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하여,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전술과 같이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금번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로서의 3G IP 또는 WiFi IP)를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에 내장 또는 다운로드되어 탑재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S210), 금번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22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에 대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및 관리장치 WiFi IP)를 획득을 통한 서비스 등록 이후,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선택 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선택 정책 및 실시간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에 자신의 기 보유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키고,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킨다(S230).
이에,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는,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가 실리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를 제공하여 통신모듈 즉 제1통신부(120)로 하여금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1부분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고, 제2부분데이터를 제공하여 통신모듈 즉 제2통신부(130)로 하여금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한다(S240).
이때, 제1통신부(120)에서 송신되는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단말장치(100)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술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관리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130)에서 송신되는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단말장치(100)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술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관리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신 전송 서비스의 업링크 과정에서 수신장치로서 동작하는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S260).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접속정보들에 따라 경유되는 전달경로를 통해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통신부(420)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통신부(410)에서 수신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단말장치(100)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관리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420)에서 수신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단말장치(100)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술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관리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하나의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하여 하나의 단말장치(100)로부터 분할/송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한다(S27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추출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트를 인지하여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동일한 외부장치(500)로의 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8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금번 생성한 데이터를 해당 외부장치(500)에 전송한다(S290).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통해 인지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장치(500)로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예 :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술과 같은 서비스 등록이 요청되면,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응되는 응답에 금번 할당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회신할 수 있다(S250).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는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회신/제공하는 서비스 등록 절차에서,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할당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켜 회신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해주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금번 할당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등록된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자신에 해당되는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가 제공되면, 전술의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금번 제공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신 전송 서비스의 다운링크 과정에서 송신장치로서 동작하는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부가정보에 근거하여,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 예컨대,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단말장치의 장치식별정보(예 : IMSI)를 기준으로 매핑된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WiFi IP),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 등을 포함하는 전술의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S300).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가 수신되어 단말장치(100)로 전송이 요청되면(S310),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320).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선택 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선택 정책 및 실시간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관리하고 있는 전술과 같은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금번 데이터 전송의 최종 목적지가 되는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각 네트워크 별 접속정보 및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WiFi IP) 및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키고 제2부분데이터에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킨다(S330).
이에,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가 실리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최초 송신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를 제공하여 제1통신부(410)을 통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1부분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고, 제2부분데이터를 제공하여 제2통신부(420)를 통해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한다(S340).
이때, 제1통신부(410)에서 송신되는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관리장치(400)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3G IP),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420)에서 송신되는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관리장치(400)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WiFi IP),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신 전송 서비스의 다운링크 과정에서 수신장치로서 동작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관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S35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접속정보들에 따라 경유되는 전달경로를 통해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통신부(120)에서 수신된 관리장치(400)로부터의 제1부분데이터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관리장치(400)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3G IP),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130)에서 수신된 관리장치(400)로부터의 제2부분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기 할당된 관리장치(400)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WiFi IP),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더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자신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한다(S36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추출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트를 인지하여 동일한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결합함으로써, 최초 송신지에 해당하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된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7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장치(5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요청한 주체 즉 단말장치(100)에 내장 또는 다운로드되어 탑재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 금번 생성된 데이터를 제공한다(S38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은, 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의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단말장치 별로 추가 할당/관리함으로써, 하나의 세션에 대한 복수개의 분할 세션을 하나의 세션으로 관리하여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의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단말장치 별로 추가 할당/관리함으로써, 하나의 세션에 대한 복수개의 분할 세션을 하나의 세션으로 관리하여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제어부 120: 제1통신부 130: 제2통신부
200: 제1네트워크장치
300: 제2네트워크장치
400: 관리장치
410: 제1통신부 420: 제2통신부 430: 제어부
500: 외부장치
600: 정책관리장치
700: 주소할당장치

Claims (23)

  1. 삭제
  2.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며,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에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가 동일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하나의 세션임을 인지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특정 관리장치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회신되는 응답을 통해 인지되는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정의된 특정 접속정보 생성정책에 따라, 기 보유한 장치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로서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제1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제2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된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 제1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수신장치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데이터는,
    기 할당된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 제2네트워크장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장치의 접속정보,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정보,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상기 수신장치로 전달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동일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하나의 세션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신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응되는 응답에 상기 송신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할당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트를 결합하여, 상기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특정 외부장치의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트를 결합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3. 삭제
  14.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단계;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제1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1부분데이터 전송단계; 및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제2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2부분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에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가 동일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하나의 세션임을 인지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제1부분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수신하는 제2부분데이터 수신단계; 및
    상기 제1네트워크 및 상기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동일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하나의 세션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16.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단계;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는 부분데이터 선택단계;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하는 제1부분데이터 제공단계;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하는 제2부분데이터 제공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에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가 동일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하나의 세션임을 인지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부분데이터 수신단계; 및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동일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하나의 세션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10059208A 2011-06-17 2011-06-17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7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208A KR101779862B1 (ko) 2011-06-17 2011-06-17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208A KR101779862B1 (ko) 2011-06-17 2011-06-17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058A Division KR101805811B1 (ko) 2017-09-11 2017-09-11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416A KR20120139416A (ko) 2012-12-27
KR101779862B1 true KR101779862B1 (ko) 2017-09-19

Family

ID=4790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208A KR101779862B1 (ko) 2011-06-17 2011-06-17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8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416A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364B1 (ko)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US93637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heterogeneous networks
CN11359619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网元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JP2018152691A (ja) 制御装置
KR10180581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79862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9364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관리장치
KR101667020B1 (ko)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10182304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207030B1 (ko) 송수신장치 및 송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0630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26860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9330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943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관리장치
KR10123802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8194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47113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67248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30024333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8063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26045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887115B1 (ko)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99402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66701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20130010751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