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361A -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361A
KR20130010361A KR1020110071116A KR20110071116A KR20130010361A KR 20130010361 A KR20130010361 A KR 20130010361A KR 1020110071116 A KR1020110071116 A KR 1020110071116A KR 20110071116 A KR20110071116 A KR 20110071116A KR 20130010361 A KR20130010361 A KR 2013001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voltage
sensor
connector
u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932B1 (ko
Inventor
오훈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7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9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04L41/0809Plug-and-play configu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Abstract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USN) 복합센서통신장치에서의 PnP(Plug and Play)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되는 커넥터의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서버로부터 전송된 동작 명령에 따라 연결된 센서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 { Ubiquitous Sensor Network complex sens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lag and Play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 모듈과 연결될 수 있는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은 향후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가장 유망한 차세대 성장 동력이자 사회 전반의 일대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미래 기술이다.
또한 USN의 특성상 공공 부문 및 민간 부문의 IT 산업은 물론 비 IT 산업 전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산업이며, 무한한 성장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어 향후 산업 전반에 커다란 변혁을 가져올 수 있는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USN의 적용 분야는 국방, 제조, 건설, 교통, 의료, 환경, 교육, 물류, 유통, 농/축산업 등에 걸쳐 다양하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여기서,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은 어느 곳에나 부착된 태그와 센서 노드로부터 사물 및 환경 정보를 감지/저장/가공/통합하고 상황인식 정보 및 지식 콘텐츠 생성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 누구나 원하는 맞춤형 지식 서비스를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첨단 지능형사회의 기반 인프라를 의미한다.
이러한 USN을 기술적인 측면에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비쿼터스(ubiquitous)란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동시에 존재한다는 의미를 나타내며, 미래 사회가 물이나 공기처럼 주변 환경에 내재되어 있는 모든 사물 및 사람이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로 연결이 되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센서네트워크란 주변 환경 및 물리계에서 감지된 정보가 인간생활에 활용되도록 센서노드 간에 형성되는 유무선 통신기술 기반의 네트워크를 말하며, USN은 센서 노드, 싱크 노드, 게이트웨이, USN 망으로 구성된다.
한편, 현재 USN 분야에서 PnP의 기능은 매우 중요한 기술중 하나이다. 하지만 PnP 기능에 대한 정의만 있을 뿐 그에 관한 해결 방법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해결 방법이 있다 하더라도 가격의 상승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가격의 상승 없이 PnP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 추가 없이 PnP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USN) 복합센서통신장치에서의 PnP(Plug and Play)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되는 커넥터의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연결된 센서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고유의 ID로 식별되며,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의 ID를 통해 상기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에 기설정된 전압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전압 분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고유의 ID는 상기 전압 분배 회로에 포함된 저항값의 조정을 통해 상기 기설정된 전압이 분배된 전압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센서 모듈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커넥터의 전압은 0V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복합센서통신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되는 커넥터부,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된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연결된 센서 모듈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하여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고유의 ID로 식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의 ID를 통해 상기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에 기설정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전압 분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고유의 ID는 상기 전압 분배 회로에 포함된 저항값의 조정을 통해 상기 기설정된 전압이 분배된 전압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커넥터부의 전압이 0V를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잡한 회로 설계 없이 효율적으로 PnP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N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N 복합센서통신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모듈 내에 구비된 전압 분배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nP(Plug and Play)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USN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라틴어 'ubique'를 어원으로 하는 영어의 형용사로 '동시에 어디에나 존재하는, 편재하는'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나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통신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또한, 여러 기기나 사물에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을 통합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환경으로써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기술을 전제로 구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N 시스템은 다수의 USN 센서 모듈(10)로 구성되는 USN(100)과 USN 게이트웨이(200) 및 타 네트워크(300, 예를 들면, 이동 통신망, 무선 인터넷망, 유선 인터넷망 등)를 통해 USN 게이트웨이(200)와 연결되는 외부 서버(40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USN(100)은 다수의 USN 센서노드(10)들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다수의 USN 센서노드(10)들은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감지한 후 감지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RF 신호로 송출한다. 이 경우, USN 센서노드(10)들은 서로 간에 RF신호를 무선중계(토스)하면서 정보가 궁극적으로 도착해야될 목적지로 보내게 되는 데, 그러한 USN 센서 노드(10)들 중에는 다른 USN 센서 노드(10)들로부터 오는 정보를 수집하여 USN 게이트웨이(200)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엔드 노드(10e)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엔드노드(10e)는 USN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서버(400)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특정 센서 정보를 USN(100)에 요청하고, USN 센서노드(10)로부터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N 복합센서통신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USN 복합센서통신장치(100)는 커넥터부(110), 제어부(120), 전압 공급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커넥터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커넥터부(110)는 센서 모듈의 수에 따라 대응되는 적절한 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모듈은 온도, 가속도, 위치 정보, 압력, 지문, 가스, 진동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은 고정형 센서 모듈, 이동형 센서 모듈 또는 휴대형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여기서, USN 복합센서통신장치(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2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커넥터부(1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커넥터부(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하여 연결된 센서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고유의 ID로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고유의 ID를 통해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압 공급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에 기설정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전압 분배 회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복수 개의 저항을 구비하여 입력되는 전압을 분배하여 출력하는 전압 분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센서 모듈의 고유의 ID는 전압 공급부(130)에 공급되는 기설정된 전압이 전압 분배 회로에 포함된 저항값에 의해 분배된 형태의 전압값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센서 모듈에 구비된 전압 분배 회로에 포함된 저항값을 조정함에 의해 각 센서 모듈에 고유한 전압값 즉, ID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20)는, 커넥터에 센서 모듈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커넥터부(110)가 0V의 전압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외부 서버(미도시)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USN 복합센서통신장치(100)와 상호작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서버(미도시)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특정 센서 정보를 USN 복합센서통신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미도시)는 센서 모듈(10-1... 10-n)로부터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USN 복합센서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미도시)는 USN 복합센서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재해 상황 등을 통지하는 재해 관리 서버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제어부(120)에 의해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가 확인되면, 해당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센서 모듈에 대한 동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40)는 Ethernet, CDMA 및 GSM 이동통신 네트워크, 위성망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외부 서버로부터 커넥터부(110)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에 대한 동작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동작 명령에 따라 해당 센서 모듈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USN 복합센서통신장치의 확장 커넥터와 센서 모듈 연결 상태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된 상태에서 센서 모듈의 종류 해석하여 해당 센서 모듈을 동작시키게 됨으로써 PnP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모듈 내에 구비된 전압 분배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센서 모듈은 두 개의 저항(R1 및 R2)를 포함하는 형태의 전압 분배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분배 회로에는 기설정된 전압 Vcc가 인가되고 전압 분배 회로를 구성하는 저항 R1 및 R2 값을 조정하여 각 센서 모듈 별로 상이한 전압이 커넥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으로 커넥터에 연결된 각 센서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출력 전압 A가 OV 인 경우 커넥터에 어떠한 센서 모듈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출력 전압 A가 0.3V 인 경우 커넥터에 온/습도 센서 모듈이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출력 전압 A가 0.6V 인 경우 커넥터에 가스 센서 모듈이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출력 전압 A가 0.9V 인 경우 커넥터에 연기 센서 모듈이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일 예를 든 것뿐이며, 출력 전압 수치는 각 센서 모듈의 실질적인 출력 전압과 다를 수 있으며, 전압 분배 회로를 구성하는 저항의 개수 또한 두 개로 한정되는 것인 아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온/습도 센서 모듈, 가스 센서 모듈, 연기 센서 모듈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센서 모듈의 일 예를 든 것에 불과하며 센서의 종류로는 가속도, 위치 정보, 압력, 지문, 가스, 진동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확장 커넥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센서 모듈의 공급전압은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전압을 커넥터를 통해서 공급할 수 있다(VCC_3_3, VCC_5, VCC_9, VCC_x).
또한, 센서의 데이터 아웃풋(output)은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할 수 있다(I2C_SDA, I2C_SCK, ADC_SENSOR_ DATA).
또한, 센서의 타입을 구분 짓기 위한 포트 인풋(input)을 구비할 수 있다(SENSOR_TYPE 1)
또한, 센서를 On/Off 할 수 있는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SENSOR_PWR1).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분배 회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센서 모듈 내에는 전압분배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전압분배회로는 제어장치로부터 전압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전압을 전압분배하여 각 센서 모듈에 고유의 전압 즉, ID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센서 모듈마다 고유의 ID를 할당받게 되므로 제어장치에서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동작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어 장치에서 센서의 종류를 확인되면, 제어장치로부터 센서 동작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모듈이 ON인 상태인 곳에만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nP(Plug and Play)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복합센서통신장치에서의 PnP(Plug and Play)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되는 커넥터의 전압을 감지한다(S510).
이어서,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S520).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한다(S53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고유의 ID로 식별될 수 있으며, 각 센서 모듈에 고유한 ID를 통해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확인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서버로 전송한다(S540).
이 후, 서버로부터 전송된 동작 명령에 따라 연결된 센서 모듈을 동작시킨다(S550).
한편, 각 센서 모듈은 전압 분배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센서 모듈에 고유한 ID는 공급된 기설정된 전압이 전압 분배 회로에 포함된 저항값의 조정을 통해 분배된 전압값일 수 있다.
또한, 커넥터에 센서 모듈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커넥터의 전압이 0V를 나타내도록 하여 커넥터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USN 복합센서통신장치가 Power On 되면(S610), 해당 USN 복합센서통신장치의 초기화가 수행되고, USN 복합센서통신장치는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서버로 전송한다(S620). 이는 해당 USN 복합센서통신장치에 어떠한 센서 모듈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서버에서 USN 복합센서통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센서 모듈의 종류 확인은 도 5에 도시된 PnP 제어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인터럽트 I가 발생하는 경우(S630:Y), 해당 인터럽트 i가 기설정된 센서 인터럽트 셋(Sernsor int Set)에 속하는지 확인한다(S640). 여기서, 인터럽트 i는 서버에서 전송된 임의의 센서 모듈을 동작하라는 명령이 될 수 있다.
해당 인터럽트 i가 기설정된 센서 인터럽트 셋(Sernsor int Set)에 속하는 경우(S640:Y), 인터럽트 i에 대한 센서 모듈을 턴온(turn on)시키고(S650), 해당 센서 모듈의 ID와 실제 전압(i.V)을 비교한다(S660).
해당 센서 모듈의 ID와 실제 전압(i.V)이 동일한 경우(S560:Y), 해당 센서 모듈을 통한 데이터 컨버팅(S670) 및 데이터 처리(S680)를 수행한다.
만약, 해당 센서 모듈의 ID와 실제 전압(i.V)이 다른 경우(S660:N), 다시 한번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체크한다.
한편, 해당 인터럽트 i가 기설정된 센서 인터럽트 셋(Sernsor int Set)에 속하지 않는 경우(S640:N), 해당 인터럽트(Int)를 처리한다(S690).
이에 따라 확장 커넥터의 순서에 상관없이 센서 모듈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잡한 회로 설계 없이 효율적으로 PnP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복합센서통신장치의 PnP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매체, 즉,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110: 커넥터
120: 제어부 130: 전원공급부
140: 통신부

Claims (8)

  1.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USN) 복합센서통신장치에서의 PnP(Plug and Play)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되는 커넥터의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연결된 센서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nP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고유의 ID로 식별되며,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의 ID를 통해 상기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에 기설정된 전압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전압 분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고유의 ID는 상기 전압 분배 회로에 포함된 저항값의 조정을 통해 상기 기설정된 전압이 분배된 전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센서 모듈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커넥터의 전압은 0V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복합센서통신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되는 커넥터부;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된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연결된 센서 모듈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하여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고유의 ID로 식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의 ID를 통해 상기 연결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통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에 기설정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은 전압 분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고유의 ID는 상기 전압 분배 회로에 포함된 저항값의 조정을 통해 상기 기설정된 전압이 분배된 전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통신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커넥터부의 전압이 0V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통신장치.
KR1020110071116A 2011-07-18 2011-07-18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 KR10135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116A KR101354932B1 (ko) 2011-07-18 2011-07-18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116A KR101354932B1 (ko) 2011-07-18 2011-07-18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361A true KR20130010361A (ko) 2013-01-28
KR101354932B1 KR101354932B1 (ko) 2014-01-22

Family

ID=4783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116A KR101354932B1 (ko) 2011-07-18 2011-07-18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9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060A (ko) * 2018-03-19 2019-10-14 한국과학기술원 플러그 앤 플레이 범용 IoT 노드 기반 스마트 관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센서 종류 인식 방법
USD909324S1 (en) 2018-11-15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unit
USD909325S1 (en) 2018-11-15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unit
USD1005247S1 (en) 2018-11-15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ar body of modular display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521B1 (ko) * 2002-01-30 2004-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모듈의 탈/장착을 자동 감지하는 홈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KR100937872B1 (ko) * 2007-12-17 2010-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서모듈을 위한센서노드동적관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060A (ko) * 2018-03-19 2019-10-14 한국과학기술원 플러그 앤 플레이 범용 IoT 노드 기반 스마트 관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센서 종류 인식 방법
USD909324S1 (en) 2018-11-15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unit
USD909325S1 (en) 2018-11-15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unit
USD1005247S1 (en) 2018-11-15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ar body of modular display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932B1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g et al. Understanding IEEE 1451-Networked smart transducer interface standard-What is a smart transducer?
US9942629B2 (en) Methods of sensing parameters
US20150078753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354932B1 (ko) USN 복합센서통신장치 및 그 PnP 제어 방법
De Mil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eneric energy-harvesting framework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a large-scale electronic shelf-label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102231915B1 (ko)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CN103297306B (zh) 一种农业物联网系统
CN102196041A (zh) 一种无线智能传感器及该传感器即插即用的实现方法
EP2566109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130218347A1 (en)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8495284B (zh) 传感器连接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982515B1 (ja) センサ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N104956235A (zh) 用于确定地点标记器的位置改变的方法和设备
KR101369933B1 (ko) 스마트 러닝 교탁 장치와 시스템 및 스마트 러닝 교탁 장치의 관리 방법
EP41378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issioning environmental sensors
CN114640897A (zh) 可扩展的模块化人工智能物联网设备及物联网系统
US20130128438A1 (en) Heat dissipating system
KR102253854B1 (ko) 범용 IoT 안전관제 방법
CN104808619A (zh) 一种基于环境自动控制灯光的物联网设备控制系统及方法
Popelka et al. Performance of smart sensors standards for aerospace applications
Jero et al. Implementation of a simple wireless sensor node for the detection of gaseous substances leakage
JP4692240B2 (ja) 監視装置
CN105357642A (zh) 室内环境质量记录系统与室内环境质量记录方法
KR20210105276A (ko) 스마트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220017057A (ko) IoT 환경에서 타겟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