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332A - 소수의 엘이디와 도광판을 이용한 저전력의 가변도로표지판 - Google Patents

소수의 엘이디와 도광판을 이용한 저전력의 가변도로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332A
KR20130010332A KR1020110071061A KR20110071061A KR20130010332A KR 20130010332 A KR20130010332 A KR 20130010332A KR 1020110071061 A KR1020110071061 A KR 1020110071061A KR 20110071061 A KR20110071061 A KR 20110071061A KR 20130010332 A KR20130010332 A KR 20130010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led module
road sign
f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5351B1 (ko
Inventor
박준석
임세미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7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3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은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도로표지판의 바탕면을 이루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다수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LED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LED모듈;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방출하는 사이드 백라이트; 및 상기 LED모듈에 표시되는 교통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LED를 선택적으로 점멸시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LED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야간에도 시인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표지판 바탕면을 도광판으로 구현함으로써 저전력을 사용하는 도로표지판을 제공한다. 한편, 조도값 및 안개량에 따라 LED모듈과 도광판의 휘도를 제어하여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수의 엘이디와 도광판을 이용한 저전력의 가변도로표지판{POWER SAVING ROAD SIGN BOARD USING A MINORITY OF LED AND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은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적인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도로표지판은 운전자의 편의 및 안전을 위해 도로상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방향표지, 이정표지, 경계표지, 노선표지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로표지판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 도로의 교차로에 설치되는 이정표를 들 수 있다.
도로표지판은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우수한 시인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도로표지판은 눈에 잘 띄는 초록색 또는 파란색 알루미늄플레이트 상에 고휘도 반사지를 다층으로 접착하여 구성되어, 가로등 또는 자동차 전조등으로부터 도로표지판에 조사되는 빛을 산란시켜 시인성을 높여주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반사지는 광원이 있어야 빛을 반사하므로, 야간에 가로등이 고장이 난 곳 혹은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는 전술한 반사지만으로는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표시되는 교통정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LED 백라이트를 이용한 도로표지판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LED 백라이트를 이용한 도로표지판은 이미 정해진 문자표지판 뒷면에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시인성만 증가시킬 뿐이고, 시시각각 변하는 교통정보를 제공해주지는 못한다. 즉, 사고, 침수 등 예상치 못한 도로상황이 발생하거나, 도로가 변경되어 교통정보를 변경할 필요성이 생긴 경우, 표지판을 교체하지 않고서는 변경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가변적인 교통정보 표시를 위한 도로표지판으로 주로 전광판을 이용한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전광판은 전력소모가 높고,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크기와 중량이 상당하여 지주에 큰 부담을 준다.
최근 각광받는 LED 전광판의 경우, 소자의 가격이 고가라는 점, 안개가 끼는 지역에서는 충분한 시인성을 제공하기 어려운 소자의 단점이 존재한다는 점, LED 중 일부라도 고장 나는 경우에는 전체 패널을 교체해야 한다는 점, 높은 방열로 인하여 후면의 기판 손상이 심하여 사용연한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하여 사용상에 큰 불편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유연한 정보 제공의 기능성을 살리면서도, 저전력, 저비용, 고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로표지판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야간에도 시인성이 뛰어나고, 가변적인 교통정보를 표시하여 도로상황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로표지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구현가능하고, 전력을 적게 소비할 뿐 아니라, 조도값 및 안개량의 변화에 따라 제어하여 우수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는 도로표지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로표지판은,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도로표지판의 바탕면을 이루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다수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LED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LED모듈;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방출하는 사이드 백라이트; 및 상기 LED모듈에 표시되는 교통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LED를 선택적으로 점멸시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도광판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 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전면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도광판으로 수렴시키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 백라이트는 냉음극형광관(CCFL), 명광원 및 LE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표지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LED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가변안내표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안내표시 부분과 상기 도광판 및 상기 LED모듈에 표시되는 도로표지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상기 가변안내표시 부분으로 유출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도로표지 부분과 상기 가변안내표시 부분을 구분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표지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상기 도로표지판 안개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안개감지센서; 및 조도값 및 안개량에 따른 상기 LED모듈의 기준 휘도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 및 안개감지센서로부터 조도측정값 및 안개측정량을 입력받아, 상기 조도측정값 및 안개측정량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에 따라 상기 LED모듈의 휘도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LED모듈의 휘도에 대해 허용되는 상기 사이드 백라이트의 휘도를 정의하기 위한 소정 허용범위의 기준 휘도비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측정값과 상기 안개측정량에 따라 결정된 상기 LED모듈의 기준 휘도값에 상기 기준 휘도비를 적용하여 상기 사이드 백라이트의 휘도를 결정하되, 상기 안개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허용범위 내에서 상기 기준 휘도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 위에 광학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도광판의 관통구멍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LED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야간에도 시인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한편, 도로표지판 바탕면은 도광판으로 구현함으로써 LED로 전체를 표현하는 도로표지판에 비해 저전력을 사용하고 무게가 가볍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에서 도로상황에 따라 LED의 점멸을 제어함으로써 변화하는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조도측정값 및 안개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교통정보를 이루는 LED모듈과 바탕면을 이루는 도광판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자동차 도로의 교차로에 설치된 이정표의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의 제어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도광판과 LED모듈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제어부에서 LED모듈 및 사이드 백라이트의 휘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은 도광판(10), LED모듈(20), 사이드 백라이트(30), 반사판(40), 차단판(50), 조도센서(60), 안개감지센서(70), 메모리부(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도광판(10)은 도로표지판의 바탕면을 이루는 것으로, 다수의 LED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도광판(10)은 기계적 강도와 투명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광판(10)은 PMMA(Poly Methyl Meth 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지방족 환상폴리올레핀(COP)로 구성될 수 있다.
LED모듈(20)은 다수의 LED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교통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LED 및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사이드 백라이트(30)는 도광판(10)으로 광을 방출하는 광원으로, 도광판(1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위치한다. 사이드 백라이트(30)는 도광판(10)에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이면 족하며,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이드 백라이트(30)의 수 또는 크기는 도광판(10)의 크기 및 요구되는 휘도에 따라 결정된다.
반사판(40)은 도광판(10) 후면에 위치하여, 도광판(10)의 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도광판(10)으로 다시 수렴시킨다.
차단판(5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이 LED를 이용하여 교통량, 날씨정보, 경고문구 등을 표시하는 가변안내표시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가변안내표시 부분과 도광판(10) 및 LED모듈(20)에 표시되는 도로 방향 및 거리의 도로표지 부분을 구분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광판(10), LED모듈(20), 사이드 백라이트(30), 반사판(40) 및 차단판(50)의 구조 및 결합관계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도광판과 LED모듈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광판(10)은 LED모듈(20)의 다수의 LED와 각각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도광판(10)은 사이드 백라이트(30)의 위치 및 형태에 따라 편평한 형태 또는 경사를 가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도광판(10)의 뒷면에는 난반사를 유도하여 도광판(10) 전체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광학패턴이 형성된다. 광학패턴은 인쇄방식, V-커팅 방식, 사출방식, 레이저 방식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패턴은 사이드 백라이트(30)가 위치하는 도광판(10)의 면의 수, 사이드 백라이트(30)와의 거리 및 도광판(10)의 요청사양 등을 고려하여 광학패턴 밀도를 크게 또는 작게 변화시키면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백라이트(30)는 도광판(10) 측면에 위치하여 도광판(10)으로 광을 조사한다. 도광판(10)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면, 광원의 구체적 형태는 불문한다. 따라서, 선광원 또는 점광원의 형태 모두 가능하다. 예컨대, 사이드 백라이트(30)는 냉음극형광관(CCFL), 명광원 또는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드 백라이트(30)에서 방출되는 광색은 제한되지 않으며, 도로표지판 설치장소 및 용도에 따라 사이드 백라이트(30)의 광원의 색을 변화시킴으로써 도광판(10)에 조사되는 광색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적색, 녹색, 황색, 또는 청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백라이트(30)에서 조사되는 광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측면에 사이드 백라이트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이드 백라이트(30)가 도광판(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면, 조사된 광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10) 내부에 확산되고, 도광판(10)의 패턴에 의해 난반사되어 도광판(10) 전체가 광을 발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광판(10)의 광은 LED모듈(20)에 표시되는 교통정보를 제외한 도로표지판의 바탕면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광판(10)에서 방출되는 광의 일부는 도광판(10)의 후면으로 방출되어 손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반사판(40)은 이 손실광을 다시 전면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도광판(10)으로 수렴시켜 손실광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반사판(40)은 높은 반사율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반사판(4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TS(Steel Stainless), 황동, 알루미늄 등의 기본재질 위에 은을 코팅하여 구현할 수 있고, 장시간 흡열로 인한 변형을 막기 위해 티타늄 코팅을 할 수도 있다.
LED모듈(20)은 도광판(10)의 후면에 위치하고, LED모듈(20)에 포함된 다수의 LED가 도광판(1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LED에서 광이 방출되어 교통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도광판(1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은 LED에서 방출되는 광이 직진성을 가지고 도광판(10)의 외부까지 방출되어 운전자가 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각각의 LED 크기 및 배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반사판(40)은 LED모듈(20) 플레이트 색의 명도에 따라 생략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LED모듈(20)의 플레이트가 백색인 경우, 반사율이 높아 LED모듈(20)이 도광판(10) 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전면으로 반사하므로 손실광이 적어 반사판(40) 생략이 가능하다. 반면에, LED모듈(20)의 플레이트가 검정색과 같이 명도가 낮은 색인 경우에는, LED모듈(20)의 반사도가 낮으므로, 도광판(10)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반사판(40)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판(5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의 도로표지 부분과 가변안내표시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도광판(10)으로부터 상기 가변안내표시 부분으로 유출되는 광을 차단한다. 한편, 차단판(50)은 도로표지판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는 색으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로표지판의 바탕면 및 교통정보와 다른 색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판(50)은 도로표지 부분과 가변안내표시 부분의 바탕면이나 정보의 색이 서로 다른 경우, 도광판(10)에서 가변안내표시판으로 확산되는 광을 차단하여 시인성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은 도광판(10)에 부착되어 관통구멍을 차단하는 광학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름은 도광판(10)의 전면으로 광을 확산시키고, 휘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광판(10)의 전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술한 도광판(10)에 형성되는 패턴과 함께 도광판(10)에 확산되는 광의 균일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광학필름은 확산판, 프리즘시트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도광판(10)의 전면으로 방출되는 빛을 산란시켜 도광판(10) 전체로 확산시키고, 확산된 광을 집광시킴으로써 도로표지판의 전체 휘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도로표지판은 전술한 도광판(10), LED모듈(20), 사이드 백라이트(30), 반사판(40) 및 차단판(50)을 고정시키고 일체화시키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LED가 LED모듈(20)의 전면에 걸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 제공되는 교통정보는 제한적이며, 그 목적에 따라서 일정 부분으로 표시 영역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가 설치되는 영역을 제한하면서, LED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는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경색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의 조도센서(60)는 도로표지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 안개감지센서(70)는 도로표지판 주변의 안개상태정보를 수집한다. 조도센서(60)와 안개감지센서(70)는 도로표지판 주변의 조도 및 안개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된다.
메모리부(80)는 제어부(90)에 제공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LED모듈(20)의 기준 휘도값 및 LED모듈(20) 휘도에 대한 사이드 백라이트(30)의 기준 휘도비를 저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휘도값은 조도값 및 안개량에 대응하는 LED모듈(20)의 적정 휘도값으로 정의된다. LED모듈(20)의 밝기는 주변 조도와 안개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데, 예컨대 낮에는 높은 휘도를 띄어야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 밤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로도 충분히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개 낀 날씨에는 LED 광이 원거리까지 전달되지 못하는 소자의 특성상 그 휘도를 필히 조절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기준 휘도값은 두 가지 요인 즉 조도값과 안개량에 대응하는 값으로 미리 결정되어 저장됨으로써, 적정한 LED모듈(20)의 밝기를 보장하게 된다.
기준 휘도비는 LED모듈(20)의 휘도에 대한 사이드 백라이트(30)의 휘도비로 정의된다. 여기에서 기준 휘도비는 LED모듈(20)의 휘도에 따라 고정 또는 가변하며, 일정한 허용범위를 갖는 변수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즉,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LED모듈(20)과 그 배경색을 이루는 사이드 백라이트(30)의 밝기는 적정한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한 비를 가지며, 그 비율은 소정의 허용범위로 주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LED 소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실제 적용되는 기준 휘도비는 측정되는 안개량에 따라 허용범위 내에서 결정되며, 그 관계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80)는 조도값 및 안개량의 월평균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도센서(60) 또는 안개감지센서(70)에서 측정된 값이 월평균과 많은 차이가 나는 경우 이를 원격교통관리시스템에 알림으로써 조도센서(60) 또는 안개감지센서(70)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80)는 새로운 정보를 반영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90)는 전반적인 교통표지판의 운영절차를 제어한다.
제어부(90)는 원격교통관리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혹은 리모컨 제어를 통해 특정 정보 혹은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반영하여 LED모듈(20)과 사이드 백라이트(30)를 제어한다.
예컨대, 표시할 교통정보에 따라서 다수의 LED를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기상에 따른 시인성 확보를 위해 LED모듈(20) 및 사이드 백라이트(30)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어부(90)는 전력 제어 회로,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LED 구동 회로, 원격통신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원격교통관리시스템과 연동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원격교통관리시스템은 도로상에 설치된 카메라, 광비컨 등을 이용하여 주요 도로의 교통량과 소통상황, 사고 등 돌발상황, 건설공사 및 보수공사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원격교통관리시스템은 도로상황을 분석하여 도로표지판에 표시할 교통정보를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변경 교통정보를 원격통신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제어부(90)에 제공한다.
제어부(90)는 수신 정보를 기초로 LED모듈(20)의 구동회로를 작동시켜 변경 교통정보에 대응하여 LED를 점멸시킴으로써 LED모듈(20)에 표시되는 교통정보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LED모듈(20)의 밝기와 사이드 백라이트(30)의 휘도를 적정하게 결정하여 제어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실시예를 도 7의 순서도를 토대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은 도 2의 제어부(90)에서 LED모듈(20) 및 사이드 백라이트(30)의 휘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90)는 조도센서(60) 및 안개감지센서(70)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주변 조도의 측정값과 안개량을 입력받게 된다(S10).
이에 제어부(90)는 메모리부(80)에 기 저장된 기준 휘도값 중 조도측정값과 안개측정량에 대응하는 LED모듈(20)의 적정 휘도값을 결정하고(S11), 현재 LED모듈(20)의 휘도값과 비교한다(S13).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부(90)는 LED모듈(20)의 현재 휘도값이 적정 휘도값으로 선택된 기준 휘도값에 맞추어지도록 LED모듈(20)의 전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한다(S15,S17,S19).
LED모듈(20)의 휘도가 결정되면, 이에 대응하는 사이드 백라이트(30)의 휘도를 결정한다. 사이드 백라이트(30)의 휘도는 전술한 기준 휘도비와 LED모듈(20)의 기준 휘도값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제어부(90)는 메모리부(80)로부터 LED모듈(20)의 기준 휘도값에 따라 가변적인, 소정의 범위를 갖는 기준 휘도비를 독출한다(S21).
그리고, 실시간 측정된 안개량을 기초로 기준 휘도비의 일정 범위 값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S23).
예컨대, 안개량이 큰 경우, 제어부(90)는 안개량이 적은 경우보다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는 기준 휘도비를 선택하게 된다. 즉, 기준 휘도비가 사이드 백라이트(30)의 휘도값을 분자로 하고, LED모듈(20)의 휘도값을 분모로 하는 값으로 정의되는 경우, 안개량이 클 때 기준 휘도비는 허용범위 내에서 더 큰 값으로 선택되며, 사이드 백라이트(30)의 램프 종류, 도광판 및 반사판의 매질 특성 등을 고려하여 기준 휘도비의 값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정된 특정 기준 휘도비의 값은, LED모듈(20)의 기준 휘도값에 적용되어 사이드 백라이트(30)의 휘도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90)가 사이드 백라이트(30)의 전력을 제어하게 된다(S25).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가변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의 광 특성을 반영하여 소수의 LED와 배경을 이루는 도광판의 휘도 제어를 통해, 전력 효율을 높이고 여러 기상 여건에 맞는 최적화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특히, 강변 도로, 해안 도로, 안개 다발 지역 등에서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은 저전력 고효율, 고 시인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 반사판(40)과 차단판(50)은 필요에 따라 생략가능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0)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필요에 따라 투명 필름에 의해 차단되어, 먼지와 빗물 등의 침투에 의한 고장이 방지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 : 도광판 20 : LED모듈
30 : 사이드 백라이트 40 : 반사판
50: 차단판 60 : 조도센서
70 : 안개감지센서 80 : 메모리부
90 : 제어부

Claims (7)

  1.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도로표지판의 바탕면을 이루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다수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LED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LED모듈;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방출하는 사이드 백라이트; 및
    상기 LED모듈에 표시되는 교통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LED를 선택적으로 점멸시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 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전면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도광판으로 수렴시키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백라이트는 냉음극형광관(CCFL), 명광원 및 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LED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가변안내표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안내표시 부분과 상기 도광판 및 상기 LED모듈에 표시되는 도로표지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상기 가변안내표시 부분으로 유출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도로표지 부분과 상기 가변안내표시 부분을 구분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상기 도로표지판 주변의 안개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안개감지센서; 및
    조도값 및 안개량에 따른 상기 LED모듈의 기준 휘도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 및 안개감지센서로부터 조도측정값 및 안개측정량을 입력받아, 상기 조도측정값 및 안개측정량에 대응되는 기준 휘도값에 따라 상기 LED모듈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LED모듈의 휘도에 대해 허용되는 상기 사이드 백라이트의 휘도를 정의하기 위한 소정 허용범위의 기준 휘도비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측정값과 상기 안개측정량에 따라 결정된 상기 LED모듈의 기준 휘도값에 상기 기준 휘도비를 적용하여 상기 사이드 백라이트의 휘도를 결정하되, 상기 안개측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허용범위 내에서 상기 기준 휘도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위에 광학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도광판의 관통구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KR1020110071061A 2011-07-18 2011-07-18 소수의 엘이디와 도광판을 이용한 저전력의 가변도로표지판 KR101285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061A KR101285351B1 (ko) 2011-07-18 2011-07-18 소수의 엘이디와 도광판을 이용한 저전력의 가변도로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061A KR101285351B1 (ko) 2011-07-18 2011-07-18 소수의 엘이디와 도광판을 이용한 저전력의 가변도로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332A true KR20130010332A (ko) 2013-01-28
KR101285351B1 KR101285351B1 (ko) 2013-07-11

Family

ID=4783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061A KR101285351B1 (ko) 2011-07-18 2011-07-18 소수의 엘이디와 도광판을 이용한 저전력의 가변도로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680A (ko) * 2020-09-16 2022-03-23 이원희 백라이트 표지판
KR102518472B1 (ko) * 2022-05-02 2023-04-06 이지그룹 주식회사 점발광 및 면발광을 함께 수행하는 다차원 교통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1102B2 (ja) * 2003-04-21 2008-06-18 エーシック株式会社 発光素子式複合表示装置
KR20040004291A (ko) * 2003-09-05 2004-01-13 어은수 도로 표지판
KR100805684B1 (ko) * 2007-11-09 2008-02-21 (주)한일디스플레이 기상에 따라 휘도 및 색상이 가변되는 엘이디 전광판
KR100998741B1 (ko) * 2010-03-16 2010-12-10 기동안전(주) 교통표지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680A (ko) * 2020-09-16 2022-03-23 이원희 백라이트 표지판
KR102518472B1 (ko) * 2022-05-02 2023-04-06 이지그룹 주식회사 점발광 및 면발광을 함께 수행하는 다차원 교통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351B1 (ko)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7449B2 (en) Head-up display system
KR101285352B1 (ko) 소수의 엘이디와 도광판을 이용한 저전력의 가변도로표지판
KR101466546B1 (ko) 에지형 면광원 양방향 표지판
KR101937974B1 (ko)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EP2519940A2 (en) Light directing sign substrate
KR100998741B1 (ko) 교통표지판
JP3690852B2 (ja) 面発光型表示装置
JP3326338B2 (ja) 発光式標識板
KR101559544B1 (ko) 방범용 cctv 안전표지판
JP5890158B2 (ja) 自発光式交通標識板
JP2010002650A (ja) 自己発光型道路標識板
KR101471389B1 (ko) 표지판의 면광원 장치
KR101285351B1 (ko) 소수의 엘이디와 도광판을 이용한 저전력의 가변도로표지판
US20060080874A1 (en) Dynamic message sign
KR200403423Y1 (ko) 발광다이오드와 도광판을 이용한 넥손 도로표지판
KR102522197B1 (ko) 면 조명 장치
KR101970654B1 (ko)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KR102374085B1 (ko) 휘도편차가 발생하지 않는 내부 조명식 도로교통 표지판.
EP1496489A1 (en) Dynamic message sign
KR101729199B1 (ko) 터널용 집광조명식 피난구 유도표시등
KR102196308B1 (ko) 스쿨존 라이트패널 장치 및 시스템
JP2008517325A (ja) 動的メッセージ標識
KR20230001861A (ko) 빛으로 횡단보도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스마트 횡단보도
KR20070113341A (ko) 고휘도 발광 표지판
KR101066652B1 (ko) 도로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