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756A -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 Google Patents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756A
KR20130009756A KR1020127022581A KR20127022581A KR20130009756A KR 20130009756 A KR20130009756 A KR 20130009756A KR 1020127022581 A KR1020127022581 A KR 1020127022581A KR 20127022581 A KR20127022581 A KR 20127022581A KR 20130009756 A KR20130009756 A KR 20130009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disposable
adapter
structured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지안 차이
샤오가오 리우
Original Assignee
샤오가오 리우
지안지안 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오가오 리우, 지안지안 차이 filed Critical 샤오가오 리우
Publication of KR2013000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85Funnel filter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87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fluid pressure, pneumatics
    • B01L2400/049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fluid pressure, pneumatics vacuum

Abstract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100)는 배출구(116)를 갖는 스템(115)이 달린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110)를 포함한다. 깔때기(110) 안에 폴리머 필터디스크(119)를 설치하고 이곳을 지나는 액체를 여과한다. 여과키트(100)는 진공원에 연결되어 부압을 제공하는 진공흡입구(120)가 달린 유리 진공 어댑터(112)를 더 포함한다. 어댑터(112)는 깔때기(110)에 헐겁게 끼워져 고정되고, 배출구가 진공흡입구(120) 밑에 위치하므로, 오염물이 어댑터(112)에 들어가지 못한다. 재사용 가능한 유리 둥근플라스크(114)나 1회용 유리병(214) 안에 어댑터(112)와 깔때기(110)의 스템(115)이 들어간다. 깔때기(110)와 필터디스크(119)는 1회용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한 뒤 세척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DISPOSABLE POLYMER-STRUCTURED FILTERING KIT}
본 발명은 실험용 유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체-액체 샘플의 소규모 진공여과에 사용할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에 관한 것이다.
화학실험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인 진공여과는 고체를 함유한 액체를 다공성 인터페이스(interface)에 통과시키면서 고체를 걸러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여과를 위한 진공 여과키트는 깔때기, 어댑터, 및 수용 용기를 갖는다.
이상의 3가지 요소를 갖춘 일반적인 진공 여과키트에서는 깔때기에 진공흡입구가 형성된다. 이런 여과키트의 깔때기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진공흡입구가 진공원에 연결되며, 유리 용기에 용액이 담긴다. 깔때기는 용기에 결합되는 조인트와, 불용성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소결유리 필터디스크를 갖는다.
한편, 다른 진공 여과키트에서는 진공흡입구가 어댑터에 달려있기도 하다. 이런 여과키트는 연결용 조인트가 없는 유리 깔때기, 진공흡입구가 달린 유리 어댑터, 깔때기에 연결하기 위한 고무 어댑터 및 여과액을 담기위한 용기를 갖는다.
또다른 진공 여과키트에서는, 진공흡입구가 용기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런 여과키트는 깔때기, 진공흡입구가 달린 용기, 및 깔때기와 용기를 결합하기 위한 고무 어댑터를 포함한다.
이런 여과키트에서는, 여과를 하는 동안, 여과될 액체가 깔때기를 통해 용기로 들어가는데, 진공으로 인한 부압이 진공흡입구에 작용한다. 이렇게 진공으로 인한 압력차 때문에 액체가 필터를 통해 용기로 들어가고, 불용성 물질은 필터디스크에 모이게 된다.
진공 여과키트의 모든 요소들은 사용이 끝나면 오염을 없애기 위해 깨끗하게 세척해야만 한다. 그러나, 유리그릇은 세척과정중에 깨지기 쉬운데, 특히 일부 요소들은 손으로 씻기가 어렵기 때문에 더 그렇다. 또한 소결유리 필터디스크를 갖춘 유리 깔때기는 대부분 수제 제품이기 때문에 교체하기에는 너무 비싸기도 하다. 또, 세척과정은 상당히 많은 시간이 드는 작업이고, 특히 실험실의 경우에는 시간이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는 말단부를 갖는 스템이 달린 1회용 여과 깔때기를 포함한다. 스템의 말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깔때기 안에 필터디스크가 배치되어, 이곳을 통과하는 액체를 여과한다. 이 여과키트는 진공원에 연결되어 부압을 제공하는 진공흡입구가 달린 유리 진공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이 어댑터는 깔때기에 헐겁게 끼워져 고정되고, 말단부의 배출구가 진공흡입구 밑에 위치하여 어댑터가 오염되지 않도록 위치한다. 재사용 가능한 유리 원형 플라스크 안에 어댑터와 깔때기의 스템이 들어간다. 깔때기와 필터디스크는 1회용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사용후 이들을 세척할 필요가 없다. 이 어댑터는 여과중에 오염물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세척이 불필요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런 여과키트는 불용성 물질이나 여과물을 모으기에 알맞다.
본 발명의 다른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는 말단부를 갖는 스템이 달린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 깔때기를 포함한다. 말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이 깔때기는 액체 샘플을 쉽게 넣을 수 있도록 상단 입구가 비교적 넓다. 깔때기 안에는 여과를 위해 폴리머 필터디스크를 배치한다. 이 여과키트는 진공원에 연결되어 부압을 제공하는 진공흡입구가 달린 나사식 조인트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이 어댑터는 깔때기에 헐겁게 결합되어 고정되고, 배출구가 진공흡입구 밑에 위치하여 어댑터에 오염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위치한다.
나사식 조인트에 의해 1회용 유리 나사식 유리병이 어댑터에 결합된다. 이 유리병 안에 깔때기의 스템이 들어가고, 배출구가 유리병 안에 위치한다. 깔때기와 필터디스크는 1회용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끝난 뒤 세척할 필요가 없다. 유리병도 어댑터에서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다. 어댑터는 여과중에 오염물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세척할 필요가 없고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는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를 포함한다. 이 깔때기는 말단부를 갖는 분리식 스템을 구비하고, 깔때기의 상단 입구는 액체샘플을 쉽게 넣을 수 있도록 비교적 넓으며, 말단부에 배출구가 달려있다. 이 여과키트는 깔때기에 헐겁게 끼워져 고정되는 폴리머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데, 깔때기의 말단부는 어댑터 밑에 위치한다. 깔때기의 배럴과 바닥 사이에는 여과를 위해 폴리머 필터디스크가 배치된다. 진공흡입구가 달린 삼각플라스크에 어댑터와 깔때기의 스템이 들어가고, 배출구는 진공흡입구 밑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깔때기와 필터디스크는 1회용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끝난 뒤 세척할 필요가 없다. 어댑터도 마찬가지로 여과중에 오염물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세척이 불필요하고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여과키트는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 유리 진공 어댑터 및 재사용 가능한 유리 플라스크를 갖는데, 이런 유리 플라스크 대신 1회용 유리병을 사용할 수도 있다. 깔때기와 어댑터와 플라스크(또는 유리병)은 전술한 어떤 구성을 가져도 되지만, 플라스크나 유리병은 어댑터 밑이 아닌 어댑터 안에 위치한다.
또, 어댑터가 캡 위에 다수의 조인트를 갖고, 이런 조인트들에 다수의 깔때기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런 구성에서는 하나의 어댑터에 여러개의 깔때기를 사용해 동시에 여과할 수 있다. 이런 깔때기에 실리카겔이나 수지와 같은 흡착제를 포장하면, 고체추출 기술분야에서 화합물을 분리하는 카트리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여과키트의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여과키트의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여과키트의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의 전개사시도;
도 7은 도 1의 여과키트의 어댑터의 측면도;
도 8은 도 2의 여과키트의 어댑터의 전개측면도;
도 9는 도 1의 여과키트의 어댑터의 전개측면도;
도 10은 도 2의 여과키트의 다른 어댑터의 전개측면도;
도 11은 도 3의 여과키트의 어댑터의 측면도;
도 12는 도 3의 여과키트의 어댑터의 전개측면도;
도 13은 도 2의 여과키트의 1회용 유리병의 측면도;
도 14는 직선형 진공흡입구에 밸브가 달려있는, 도 1의 여과키트의 다른 어댑터의 측면도;
도 15는 직선형 진공흡입구에 밸브가 달려있는, 도 2의 여과키트의 또다른 어댑터의 전개측면도;
도 16은 깔때기가 원추형이고 소결유리 필터디스크나 폴리머 필터디스크가 깔때기의 환형 플랜지에 지지되는 다른 구조의 측면도;
도 17은 깔때기가 원추형이고 깔때기 안에 폴리머 판이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여과키트의 어댑터의 측면도;
도 18은 깔때기가 원통형이고 소결유리 필터디스크나 폴리머 디스크가 깔때기내 환형 플랜지에 지지되는 또다른 구조의 측면도;
도 19는 깔때기가 원통형이고 폴리머 판이 깔때기 안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여과키트의 사시도;
도 20은 필터디스크의 구멍 패턴을 보여주는 필터디스크의 평면도;
도 21은 슬릿이나 슬롯의 패턴을 보여주는 필터디스크의 평면도;
도 22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의 사시도;
본 발명은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런 여과키트는 1회용 폴리머-구조의 깔때기, 1회용이 아닌 어댑터 및 유리그릇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100)이다. 이 키트(100)는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110), 유리제 진공 어댑터(112) 및 재활용 가능한 둥근 유리 플라스크(114)를 갖는다.
깔때기(110)의 스템(115; stem)은 비교적 길고, 스템의 끝에 배출구(116)가 형성된다. 배출구(116)가 어댑터(112)를 지나 플라스크(114) 안으로 들어갈 정도로 스템(115)이 긴 것이 좋다. 배출구(116)가 플라스크(114) 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연결된 진공원(도시 안됨)에 의해 부압이 걸렸을 때 어댑터(112)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폴리머 필터(119)는 깔때기(110)의 배럴(118; barrel) 바닥에 깔려 불용성 물질을 걸러낸다. 깔때기(110)의 내부 조인트(117)는 스템(115)과 배럴(118) 사이에 위치한다. 내부 조인트(117)는 깔때기(110)와 어댑터(112) 사이에 헐겁게 끼워 고정된다.
진공어댑터(112)는 진공원에 연결되는 진공흡입구(120), 깔때기 조인트(122) 및 플라스크 조인트(124)를 갖는다. 깔때기(110)의 스템(115)은 깔때기 조인트(122) 안으로 들어가고, 깔때기의 내부조인트(117)는 깔때기 조인트(122)에 끼워맞춤된다. 스템(115)은 플라스크 조인트(124)를 지나고, 배출구(116)가 플라스크(114) 안에 위치한다. 플라스크(114)는 화학실험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기이고, 도면에 예시된 플라스크의 모양과 크기는 예를 든 것일 뿐이다.
여과를 끝내면, 깔때기(110)를 분리하여 안전하게 폐기하고, 다른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 깔때기로 교체한다. 어댑터(112)는 교체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깔때기(110)의 스템(115) 말단부의 배출구(116)가 진공흡입구(120)를 지나 플라스크(114) 안으로 뻗어있어 여과중에 오염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플라스크(114)는 깨끗해서 재사용해도 된다.
도 2의 두번째 실시예의 여과키트(200)는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210), 나사연골 어댑터(212) 및 1회용 나사결합 유리병(214)을 갖는다.
깔때기(210)의 스템(215)은 비교적 길고 말단부에 배출구(216)가 형성된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템(215)은 배출구(216)가 어댑터(212)를 지나 유리병(214) 안으로 뻗을 정도로 길다. 여과를 할 때 진공원에 의한 부압으로 어댑터(212)가 오염되지 않도록 배출구(216)는 유리병(214) 안으로 뻗는 것이 좋다. 불용성 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배럴(218) 바닥에는 폴리머 필터디스크(219)를 깐다. 깔때기(210)의 스템(215)과 배럴(218) 사이에 내부조인트(217)가 형성된다. 내부조인트(217)는 깔때기(210)와 어댑터(212) 사이에 끼워맞춤으로 고정된다. 깔때기(210)는 상단 입구(225)가 비교적 넓어 액체샘플을 넣기 쉽도록 되어있다.
어댑터(212)는 진공원에 연결되어 부압을 공급하는 진공흡입구(220)와, 깔때기 조인트(222) 및 유리병 조인트(224)를 갖는다. 유리병 조인트(224)는 어댑터(212)와 유리병에 나사식으로 착탈된다.
깔때기 조인트(222) 안으로 깔때기(210)으 스템(215)이 들어가고, 깔때기(210)의 내부조인트(217)는 깔때기 조인트(222)에 끼워맞춤된다. 스템(215)은 유리병 조인트(224)를 지나고, 스템의 배출구(216)가 유리병(214) 안에 위치한다. 유리병(214)은 1회용이 바람직하다.
여과가 끝난 깔때기(210)는 분리하여 안전하게 폐기하고, 다른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로 교체한다. 어댑터(212)는 교체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깔때기(210)의 스템(215)의 배출구(216)가 진공흡입구(220)를 지나 유리병(214) 안에 있어서 오염의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유리병(214)은 어댑터(212)에 나사결합되어 있어 쉽게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다. 여과키트(200)는 필터디스크(219)에서 불용성 물질을 걸러낸다.
도 3의 또다른 실시예의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300)는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310), 어댑터(312), 및 삼각플라스크(314)를 갖고, 삼각플라스크에 진공흡입구(320)가 달려있다.
깔때기 바닥(321)에 달린 스템(315)은 길이가 길고(도 6 참조), 스템 말단부에 배출구(316)가 형성된다.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스템(315) 말단부의 배출구(316)가 어댑터(312)를 지나 삼각플라스크(314)의 진공흡입구(320) 밑으로 뻗을 정도로 스템이 길다. 배출구(316)가 진공흡입구(320)보다 밑에 위치하여 진공여과중에 어댑터(312)가 오염되지 않는다. 깔때기 바닥(321)에 달린 내부조인트(317)는 스템(315)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내부조인트(317)는 어댑터(312)에 끼워맞춤된다. 깔때기(310)의 상단 입구(325)는 폭이 비교적 넓어 액체샘플을 넣기에 좋다. 또, 금속 클램프(327)에 의해 깔때기 바닥(321)에 깔때기 배럴(318)이 고정되고, 폴리머 필터디스크(319)는 깔때기 바닥과 클램프 사이에 위치한다.
어댑터(312)는 유리제 깔때기 조인트(322)와 폴리머 스토퍼 조인트(324)를 갖는다. 깔때기 조인트(322) 안으로 깔때기(310)의 스템(315)이 들어가고, 깔때기의 내부조인트(317)가 깔때기 조인트(322)에 끼워맞춤된다. 스템(315)은 스토퍼 조인트(324)를 지나고, 배출구(316)가 플라스크(314)의 진공흡입구(230)보다 밑에 위치한다.
여과가 끝나면, 깔때기(310)를 분리해 안전하게 폐기하고, 다른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로 교체한다. 깔때기(310)의 스템(315)의 말단부의 배출구(316)가 플라스크(314)의 진공흡입구(320)보다 밑에 위치하여, 어댑터(312)의 오염이 방지되므로, 어댑터는 교체할 필요가 없다. 필터디스크(319)도 비슷하게 배치된다. 이 여과키트(300)는 필터디스크(319)에서 불용성 물질을 걸러내고, 깔때기(310)를 분리해 여과된 고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찬가지로 유리하다.
도 4는 도 1의 깔때기(110)를 더 잘 보여준다. 이 깔때기(110)는 배럴형이고, 상단부에 입구(125)가 있으며 하부의 스템(115)의 말단부에 배출구(116)가 있다. 저렴한 폴리머로 이루어진 깔때기(110)와 필터디스크(119) 둘다 1회용으로 교체하기가 쉽다.
깔때기(110)와 필터디스크(119) 둘다 각종 유기용매에 대해 내식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깔때기(110)의 재료로는 비싸지 않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 좋지만, 아크릴(acryli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스티렌(styrene), 폴리플루오로에틸렌(polyfluoroeth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배출구(116)가 플라스크(114) 안에 위치하게 하는 스템(115)의 최소 길이는 20mm 정도가 좋지만, 스템의 길이는 8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스템(115)의 상단부에 달린 내부조인트(117)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112)의 깔때기 조인트(122)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것이 좋다. 내부조인트(117)는 직경 5~16mm, 길이 5~2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깔때기(110)는 도 2~3의 여과키트에도 사용할 수 있다. 깔때기(110)의 내부용적은 40㎖ 정도이다.
도 5는 도 2의 깔때기(210)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이 깔때기(210)의 상단 입구(225)는 비교적 넓으며, 모양과 크기는 전술한 깔때기(110)와 비슷하지만, 배럴(218)에 입구(225)가 있는 것이 다르다. 스템(215)의 상단부에 달린 내부조인트(217)는 누수 방지를 위해 어댑터(212)의 깔때기 조인트(222)에 억지끼워맞춤된다. 내부조인트(217)는 직경 5~16mm, 길이 5~20mm 정도이다. 이 깔때기(210) 역시 도 1, 3의 여과키트에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깔때기(210)는 비교적 적은 양의 액체를 취급한다. 전술한 깔때기(110)의 내부용적이 40㎖ 정도인데 비해, 이 깔때기(210)의 내부용적은 18㎖ 정도이다.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런 깔때기들의 크기는 바뀔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깔때기(310)의 분해사시도이다. 배럴(318)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입구(325,328)가 형성된다. 배럴(318)의 입구(325)는 깔때기(210)의 입구(225)와 비슷하고 소량의 액체에 사용된다. 하단부 입구(328)는 깔때기(310)에서 고체 샘플을 쉽게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 바닥(321)의 상단부에 오목부(329)가 형성되고, 이곳에 필터디스크(319)를 놓으면, 여과키트를 조립할 때 필터디스크(319)가 설치된다. 금속 클램프(327)는 배럴(318)의 하단 입구(328)와 깔때기 바닥(321)을 단단히 조이는데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318)은 깔때기의 윗부분을 이루고, 스템(317)은 분리형 아랫부분을 이룬다. 이런 구성은 비교적 소량의 액체샘플을 흘려보내면서 고체샘플을 걸러내기에 알맞다. 물론 이 깔때기(310)도 도 1~2의 여과키트에 사용할 수 있다. 필터디스크(119,219,319)의 재료는 공극률이 비교적 높거나 중간인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한편, 기존의 소결유리제 필터디스크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플라스크 조인트(124)와 깔때기 조인트(122)가 달린 도 1의 어댑터(112)를 자세히 보여준다. 진공흡입구(120)는 어댑터(1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진공원에 연결된다. 상단부의 깔때기 조인트(122)는 깔때기(110)의 내부조인트에 결합되고, 직경 5~16mm 정도, 길이 5~20mm 정도이다. 하단의 플라스크 조인트(124)는 플라스크(114)에 결합되는 것으로, 14/20, 19/22, 24/25, 24/40 또는 29/42의 사이즈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14/20 사이즈일 경우 플라스크 조인트(124)의 크기가 직경 14mm, 길이 20mm임을 뜻한다. 플라스크 조인트(114)는 도 1의 플라스크(114)처럼 재사용 가능한 둥근 유리 플라스크와 끼워맞춤된다. 어댑터(112)의 재료로는 유리가 좋지만, 폴리머나 금속과 같은 다른 재료도 가능하다. 도 14의 다른 예의 어댑터(112)는 진공을 조절하고 여과물이 진공배관에 흡수되는 것을 막기위해 진공흡입구(120)에 밸브(121)가 설치된 것이다.
도 8은 유리병 조인트(224)와 깔때기 조인트(222)가 달린 도 2의 어댑터(212)를 자세히 보여준다. 이 어댑터(212)는 도 2의 유리병(212)에 결합된다. 어댑터(212)의 상단부에는 깔때기 조인트(222)가, 하단부에는 유리병 조인트(224)가 배치되고, 측면에는 진공흡입구(220)가 돌출한다. 깔때기 조인트(222)는 깔때기(210)의 내부조인트(217)에 끼워맞춤되고, 직경 5~16mm, 길이 5~20mm 정도이다. 유리병 조인트(224)는 나사(228)가 달린 어댑터(212)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의 나사형 조인트(226)와, 유리병(214)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의 나사 조인트(227)를 갖는다. 조인트(226)의 나사는 GPI(Glass Packaging Institute) 20~400 쓰레드(threa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인트(226)의 내경은 20mm 정도이다. 여기서 "400"이란 숫자는 특정 마감 스타일을 말한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어댑터(212)를 보여준다. 이 어댑터는 진공을 조절하고 여과물이 진공배관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흡입구(220)에 밸브(221)를 단다. 이 어댑터(212)의 재료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유리가 바람직하지만, 폴리머나 금속 등의 다른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여과키트에 사용하는 다른 종류의 어댑터(412)를 자세히 보여주는데, 이 어댑터는 하부 조인트(424)와 나사형 깔때기 조인트(422)를 갖는다. 이 어댑터(412)가 어댑터(112)를 대체할 수 있다. 어댑터(412) 상단부의 나사식 조인트(436)는 내경이 5~16mm 정도이다. 구멍이 뚫린 캡(438)과 밀봉링(439)을 조인트(436) 위에 배치해 깔때기를 밀봉하는 한편, 깔때기의 배출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어댑터에 진공흡입구(420)도 달려있다.
도 10은 도 2의 여과키트에 사용하는 다른 종류의 어댑터(512)를 자세히 보여주는데, 이 어댑터는 하부 유리병 조인트(524)와 나사식 깔때기 조인트(522)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의 측면에는 진공흡입구(520)가 달려있고, 상단부에는 나사식 깔때기 조인트(536)가 달려있다. 어댑터(512)를 깔때기에 결합할 때, 구멍이 뚫린 캡(538)을 통해 깔때기의 배출구가 진공흡입구(520)보다 밑에 위치한다. 밀봉링(539)과 캡(538)은 조인트(536) 위에 위치하여, 깔때기를 밀봉한다. 유리병 조인트(524)의 나사 조인트(526)는 어댑터(512)의 나사(528)에 결합되는 한편, 유리병 나사조인트(527)에 결합되어 유리병에 연결된다.
도 11은 도 3의 여과키트에 사용되는 어댑터(312)를 자세히 보여준다. 이 어댑터(312)는 중앙에 구멍이 뚫린 스토퍼(324)를 갖는다. 어댑터(312)는 도 3의 삼각플라스크(314)에 결합된다. 스토퍼(324)의 재료는 고무, 실리콘고무, 네오프렌(neoprene)과 같은 폴리머가 좋다. 상단부에 유리 깔때기 조인트(322)가 달린 유리관(330)이 스토퍼(324)의 중앙에 타이트하게 끼워진다. 깔때기 조인트(322)는 직경이 5~16mm이고, 길이는 5~20mm이다. 바람직하게, 어댑터(324)의 중앙에 구멍을 뚫으면, 조인트(322)를 상단부에 설치하지 않고도 도 3의 여과키트에 직접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도 3의 여과키트에 사용하는 다른 어댑터(612)를 자세히 보여주는데, 이 어댑터의 상단부에는 나사조인트(622)가 달려있다. 스토퍼의 재료는 고무, 실리콘고무, 네오프렌과 같은 폴리머이고, 나사조인트(622) 이외에는 전술한 스토퍼(324)와 비슷하다. 어댑터(612)는 깔때기를 플라스크에 연결할 때 사용된다. 유리제 나사식 관(630)이 스토퍼(624)의 중심에 타이트하게 끼워진다. 구멍이 뚫린 캡(638)과 밀봉링(639)이 어댑터(612)의 나사조인트(636)에 설치되어 깔때기를 밀봉한다. 여과키트에 결합된 깔때기의 배출구는 진공흡입구보다 밑에 위치한다.
도 13은 도 2의 1회용 유리병(214)을 자세히 보여준다. 유리병(214)의 나사조인트(230)는 직경이 20~30mm가 바람직하고, 일반적인 직경은 23mm 정도이며 GPI 20-400 쓰레드를 갖는다. 유리병(214)의 바닥면은 반원형으로 하여 부압이나 정압에서 깨지지 않도록 한다. 유리병의 체적은 60~300㎖ 정도이다. 또, 체적 100㎖나 200㎖를 포함해 다른 체적의 유리병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3의 어떤 여과키트에도 사용할 수 있는 원추형 깔때기(610)를 자세히 보여준다. 이 깔때기(610)의 상부(602)는 절두원추형이고, 아랫쪽에 기다란 스템(615)이 달려있다. 상부(602)는 상단 입구(625)를 갖고, 그 안에 환형 플랜지(604)가 설치되며, 플랜지(604)에 필터디스크(619)를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다. 필터디스크(619)는 1회용 다공성 폴리머로 이루어지지만, 소결유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0은 폴리머 필터디스크(619)의 일례로서, 본체(700)에 아주 작은 구멍(706)이 여러개 뚫려있다. 수용성 물질이나 불용성 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1회용 여과지나 다공성 폴리머 막으로 필터디스크(619)를 감싼다. 도 21의 다른 형태의 필터디스크(819)는 본체(800) 윗면에 다수의 슬롯(802)이 형성되고, 중심에 구멍(804)이 더 형성된다.
도 17은 앞에서 설명한 깔때기(610)와 비슷한 다른 원추형 깔때기(710)를 자세히 보여준다. 이 깔때기(710)의 상부도 절두원추형이고, 아랫쪽에 기다란 스템(715)이 달려있다. 상부(702)의 상단에 입구(725)가 있고, 깔때기(610)의 환형 플랜지(604) 대신에 필터디스크(719)가 상부(702)에 일체로 형성된 점이 다르다.
도 18의 또다른 깔때기(810)도 도 1~3의 어느 여과키트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깔때기(810)는 상부(802)가 거의 원통형이고, 그 아래에 기다란 스템(815)이 달려있다. 상부(802)의 상단에 입구(825)가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 부근에 환형 플랜지(804)가 형성된다. 이 플랜지(804)에 필터디스크(619)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디스크(619)는 1회용이고 다공성 폴리머로 이루어지지만, 소결유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이 필터디스크(619)를 다른 필터디스크(719,819)로 교체할 수도 있다. 1회용 여과지로 필터디스크(619)를 감쌀 수도 있다.
도 19의 또다른 깔때기(850)는 앞의 깔때기(810)와 비슷하지만, 내부에 환형 플랜지(804)가 없다. 마찬가지로, 아랫쪽에는 스템(860)이 달려있고, 상부(862)의 상단부에 입구(855)가 있다. 필터디스크(719)가 상부(862) 안에 설치되는데, 이 필터디스크는 깔때기의 안쪽 원주벽과 마찰을 일으켜 고정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필요하다면, 필터디스크(719)를 다른 필터디스크(819)로 교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여과지로 필터디스크(719)를 감쌀 수 있다.
도 22는 또다른 여과키트(1000)를 보여준다. 이 여과키트(100)는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1010), 유리 진공 어댑터(1012), 및 재사용 가능한 플라스크 또는 유리병(1014)을 갖는다. 깔때기(1010)와 어댑터(1012)와 유리병(1014)은 전술한 어떤 구성도 가능하고, 도 22의 실시예는 유리병(1014)이 어댑터(1012) 밑이 아닌 내부에 위치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깔때기(1010)의 스템(1015) 말단부에 배출구(1016)가 형성된다. 이 스템(1015)은 어댑터(1012) 내부에서 유리병(1014) 안으로 들어간다. 배출구(1016)가 유리병(1014) 안에 있으므로, 여과중에 부압에 의해 어댑터(1012)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불용성 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깔때기(1010)의 배럴(1018) 바닥면에 폴리머 필터디스크(1019)를 설치한다. 깔때기(1010)의 내부조인트(1017)는 스템(1015)과 배럴(1018) 사이에 위치하고, 깔때기(1010)와 어댑터(1012)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어댑터(1012)는 진공원에 연결되는 진공흡입구(1020)와 깔때기 조인트(1022)를 갖는다. 폴리머로 이루어진 캡(1025)은 어댑터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깔때기 조인트(1022)에 깔때기(1010)의 스템(1015)이 들어가고, 깔때기의 내부조인트(1017)는 깔때기 조인트(1022)에 끼워맞춤된다. 이전 실시예의 플라스크 조인트 대신, 유리관(1024)이 어댑터(1012) 안에 배치되며, 스템(1015)은 유리관(1024)을 통과하고, 스템의 배출구(1016)가 유리병(1014) 안에 위치한다. 윗쪽에 깔때기 조인트(1022)가 달린 유리관(1024)은 캡(1025)의 중심에 타이트하게 끼워진다. 유리병(1014)은 화학실험실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기이고, 도면에 도시된 형상과 크기는 예로 든 것일 뿐이다. 유리 깔때기 조인트(1022)는 직경이 5~16mm이고 길이가 5~20mm 정도이다.
여과가 끝난 깔때기(1010)는 분리하여 안전하게 폐기되고 다른 1회용 폴리머-구조 깔때기로 교체된다. 어댑터(1012)의 캡(1025)도 유리병(1014)이나 플라스크에서 분리된다. 스템(1015)의 말단부의 배출구(1016)가 유리병(1014) 안에 있어 여과중에 오염될 염려가 없으므로, 어댑터(1012)는 교체할 필요가 없다.
도 22의 여과키트는 깔때기가 하나이지만, 캡(1025)에 조립되는 조인트(1022)를 추가하면 깔때기를 여러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여과키트를 다중여과만이 아니라 고체추출에 사용되는 다중 카트리지에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상 설명한 어댑터는 캡 위에 여러개의 조인트를 갖추고, 이런 조인트들에 여러개의 깔때기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런 구성에 의하면 어댑터 하나로 여러개의 깔때기를 사용해 동시에 여과를 할 수 있다. 깔때기에 실리카겔이나 수지와 같은 흡착제를 포장하면, 고체추출 기술분야에서 화합물을 분리하는 카트리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내에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20)

  1. 말단부에 배출구가 달린 스템을 형성하는 하부와, 상부를 갖는 1회용 여과 깔때기;
    상기 깔때기 안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디스크;
    외부 진공원에 연결되는 진공흡입구가 달려있고, 상기 깔때기의 하부를 끼울 수 있는 진공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라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의 말단부가 어댑터의 진공흡입구보다 밑에 위치하여 상기 스템이 플라스크 안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디스크가 1회용 다공성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물질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 폴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디스크가 소결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디스크가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디스크를 여과지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8. 말단부에 배출구가 달린 스템을 형성하는 하부와, 상부를 갖는 1회용 여과 깔때기;
    상기 깔때기 안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디스크;
    외부 진공원에 연결되는 진공흡입구와 나사식 조인트 어댑터가 달려있고, 상기 깔때기의 말단부가 진공흡입구 밑에 위치하도록 깔때기의 하부를 끼울 수 있는 진공 어댑터; 및
    나사식 조인트 어댑터에 맞물리는 나사가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1회용 유리병;을 포함하고,
    깔때기의 스템이 상기 유리병 안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가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디스크가 1회용 다공성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깔때기의 폴리머 물질과 필터디스크의 다공성 폴리머 물질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 폴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디스크가 소결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디스크가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디스크를 여과지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15. 말단부에 배출구가 달린 스템을 형성하는 하부와, 상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1회용 여과 깔때기;
    상기 깔때기 안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디스크;
    외부 진공원에 연결되는 진공흡입구가 달려있고, 상기 깔때기의 하부를 끼울 수 있는 진공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깔때기의 스템의 배출구가 상기 용기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플라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1회용 유리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와 필터디스크가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지고, 이 폴리머 물질은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 폴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가 하나의 깔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디스크가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KR1020127022581A 2010-02-17 2010-02-17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KR20130009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0/000452 WO2011102816A1 (en) 2010-02-17 2010-02-17 Disposable polymer-structured filtering k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756A true KR20130009756A (ko) 2013-01-23

Family

ID=4448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581A KR20130009756A (ko) 2010-02-17 2010-02-17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23739B1 (ko)
JP (1) JP5630722B2 (ko)
KR (1) KR20130009756A (ko)
CN (1) CN102781537B (ko)
WO (1) WO2011102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9917B (zh) * 2013-03-25 2015-11-18 绍兴鹭铧色谱分离设备有限公司 一次性使用的一体化高分子真空过滤漏斗
JP6883519B2 (ja) * 2015-03-19 2021-06-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流体試料中の微生物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デバイス、及びキット
CN105641989B (zh) * 2016-03-15 2017-12-01 江苏科伦多食品配料有限公司 负压过滤装置
CN112567225A (zh) * 2018-08-31 2021-03-26 株式会社堀场先进技术 试样预处理机及分析系统
JP7197867B2 (ja) * 2020-03-31 2022-12-28 国立研究開発法人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減圧ろ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5686A (en) * 1965-05-20 1967-01-03 Rockridge Lab Filter unit
US3838978A (en) * 1972-08-17 1974-10-01 Bio Spectrum Inc Vacuum filter with removable filter element
US4301010A (en) * 1980-03-10 1981-11-17 Spectrum Medical Industries, Inc. Vacuum filter
US4678576A (en) * 1981-09-16 1987-07-07 Nalge Company Reusable filter unit with recoverable filter membrane
US4673501A (en) * 1985-11-19 1987-06-16 Miles Laboratories, Inc. Bottle top filter
DE3886509T2 (de) * 1987-12-10 1994-05-19 Costar Corp Flaschenfiltriergerät.
US5948246A (en) * 1991-12-19 1999-09-07 Zuk, Jr.; Peter Vacuum filtration device
US5695639A (en) * 1996-01-30 1997-12-09 Micron Separations, Inc. Vacuum filter funnel
AU4103097A (en) * 1996-10-24 1998-04-30 Corning Incorporated Tip resistant bottle filter
US6458278B1 (en) * 1999-02-22 2002-10-01 Nalge Nunc International Corporation Filtering unit having separately attachable filter cassette, filter cassette, and method of filtering
JP4707132B2 (ja) * 2001-06-07 2011-06-22 日本曹達株式会社 吸引濾過用ロート及び吸引濾過用部材
US7798333B2 (en) * 2005-09-02 2010-09-21 Roush Life Sciences, Ll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vacuum filtration
US8158009B2 (en) * 2007-05-23 2012-04-17 Roush Life Scienc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am control in a vacuum filtration system
US20090218287A1 (en) * 2008-03-03 2009-09-03 Us Synthetic Corporation Solid phase extraction apparatus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3739A1 (en) 2012-11-21
EP2523739B1 (en) 2020-04-08
CN102781537A (zh) 2012-11-14
CN102781537B (zh) 2015-08-26
WO2011102816A1 (en) 2011-08-25
EP2523739A4 (en) 2016-08-03
JP2013519521A (ja) 2013-05-30
JP5630722B2 (ja)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1249A1 (en) Disposable polymer-structured filter
EP1919622B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vacuum filtration
US3481477A (en) Apparatus for filtering out clear liquid from suspended solids
US3295686A (en) Filter unit
RU2248836C2 (ru) Сменный фильтр, способный повторно перерабатываться, и емкость под давлением
KR20130009756A (ko) 1회용 폴리머-구조 여과키트
JPH03197864A (ja) 体液を収集し、試料を保持する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る尿試料の処理方法
JPH08500527A (ja) 微細多孔フィルタ濾過器組立品
AU2012202681B2 (en) Apparatus for securely processing biological sample
JP2006329728A (ja) 検体採取液容器
KR102075304B1 (ko) 피측정수 채취용 휴대용 필터
US10421069B2 (en) Multifunctional system for particle separation
US4863610A (en) Scraping, collecting & eluting apparatus for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method for its use
US9492770B2 (en) Filters
JP7477458B2 (ja) フィルターシステム用の濾過ヘッドおよび濾過ヘッドと組み合わせて使用するための漏斗
US20170283281A1 (en) Reversible Filtration System
US20060011534A1 (en) Filter element-removing jig
JP2004528829A (ja) 濾過アセンブリ
CN208905959U (zh) 进样瓶过滤装置
WO2011028704A2 (en) Filtration device with removable membrane
CN220736457U (zh) 一种盘装试剂瓶负压过滤装置
KR102463982B1 (ko) 필터지 교체 기능을 갖는 물시료 필터 장치
CN218741282U (zh) 离心过滤装置
RU239610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алитического мембранного фильт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и
JP2006317264A (ja) 検体採取液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