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769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769A
KR20130008769A KR1020110069331A KR20110069331A KR20130008769A KR 20130008769 A KR20130008769 A KR 20130008769A KR 1020110069331 A KR1020110069331 A KR 1020110069331A KR 20110069331 A KR20110069331 A KR 20110069331A KR 20130008769 A KR20130008769 A KR 20130008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ase
bobbin
contact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299B1 (ko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2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을 지지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으로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의 주위 영역에, 상기 돌기 가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어 발생된 이물질을 가둘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을 둘러막는(Surrounding)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 Camera module }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크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센서의 픽셀사이즈가 소형화되고 모듈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에 대한 관리와 렌즈 광축의 틸트(tilt)나 시프트(Shift) 등의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곳은 홀더인데, 홀더는 렌즈 배럴과 센서를 기구적으로 연결해주고 센서를 이물질과 기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렌즈와 홀더를 체결하기 위해서 나사 결합 방식을 이용하는데, 나사 결합 시 나사산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이물질이 홀더 내부로 떨어져 이물질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물질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을 지지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으로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의 주위 영역에, 상기 돌기 가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어 발생된 이물질을 가둘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을 둘러막는(Surrounding)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으로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원 상태로 돌아오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상부 탄성 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하부 탄성 부재를 하나 또는 둘 다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돌기는 상기 상부 탄성 부재 또는 상기 하부 탄성 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 면의 외곽에는 카메라 모듈의 내측과 외측을 분리하는 장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벽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와 동종 물질 또는 이종 물질일 수 있다.
또, 상기 돌출부 내측의 베이스 면에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이물질 수집홈이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수집홈 바닥면에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이물질 수집홈은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돌출부 내측의 베이스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이물질 수집홈은 V홈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베이스 면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 내측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며,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은 상기 돌출부 내측에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는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에서 상기 보빈의 돌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점촉영역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은 상기 보빈의 돌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점착제와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 상기 돌출부 외측의 베이스 면에 점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과 상기 점착제 사이에 상기 점착제가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베이스 전체 영역에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이 복 수개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 영역 각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는 상기 렌즈에서 출사된 광 이미지가 통과되는 윈도우(Window)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윈도우 둘레에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가 형성하는 공간에 이물을 수집할 수 있는 점착제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을 둘러막는 돌출부와 상기 상기 윈도우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는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의 영역의 주위 영역에, 이물질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에 형성된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이물질 수집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종물질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다른 이물질 수집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이물질 수집을 위한 점착제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케이스(10), 렌즈 배럴(30), 액추에이터(40), 베이스(60), IR 필터(70), 이미지 센서(80) 및 인쇄회로기판(90)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을 위해서 렌즈 배럴(30)을 광축 방향(O)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동부인 상기 액추에이터(Actuator)(40)가 필요하며, 상기 액추에이터(40)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0)는 보빈(41), 코일(42), 영구 자석(43), 요크(44)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오토 포커싱을 위하여 상기 보빈(41)이 광축 방향(O)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보빈(41)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상기 보빈(41)의 끝단에 돌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는 힘에 의해, 상기 돌기 및 상기 베이스(60)의 접촉 영역이 파손되어 입자들이 생성되고, 이 입자들은 카메라 모듈(100)의 이물질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은 카메라 모듈(100)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을 발생시키는 오염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의 주위 영역에 돌출부(62)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62)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을 둘러싸게 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에 갇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베이스(60) 면의 외곽에는 카메라 모듈의 내측과 외측을 분리하는 장벽(63)이 형성되어 있어, 도 1의 구조에서 상기 돌출부(62)와 상기 장벽(63) 사이의 공간에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은 그 공간에 갇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의 주위 영역에, 이물질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돌출부(62)를 형성하여, 카메라 모듈(100)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세부적으로, 상기 돌출부(62)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을 둘러막는(Surrounding)다.
그러므로, 상기 돌출부(62)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에 해당되는 공간을 상기 베이스(60)의 다른 영역과 같은 외부 공간으로부터 격리시킨다.
따라서,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은 베리어(Barrier)와 같은 상기 돌출부(62)에 의해,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에만 갇히게 되고, 상기 베이스(60)의 다른 영역과 같은 외부 공간으로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IR필터로 이동을 막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60)의 전체 영역에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이 복 수개일 수 있고,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 각각에 대응되어 돌출부(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62)는 상호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적용된 돌출부(62)는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 주요 특징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배럴(30)과 보빈(41)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원 상태로 돌아오도록,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완충 부재(20)가 케이스(10)에 장착되고, 도 2b와 같이, 하부 완충 부재(50)가 베이스(6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41)의 돌기는 상기 상부 완충 부재(20) 또는 상기 하부 완충 부재(50)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완충 부재(20)와 상기 케이스(10) 사이에 추가의 부품이 개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코일(42)에 인가되던 전압이 차단되면, 상기 상부 탄성 부재(80) 및 상기 하부 탄성 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30)과 상기 보빈(41)은 광축 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원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 케이스(1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상부 중심부에는 광투과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6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베이스(60)과 결합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공간에는 상기 상부 탄성 부재,(80) 상기 렌즈 배럴(30), 상기 액추에이터(40), 상기 IR 필터(70)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0)는 그 내부와 외부의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량생산을 위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 탄성 부재(80)는 판 스프링으로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삽입되며, 외측부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상기 요크(44)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부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상기 보빈(41)과 맞닿아 상기 보빈(41)의 상측을 가압한다.
상기 하부 탄성 부재(81)는 판 스프링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보빈(41)의 하측을 가압한다.
상기 하부 완충 부재(50)는 상기 보빈(41)에서 인서트 사출될 수도 있고, 본드로 접착될 수도 있다.
상기 렌즈 배럴(30)은 복수의 렌즈를 고정, 보호하는 수단으로, 렌즈 배럴(30)의 내측에는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할 수 있는 복수의 렌즈가 광축 방향(O)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렌즈 배럴(30)의 둘레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산은 상기 보빈(4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보빈(4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주면에 렌즈 배럴(3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 배럴(30)을 상기 보빈(41)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보빈(41)의 둘레면에는 상기 영구 자석(43)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코일(42)이 자속과 수직인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상기 코일(42)과 상기 영구 자석(43) 사이의 자기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요크(44)가 삽입되며, 상기 영구 자석(43)은 상기 보빈(4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요크(44)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요크(44)는 상기 베이스(6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코일(42)에 전압이 인가되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상기 영구 자석(43)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플레밍의 왼손법칙)하여, 상기 보빈(41)은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42)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렌즈 배럴(30)과 상기 보빈(41)이 광축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거리가 늘어난다.
이어, 상기 코일(42)에 인가되던 전압이 차단되면, 상기 상부 탄성 부재(80) 및 상기 하부 탄성 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30)과 상기 보빈(41)은 광축 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원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90)에는 광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8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60)은 상기 이미지 센서(80)로 광 이미지를 통과시킬 수 있는 중앙 개구부를 구비한 ㅁ자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60)은 상기 렌즈 배럴(3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상기 IR 필터(70)가 장착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80)는 상기 렌즈 배럴(30)의 하부 및 인쇄회로기판(9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90)은 평탄도가 좋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며, FPCB 중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빈(41)은 상기 상부 탄성 부재(80)와 상기 하부 탄성 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구조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30)과; 상기 렌즈 배럴(30)과 결합하는 보빈(41)과, 상기 보빈(41)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42)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40)와; 상기 렌즈 배럴(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9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9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40)와 상기 렌즈 배럴(30)을 지지하고, 상기 액추에이터(40)의 동작으로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60)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의 주위 영역에,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된 이물질을 가둘 수 있는 돌출부(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을 둘러막는(Surrounding)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는 상기 렌즈에서 출사된 광 이미지가 통과되는 윈도우(Window)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윈도우 둘레에는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 면에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의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60)와 윈도우의 경계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베이스(60)의 윈도우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 및 기타의 이물들이 윈도우 영역으로 침투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의 윈도우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 면에 점착제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또,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을 둘러막는 돌출부와 상기 윈도우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는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에 형성된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보빈에 형성된 돌기는 오토 포커싱시, 베이스에 접촉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보빈의 돌기는 베이스 면(61)의 소정 영역(101,102,103,104)에 접촉되는데,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영역(101,102,103,104)은 카메라 렌즈가 존재하는 영역(110)의 외주연을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영역(101,102,103,104)은 도 3에 도시된 4개의 영역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면(61)의 외곽에는 카메라 모듈의 내측과 외측을 분리하는 장벽(6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4a와 같이, 베이스에 형성된 돌출부 '62A'는 상기 장벽(63)의 이격된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105)을 감싸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 '62A'는 상기 장벽(63)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105)을 감싸면서, 상기 장벽(63)의 다른 영역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에 형성된 돌출부 '62B'는 상기 장벽(63)과 이격되어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105)을 감싸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105)이 존재하는 도 4a와 도 4b의 돌출부(62A,62B) 내측의 베이스 면(61a)은 상기 돌출부(62A,62B) 외측의 베이스 면(61)과 격리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 면(61a)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은 상기 돌출부(62A,62B) 내측에 갇히게 되어 상기 돌출부(62A,62B) 외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이물질 수집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종물질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다른 이물질 수집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이물질 수집을 위한 점착제(Adhesive)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5와 같이, 보빈(41)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을 감싸는 돌출부(62) 내측의 베이스 면(61a)에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이물질 수집홈(61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수집홈(61b) 바닥면에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면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 내측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홈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 면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베이스 면 중 국부적인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돌출부 내측의 베이스 면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형성할 수 있고, 상술된 바와 같이, 국부적으로 형성된 제 2 홈의 주위에 제 1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이물질 수집홈(61b)이 제 2 홈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 상기 돌출부(62)는 베이스(60)와 동종 물질로 구현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60)와 이종 물질로 이루어진 돌출부 '62C'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빈(41)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돌출부(62) 내측의 베이스 면(61a)에는 이물질(180)을 수집할 수 있는 홈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은 도 7과 같이, V홈(61c)인 것이 좋다.
그러므로, 상기 이물질(180)은 상기 V홈(61c)이 있는 방향(A)으로 흘러들어가 수집되는 것이다.
더불어, 도 8과 같이, 상기 보빈(41)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돌출부(62) 내측의 베이스 면(61a)에는 상기 이물질(180)을 접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점착제(Adhesive)(65)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돌출부(62) 외측의 베이스 면(61)에도 상기 점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65)는 끈적 끈적한 접착력을 유지하는 점착 물질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점착제(65)는 양면이 접착성을 갖는 접착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고, 그 접착테이프 하부면이 상기 돌출부(62) 내측의 베이스 면(61a)에 접착되고, 상부면은 노출되어 이물질(180)을 접착시키게 된다.
또, 상기 점착제(65))는 상기 돌출부(62) 내측의 베이스 면(61a)에 도포된 접착 물질로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65)는 상기 보빈(41)의 돌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로써,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은 소정간격(d) 만큼 이격된다.
또한,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과 상기 점착제(65) 사이에는 상기 점착제(65)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0)

  1.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을 지지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으로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의 주위 영역에, 상기 돌기 가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어 발생된 이물질을 가둘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을 둘러막는(Surrounding) 카메라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으로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원 상태로 돌아오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상부 탄성 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하부 탄성 부재를 하나 또는 둘 다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돌기는 상기 상부 탄성 부재 또는 상기 하부 탄성 부재에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면의 외곽에는 카메라 모듈의 내측과 외측을 분리하는 장벽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벽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을 감싸는 구조인 카메라 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을 감싸는 구조인 카메라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와 동종 물질 또는 이종 물질인 카메라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내측의 베이스 면에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이물질 수집홈이 더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홈 바닥면에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홈은,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돌출부 내측의 베이스 면에 형성된 카메라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홈은,
    V홈인 카메라 모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면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 내측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며,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은 상기 돌출부 내측에 있는 카메라 모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돌출부 내측의 베이스 면에 상기 이물질을 접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돌출부 내측의 베이스 면에 상기 이물질을 접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에서 상기 보빈의 돌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점촉영역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외측의 베이스 면에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과 상기 점착제 사이에,
    상기 점착제가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전체 영역에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이 복 수개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 영역 각각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렌즈에서 출사된 광 이미지가 통과되는 윈도우(Window)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윈도우 둘레에 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가 형성하는 공간에 이물을 수집할 수 있는 점착제가 더 도포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을 둘러막는 돌출부와 상기 상기 윈도우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는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069331A 2011-07-13 2011-07-13 카메라 모듈 KR101281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331A KR101281299B1 (ko) 2011-07-13 2011-07-13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331A KR101281299B1 (ko) 2011-07-13 2011-07-13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935A Division KR101753444B1 (ko) 2013-04-10 2013-04-1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769A true KR20130008769A (ko) 2013-01-23
KR101281299B1 KR101281299B1 (ko) 2013-07-03

Family

ID=4783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331A KR101281299B1 (ko) 2011-07-13 2011-07-13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29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586A1 (ko) * 2013-07-29 2015-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14102A (ko) * 2013-07-29 2015-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31003A (ko) * 2013-09-13 2015-03-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31004A (ko) * 2013-09-13 2015-03-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7037561A (zh) * 2017-04-12 2017-08-1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图像采集模组
KR20180081879A (ko) * 2017-01-09 2018-07-18 (주)에이피텍 적외선 필터링 장치
KR20200070176A (ko) * 2013-09-13 2020-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200249462A1 (en) * 2010-10-28 2020-08-06 Endochoice, Inc. Optical system for an endoscope
KR20200098451A (ko) * 2013-09-23 2020-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9082B (zh) * 2014-09-09 2018-10-26 艾斯科技公司 用于摄像机模块的具有灰尘阻挡件的自动对焦致动器单元
US10114272B2 (en) * 2014-11-12 2018-10-30 Actuator Solutions GmbH Camera module autofocus actu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44Y1 (ko) * 2007-11-19 2013-07-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
KR20100121146A (ko) * 2009-05-08 2010-11-1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49462A1 (en) * 2010-10-28 2020-08-06 Endochoice, Inc. Optical system for an endoscope
US11966040B2 (en) * 2010-10-28 2024-04-23 Endochoice, Inc. Optical system for an endoscope
KR20150014102A (ko) * 2013-07-29 2015-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5016586A1 (ko) * 2013-07-29 2015-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5431775A (zh) * 2013-07-29 2016-03-23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机模块
US9661213B2 (en) 2013-07-29 2017-05-2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CN113625415A (zh) * 2013-07-29 2021-11-09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机模块
KR20150031004A (ko) * 2013-09-13 2015-03-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00070176A (ko) * 2013-09-13 2020-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31003A (ko) * 2013-09-13 2015-03-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00098451A (ko) * 2013-09-23 2020-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081879A (ko) * 2017-01-09 2018-07-18 (주)에이피텍 적외선 필터링 장치
CN107037561A (zh) * 2017-04-12 2017-08-1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图像采集模组
KR20210117244A (ko) * 2020-08-07 2021-09-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20128978A (ko) * 2020-08-07 2022-09-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299B1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299B1 (ko) 카메라 모듈
KR101753444B1 (ko) 카메라 모듈
CN109477999B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CN104698566B (zh) 透镜驱动马达
US10989893B2 (en)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KR20130008770A (ko) 카메라 모듈
US9661196B2 (en) Camera module
KR101779498B1 (ko) 카메라 모듈
US10291832B2 (en) Camera module having a sealing member
US9063389B2 (en) Camera module
KR101626131B1 (ko) 카메라 모듈
KR20130076287A (ko) 카메라 모듈
JP5595786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743054B1 (ko) 카메라 모듈
KR101236051B1 (ko) 카메라 모듈
KR20110024878A (ko) 카메라 모듈
KR20120123883A (ko) 카메라 모듈
KR20150014102A (ko) 카메라 모듈
KR101117181B1 (ko) 카메라 모듈
KR20120032351A (ko) 카메라 모듈
KR102256722B1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KR101026830B1 (ko) 카메라 모듈
KR101663664B1 (ko) 카메라 모듈
KR2016007791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00098451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