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941A -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 Google Patents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941A
KR20130007941A KR1020110068623A KR20110068623A KR20130007941A KR 20130007941 A KR20130007941 A KR 20130007941A KR 1020110068623 A KR1020110068623 A KR 1020110068623A KR 20110068623 A KR20110068623 A KR 20110068623A KR 20130007941 A KR20130007941 A KR 20130007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net
network
wing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8310B1 (ko
Inventor
이종호
공필재
오인환
Original Assignee
이종호
공필재
오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공필재, 오인환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11006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3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3Trawling nets having exclude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측 및 양측 그물망을 포함하는 날개그물 수비 및 상기 날개그물 수비의 후방에 구비되어 어류가 포획되는 자루그물을 포함하는 어망에 있어서, 상기 날개그물 수비의 내부 하측에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구비되어 하측으로 유입되는 어류와 해파리를 상부로 유도하는 해파리 유도망; 상기 날개그물 수비의 내부 상측에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해파리 유도망을 따라 상부로 유인된 해파리는 보다 상부로 유인하고, 어류는 하부로 유인하여 해파리와 어류를 분리하는 해파리 분리망; 및 상기 해파리 분리망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해파리 분리망을 따라 이동한 해파리를 절단하는 해파리 절단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에 의해, 해파리를 용이하게 절단하여 배출시킬 수 있어 어류와 혼획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어획량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FISHING NET FOR SEPARATING AND EMITTING JELLYFISH}
본 발명은 어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된 해파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절단함으로써 어망 외부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어획 생산량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롤어업이나 저인망어업과 같이 날개형 그물을 사용하는 조업방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판과 밑판 및 옆판이 일체로 형성된 자루형 그물을 각종 어군이 형성된 곳에 풀어낸 다음, 이와 같이 풀려나간 자루형 그물을 선박을 이용하여 어군측으로 예망함으로써, 자루형 그물의 내부로 어군이 들어가도록 하여 그 후단부의 자루그물에 갇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온이 높은 하절기에 해파리가 연안해역에 대량으로 출현하여 어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데, 해파리로 인한 어업 피해의 유형은 자루형 그물을 사용하는 트롤, 저인망, 안강망, 권현망, 낭장망, 주목망과 같은 조업방식 뿐만 아니라 함정어구인 정치망, 걸어구인 자망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어업에서 매우 다앙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나,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조업방식에 있어서는 해파리가 어류와 함께 매우 쉽게 혼획됨으로 인하여 특히 많은 피해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자루형 그물을 사용한 조업시 자루그물의 내부로 어류와 함께 해파리가 혼획될 경우, 선박으로 자루형 그물을 예망하는 과정에서 어구의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자루형 그물을 포함하는 각종 어구가 파손되거나, 다량의 해파리가 끝자루의 그물눈, 즉 그물의 구멍을 막아 해수 유통을 저해하여 어획량을 감소시키거나, 해파리의 혼획에 의한 어류의 사망 및 해파리에 의한 어체 훼손으로 그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53576호(발명의 명칭: 해파리 분리배출장치)에는 자루형 그물의 끝자루 전방측에 해파리 분리배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파리와 함께 배출되는 어류의 양은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해파리의 혼획에 따른 어업피해를 감소시키고 조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파리 분리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해파리 분리배출장치는, 해파리 유도망과 해파리 배출망 사이에 어류의 이동 및 배출통로가 되는 제 1, 제 2어류유도통로를 자루형 그물의 양측 내부에 별도의 그물통로로 형성시킴에 따라, 해파리 분리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자루형 그물의 전체적인 구조가 다소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해파리 분리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자루형 그물의 제조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멸치와 같은 어족은 가로 2m×세로 2m 크기의 그물코에도 위협감을 느껴 통과하지 않는 습성이 있고, 우럭 치어 등도 그물코를 통과하지 못하고 분리망 주위를 맴도는 등 어획량 증가에 크게 이바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그물 내부에 유입된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분리배출함과 아울러 어획량을 늘릴 수 있는 어망에 대한 개발을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입된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어류와 분리한 후 절단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해파리와 어류가 혼획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어획량 또한 증가시킬 수 있는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리 및/또는 빛 발생장치를 상부에 구비하여 소리 및 빛에 둔감한 해파리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부로 이동한 어류는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어류 포획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어망은, 상하측 및 양측 그물망을 포함하는 날개형 그물 및 상기 날개형 그물의 후방에 구비되어 어류가 포획되는 자루그물을 포함하는 어망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 그물 내부 하측에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구비되어 하측으로 유입되는 어류와 해파리를 상부로 유도하는 해파리 유도망; 상기 날개형 그물 내부 상측에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해파리 유도망을 따라 상부로 유인된 해파리는 보다 상부로 유인하고, 어류는 하부로 유인하여 해파리와 어류를 분리하는 해파리 분리망; 및 상기 해파리 분리망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해파리 분리망을 따라 이동한 해파리를 절단하는 해파리 분리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파리 유도망과 상기 해파리 유도망 사이의 날개그물 상부에 구비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발생장치와, 상기 해파리 절단장치 전단에 구비되어 날개그물 내부 상측으로 이동한 어류가 상기 절단장치를 피해 후방의 날개그물로 이동하도록 간헐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빛 발생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파리 유도망은 상기 날개그물의 하측 그물망과 15~4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그 하단이 날개그물의 하측 그물망에 고정결합되고, 그 양측단은 상기 날개그물의 양측 그물망에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해파리 분리망은 상기 날개그물의 상측 그물망과 이격되되 15~4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절곡되는 부분 또는 양측단이 상기 날개그물의 양측 그물망에 로프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장치는, 날개그물의 상측 그물망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절단실 또는 금속재질의 절단 와이어나 절단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파리 분리망 상단에는 해류의 유속을 가속시키기 위해 상기 해파리 분리망의 그물코보다 작은 크기의 그물코로 형성된 가속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에 따르면, 유입된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어류와 분리한 후 해파리를 절단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해파리와 어류가 혼획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어획량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에 따르면, 소리 및/또는 빛 발생장치를 어망 상측 그물망에 구비하여 소리 및 빛에 둔감한 해파리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부로 이동한 어류는 하부로 유인하여 어류 포획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해파리 유도망 유무에 따라 해파리 절삭장치로 이동한 해파리 모형의 수 및 자루그물로 이동한 치어의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소리 및 빛 발생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와 구비된 경우 자루그물로 이동한 치어의 수를 비교하여 나타낸 막대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며, 각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을 중심으로 도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이러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서, 어망의 구조적 특성상 고정된 형상을 이루기 어려우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기에서는 고정된 형상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날개형 그물을 형성하는 그물 그 자체는 도시를 생략하고 내부에 구비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은 해파리와 어군을 분리하는 날개그물 수비(100)와 그 후단에 어군이 모이는 자루그물(200)을 포함하고, 날개그물 수비(100)의 개방단 후측이 자루그물(200)의 입구와 일체로 연결되어 어류가 자루그물(2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날개그물 수비(100)는 상하측 그물망 및 좌우측 그물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루그물(200)은 상하측 그물망, 좌우측 그물망 및 후측 그물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그물 수비(100)의 내부에는 해파리 유도망(130), 해파리 분리망(120)이 구비되고, 상측 그물망에는 해파리 절단장치(110), 소리 발생장치(140) 및 빛 발생장치(150)가 구비되어, 날개그물 수비(100) 내부로 유입된 해파리 및 어류가 해파리 유도망(130)을 따라 상부로 유인된 후 해파리 분리망(120)에 의해 해파리는 상부로 어류는 하부로 분리되고 상부로 유인된 해파리는 절단장치(110)에 의해 절단되는 반면 어류는 후단의 자루그물(200)로 유인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파리와 어류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해파리를 퇴치함으로써 어획 생산량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이하, 날개그물 수비에 구비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날개그물 수비(100) 상부에는 상부로 유입된 해파리를 절단하기 위한 해파리 절단장치(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해파리 절단장치(110)는 날개그물 수비(100)와 자루그물(200)의 경계부에 가까운 날개그물 수비(100) 상측 그물망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파리 절단장치(110)는 날개그물 수비(100) 상측 그물망에 일체로 연결고정되고, 해당 영역의 날개그물 수비(100) 상판을 제거한 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고강도의 얇은 절단실이나 와이어 또는 금속 재질의 절단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해파리는 97% 이상이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절단실 등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고, 절단된 해파리는 날개그물 수비(10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날개그물 수비(100) 내부에 해파리 절단장치(110)만이 구비될 경우, 날개그물 수비(100) 안으로 유입되는 일부 해파리는 퇴치할 수 있지만, 날개그물 수비(100) 안의 하측으로 유입된 해파리는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날개그물 수비(100) 하측으로 유입되는 해파리의 수는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양이므로, 실제 조업시 해파리 잔해물 및 유입된 해파리가 후단의 자루그물(200)로 유입되고 이를 어류와 분리해야되는 번잡함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자루그물(200)로 유입된 해파리나 해파리 잔해물이 많을수록 어류가 자루그물(200)로 유입되기 쉽지 않아 어업 생산량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날개그물 수비(100) 하부로 유입된 해파리도 상부로 유인할 필요가 있고, 해파리와 어류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해파리는 해파리 절단장치(110)로, 어류는 자루그물(200)로 유인함으로써, 실제 조업할 어민들이 분리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면서 해파리를 사전에 분리배출 할 수 있는 해파리 분리망(120)이 필요하다.
상기 해파리 분리망(120)은 해파리 절단장치(110)와 약 5~10m 정도 이격되게 구비되고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날개그물 수비(1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파리 분리망(120)은 로프 등으로 그 양측단이 날개그물 수비의 양측 그물망에 고정된다. 즉, 해파리 분리망(120)은 날개그물 수비(100)의 내부 상측부에 비스듬하게 떠있는 것처럼 설치된다. 만약, 해파리 절단장치(110)와의 거리가 너무 멀 경우에는 해파리가 다시 하부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절단되는 해파리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파리 분리망(120)은 날개그물 수비(100)의 내부 상측에 비스듬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날개그물 수비(100)의 상판과 약 15~40° 정도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분리망(120)의 경사가 너무 완만할 경우에는 상부로 유입된 해파리가 다시 하부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경사가 너무 가파를 경우에는 어류가 날개그물 수비(100)의 후단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해파리 분리망(120)을 설치함으로써, 해파리는 이를 따라 분리망(120) 상부로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후단의 해파리 절단장치(110)로 유입되고 어류는 그물코를 피하려는 속성상 분리망(120)을 피해 하부로 이동하려고 한다. 따라서, 해파리와 어류를 효과적으로 상하부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파리 분리망(120)의 상측부에 분리망(120)의 그물코보다 그물코 크기가 작은 가속망(1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속망(121)은 해파리 분리망(120)에 덧대는 형태로 부착된다. 그물코 크기가 작은 가속망(121)을 덧댐으로써, 가속망(121)에서 유체의 속력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분리망(120) 상측으로 유인된 해파리를 보다 빠르게 후단의 절단장치(110)로 보낼 수 있게 된다.
한편, 해파리 분리망(120)과 절삭장치만으로 해파리가 효율적으로 분리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국립수산과학원의 협조로 실제 수중환경과 유사한 해류 수조에서 시행하였으며, 해파리 모형 해수풍선 20개와 우럭 치어 20마리를 날개그물 수비(100) 안쪽에 투입하여 10분간 절단된 해파리의 수와 자루그물(200)로 이동한 치어 수를 5차례에 걸쳐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제 해파리의 몸의 성분과 담수와 해수의 비중을 고려하여 해파리 풍선 모형은 잔여 공기없이 해수로 꽉 채워 실제 해파리의 성분과 유사하게 제작하였다.
해파리 분리망(120)을 설치할 경우 후단의 해파리 절단부에서 절단된 해파리 모형의 수와 분리망(120)을 피해 자루그물(200)로 이동한 치어의 수는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1차 2차 3차 4차 5차
절단된 해파리 모형의 갯수 18 17 19 18 16
자루그물로 이동한 치어의 수 5 6 4 5 5
5차에 걸친 실험 결과, 해파리 분리망(120)에서 후단의 해파리 절단장치(110)로 이동한 해파리 모형의 개체 수는 16~19개이고, 자루그물(200)로 이동한 치어는 4~6마리임이 관찰되었다. 해파리 모형은 해파리 분리망(120)을 타고 대부분 후단의 해파리 절단장치(110)로 이동하였지만, 우럭 치어는 분리망(120)의 그물코를 통과하지 못하고 대체로 그물코 주위를 맴돌았다. 이러한 어류는 해파리 분리망(120)에 위협감을 느껴 분리망(120)을 따라 그물밖으로 나갈 확률이 높다.
따라서, 자루그물(200)로 이동하는 어류의 개체수를 늘림으로써 어획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또 다른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는바, 해파리 분리망(120)과 15~20m 정도 이격된 전방에 해파리 유도망(130)이 구비된다.
이러한 해파리 유도망(130)은 날개그물 수비(100) 하측 그물망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그 하단이 날개그물 수비(100) 하측 그물망에 고정부착되고, 해류로 인한 유도망(130)의 기울기 변형을 막기 위해 양끝에 로프 등을 연결하여 날개그물 수비(100) 측면과 연결함으로써 소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날개그물 수비(100) 내부에 안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해파리 유도망(130)은 날개그물 수비(100) 하측 그물망과 약 15~40° 정도의 기울기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너무 완만할 경우에는 하부로 유입된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상부로 이동시키기가 어렵고 너무 가파를 경우에는 후단으로 이동시켜야 할 어류마저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어획량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파리는 해류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고 몸을 구성하는 성분의 97% 정도가 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해수의 흐름에 의해 부유하려는 성질이 강하다. 따라서, 해파리 유도망(130)을 상향경사지도록 설치하면 유입된 해파리는 유도망(130)을 따라 해수의 흐름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어류, 특히 멸치의 경우에는 그물코를 피해 이동하려는 습성이 있으므로, 해파리 유도망(130)을 설치하면 이를 피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해파리 유도망(130)이 없을 경우, 날개그물 수비(100) 내부로 유입된 해파리 중 하부로 유입된 해파리는 후단의 자루그물(200)로 유입되므로 해파리를 효율적으로 퇴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루그물(200) 내의 어류와 혼획되므로 해파리를 별도 분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해파리 유도망(130)을 설치하여 하부로 유입된 해파리를 상부로 유인함으로써, 후방의 자루그물(200)로 해파리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해파리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애면서 해파리를 사전에 분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해파리 유도망(130)의 그물코 크기는 어류나 해파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해파리 유도망(130)이 어류나 해파리의 관통로가 아니라 단지 이들을 유인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상기 해파리 유도망(130)은 날개그물 수비(100)의 하측 그물망에 대해 약 15°~ 40° 정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유도망(130)의 기울기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아래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실험은 본 발명에 따른 해파리 퇴치 어망의 모형과 해파리 모형(물풍선) 20개를 사용하여 3회 반복 실시한 것이다.
각도 15° 20° 25° 30°
분리망으로 이동한
해파리 모형의 갯수
14~16 16~17 18~19 13~15
표 1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해파리 유도망(130)의 기울기가 20°~ 25°를 유지할 경우 후단의 해파리 분리망(120)으로 이동하는 해파리가 가장 많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날개그물 수비(100) 내부에 해파리 유도망(130), 해파리 분리망(120)이 구비되고, 날개그물 수비(100) 상측 그물망에 해파리 절단장치(110)가 구비될 경우, 해파리 절단장치(110)로 이동한 해파리의 개체 수 및 자루그물(200)로 이동하는 어류의 개체 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전 실험과 마찬가지로, 해파리 모형 해수 풍선 20개와 우럭 치어 20마리를 날개그물 수비(100) 안쪽으로 투입하여 10분간 절단장치(110)에 의해 절단된 해파리의 갯수와 자루그물(200)로 이동한 치어 수를 5차례에 걸쳐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분 1차 2차 3차 4차 5차
절단장치로 이동한 해파리 모형의 갯수 19 18 19 19 18
자루그물로 이동한 치어의 수 12 11 13 12 12
표 3과 표 1을 비교해보면, 해파리 분리망(120)과 절단장치(110)만으로 구성된 경우보다 해파리 유도망(130)이 추가 설치된 경우, 보다 많은 어류가 자루그물(200)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즉, 해파리 유도망(13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루그물(200)로 이동하는 치어의 수가 4~6마리였으나, 해파리 분리망(120)을 설치함으로써 11~13마리의 치어가 자루그물(200)로 이동하였다.
해파리 유도망(130) 유무에 따라 해파리 절단장치(110)로 이동한 해파리 모형의 개체 수 및 자루그물(200)로 이동한 치어의 수가 도 3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유도망(130)이 구비된 어망에서 절단장치(110)로 이동한 해파리 모형의 개체 수 및 자루그물(200)로 이동한 치어의 수가 확연하게 많았다.
해파리 유도망(130)이 구비됨으로써 보다 쉽게 해파리 분리망(120)으로의 이동을 유도하고, 치어는 유도망(130)을 피해 유영하다가 반 이상이 분리망(120) 아래로 이동하였지만 일부 치어는 분리망(120) 위로 올라가거나 유도망(130) 주위에서 맴돌기도 하였다.
따라서, 보다 많은 어류가 자루그물(2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날개그물 수비(100)에 빛과 소리 발생장치(140)를 구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운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물코를 보고 위협감을 느끼는 어류의 특성을 고려하여 빛과 소리 발생장치(140)를 적절한 위치에 부착하면 더 많은 어류를 자루그물(200)로 유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파리는 소리나 빛에 둔감한 반면, 어류는 이러한 외부 자극에 위협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소리 발생장치(140)나 빛 발생장치(150)를 어망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경우 어류를 원하는 곳으로 유인할 수 있을 것이다.
소리 발생장치(140)는 해파리 유도망(130)과 분리망(120) 사이 또는 해파리 분리망(120)과 절단장치(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리 발생장치(140)는 해파리 유도망(130)과 분리망(120) 사이의 날개그물 수비(100) 상측 그물망에 고정부착되며, 물과 공기의 매질의 밀도차에 의해 물에서 소리가 더 잘 전달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소리 자극에 의해 어류를 날개그물 수비(100) 아래쪽으로 더 잘 이동시킬 수 있다.
소리 발생장치(140)가 해파리 유도망(130)과 분리망(120) 사이에 구비될 경우, 유도망(13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분리망(120)을 타고 이동하려는 어류도 소리 발생장치(140)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위협감을 느껴 분리망(120) 하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자루그물(200)로 유입되는 어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망(12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 어류의 경우에도, 해파리 분리망(120)과 절단장치(110) 사이, 해파리 분리망(120) 후단 또는 절단장치(110) 전단에 빛 발생장치(150)를 장착하여 위협감을 조장함으로써 절단장치(110)를 피해 후단의 자루그물(200)로 유인할 수 있다. 물론, 빛 발생장치(150)는 해파리 유도망(130)과 분리망(120)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빛 발생장치(150)는 날개그물 수비(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주광성인 어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모든 어류가 조명에 대해 위협감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빛 발생장치(150)는 간헐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즉 일정한 간격으로 깜빡거리는 조명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리 발생장치(140) 및 빛 발생장치(150)는 후단의 자루그물(200)로 보다 많은 어류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조업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되도록 적절한 사이즈와 갯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해파리 유도망(130), 분리망(120) 및 절단장치(110)와, 소리 및 빛 발생장치(150)를 구비한 어망을 설치할 경우의 효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전 실험과 동일하게, 우럭 치어 20마리를 날개그물 수비(100) 안쪽에 투입하여 10분간 절단된 해파리 모형의 수와 자루그물(200)로 이동한 치어의 수를 5차례에 걸쳐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표 4와 같았다.
구분 1차 2차 3차 4차 5차
절단장치로 이동한 해파리 모형의 갯수 18 17 19 18 18
자루그물로 이동한 치어의 수 16 15 16 16 17
소리 및 빛 발생장치(150)를 장착한 경우와 장착하지 않은 경우 자루그물(200)로 이동한 치어의 수를 비교하기 쉽도록 도 4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표 3과 표 4 및 도 4를 참조해볼 때, 빛 및 소리발생장치를 더 장착함으로써, 절단장치(110)로 이동한 해파리 모형의 수는 이들이 없는 경우와 거의 비슷하지만, 자루그물(200)로 이동한 치어의 수는 11~13마리에서 15~17마리로 어획 손실량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빛 및 소리발생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어획 손실량을 35~45%에서 15~25%로 낮출 수 있는바, 실제 조업시 그 유용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날개그물 수비 110: 해파리 절단장치
120: 해파리 분리망 121: 가속망
130: 해파리 유도망 140: 소리 발생장치
150: 빛 발생장치 200: 자루그물

Claims (7)

  1. 상하측 및 양측 그물망을 포함하는 날개그물 수비 및 상기 날개그물 수비의 후방에 구비되어 어류가 포획되는 자루그물을 포함하는 어망에 있어서,
    상기 날개그물 수비의 내부 하측에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구비되어 하측으로 유입되는 어류와 해파리를 상부로 유도하는 해파리 유도망;
    상기 날개그물 수비의 내부 상측에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해파리 유도망을 따라 상부로 유인된 해파리는 보다 상부로 유인하고, 어류는 하부로 유인하여 해파리와 어류를 분리하는 해파리 분리망; 및
    상기 해파리 분리망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해파리 분리망을 따라 이동한 해파리를 절단하는 해파리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유도망과 상기 해파리 분리망 사이 또는 상기 해파리 분리망과 상기 해파리 절단장치 사이의 날개그물 수비 상측에 구비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유도망과 상기 해파리 분리망 사이 또는 해파리 절단장치 전단에 구비되어 날개그물 수비의 내부 상측으로 이동한 어류가 상기 절단장치를 피해 후방의 자루그물로 이동하도록 간헐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빛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유도망은 상기 날개그물 수비의 하측 그물망과 15~4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그 하단이 날개그물 수비의 하측 그물망에 고정결합되고, 그 양측단은 상기 날개그물 수비의 양측 그물망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분리망은 상기 날개그물 수비의 상측 그물망과 이격되되 15~4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양측단이 상기 날개그물 수비의 양측 그물망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는, 날개그물 수비의 상측 그물망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절단실 또는 금속재질의 절단 와이어나 절단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분리망 상단에는 해류의 유속을 가속시키기 위해 상기 해파리 분리망의 그물코보다 작은 크기의 그물코로 형성된 가속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KR1020110068623A 2011-07-11 2011-07-11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KR101298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23A KR101298310B1 (ko) 2011-07-11 2011-07-11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23A KR101298310B1 (ko) 2011-07-11 2011-07-11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941A true KR20130007941A (ko) 2013-01-21
KR101298310B1 KR101298310B1 (ko) 2013-08-20

Family

ID=4783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623A KR101298310B1 (ko) 2011-07-11 2011-07-11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3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9777A (zh) * 2018-06-14 2018-11-23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可释放海蜇的毛虾张网及其装配方法
CN109937944A (zh) * 2019-04-22 2019-06-2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青虾亲本和虾苗快速分离网箱及分离方法
KR102511153B1 (ko) * 2022-12-05 2023-03-17 대한민국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453B1 (ko) 2006-06-02 2006-11-23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KR100779591B1 (ko) 2007-07-24 2007-11-30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배출 및 절단망
KR100925880B1 (ko) 2009-07-01 2009-11-09 대한민국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9777A (zh) * 2018-06-14 2018-11-23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可释放海蜇的毛虾张网及其装配方法
CN109937944A (zh) * 2019-04-22 2019-06-2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青虾亲本和虾苗快速分离网箱及分离方法
KR102511153B1 (ko) * 2022-12-05 2023-03-17 대한민국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310B1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453B1 (ko)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KR101728120B1 (ko) 해파리 포획장치
KR101298310B1 (ko)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CN100455189C (zh) 拖网捕鱼用渔网
JP2007185131A (ja) クラゲ捕捉防止方法及びクラゲ捕捉防止魚網
KR100779591B1 (ko) 해파리 분리배출 및 절단망
Boopendranath Basic principle of fishing gear desing and classification
JP2005110633A (ja) 曳網漁法における魚種分別網
CN201742824U (zh) 高效捕鱼装置
Boopendranath Basic principles of design of fishing gears and their classification
CN105010268A (zh) 大水面诱捕梭鱼装置
Kuhajda Polyodontidae: Paddlefishes
TWI827220B (zh) 一種應用於養殖漁排的漁網及其使用方法
KR102511153B1 (ko)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Boopendranath Basic principles of fishing gear design and construction
RU24148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ращивания молоди ценных видов рыб и отлова зоопланктона
Boopendranath An overview of fishing gears and their design and construction
CN105076048A (zh) 诱捕哲罗鱼装置
RU147460U1 (ru) Рыболовная приманка
RU99104028A (ru) Сорт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ла
CN2715524Y (zh) 喷水捕鱼装置
CN105075960A (zh) 黄花鱼喂鱼捕鱼装置
JP2009201463A (ja) 定置網
Özvarol et al. Bottom trawl size selectivity methods in the Tur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