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745A -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745A
KR20130007745A KR1020110068249A KR20110068249A KR20130007745A KR 20130007745 A KR20130007745 A KR 20130007745A KR 1020110068249 A KR1020110068249 A KR 1020110068249A KR 20110068249 A KR20110068249 A KR 20110068249A KR 20130007745 A KR20130007745 A KR 20130007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information
energy
components
patter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170B1 (ko
Inventor
박성택
오민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1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8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다수의 컴포넌트; 및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 또는 상기 원격 기기에서 외출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외출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동시에 작동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제품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전기제품에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전기제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리모컨이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리모컨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제품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전기제품으로 작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가정이나 건물 내에서는 동종 또는 타종의 다수의 전기제품이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각 전기제품 별로 작동 명령을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리모컨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수의 전기제품을 동시에 제어하기는 어렵다. 또한, 집이나 건물 외부에서는 상기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컴포넌트의 동시 제어가 가능하며, 외부에서도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다수의 컴포넌트; 및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 또는 상기 원격 기기에서 외출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외출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동시에 작동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외출 모드가 선택된면 다수의 컴포넌트의 작동이 동시에 제어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불필요하게 컴포넌트가 작동하여 전력이 소비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 다수의 컴포넌트의 작동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정보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전기요금의 변동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1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의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이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에너지원은, 발생량 또는 사용량 등이 계측(meter)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에너지원도 본 시스템의 관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 일 예로 전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은 다른 에너지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Power plant)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소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등을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와, 친환경 에너지인 수력,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한 발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소에서 발생된 전기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송전되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송전하여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친환경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송전되어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기저장장치를 거쳐서 또는 직접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 등을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거나, 저장하거나, 분배하거나, 남는 전기를 외부(일 례로 전력회사)에 되팔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수요처(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와, 다수의 수요처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계측장치는 다수의 스마트 미터에서 계측된 정보를 받아 전기 사용량을 계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계측은 스마트 미터 및 계측장치 자체가 계측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발생량 또는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미터 및 계측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에너지와 관련(에너지의 생성, 분배, 사용, 저장 등)하여,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적어도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능 또는 솔루션은 에너지관리기능(Energy Management Function) 또는 에너지관리솔루션(Energy Management Solution)이라고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별도의 구성으로 하나 이상이 존재하거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 또는 솔루션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발전소, 변전소, 전력소, 에너지관리장치, 전기제품, 스마트 미터, 축전기, 웹 서버, 계측장치, 홈 서버 등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컴포넌트 들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컴포넌트는 다수의 세부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일 례로, 일 컴포넌트가 전기제품인 경우, 전기제품을 구성하는 마이컴, 히터, 디스플레이, 모터 등이 세부 컴포넌트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것이 컴포넌트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포넌트 들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두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네트워크(network)는 하나의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다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정보가 에너지원과 관련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에너지 망(Energy grid)이라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틸리티 네트워크(UAN: Utility Area Network: 10)와,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 20)로 구성될 수 있다.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정은, 사전적 의미의 가정 뿐만 아니라, 건물, 회사 등 특정 컴포넌트 들이 모인 집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틸리티는 가정 외부의 특정 컴포넌트 들이 모인 집단을 의미한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11)와, 에너지를 분배 또는 전달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1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1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14)와, 에너지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15)를 포함한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경우,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는 에너지소비부일 수 있다. 즉, 에너지소비부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발생부(11)는 일 례로 발전소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상기 에너지발생부(11)에서 생성된 에너지 및/또는 에너지저장부(13)에 저장된 에너지를 에너지 소비부로 분배 또는 전달한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송전기, 변전소, 전력소 등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저장부(13)는 축전지 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와 관련하여, 에너지발생부(11), 에너지분배부(12), 에너지저장부(13), 에너지소비부(26)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일 례로 상기 에너지관리부(14), 적어도 특정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측정부(1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소비,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계측장치(AMI)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터미널 컴포넌트(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컴포넌트는 일 례로 게이트웨이(Gate way)일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컴포넌트는 상기 유틸리니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와, 에너지를 분배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2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와,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와,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소비부(Energy consumption component: 26)와, 다수의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중앙관리부(Central management component: 27)와, 에너지 망 보조부(Energy Grid Assistance Component: 28)와, 악세사리 컴포넌트(29)와, 컨슈머블 처리부(consumable handling component: 30)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는 가정용 발전기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는 축전지일 수 있고,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소비,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스마트 미터(Smart meter)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일 례로 전기제품(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조리기기, 청소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제습기, 디스플레이 기기, 조명기기 등) 또는 전기제품을 구성하는 히터, 모터,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소비부(26)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전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밸브 등일 수 있다. 일 례로 조리기기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에 설치된 전자 가스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개별적인 컴포넌트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1)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발생부(21), 상기 에너지분배부(22), 에너지저장부(23)는 개별적인 컴포넌트이거나,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리부(27)는 일 례로 다수의 전기제품(Appliance)을 제어하는 홈 서버(Home server)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28)는, 상기 에너지 망(Energy Grid)을 위해 추가적인 기능을 하면서, 본래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28)는 웹 서비스 제공부(일 례로 컴퓨터 등),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텔레비전 등일 수 있다.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는, 에너지 망을 위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하는 에너지 망 전용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는 에너지 망 전용 기상수신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Consumable handling component: 30)는 컨슈머블을 저장, 공급, 전달 등을 하는 컴포넌트로서, 컨슈머블에 관한 정보를 확인 또는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컨슈머블은 일 례로 에너지소비부(26)의 동작 시 사용 또는 처리되는 물품 또는 물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30)는 에너지 망에서 일 례로 상기 에너지관리부(24)에 의해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슈머블은, 세탁기에서 세탁포, 조리기기에서의 조리물이거나, 세탁기에서 세탁포를 세탁하기 위한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이거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미료 등 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에너지 발생부(11, 21), 에너지 분배부(12, 22), 에너지 저장부(13, 23), 에너지 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에너지소비부(26), 중앙관리부(27)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둘 이상이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중앙관리부(27)가 각각 단일의 컴포넌트로 존재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미터, 에너지관리장치, 홈서버로 구성되거나,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중앙관리부(27)가 기구적으로 단일의 컴포넌트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다수 개의 컴포넌트 및/또는 통신수단에서 그 기능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에너지관리부와, 에너지측정부 및 에너지소비부에서 순차적으로 에너지 관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특정 기능의 컴포넌트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발생부 또는 에너지소비부 등은 복수 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는 통신수단(제1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단일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고, 단일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복수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통신수단은 단순 통신선이거나 전력선 통신수단(Power line communication means)일 수 있다. 물론, 전력선 통신수단은 두 컴포넌트와 각각 연결되는 통신기(일 례로 모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통신수단은 zigbee, wi-fi,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통신을 위한 방법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에너지관리부(24), 상기 에너지측정부(25), 중앙 관리부(27), 에너지 망 보조부(28) 등 중 하나 이상과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의 마이컴은 상기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과 통신(제3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소비부가 전기제품인 경우, 상기 에너지소비부는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상기 에너지관리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는 제3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상기 전기제품의 마이컴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와 통신수단(제4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30)와 통신수단(제5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정보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전기요금의 변동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4의 (a)는 TOU(Time of use) 정보와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RTP(real time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특정 컴포넌트(C)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이하에서는 "에너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컴포넌트(C)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에너지 정보 외에 부가 정보(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 각 컴포넌트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고장 등),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등)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습도, 강우량, 강우여부, 일사량, 풍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정보는, 각 컴포넌트와 관련한 정보(각 컴포넌트의 동작 또는 상태 정보(고장 등), 에너지소비부의 에너지 사용 정보,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등)인 내부 정보와, 그 외의 정보인 외부 정보(에너지와 관련한 정보, 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정보 들은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신되는 정보에는 적어도 에너지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 또는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물, 가스 등의 정보 중 하나 일 수 있다.
일 례로, 전기와 관련한 정보의 종류는, 전기 요금(Time-based Pricing), 에너지저감(curtailment), 긴급상황(Grid emergency), 망 안전(grid reliability), 에너지증가(Energy increment), 발전량(Energy generation Amount), 작동 우선 순위(operation priority), 에너지소비량(Energy consumption Amount) 등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원과 관련한 요금은 에너지요금이라 할 수 있다.
즉,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요금 정보(에너지요금)와 요금 외 정보(에너지저감, 긴급상황, 망 안전, 발전량, 에너지증가, 작동 우선 순위, 에너지소비량 등)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이전의 정보를 토대로 미리 생성된 스케줄 정보(scheduled information)와, 실시 간으로 변동되는 실시 간 정보(real time information)로 구분될 수 있다. 스케줄 정보와 실시 간 정보는 현재 시간 이후(미래)의 정보 예측 여부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 패턴에 따라서 TOU(time of use) 정보이거나,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이거나, RTP(real time pattern)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TOU 정보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변화된다. 상기 CPP 정보에 의하면,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단계 또는 실시간으로 변화되며, 특정 시점에 강조(emphasis)가 표시된다. 즉, CPP 패턴의 경우, 일반적인 요금은 TOU 패턴의 요금보다 저렴하나, 특정 시점에서의 요금은 TOU 패턴에서의 요금 보다 현저하게 비싸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RTP 정보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변화된다.
한편, 상기 에너지 정보(I)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되거나, 실제 가격정보가 송수신되거나, 다수 개로 레벨화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와 관련한 정보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C)가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신호를 온 피크(on-peak) 신호라 인식하고, 다른 하나의 신호를 오프 피크(off-peak) 신호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특정 컴포넌트는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에 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인식된 정보값과 기준정보값을 비교하여 온 피크(on-peak)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컴포넌트가 레벨화된 정보 또는 실제 가격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인식된 정보값과 기준정보값을 비교하여 온 피크(on-peak)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다.
이 때, 상기 구동에 관한 정보값은 전기요금, 전력량,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값은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기준 변화율(일 례로: 단위 시간 당 소비전력량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값은 실시 간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값은 유틸리티 네트워크에서 설정되거나, 가정용 네트워크(소비자직접입력, 에너지관리부, 중앙관리부 등에서 입력)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 소비부)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작동 시작 전에 미리 판단하여 구동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고, 작동 시작 후 온 피크(on-peak)를 인식하였을 때, 구동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하면, 필요 시에 출력을 회복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즉, 온 피크를 인식한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하게 되면, 출력을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거나, 이전의 출력 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한 후에 출력을 회복하거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시간 동안의 전체 소모전력 및/또는 총 전기사용요금은 줄어듬은 물론이다.
또는,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동작 가능한 조건이면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동작 가능한 조건은 구동에 관한 정보값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구동에 관한 정보값은, 전기요금, 소비전력량 또는 동작시간에 관한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일정기준은 상대값 또는 절대값일 수 있다.
상기 일정기준은 실시 간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일정기준은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에서 설정되거나, 가정용 네트워크(소비자직접입력, 에너지관리부, 중앙관리부 등에서 입력)에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시점에서 출력이 증가되더라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기간 동안의 총출력량은, 특정 컴포넌트가 정상 출력으로 동작할 때의 총출력량 보다 저감 또는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시점에서 출력이 증가되더라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기간 동안의 총소모전력 또는 총전기요금은 특정 컴포넌트가 정상 출력으로 동작할 때의 총소모전력 또는 총전기요금 보다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예약 설정된 경우, 설정 시각 전에 특정 컴포넌트가 구동 시작하거나 복수의 컴포넌트 중 출력이 큰 컴포넌트가 먼저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경우 기존 출력 보다 출력을 증가시켜 과냉각하거나,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경우, 히터의 동작 예정 시각 보다 미리 히터를 구동하여 온수 탱크에 온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추후 도래할 온 피크에서 동작될 것을 미리 오프 피크에서 동작시켜, 전기요금을 절감시키기 위함이다.
또는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축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는 출력을 유지하거나 저감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컴포넌트는 전력 가변 컴포넌트(power changing 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power)은 전류와 전압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력가변 컴포넌트는, 전류조절기 및/또는 전압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가변 컴포넌트는 일 례로 에너지관리부로부터 발생한 명령에 따라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너지저감(curtailment) 정보는, 컴포넌트가 정지되거나 전기요금을 적게 쓰는 모드와 관련한 정보이다. 상기 에너지저감 정보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일 례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즉, 정지 신호(turn off 신호) 또는 저감신호(lower power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에너지저감 정보를 인식하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출력을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turn off 신호를 인식한 경우) 출력을 저감(lower power 신호를 인식한 경우)할 수 있다.
상기 긴급상황(Grid emergency) 정보는, 정전 등과 관련한 정보로서, 일 례로 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정전 등과 관련한 정보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컴포넌트의 신뢰성과 관련성이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긴급상황 정보를 인식한 경우, 즉시 셧 다운(shut down)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상기 긴급상황 정보를 스케줄 정보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긴급상황 시점의 도래 전에 출력을 증가하여, 앞에서 설명한 특정 컴포넌트의 오프 피크에서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상황 시점에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셧 다운 될 수 있다.
상기 망 안전(grid reliability) 정보는, 공급 전기량의 많고 적음에 관한 정보 또는 전기의 품질에 관한 정보로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되거나, 컴포넌트(일 례로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AC전원의 주파수를 통하여 컴포넌트가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컴포넌트로 공급되는 AC 전원의 기준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underfrequency)가 감지(인식)되면 공급 전기량이 적은 것(공급 전기량 부족정보)으로 판단되고, AC 전원의 기준 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overfrequency)가 감지(인식)되면 공급 전기량이 많은 것(공급 전기량 과다정보)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망 안전 정보 중에서 전기량이 적음을 인식하거나 전기 품질이 좋지 않다는 정보(공급 전기량 부족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경우에 따라서, 출력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하거나, 출력을 유지하거나, 출력을 증가할 수 있다.
반면에, 공급 전기량 과다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출력이 증가되거나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작동 전환될 수 있다.
에너지 증가정보는, 발전량에 비하여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의 전기 사용량이 적어, 잉여 전기가 발생되는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일 례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에너지 증가 정보를 인식한 경우,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예약 설정된 경우, 설정 시각 전에 특정 컴포넌트가 구동 시작하거나 복수의 컴포넌트 중 출력이 큰 컴포넌트가 먼저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경우 기존 출력 보다 출력을 증가시켜 과냉각하거나,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경우, 히터의 동작 예정 시각 보다 미리 히터를 구동하여 온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에너지에 관련한 정보 중 온 피크(on-peak) 정보와, 에너지저감(curtailment) 정보 및 공급 전기량 부족정보는 상대적으로 에너지 요금이 비싼 것으로 이해되는 고비용(High-price) 정보로 인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비용 정보가 인식되는 구간을 저비용 구간 정보라 할 수 있다.
반면, 에너지에 관련한 정보 중 온 피크(off-peak) 정보와, 에너지 증가정보 및 공급 전기량 과다정보는 상대적으로 에너지 요금이 싼 것으로 이해되는 Low-price(저비용) 정보로 인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비용 정보가 인식되는 구간을 저비용 구간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너지와 관련한 각 종류의 정보는, 구체적으로, 가공되지 않은 제1정보(first information: I1)와, 제1정보에서 가공된 정보인 제2정보(second information: I2)와, 상기 특정 컴포넌트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정보인 제3정보(third information: I3)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정보는 미가공된 데이터(raw data)이고, 제2정보는 가공된 데이터(refined data)이고, 제3정보는 특정 컴포넌트의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command)이다.
그리고,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신호에 포함되어 전달된다. 이 때, 제 1 내지 제 3 정보 중 하나 이상은 신호만 변환될 뿐 내용은 변환되지 않고 복수 회 전달될 수 있다.
일 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정보(I1)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은 어느 한 컴포넌트는 단지 신호를 변환하여 제 1 정보(I1)를 포함하는 새로운 신호를 다른 컴포넌트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신호의 변환과 정보의 변환은 다른 개념인 것으로 설명된다. 이 때, 상기 제 1 정보에서 제 2 정보로 변환될 때에 신호도 함께 변환되는 것임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제 3 정보는 내용이 변환된 상태에서 다수 회 전달되거나 내용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신호만 변환된 상태에서 다수 회 전달될 수 있다.
상세히, 제1정보가 가공되지 않은 전기요금 정보인 경우, 상기 제2정보는 가공된 전기요금 정보일 수 있다. 가공된 전기요금 정보는 전기요금이 다수 레벨로 구분된 정보 또는 분석 정보이다. 상기 제3정보는 제1정보 또는 제2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명령이다.
특정 컴포넌트는 제 1 내지 제 3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정보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정보 없이 제 3 정보 만 다수 개가 순차 또는 병렬로 송수신될 수 있다. 또는, 제 1 및 제 3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제 2 및 제 3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제 1 및 제 2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일 례로, 특정 컴포넌트가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 컴포넌트는 제 2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 3 정보 만을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컴포넌트가 제3정보 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새로운 제 3 정보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두 정보 간의 관계에서 어느 한 정보는 메시지(message)이고, 다른 한 정보는 메시지에 대한 대응(response)이다. 따라서, 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는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의 송신과 이에 대한 대응은 개별 컴포넌트의 경우 상대적인 개념이다.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제1정보 또는 제2정보) 및/또는 명령(제3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제3정보)은, 데이터 저장 명령, 데이터 생성 명령, 데이터 가공 명령(추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함), 추가 명령의 생성 명령, 추가 생성된 명령의 송신 명령, 수신한 명령의 전달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한다는 것은, 데이터 저장, 데이터 가공(추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함), 새로운 명령 생성, 새롭게 생성된 명령 송신, 수신한 명령을 단순히 전달(다른 컴포넌트로 전달을 위한 명령을 함께 생성할 수 있음), 작동, 저장된 정보 송신, 확인 메시지(acknowledge character or negative acknowledge character) 송신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제1정보인 경우 제1정보를 수신한 컴포넌트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제1정보를 가공하여 제2정보를 생성하거나, 제2정보 생성 및 새로운 제 3 정보를 생성하거나, 제 3 정보 만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관리부(24)가 제1정보(내부 정보 및/또는 외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제2정보 및/또는 제3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에너지관리부(24)로부터 수신한 제3정보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1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의 제 1 컴포넌트(31)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가정용 네트워크의 다수의 컴포넌트(32, 33, 34: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컴포넌트(31)와 통신하는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의 컴포넌트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제 1 컴포넌트(31)는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일 례로,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등 중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컴포넌트 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컴포넌트 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32, 33, 34)는 각각, 에너지발생부, 에너지분배부, 에너지 관리부, 에너지저장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중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트(10) 또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전달 또는 가공하여 제 2 컴포넌트 내지 제 4 컴포넌트(32, 34)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컴포넌트(31)가 에너지측정부인 경우, 전기요금 정보를 상기 제 1 컴포넌트가 수신하여,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소비부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 각각은 또 다른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컴포넌트(31)가 에너지측정부이고, 제 2 컴포넌트는 에너지관리부이며, 상기 에너지관리부가 하나 이상의 에너지소비부와 통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가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복수의 컴포넌트(제 1 및 제 2 컴포넌트(41, 4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컴포넌트는 동종의 컴포넌트이거나 다른 종류의 컴포넌트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컴포넌트(41)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제 3 및 제 4 컴포넌트(43, 44))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제 2 컴포넌트(42)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제 5 및 제 6 컴포넌트(45, 46))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컴포넌트 각각은,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등 중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제 3 내지 제 6 컴포넌트 각각은, 에너지발생부, 에너지분배부, 에너지 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중 하나 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컴포넌트(51, 52, 53)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2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서처럼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가 존재하지 않고, 컴포넌트(51, 52, 53) 각각이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20)에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로부터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 및/또는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측정부(25), 일례로 스마트 미터와, 상기 에너지 측정부(25) 및 전기제품과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부(24)가 포함된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에너지소비부(26)로서의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전기제품은, 냉장고(61), 세탁기(62), 에어컨(63), 건조기(64), 조리기기(65), 영상표시장치, 조명 등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은 가스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정에서의 통신은 Zigbee, wifi와 같은 무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 방식 (PLC, Power line communication)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의 전기제품은 다른 전기제품 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관리부(24)는 모바일 기기(66)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66)는 상술한 에너지 망 보조부(28)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66)는 에너지 관리부(24) 뿐만 아니라, 전기제품과도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 및 중앙 관리부는 상기 전기제품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전기제품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원격 기기라 이름할 수 있다.
가정용 네트워크(20) 내에는 다수의 전기제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은, 지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제품과 간헐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제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제품은 간헐적 구동하는 제1그룹과 상시 구동하는 제2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가전제품은, 세탁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 에어컨, 조리기기, 조리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가스밸브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그룹에 속하는 가전제품은, 냉장고, 정수기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그룹의 제품은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한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반면, 제1그룹의 제품은 전원이 공급되어도 온/오프 명령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룹의 제품은, 작동 시작 후에 작동이 시간 경과에 따라서 종료될 수 있는 제1패턴그룹과, 지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제2패턴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그룹의 제품은, 세탁기, 건조기, 조리기기, 식기 세척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의 경우 포량, 물의 온도, 헹굼 횟수 등에 의해서 세탁 소요 시간이 결정될 수 있고, 조리기기의 경우도 사용자의 설정 또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 소요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조리 요소 시간은 조리시작시간과 조리종료예정시간 사이의 기간을 의미한다.
상기 제2패턴그룹의 제품은, 에어컨, 영상표시장치, 조명기기, 가스밸브 등일 수 있다. 물론, 제2패턴그룹의 제품이 사용자가 작동 시간을 설명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1패턴그룹에도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기기, 에어컨의 경우 온되면, 오프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가스밸브의 경우 개방된 후에는 별도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스밸브의 경우 상기 가스밸브가 작동된다는 것은 가스밸브가 개방되는 것을 의미하고, 가스밸브의 작동이 종료된다는 것은 가스밸브가 닫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 9는 전기제품의 작동 종료와 관련한 제어방법을 보여주고, 도 10은 전기제품의 작동 시작과 관련한 제어방법을 보여준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집이나 건물 외부로 외출하고자 하거나 외출한 경우에 외출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S1). 상기 외출모드는, 사용자가 외출전 또는 외출 후에 상기 모바일 기기(68)에서 선택하거나, 외출 전에 상기 중앙 관리부(24)에서 선택하거나 전기제품(이하에서는 컴포넌트라 함)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외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2패턴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작동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외출 모드가 선택되면, 제1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 들 중에서 작동 중인 컴포넌트가 확인된다(S2). 그 다음, 작동 중인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로 작동 종료 명령이 전송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출 모드가 선택되면, 별도의 작동 종료 명령을 입력하지 않아도 작동 중인 컴포넌트로 작동 종료 명령이 전송된다.
그러면, 작동 종료 명령을 수신한 컴포넌트 중에서 작동 종료 예정 시간이 미결정된 컴포넌트(제2패턴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작동이 종료된다(S4).
상기 제2패턴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작동이 종료되면, 작동 종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컴포넌트 또는 중앙 관리부(24)에서 표시되거나 상기 모바일 기기(68)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패턴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작동이 종료되면, 대기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컴포넌트 내부에는 대기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거나, 상기 컴포넌트의 외부에서 대기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컴포넌트의 외부에서 대기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컴포넌트와 통신하거나 중앙 관리부 또는 모바일 기기와 통신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종료 예정 시간이 결정된 컴포넌트(제1패턴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는 작동 종료 예정시간까지 동작한 후에 작동이 종료된다(S5). 그리고, 컴포넌트의 작동이 종료되면, 작동 종료를 알리기 위한 정보가 컴포넌트 또는 중앙 관리부에 표시되거나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패턴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작동이 종료되면, 대기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조명기기, 영상표시장치, 에어컨이 작동하고 있고, 가스밸브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출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조명기기,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에어컨의 작동 종료 예정시간이 결정되어 있지 않는 한, 상기 조명기기, 에어컨, 영상표시장치의 작동이 종료되고, 상기 가스밸브가 닫히게 된다. 반면, 상기 세탁기의 경우 작동 종료 예정 시간이 결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세탁기는 작동 종료 예정 시간까지 동작 후 작동 종료된다.
본 실시 예에서 외출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1패턴그룹의 제품을 즉시 작동 종료하지 않은 이유는, 상기 제1패턴그룹의 제품의 본래 기능의 수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세탁기가 작동 중에 외출 모드가 선택되어 작동 종료되는 경우에는 세탁물의 세탁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재차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하여야 하여야 한다.
그리고, 외출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제2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로 작동 종료 명령이 전송되지 않는 이유는 제2그룹의 컴포넌트의 본래 기능의 수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2그룹에 속하는 냉장고의 작동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냉장고에 수납된 음식물이 상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외출 모드가 선택되면 다수의 컴포넌트의 작동이 동시에 제어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불필요하게 컴포넌트가 작동하여 전력이 소비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 다수의 컴포넌트의 작동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 특정 전기제품에서 외출 모드가 입력된 경우, 상기 특정 전기제품에서 상기 특정 전기제품 외에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전기제품으로 작동 종료 명령이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패턴그룹에 속하는 제품과 제2패턴그룹에 속하는 제품은 사용자가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외출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가정용 네트워크 내부의 컴포넌트를 작동시키 위한 작동 시작 명령이 입력된다(S11). 상기 외출 모드 하에서 작동 시작 명령은, 사용자가 장기간 외출하는 경우에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력하거나, 외출 후 집 근처에 도착해서 컴포넌트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작동시작 대상그룹으로 작동시작 명령이 전송된다(S12). 그러면, 상기 작동시작 대상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작동이 시작된다(S13).
상기 작동시작 대상그룹의 컴포넌트는 상기 제2패턴그룹의 컴포넌트 전부이거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작동시작 대상그룹의 컴포넌트는 상기 제2패턴그룹의 컴포넌트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시작 대상그룹의 컴포넌트는 상기 제2패턴그룹의 컴포넌트 중에서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시작 명령은 상기 제2패턴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 중에서 작동이 종료된 컴포넌트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시작 대상그룹에 조명기기, 영상표시장치가 속하도록 설정된 경우, 작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조명기기와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동시에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조명기기가 먼저 일정 시간 작동한 후에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시작 대상그룹의 컴포넌트는 간헐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출 모드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작동시작 대상그룹으로 작동시작 명령이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원격지에서 가정 내의 컴포넌트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가정 내의 보안 효과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집이나 건물 외부로 외출하고자 하거나 외출한 경우에 외출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S21). 상기 외출모드는, 사용자가 외출 전 또는 외출 후에 상기 모바일 기기(68)에서 선택하거나, 외출 전에 상기 중앙 관리부(24)에서 선택하거나 컴포넌트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외출 모드가 선택되면, 제1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 들 중에서 작동 중인 컴포넌트가 확인된다(S22). 그러면, 작동 중인 컴포넌트가 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 사용요금을 줄이기 위하여 절전 구동된다. 이 때, 절전 구동되는 컴포넌트는 제1패턴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 및 제2패턴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절전 구동되는 컴포넌트는 제2패턴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절전 구동되는 컴포넌트는 제1그룹의 컴포넌트 및 제2그룹의 컴포넌트 들일 수 있다.
그 다음, 외출 모드 선택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된다(S34).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작동 중인 컴포넌트의 작동이 종료된다(S35).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출 모드가 선택되면, 작동 중인 컴포넌트가 절전 구동되도록 하는 이유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면서도 보안을 위하여 집안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작동 종료되는 컴포넌트는 적어도 제2패턴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제1패턴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경우 작동 종료 예정시간까지 작동한 후에 작동 종료될 수 있다.
10: 유틸리티 네트워크 20: 가정용 네트워크

Claims (13)

  1. 에너지를 소비하는 다수의 컴포넌트; 및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 또는 상기 원격 기기에서 외출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외출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동시에 작동이 제어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는, 간헐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는 컴포넌트인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 중 작동 중인 컴포넌트로 작동 종료 명령이 전송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는, 작동 종료 예정 시간이 결정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는 제1패턴 그룹과, 작동 종료 예정 시간이 미결정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는 제2패턴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외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2패턴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작동이 종료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는 작동 종료 예정 시간까지 작동 후 종료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특정 컴포넌트의 모드에 따라서,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제1패턴 그룹에 속하거나 상기 제2패턴 그룹에 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가 작동 종료되면, 상기 컴포넌트의 대기 전원이 차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모드 하에서, 작동 명령이 입력되면, 작동시작 대상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작동이 시작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는, 작동 종료 예정 시간이 결정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는 제1패턴 그룹과, 작동 종료 예정 시간이 미결정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는 제2패턴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시작 대상 그룹은, 상기 제2패턴 그룹인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작동 시작된 컴포넌트는 작동종료 및 작동시작을 반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 중 작동 중인 컴포넌트가 절전 구동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모드 선택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작동 중인 컴포넌트의 작동이 종료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는, 작동 종료 예정 시간이 결정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는 제1패턴 그룹과, 작동 종료 예정 시간이 미결정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는 제2패턴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패턴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작동이 종료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10068249A 2011-07-11 2011-07-11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2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249A KR101820170B1 (ko) 2011-07-11 2011-07-11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249A KR101820170B1 (ko) 2011-07-11 2011-07-11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45A true KR20130007745A (ko) 2013-01-21
KR101820170B1 KR101820170B1 (ko) 2018-01-18

Family

ID=4783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249A KR101820170B1 (ko) 2011-07-11 2011-07-11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1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3516A (ja) 2005-01-20 2006-08-03 Toshiba Corp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JP2008283433A (ja) * 2007-05-10 2008-11-20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家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170B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011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소비부
KR20120000026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018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9781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20170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019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80086A (ko)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20120067033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29566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313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308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8375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07205B1 (ko)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KR10180197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9781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0520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29565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2181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59747B1 (ko) 전기제품
KR101760522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820163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4465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컴포넌트
KR10188250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9568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012A (ko)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