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271U - 음료용기 캐리어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271U
KR20130007271U KR2020120004963U KR20120004963U KR20130007271U KR 20130007271 U KR20130007271 U KR 20130007271U KR 2020120004963 U KR2020120004963 U KR 2020120004963U KR 20120004963 U KR20120004963 U KR 20120004963U KR 20130007271 U KR20130007271 U KR 201300072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andle
beverage container
fix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기
Original Assignee
이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기 filed Critical 이영기
Priority to KR2020120004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271U/ko
Publication of KR20130007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2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single lay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Blanks formed from one singl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 음료용기 캐리어는 사각형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마주하는 두 변에 연장된 제1 및 제2 벽판; 상기 바닥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및 제2 벽판으로부터 상기 바닥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을 갖는 제1 및 제2 상판; 상기 제1 및 제2 상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상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판; 상기 바닥판의 마주하는 두 변에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판과 직각되는 방향에 배치된 제1 및 제2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손잡이판 및 제2 손잡이판은 서로 겹쳐져서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손잡이판 및 제2 손잡이판의 상단 양측은 각각 상기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에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으로는 음료용기가 수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음료용기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빠르고 간편하게 조립을 완성할 수 있으며, 음료용기 캐리어의 형태의 변형 없이 내용물이 담긴 음료용기들을 안전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 캐리어{Disposable Cup Carrier}
본 고안은 음료용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빠르고 간편하게 조립을 완성할 수 있으며, 내용물이 담긴 음료용기들을 안전하게 휴대 및 운방할 수 있는 음료용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전문점에서 고객이 커피를 주문하고 그 전문점 내의 탁자에서 커피를 마시는 커피판매방식 이외에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장소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고객이 커피를 주문하고 판매자가 커피를 일회용 컵에 담아 판매하며 고객은 이러한 컵커피를 인도받아 판매자가 제공하지 않는 임의의 장소에서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테이크 아웃방식의 커피판매점이 성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테이크 아웃 방식의 커피판매점에서는 고객의 주문에 따라서 한 컵 이상의 커피를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는데 고객이 뜨거운 컵커피를 들고 이동하기 어려우며, 특히 한 사람이 둘 이상의 뜨거운 커피가 담겨있는 컵을 손으로 들고 운반하기 어렵다. 대개 이러한 컵은 일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 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는 컵에 뜨거운 커피를 담고 뚜껑을 닫아 판매되고 있다.
상기한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있는 컵을 다수 개 운반하고자 사용되는 것이 음료용기 캐리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음료용기 캐리어(Disposable Cup Carrier)는 판지를 풀이나 접착제 등으로 붙여 조립하는 형태의 상자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피 등의 내용물이 담긴 컵 등의 음료용기를 운반시 음료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음료용기 캐리어의 바닥판의 쳐짐 등이 발생되어 음료용기 캐리어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며, 이에 따라 음료용기 캐리어의 조립 형태가 해제되어 내용물이 담긴 음료용기가 운반 중 낙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빠르고 간편하게 조립을 완성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손잡이부를 손으로 쥘 때 더욱 편하게 잡을 수 있으며, 음료용기 캐리어의 형태의 변형 없이 내용물이 담긴 음료용기들을 안전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는, 사각형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마주하는 두 변에 연장된 제1 및 제2 벽판; 상기 바닥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및 제2 벽판으로부터 상기 바닥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을 갖는 제1 및 제2 상판; 상기 제1 및 제2 상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상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판; 상기 바닥판의 마주하는 두 변에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판과 직각되는 방향에 배치된 제1 및 제2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손잡이판 및 제2 손잡이판은 서로 겹쳐져서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손잡이판 및 제2 손잡이판의 상단 양측은 각각 상기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에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으로는 음료용기가 수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음료용기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료용기 캐리어는 상기 제1 손잡이판 및 제2 손잡이판이 겹쳐질 때 그 겹쳐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손잡이판의 하부 중앙에 마련되고 일측으로 절첩될 수 있는 고정편과, 상기 제2 손잡이판의 하부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편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용기 캐리어는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에 고정할 수 있는 제2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손잡이판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끼움부, 상기 제2 손잡이판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끼움부, 상기 제1 고정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끼움부 및 제2 끼움부가 삽입되는 제2 슬롯, 상기 제2 고정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끼움부 및 제2 끼움부가 삽입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제1 손잡이판 및 제2 손잡이판이 겹쳐졌을 때 손을 넣을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는 삽입홀이 그 내경을 따라 다수 배열되는 돌출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에 의하면, 빠르고 간편하게 조립을 완성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손잡이부를 손으로 쥘 때 더욱 편하게 잡을 수 있으며, 음료용기 캐리어의 형태의 변형 없이 내용물이 담긴 음료용기들을 안전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전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개구가 형성되는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조립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전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는 바닥판(110), 제1 및 제2 벽판(121, 122), 제1 및 제2 상판(131, 132), 제1 및 제2 손잡이판(141, 142), 제1 및 제2 고정판(151, 152)을 포함한다.
바닥판(110)은 음료용기 캐리어(1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판(110)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벽판(121) 및 제2 벽판(122)은 음료용기 캐리어(100)의 측면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벽판(121) 및 제2 벽판(122)은 바닥판(110)의 서로 마주하는 두 변(111, 112)에 연장된다. 제1 벽판(121) 및 제2 벽판(122)의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은 바닥판과 대향되어 음료용기 캐리어(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은 음료용기가 수납될 수 있다. 음료용기가 수납되기 위하여,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33)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으며,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은 제1 벽판(121) 및 제2 벽판(122)으로부터 바닥판(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의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의 횡방향의 폭은 제1 벽판(121) 및 제2 벽판(122)의 횡방향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 각각의 종방향의 폭은 바닥판(110)의 종방향의 폭(W)의 절반의 폭을 갖는다.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은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으로부터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의 횡방향의 폭은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의 횡방향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 각각의 상단은 직선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호(arc)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지그재그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 각각의 상단이 형성하는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은 제1 벽판(121) 및 제2 벽판(122)과 함께 음료용기 캐리어(100)의 측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은 바닥판(110)의 서로 마주하는 두 변(113, 114)에 연장되며,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과 직각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의 상단은 호(arc)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직선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지그재그 형태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라서 음료용기 캐리어를 조립했을 때의 사시도 및 평면도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음료용기 캐리어(100)는 중앙에 손잡이부(140)를 형성하며, 손잡이부(140)의 양측으로 음료용기가 수납될 수 있는 제1 음료용기 수납공간(150a) 및 제2 음료용기 수납공간(150b)이 형성된다.
손잡이부(140)는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이 서로 겹쳐지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제1 음료용기 수납공간(150a) 및 제2 음료용기 수납공간(150b)은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이 바닥판(110)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바닥판(110)에 대향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 각각의 종방향의 폭은 바닥판(110)의 종방향의 폭(W)의 절반의 크기를 가지며,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은 서로 대칭이고,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은 서로 대칭이다. 따라서, 제1 벽판, 제1 상판(131), 제1 손잡이판(141)이 순차적으로 바닥판(110)을 향하여 절첩되고, 제2 벽판(122), 제2 상판(132), 제2 손잡이판(142)이 순차적으로 바닥판(110)을 향하여 절첩되면,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이 대칭되므로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이 서로 이웃하여 바닥판(110)에 대향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음료용기 수납공간(150a, 150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이 서로 대칭되므로 서로 정확히 겹쳐져서 손잡이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완전한 손잡이부(140)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이 겹쳐진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이 겹쳐진 상태가 고정되어야 한다. 일례로,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의 겹쳐진 상태가 고정되기 위하여, 제1 고정수단(160) 및 제2 고정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수단(160)은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이 겹쳐진 상태가 고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고정수단(160)은 고정편(161) 및 제1 슬롯(16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편(161)은 제1 손잡이판(141)의 하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편(161)은 제1 손잡이판(141)의 일부가 호형으로 절취되어 일측으로 절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롯(162)는 제2 손잡이판(142)의 하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슬롯(162)은 제2 손잡이판(142)의 횡방향과 평행하며, 고정편(161)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제2 고정수단(170)은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이 겹쳐져서 형성되는 손잡이부(140)를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2 고정수단(170)은 제1 끼움부(171, 171'), 제2 끼움부(172, 172'), 제2 슬롯(173), 제3 슬롯(1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부(171, 171')는 제1 손잡이판(141)의 상단 양측에 마련되고, 제2 끼움부(172, 172')는 제2 손잡이판(142)의 상단 양측에 마련된다. 제1 끼움부(171, 171') 및 제2 끼움부(172, 172')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의 상단 양측으로는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75)를 형성하고 그 경사부(175)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여 제1 끼움부(171, 171') 및 제2 끼움부(172, 17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슬롯(173)은 제1 고정판(151)의 상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고, 제3 슬롯(174)은 제2 고정판(152)의 상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슬롯(173) 및 제3 슬롯(174)은 제1 끼움부(171, 171') 및 제2 끼움부(172, 172')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제2 슬롯(173) 및 제3 슬롯(174)은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의 종방향과 평행하여 제1 끼움부(171, 171') 및 제2 끼움부(172, 172')가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에는 개구(143)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개구(143)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에서 개구(143)를 형성할 부분의 윗변(143a)은 접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외의 경계는 절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개구가 형성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예시적인 형태는, 손잡이부(140)의 개구(143)에 손을 넣었을 때, 도 4와 같이 개구(143)를 형성하는 부분이 개구(143)를 형성할 부분의 윗변(143a)을 축으로 위로 접혀져서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과 겹치게 되거나 또는 부가적으로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개구(143)가 형성되는 형태는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의 일부가 완전히 절개되어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개구(143)가 형성되는 형태는 상술한 예시적인 형태들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조립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판(121)부터 제1 손잡이판(141)까지를 바닥판(110)과 제1 벽판(121) 사이의 선을 축으로 접는다. 이렇게 접게 되면 제1 벽판(121)은 수직으로 세워져서 음료용기 캐리어(100)의 측면부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판(131)부터 제1 손잡이판(141)까지를 제1 벽판(121)과 제1 상판(131) 사이의 선을 축으로 접는다. 이렇게 접게 되면 제1 상판(131)은 바닥판(110)과 대향되며 음료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제1 음료용기 수납공간(15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c와 같이 제1 손잡이판(141)을 제1 상판(131)과 제1 손잡이판(141) 사이의 선을 축으로 접는다. 이렇게 접게 되면 제1 손잡이판(141)은 제1 상판(131)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다.
다음으로, 도 5d 및 도 5e와 같이 제2 벽판(122), 제2 상판(132), 제2 손잡이판(142)을 상술한 제1 벽판(121), 제1 상판(131), 제1 손잡이판(141)을 접는 과정과 동일하게 접는다. 이렇게 접게 되면 제2 벽판(122)은 음료용기 캐리어(100)의 측면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2 상판(132)이 접힘에 따라 제1 음료용기 수납공간(150a)과 이웃하는 제2 음료용기 수납공간(150b)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손잡이판(142)은 제1 손잡이판(141)과 겹쳐지게 된다. 이때,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이 겹쳐지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140)가 형성된다.
제1 손잡이판(141)과 제2 손잡이판(142)이 겹쳐지면, 도 5f와 같이 제1 고정수단(160), 즉 제1 손잡이판(141)에 형성된 고정편(161)을 제2 손잡이판(142)에 형성된 제1 슬롯(162)을 향하여 접어서 고정편(161)을 제1 슬롯(162) 내측으로 삽입하여 고정편(161) 및 제1 슬롯(162)을 결합한다. 이에 의해, 제1 손잡이판(141)과 제2 손잡이판(142)의 겹쳐진 상태가 1차적으로 고정된다.
이후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을 바닥판(110)과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들 사이의 선을 축으로 접는다. 이렇게 접게 되면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은 수직으로 세워져서 제1 벽판(121) 및 제2 벽판(122)과 함께 음료용기 캐리어(100)의 측면부를 형성하며, 내면이 손잡이부(140)에 대응된다.
그리고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을 접은 직후에 제2 고정수단(170), 즉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에 형성된 제2 슬롯(173) 및 제3 슬롯(174)에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에 형성된 제1 끼움부(171, 171') 및 제2 끼움부(172, 172')들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손잡이부(140)는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순차적인 과정들에 의해 음료용기 캐리어(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음료용기 캐리어(100)는 제1 벽판(121), 제1 상판(131), 제1 손잡이부(140), 그리고 제2 벽판(122), 제2 상판(132), 제2 손잡이부(140)를 바닥판(110)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접어서 제1 및 제2 음료용기 수납공간(150a, 150b), 손잡이부(140)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고정수단(160) 및 제2 고정수단(170)을 통해 손잡이부(140)를 고정하는 간단한 과정들에 의해 빠르고 간편하게 음료용기 캐리어(100)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립이 완성된 음료용기 캐리어(100)는 손잡이부(140)를 통해 손으로 들고 운반할 수 있다. 손잡이부(140)를 손으로 잡을 때는 손잡이부(140)에 형성되는 개구(143)로 손을 넣어서 손잡이부(140)를 잡을 수 있다. 이때, 개구(143)를 형성하는 부분이 윗변(143a)을 축으로 위로 접혀져서 손잡이부(140)와 겹치게 되거나 또는 부가적으로 손잡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손잡이부(140) 중에서 손으로 쥐어지는 부분이 더 강한 강도를 나타낼 수 있고, 또한 손으로 쥘 때 더욱 편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고정수단(170), 즉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끼움부(171, 171') 및 제2 끼움부(172, 172')가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에 형성된 제2 슬롯(173) 및 제3 슬롯(174)에 끼워지므로, 결과적으로 바닥판(110)은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이 손잡이부(140)와 조립되는 것에 의해 바닥판(110)에 하중이 가해져도 쉽게 쳐짐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강도가 보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담긴 다수의 음료용기를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에 형성된 삽입홀(133)들에 삽입하여 수납시켜도 다수의 음료용기들이 갖는 무게를 지탱하여 음료용기 캐리어(100)의 형태의 변형이 없으므로 내용물이 담긴 음료용기들을 안전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전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200)는, 추가적으로, 제1 상판(131) 및 제2 상판(132)에 형성되는 삽입홀(133)은 그 원주를 따라 원형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편(13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편(13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일 수 있으며, 삼각형 형상일 수도 있고, 반원 형상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삽입홀(133)의 내경에 다수의 돌출편(134)이 형성되는 경우, 삽입홀(133)에 음료용기를 삽입하면 돌출편(134)이 음료용기에 밀착되면서 음료용기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음료용기의 외주면이 돌출편(134)에 의해 가압되면 음료용기는 삽입홀(133) 내에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삽입홀(133) 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200)를 이용하면, 음료용기 캐리어(200)에 음료용기를 수납하여 휴대할 때 음료용기의 흔들림 없이 휴대 및 운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10 : 바닥판 121 : 제1 벽판
122 : 제2 벽판 131 : 제1 상판
132 : 제2 상판 133 : 삽입홀
140 : 손잡이부 141 : 제1 손잡이판
142 : 제2 손잡이판 143 : 개구
150a : 제1 음료용기 수납공간 150b : 제2 음료용기 수납공간
151 : 제1 고정판 152 : 제2 고정판
160 : 제1 고정수단 161 : 고정편
162 : 제1 슬롯 170 : 제2 고정수단
171, 171' : 제1 끼움부 172, 172' : 제2 끼움부
173 : 제2 슬롯 174 : 제3 슬롯
180 : 돌출편

Claims (3)

  1. 사각형 바닥판(110);
    상기 바닥판(110)의 마주하는 두 변(111, 112)에 연장된 제1 및 제2 벽판(121, 122);
    상기 바닥판(110)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및 제2 벽판(121, 122)으로부터 상기 바닥판(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133)을 갖는 제1 및 제2 상판(131, 132);
    상기 제1 및 제2 상판(131, 132)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상판(131, 13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판(141, 142);
    상기 바닥판(110)의 마주하는 두 변(113, 114)에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판(141, 142)과 직각되는 방향에 배치된 제1 및 제2 고정판(151, 15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은 서로 겹쳐져서 손잡이부(140)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의 상단 양측은 각각 상기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에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부(140)의 양측으로는 음료용기가 수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음료용기 수납공간(150a, 150b)이 형성되는 음료용기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 캐리어는 상기 제1 손잡이판(141) 및 제2 손잡이판(142)이 겹쳐질 때 그 겹쳐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수단(1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160)은
    상기 제1 손잡이판(141)의 하부 중앙에 마련되고 일측으로 절첩될 수 있는 고정편(161)과, 상기 제2 손잡이판(142)의 하부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편(161)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슬롯(162)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 캐리어는 상기 손잡이부(140)를 상기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에 고정할 수 있는 제2 고정수단(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170)은
    상기 제1 손잡이판(141)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끼움부(171, 171'),
    상기 제2 손잡이판(142)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끼움부(172, 172'),
    상기 제1 고정판(15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끼움부(171, 171') 및 제2 끼움부(172, 172')가 삽입되는 제2 슬롯(173),
    상기 제2 고정판(152)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끼움부(171, 171') 및 제2 끼움부(172, 172')가 삽입되는 제2 슬롯(173)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캐리어.
KR2020120004963U 2012-06-12 2012-06-12 음료용기 캐리어 KR201300072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963U KR20130007271U (ko) 2012-06-12 2012-06-12 음료용기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963U KR20130007271U (ko) 2012-06-12 2012-06-12 음료용기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71U true KR20130007271U (ko) 2013-12-20

Family

ID=5244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963U KR20130007271U (ko) 2012-06-12 2012-06-12 음료용기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2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822B1 (ko) * 2014-04-17 2015-05-15 허기범 음료용기 포장용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822B1 (ko) * 2014-04-17 2015-05-15 허기범 음료용기 포장용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8169T3 (es) Palé
KR101591857B1 (ko) 운반용 조립 박스
US8783461B2 (en) Collapsible bulk bin container
ES2582903T3 (es) Caja de cartón con orificios para las manos y panel espaciador para facilitar el izado y transporte de la caja
US20140008250A1 (en) Food and Beverage Carrier
WO2006065490A1 (en) Collapsible crate
KR20110114967A (ko) 일회용 컵 캐리어
KR200481085Y1 (ko) 내부 지지대를 구비한 다단 적재형 포장용 상자
US7025199B1 (en) Folding serving tray
KR200478437Y1 (ko) 컵음료 포장용 받침대
KR20130007271U (ko) 음료용기 캐리어
KR102099383B1 (ko) 컵 트레이 겸용 홀더
KR101793097B1 (ko) 컵 캐리어
KR200453823Y1 (ko) 포장용기
US20140151314A1 (en) Stand structure for cup-shaped article
US11383878B2 (en) Box container and display
ES2831752T3 (es) Contenedor para productos a granel sin paletas
CA2840504A1 (en) Dispensing system
KR200442283Y1 (ko) 병 홀더
KR101767011B1 (ko) 포장 박스
KR20140001976U (ko) 식품 포장용기
WO2013084015A1 (en) Container for bottles of drinks
KR20130006300U (ko) 포장용 박스
KR20080004312U (ko) 제품용기 포장상자
US20080006541A1 (en) Carrier for beverage bott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