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237U - Portable device contoller for bicycle riding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e contoller for bicycle ri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237U
KR20130007237U KR2020120004889U KR20120004889U KR20130007237U KR 20130007237 U KR20130007237 U KR 20130007237U KR 2020120004889 U KR2020120004889 U KR 2020120004889U KR 20120004889 U KR20120004889 U KR 20120004889U KR 20130007237 U KR20130007237 U KR 201300072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trol
bicycle
mobile device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8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동섭
박재홍
신세훈
안상편
한지영
이미정
이상은
Original Assignee
손동섭
박재홍
신세훈
안상편
한지영
이미정
이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섭, 박재홍, 신세훈, 안상편, 한지영, 이미정, 이상은 filed Critical 손동섭
Priority to KR2020120004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237U/en
Publication of KR20130007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3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무선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주행중 휴대기기조작으로 인한 주의력 분산과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에 있다. 인체공학적 요소를 반영하여 음악 및 통화제어가 가능한 조작장치의 디자인에 관한 내용이다. 사용자가 무선 리모컨을 조작하면 리모컨은 사용자의 휴대기기에 신호를 보내며, 휴대기기는 그 신호에 따른 일련의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재질의 이 제품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자전거의 핸들바 프레임에 고정하는 하단의 집게 형 고정부, 제품의 상단에 있는 컨트롤 부분, 그리고 그 제어 부분을 구성하는 내장형 버튼 부분이 있다. 제품의 크기는 엄지의 최대벌림각과 엄지의 평균길이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결정하며 엄지의 활동 반경에 따른 곡률을 고려하여 제품의 컨트롤 부분에 인체공학적 요소를 가미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자전거 탑승자가 별도의 큰 동작 없이 손 쉽게 휴대기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는 동작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므로 더욱 안전하게 자전거를 운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bi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attention dispersal and accidents caused by the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while driving. It is about the design of the control device that can control music and call by reflecting ergonomic factors. When the user operates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sends a signal to the user's mobile device, which provides the user with a set of functions according to the sig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oduct is made of polyurethane, which has three parts, the bottom clamp type fixing part to the handlebar frame of the bicycle, the control part at the top of the product, and the built-in buttons constituting the control part. There is a part. The size of the product was determined based on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thumb and the average length of the thumb. The ergonomics were added to the control part of the product in consideration of the curvature according to the radius of thumb activity. As a result, by using this product, the cyclist can easily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device without any big motion. You can control your bike more safely by distraction-free operation.

Description

자전거를 위한 핸들 장착형 휴대기기 조작 장치{ Portable device contoller for bicycle riding }Portable device contoller for bicycle riding

본 고안은 자전거용 무선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주행중 휴대기기조작으로 인한 주의력 분산과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체공학적 요소를 반영하여 음악 및 통화제어가 가능한 조작장치에 관한 내용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bi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music and calls by reflecting an ergonomic factor in order to prevent distraction and accidents caused by a mobile device operation while driving.

최근 친환경 경향과 여가 및 취미생활을 위해 자전거를 이용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 하지만, 그와 함께 자전거 사고율도 증가하고 있음이 도 43에 도시된 통계청의 98년도부터 2009년 사이의 자전거 사고 발생률 추이에 나타나있다. 자전거 이용 인구의 증가가 큰 원인이 되겠지만 자전거를 타며 함께 이용하는 휴대기기로 음악을 듣거나 통화를 하는 등의 행위가 주의력을 저하하며 사고율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using bicycles for eco-friendly trends and leisure and hobbies is increasing. However, the increase in bicycle accident rate is also shown in the trend of bicycle accident incidence between 1998 and 2009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hown in FIG.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using bicycles may be a big factor, but the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to music or making phone calls with mobile devices used on bicycles can reduce the attention and increase the accident rate.

우선 고안의 타당성과 개선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99명의 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다.First, a survey of 99 bicycle users is conducted to derive the feasibility and improvement of the design.

도 1은 설문지이다. 1 is a questionnaire.

도 2는 설문결과의 성비로, 남녀가 고르게 조사되었다.Figure 2 is the sex ratio of the questionnaire, men and women were evenly investigated.

도 3은 설문결과의 자전거 이용목적으로, 여가선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Figure 3 shows that the purpose of the bicycle use of the survey results, leisure use occupies a large proportion.

도 4는 자전거 탑승시간을 조사한 것으로 30분 이하로 타는 사람이 제일 많았다.Figure 4 is a survey of the ride time of the bike was the number of people riding less than 30 minutes.

도 5는 자전거 이용시의 음악 감상 선호도로 대부분의 사람이 자전거를 탈 때 음악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5 shows that most people enjoy music when riding bicycles as a preference for listening to music when using bicycles.

도 6은 자전거 이용시의 휴대기기 이용불편도로 대부분의 사람이 자전거를 이용시에 휴대기기의 사용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6 shows that most people feel difficulty in using a mobile device when using a bicycle due to inconvenience of using a mobile device when using a bicycle.

도 7은 설문내용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자전거 이용 시 음악을 듣는 것을 좋아하는가와 자전거 이용 시 휴대기기를 조작할 때 불편함이 없는지에 관한 상관계수를 측정했다.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관 계수 R=0.73 정도가 나왔고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치이기 때문에 위의 두 항목의 상관 정도가 크다.Figure 7 show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questionnaire content, and measur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hether there is no discomfort when listening to music when using the bicycle and when operating a mobile device when using the bicyc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bove two items is large becaus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 0.73 is found and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도 8은 이 설문지의 신뢰도 검정을 한 것으로, 이 설문지가 신뢰성이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정을 하였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치인 0.844의 크롬바(cronbach's) 계수가 나왔으므로 이 설문지는 신뢰할만하다.8 is a reliabil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reliability test was perform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to test whether the questionnaire is reliable. The questionnaire is credible because of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ronbach's coefficient of 0.844.

설문의 결과 자전거 이용자는 20대가 주로 많았고 자전거를 이용하며 음악 및 스마트폰 같은 휴대기기를 즐겨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와 더불어 자전거를 탔을 때 그 조작성이 떨어지며 안전 위험의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신뢰성 있는 설문조사 내용이 나타났다. As a result of the survey, bicycle users were mostly in their twenties, and they enjoyed using bicycles and using mobile devices such as music and smartphones. However, a reliable survey showed that there was a lack of operability and a safety risk when riding a bicycle.

자전거를 이용할 때 음악이나 휴대기기 조작을 즐겨하는 이들을 위한 조작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휴대기기 조작으로 생길 수 있는 사고의 가능성을 방지함에 있다. 전반적으로 사용자의 인지력과 주의력을 보완시켜 주기 위하여 장치를 고안하였으며, 이용자의 인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편안한 조작감을 주고자 한다. When using a bicycle, it provides operability for those who enjoy music or mobile device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In general, the device was designed to complement the user's cognition and attention, and to give a comfortable feeling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human characteristic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 예에 따르면 제품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자전거의 핸들바 프레임에 고정하는 하단의 고정부, 제품의 상단에 있는 컨트롤 부분, 그리고 그 컨트롤 부분을 구성하는 버튼 부분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oduct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xing part of the lower part to be fixed to the handlebar frame of the bicycle, the control part on the top of the product, and to configure the control part There is a button part.

조작 부분은 한국인의 표준 손 측정 데이터에 근거하여(http://sizekorea.kats.go.kr/) 설계, 조작의 보편성을 가지게 한다.The operation part has universality of design and operation based on Korean standard hand measurement data (http://sizekorea.kats.go.kr/).

기능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악 듣기와 통화기능을 주로 사용하는 것을 감안하여 볼륨조절, 재생, 다음 곡 이 전곡 넘기기의 기능 구성과 핸즈프리 형 통화 기능을 넣어 조작할 수 있게 한다.In terms of functions, users can listen to music and use the call function mainly for volume control, playback, and turn up the next song.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자전거 탑승자가 별도의 큰 동작 없이 손 쉽게 휴대기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First, the bicycle occupant can easi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device without a separate large operation.

둘째,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는 동작을 통해 휴대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더욱 안전하게 자전거를 운전할 수 있다.Second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bile device through an operation that does not distract attention, so that the bicycle can be driven more safely.

셋째, 적절한 고정 방식으로 손 쉽고 빠르게 제품의 탈착이 가능하다.Third, the product can be easily and quickly removed by a suitable fixing method.

넷째, 한국인 표준 손 데이터에 따른 제품의 디자인으로 누구나 편안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Fourth, anyone can use the product comfortably by designing the product according to Korean standard hand data.

다섯째, 가장 근육 사용량이 적은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채택으로 누구나 조작에 편리함을 느낄 수 있는 디자인이다.Fifth, it is a design that anyone can feel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by adopting the interface with the least muscle usage.

도 1은 설문조사를 위해 작성한 설문조사지;
도 2는 설문조사에 참여한 참여자의 성 비율;
도 3은 설문조사에 참여한 참여자의 자전거 이용목적 비율;
도 4는 설문 참여자들의 자전거 이용시간에 대한 그래프;
도 5는 설문 참여자들의 음악감상선호도 그래프;
도 6은 설문 참여자들의 휴대기기 조작시의 불편도에 대한 그래프;
도 7은 설문결과에 있어 음악감상선호도와 휴대기기 조작의 불편도에 대한 상관계수에 대한 그래프;
도 8은 설문결과에 있어 신뢰성 검증을 한 결과에 대한 분석표;
도 9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제품응용에 대한 예시;
도 10은 제품 탈착 방식에 있어 여성용 장신구의 응용 예시;
도 11은 제품 탈착 방식에 있어 케이블 고정장치의 응용 예시;
도 12는 제품 탈착 방식에 있어 벨크로 고정장치의 응용 예시;
도 13은 한국인의 표준 손 측정 데이터에 근거(http://sizekorea.kats.go.kr/)한 20~80세 사이의 성인에 대한 엄지길이에 대한 데이터 표;
도 14는 한국인의 표준 손 측정 데이터에 근거(http://sizekorea.kats.go.kr/)한 20~80세 사이의 성인에 대한 엄지벌림범위에 대한 데이터 표;
도 15는 도 13과 도 14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설정한 시제품의 기본크기에 대한 그림;
도 16은 도 13, 도 14, 도 15의 내용으로 설정한 점토 재질의 시제품;
도 17은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설정함에 앞서 실시한 조작방식에 대한 조사예시;
도 18은 도 17의 내용을 근거로 설정한 첫 번째 시제품
도 19는 도 17의 내용을 근거로 설정한 두 번째 시제품
도 20은 도 17의 내용을 근거로 설정한 세 번째 시제품;
도 21은 도 18의 시제품에 대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설정표;
도 22는 도 19의 시제품에 대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설정표;
도 23은 도 20의 시제품에 대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설정표;
도 24는 시제품 사용에 따른 근전도 측정의 대상이 되는 근육(장무지굴근)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시제품 사용에 따른 근전도 측정의 대상이 되는 근육(단모지 외전근)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근전도 측정에 앞서 측정의 대상이 되는 근육에 설치한 1번 채널과 2번 채널의 착용 그림;
도 27은 휴면상태변화량을 구하기 위한 식;
도 28은 재생버튼 사용에 대한 근육 사용량 측정표;
도 29는 곡넘김버튼 사용에 대한 근육 사용량 측정표;
도 30은 소리크기조절버튼 사용에 대한 근육 사용량 측정표;
도 31은 재생버튼 사용에 대한 각 시제품의 단모지외전근 사용량 평균 그래프;
도 32는 곡넘김버튼 사용에 대한 각 시제품의 단모지외전근 사용량 평균 그래프;
도 33은 소리크기조절버튼 사용에 대한 각 시제품의 단모지외전근 사용량 평균 그래프;
도 34는 각 표본의 신뢰구간에 대한 표;
도 35는 단모지외전근 근육사용량의 대응표본 비교 가설검정 결괏값;
도 36은 단모지외전근 근육사용량의 대응표본 비교 가설검정 (곡넘김버튼 사용시) 결과 값;
도 37은 최종적으로 도출된 제품디자인의 배면도;
도 38은 최종적으로 도출된 제품의 조작부에 대한 정면도;
도 39는 최종적으로 도출된 제품의 대표도
도 40은 조작부 크기 설정을 위해 실시한 실험 실시 예;
도 41은 조작부 크기 설정을 위해 사용한 수식;
도 42는 실험자에 따라 각 시제품의 근전도측정을 하는 순서에 대한 내용;
1 is a questionnaire written for the survey;
2 is the gender ratio of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3 is a bicycle use ratio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urvey;
4 is a graph of the bike usage time of the survey participants;
5 is a graph of the music enjoyment preference of survey participants;
6 is a graph showing the inconvenience of the survey participants when operating the mobile device;
7 is a graph showing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usic appreciation preferences and inconveniences in operating a mobile device in a survey result;
8 is an analysis table for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in the survey results;
9 is an illustration of a product application of the polyurethane material;
10 show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women's ornaments in the product removal mode;
11 show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cable anchoring device in a product detachment scheme;
12 show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the Velcro fastening device in the product detachment method;
FIG. 13 is a data table for thumb length for adults between 20 and 80 years of age based on Korean standard hand measurement data (http://sizekorea.kats.go.kr/);
FIG. 14 is a table of data on thumb opening for adults between 20 and 80 years of age based on Korean standard hand measurement data (http://sizekorea.kats.go.kr/);
15 is a diagram of a basic size of a prototype set based on the contents of FIGS. 13 and 14;
FIG. 16 is a prototype of a clay material set in the contents of FIGS. 13, 14, and 15;
17 is a survey example of an operation method performed before setting an interface;
18 is a first prototype set based on the contents of FIG. 17.
19 is a second prototype set based on the contents of FIG. 17.
20 is a third prototype set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of FIG. 17;
FIG. 21 is an interface setting table for the prototype of FIG. 18; FIG.
FIG. 22 is an interface setting table for the prototype of FIG. 19; FIG.
FIG. 23 is an interface setting table for the prototype of FIG. 20; FIG.
Fig. 24 is a diagram showing muscles (muscle dorsi muscle) to be subjected to EM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use of a prototype;
FIG. 25 is a diagram showing muscles (short abdominal extensor muscles) subjected to EMG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use of a prototype; FIG.
Fig. 26 is a drawing of wearing of channels 1 and 2 installed in the muscle to be measured prior to EMG measurement;
27 is an equation for obtaining an amount of change in sleep state;
28 is a table of muscle usage measurement using play button;
29 is a table of muscle usage measurement using the skip button;
30 is a table measuring the muscle usage for using the sound volume control button;
Fig. 31 is a graph of average short-term extra-tramuscular usage of each prototype for use of a play button;
32 is an average graph of short-term extra-tramuscular usage of each prototype for use of the skipping button;
33 is a graph showing the average use of short hair extraversion of each prototype for the use of the sound volume control button;
34 is a table of confidence intervals for each sample;
35 is a corresponding sample comparison hypothesis test value of abdominal extragator muscle usage;
36 is a comparative sample comparison hypothesis test (when using a skipping button) of the abdominal extensor muscle utilization;
37 is a rear view of the product design finally derived;
38 is a front view of an operation unit of the finally derived product;
39 is a representative view of the finally derived product
40 is an embodiment of an experiment performed to set the size of the control panel;
41 is a formula used for setting a manipulation unit size;
42 is a view of the procedure for measuring the EMG of each prototype according to the experimenter;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의 결과에 따르면 도 7의 상관계수를 바탕으로 자전거 이용자가 자전거 탑승시 휴대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즐기지만 그와 함께 불편함이 다소 발생한다는 것이 도 8의 신뢰성 검증을 통해 밝혀졌다. According to the result of FIG. 1, it was found through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of FIG. 8 that the bicycle user enjoys using the mobile device while riding the bicycle based 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FIG.

이에 대한 과제의 필요성에 합당하여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을 고안하려 한다.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is problem, we will design a product design that can solve the problem.

고안하려는 제품의 디자인을 결정함에 앞서 먼저 소재를 결정한다.Before deciding on the design of the product to be designed, the material is decided first.

도 9의 폴리우레탄 소재의 제품들은 기계적 강도와 내마모성, 내충격성 등에서 우수하며 내후성, 내산화성이 강한 특징이 있으며 외부환경에 잘 견디고 인체친화적이라는 측면으로 제품의 소재로 채택한다.The products of the polyurethane material of Figure 9 are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and have a strong weather resistance, oxidation resistance is adopted as a material of the product in terms of good resistanc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human-friendly.

또한, 제품을 고정하고 사용함에 앞서 조작시, 자전거 이용시 움직임이 없어야 하고, 장치의 도난을 염려하는 이용자를 위한 방식의 선택이 필요하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가격을 고려하여 단가가 높지 않은 3가지의 고정방식을 비교, 선정한다.In addition, prior to fixing and using the product, there must be no movement when using the bicycle, and a choice of a method for a user concerned about theft of the device is required. And considering the production price of the product, we compare and select three fixed methods that do not have a high unit price.

도 10은 여성의 액세서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뱅글형태이다. 이러한 방식은Figure 10 is a bangle form commonly seen in women's accessories. This way

자전거에 끼워 쓰며 탈부착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t fits on a bicycl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removable.

도 11은 케이블의 정리를 위한 케이블 타이로, 길이를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길이의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11 is a cable tie for organizing cables, the length of which can be increased or shorte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is easy.

도 12는 벨크로 테이프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매우 쉽고 탈부착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Figure 12 has the advantage that the length is very easy to adjust the removable Velcro tape.

방식을 비교한 결과 뱅글 형태의 방식을 채택하기로 한다. 케이블 타이방식의 경우 자전거 바의 지름이 자전거별로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최대 장점인 길이 조절이 용이하다는 것이 의미가 없다. 도 12의 벨크로 테이프 방식의 경우 야외에서 이용하는 자전거의 특성상 부적합하다. 이러한 이유로 탈부착이 쉬우며 디자인적으로 장점이 있는 도 10의 뱅글 방식을 채택한다.After comparing the methods, we decided to adopt the bangle type method. In the case of the cable tie method, since the diameter of the bicycle bar does not show a big difference between bicycles, the maximum advantage is that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length. In the case of the Velcro tape method of Figure 12 is inappropria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cycle used outdoors. For this reason, the bangle method of FIG. 10 is adopted, which is easily detachable and has an advantage in design.

다음으로는 한국인의 표준 손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품의 기본 크기를 설정한다.Next, we set the default size of the product using Korean standard hand data.

도 13은 성인 20 ~ 80세까지의 엄지길이에 대한 데이터이다.Figure 13 is the data for the thumb length from 20 to 80 adults.

이에 대한 평균 58.7mm 를 기준으로 제품크기 설정을 진행한다.Set the product size based on the average 58.7mm.

도 14는 성인 20 ~ 80세까지의 엄지손가락 벌림 범위에 대한 데이터로써, 가능한 한 모든 이용자의 이용범위를 충족시키기 위해 1분위의 평균값인 33.5도의 벌림 각을 기준으로 제품 크기 설정을 진행한다.FIG. 14 shows data on the thumb open range from 20 to 80 years of age, and the product size is set based on an open angle of 33.5 degrees,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1st quartile, in order to satisfy the range of use of all users.

도 13과 도 14의 도시를 바탕으로 20 ~ 80세의 성인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의 표준 크기를 설정한다.Based on the illustration of FIG. 13 and FIG. 14, a standard size of a product available to all 20-80 year olds is set.

도 41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평균 58.7mm 길이의 엄지손가락이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계산하였다. 그 거리를 적용한 구동부의 직선길이는 34.321mm 이다.The distance that the thumb of the average length 58.7mm can be moved using the calculation formula of FIG. The linear length of the drive unit applying the distance is 34.321 mm.

도 13,도 14, 도 41의 도시를 바탕으로 설정한 시제품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고 구동부에 디자인적인 유격을 주기 위해 직선길이를 36mm로 설정한다.The prototype set based on the illustration of FIGS. 13, 14, and 41 is as shown in FIG. 16 and sets the straight length to 36 mm in order to give a design clearance to the driving unit.

도 17은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기능에 대한 조사 예이다. 내용에 있는 택트 스위치, 휠 스위치, 조그 스위치를 기본으로 하여 1안에서 3안까지의 시제품을 설정한다.17 is a survey example of an operation function for setting an interface of a user. Based on the tact switch, wheel switch, and jog switch in the contents, prototypes of one to three eyes are set up.

도 18에 도시된 시제품은 택트 스위치 3개와 도 16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자전거 핸들바 프레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이 디자인은 대칭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손이 휴면상태에 있을 경우의 제일 편안한 모양을 본 따 곡선형태로 만들어 자연스럽게 조작하고자 한다.The prototype shown in FIG. 18 consists of three tact switches and the contents of FIG. The user interface is as shown in FIG. The design, which is attached to the handlebar frame of the bicycle, can be used symmetrically, and it is intended to be operated naturally by making a curved shape following the most comfortable shape when the hands are in a dormant state.

도 19에 도시된 시제품은 하나의 조그 다이얼과 도 16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자전거 핸들바 프레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이 디자인은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나 방향 조작 시 약간의 방향 오차가 있을 경우 오작동의 위험이 있다.The prototype shown in FIG. 19 is constructed based on one jog dial and the contents of FIG. The user interface is as shown in FIG. 22. This design, which is attached to the bicycle handlebar frame, allows intuitive operation, but there is a risk of malfunction if there is a slight direction error in the direction of operation.

도 20에 도시된 시제품은 하나의 휠 다이얼과 하나의 택트 스위치, 도 16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자전거 핸들바 프레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이 디자인은 대칭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휠로 빠른 컨트롤이 가능하여 조작성이 좋다.The prototype shown in FIG. 20 was constructed based on one wheel dial, one tact switch, and the contents of FIG. 16. The user interface is as shown in FIG. Attached to the bike handlebar frame, the design is symmetrical and can be quickly controlled with wheels for good operability.

다음으로 도 18, 도 19, 도 20에 도시된 세 가지의 시제품 사용시 어느 것이 근육피로도가 제일 작은지 판별하기 위해 근전도측정검사를 한다.Next, when using the three prototypes shown in Figs. 18, 19, 20, the EMG measurement test to determine which muscle fatigue degree is the smallest.

근전도 검사란, 신경과 근육의 전기생리학적 현상을 기계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검사로 근육의 피로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Electromyography is an examination of the electrophysiological phenomena of nerves and muscles using a machine to objectively measure muscle fatigue.

실험은 한양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진행되었고, 피실험자는 4명이다. 각 실험자가 3가지의 시제품을 사용하면서 근육 사용량을 측정하고 휴면상태(근육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와 비교해서 사용량이 얼마나 증가하는지 비교한다.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Hanyang University Ergonomics Laboratory, and 4 subjects. Each experimenter uses three prototypes to measure muscle usage and compares how much the usage increases with a dormant state (without muscle).

측정 근육은 도 24의 장모지 굴근과 도 25의 단모지외전근 이다.Measurement muscles are the long hair flexors of FIG. 24 and the short hair extensor muscles of FIG.

실험을 하기에 앞서 피실험자의 세 가지 시제품을 순차적으로 측정함에 따라 누적되는 근육 피로축적을 고려하여 도 42의 순서로 실험을 진행하여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1번 시제품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고 2번 시제품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다. 3번 시제품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다.Prior to the experiment, the three prototypes of the test subjects were sequentially measured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by performing the experiment in the order of FIG. 42 in consideration of accumulated muscle fatigue accumulation. Prototype 1 is as shown in FIG. 18 and prototype 2 is as shown in FIG. Prototype 3 is as shown in FIG. 20.

실험의 진행에 앞서 근전도 측정기기의 부착을 위한 예시는 도 26과 같다.An example for attaching the EMG measuring device before proceeding with the experiment is shown in FIG. 26.

채널 1번은 도 24의 단모지 외전근 에 연결하였으며, 채널 2번은 도 25의 장모지굴근에 부착한다.Channel 1 is connected to the abdominal extensor muscle of FIG. 24, and channel 2 is attached to the long hair flexor muscle of FIG.

도 28, 도 29, 도 30은 세 가지 기능(재생, 곡넘김, 소리크기 조절)을 사용할 때 근육의 사용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채널1은 도 24에 도시되어있는 단모지외전근의 근육사용량을 나타내고 채널2는 도 25에 도시되어있는 장무지굴근의 근육사용량을 나타낸다. 도 27에 도시되어있는 식은 휴면상태 변화량을 계산하는 식으로, 휴면상태 변화량이란 각 피실험자의 휴면상태 근육사용량과 힘의 크기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변화량을 휴면상태로 나눈 것이다.28, 29, and 30 are results of measuring changes in muscle usage when using three functions (playback, skipping, and sound volume control). Channel 1 represents the muscle usage of the extra-terminal extensor muscles shown in FIG. 24 and channel 2 represents the muscle consumption of the long limb muscles shown in FIG. The equation shown in FIG. 27 calculate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ormant stat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ormant state is divided by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ormant state because both the dormant muscle usage and the magnitude of the force of each test subject are different.

각 측정량을 비교한 결과, 도 31, 도 32, 도 33의 결과에 근거하여 3안을 사용할 때 근육 사용량이 가장 많았고 근소한 차이로 1안이 근육을 가장 적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더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통계분석도구 ezSPC를 이용한 대응표본 가설검정을 했다. 표본만으로 각 사용량이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표본 평균의 신뢰구간을 측정하고 가설검정을 해서 사용량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지 확인했다. 도 34, 도 35, 도 36에 확인된 바에 의하면 신뢰구간은 90%로 검정결과 재생버튼과 곡넘김 버튼을 사용할 때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1안의 근육사용량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amounts, the muscle usage was the highest when three eyes were used, and the one eye used the least muscl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FIGS. 31, 32 and 33. To analyze this in more detail, a hypothesis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tool ezSPC. Since the samples alone do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fidence intervals of the sample mean were measured and the hypothesis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age differed significantly. 34, 35, and 36, the confidence interval was 90%, and the tes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using the play button and the skip button. This confirmed that the muscle usage in one eye was the lowest.

근전도 측정결과 도 18에 도시되어있는 3개의 택트스위치를 배열한 기본 디자인과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채택하기로 하였다.As a result of EMG measurement, a basic design and an interface of three tact switches shown in FIG. 18 were adopted.

다음으로, 각 스위치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21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 엄지 유효부위를 측정한다.Next, in order to determine the size of each switch, the thumb effective area of 21 adult men and women was measured.

도 40에 나타난 예시와 같이 각 측정자들은 250ml 캔음료를 감싸쥐고 엄지부위에 도료를 묻힌 다음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통해 종이에 유효부위를 나타내었다.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40, each of the measurers wrapped the 250ml canned beverage, buried the paint on the thumb portion and showed the effective portion on the paper by pressing the switch operation.

최종적으로 도료가 묻힌 부분을 통해 스위치를 조작할 때 사용하는 부위의 크기표본 21개를 수집한다.Finally, collect the 21 size samples of the switch used to operate the switch through the paint.

도 40의 방법을 통해 나타난 성인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엄지부위의 평균 크기는 가로 13mm, 세로 13mm의 크기로 설정한다.The average size of the thumb portion for manipulating the adult switch shown through the method of Figure 40 is set to a size of 13mm horizontal, 13mm vertical.

도 37은 최종적으로 도출된 디자인의 정면도이다.37 is a front view of the finally derived design.

자전거 핸들바 프레임에 가장 많이 쓰이는 25.4mm에 맞추어 안지름을 맞추어 디자인 한다.Designed to fit inside diameter of 25.4mm which is used most frequently in handlebar frame.

최종적으로 도출된 조작부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e operation unit finally derived is as shown in FIG.

전체 조작부의 세로길이는 도 13과 도 14에 근거한 37.4mm로 디자인되었으며 사용자의 엄지회전반경에 따라 조작부에 곡률을 주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재생 및 통화버튼은 가로 13mm 세로 13mm로 디자인되었다.The vertical length of the entire control panel was designed to be 37.4 mm based on FIG. 13 and FIG. The most common play and call buttons are designed to be 13mm wide by 13mm wide.

최종적으로 도출된 디자인의 사시도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perspective view of the finally derived design is as shown in FIG. 39.

상기 본체의 조작부(10)은 3개의 택트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The operation unit 10 of the main body consists of three tact switches.

상기 본체의 송수신부(20)는 스위치보다 돌출된 형태이다.The transceiver 20 of the main body is more protruding than the switch.

상기 본체의 고정부(30)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탄성을 이용한 고정체로써 자전거에 본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xing part 30 of the main body serves to fix the main body to the bicycle as a fixing bod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polyurethane material.

10: 본체의 조작부
20: 본체의 송수신부
30: 본체의 고정장치부
101: 1안의 볼륨조절 및 곡넘기기 택트스위치
102: 1안의 재생 및 통화 택트스위치
103: 2안의 컨트롤부
104: 3안의 제어를 위한 택트 스위치
105: 3안의 제어를 위한 휠
10: control panel of main body
20: transceiver of the main body
30: fixing unit of the main body
101: One-way volume control and song skip tact switch
102: Playback and Call Tact Switch
103: two-eye control
104: Tact switch for control of three eyes
105: wheel for three-eye control

Claims (5)

자전거 핸들 부착형 휴대기기 조작장치;
택트 스위치 3개로 이루어지고 도 21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함께 본체를 형성하는 전파수신부의 위치와 모양;
본체와 자전거를 결합해주는 말발굽형 고정장치;
Handlebar-mounted handheld device controls;
An operation unit consisting of three tact switches and having a user interface as shown in FIG. 21;
Location and shape of a radio wave receiver forming a main body together with the operation unit;
Horseshoe type fixing device that combines the body and the bicycle;
제 1항에 있어서,
크기가 가로 세로 약 13mm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특징이 있는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 features a size of about 13mm in size.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엄지 활동반경을 고려한 턱이 있는 특징이 있는 스위치 조작부.
The method of claim 1,
Switch controls with jaws that take into account the user's thumb radius.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품.
The method of claim 1,
Said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polyurethane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발굽형 고정부의 탄성을 이용해 자전거와 결합하는 결합방식.
The method of claim 1,
Coupling method for coupling with the bicycle using the elastic of the horseshoe-type fixing.
KR2020120004889U 2012-06-09 2012-06-09 Portable device contoller for bicycle riding KR2013000723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89U KR20130007237U (en) 2012-06-09 2012-06-09 Portable device contoller for bicycle ri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89U KR20130007237U (en) 2012-06-09 2012-06-09 Portable device contoller for bicycle ri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37U true KR20130007237U (en) 2013-12-18

Family

ID=5244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889U KR20130007237U (en) 2012-06-09 2012-06-09 Portable device contoller for bicycle ri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237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47B1 (en) * 2015-04-01 2016-08-18 주식회사 모아로봇 Joystick for bike
KR20180095745A (en) * 2017-02-17 2018-08-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Direction indicator system for detachable type bicycle using acceleration sensor of smartphone
KR102264114B1 (en) * 2020-12-24 2021-06-11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Wireless 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reof
KR102324700B1 (en) * 2020-12-24 2021-11-10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Wireless 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47B1 (en) * 2015-04-01 2016-08-18 주식회사 모아로봇 Joystick for bike
KR20180095745A (en) * 2017-02-17 2018-08-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Direction indicator system for detachable type bicycle using acceleration sensor of smartphone
KR102264114B1 (en) * 2020-12-24 2021-06-11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Wireless 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reof
KR102324700B1 (en) * 2020-12-24 2021-11-10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Wireless 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57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tactile instructions to the human body
CN101467875B (en) Ear-wearing type physiology feedback device
US5568928A (en) Video game controller for use with an exercise apparatus
KR20130007237U (en) Portable device contoller for bicycle riding
US10099086B2 (en) Balance board fitness training device
KR101545518B1 (en) Bicycle for interactive game
JP2016104142A (en) Portable fitness monitoring system and application thereof
US20170095694A1 (en) Balance board fitness training device
US8829376B2 (en) Control panel for fitness equipment
US20080058687A1 (en) Muscle rolling and pinching structure
CN107209074B (en) Force value measuring mechanism
US7385589B2 (en) Portable interactive device integrated with housing and multi-purpose clip for physical fitness activity
JP2009125508A (en) Body movement detection device and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US8757911B2 (en) Attention enhancing writing instrument accessory and method of use
KR20170017856A (en)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CN2488552Y (en) Hand-held roller body-building device with state telling function
CN205814987U (en) Balance training device
US20160023048A1 (en) Weigh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211025085U (en) Auxiliary game handle
CN215025686U (en) Exercise bicycle handle with massage function
KR20180121306A (en) Wrist keyboard using conductive yarn
CN111603674B (en) Neck massage instrument
CN209572124U (en) A kind of microphone
Madhavarapu Usability Testing of the Effect of Smartphone Holder
CN102949813B (en) There is the upside down machine of massage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