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072U - 엽채류 수경재배를 위한 스폰지배지용 육묘판 - Google Patents

엽채류 수경재배를 위한 스폰지배지용 육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072U
KR20130007072U KR2020120004592U KR20120004592U KR20130007072U KR 20130007072 U KR20130007072 U KR 20130007072U KR 2020120004592 U KR2020120004592 U KR 2020120004592U KR 20120004592 U KR20120004592 U KR 20120004592U KR 20130007072 U KR20130007072 U KR 201300070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resent
hydroponic cultivation
spon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진
Original Assignee
이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진 filed Critical 이석진
Priority to KR2020120004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072U/ko
Publication of KR20130007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ntaining foam or presenting a foam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스폰지제(製) 배지(培地)를 사용하여 발아/육묘 및 정식 재배하는 엽채류 수경재배법에 있어서, 그 중의 발아/육묘공정에서 사용되는 육묘판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묘 뿌리의 성장에 간섭이 덜 일어나도록 기존의 육묘판을 보완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육묘판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육묘판은 형태가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바닥에는 다수의 배수공(각형 또는 원형)이 스폰지배지의 크기에 맞추어 구획되어 있고, 바닥의 하부에는 신근(新根:새로운 뿌리)생육에 장애가 없도록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안정적인 적층을 위하여 4개의 귀퉁이에 단층을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엽채류 수경재배를 위한 스폰지배지용 육묘판 {Raising seedling board for Poly urethane sponge medium in use of Hydroponic cultivation of green vegetables}
본 고안은 수경재배에 이용하는 스폰지제(製) 배지(培地)의 육묘 공정 시에 발아 후 뿌리활착 과정에 뿌리의 눌림이나 엉킴현상이 없이 육묘판에서 보다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게 하고, 정식판으로의 이식과정에서 뿌리가 다치거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이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에 적용되는 재배판의 구조를 개선한 육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아 및 육묘시설에 사용되는 재배판 트레이는 대부분 사각형의 플라스틱 사출품 또는 다수의 셀(Cell)을 지닌 육묘 플러그 트레이 등의 내부에 암면, 인공토, 스폰지 등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해면체를 깔고 씨앗을 파종하게 되며, 발아 후 일정기간의 육묘기간을 거친 다음에 식물성장에 맞추어 정식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엽채류 수경재배의 경우에는 2가지 방법이 주로 적용되는데, 그 중 한 방법은 인공
토 등의 배지에 파종, 육성된 유묘를 세척 후에 스폰지로 감싸서 수경재배장치로 정식시키는 방법이고, 다른 방법은 육묘판에서 스폰지배지에 바로 파종하여 육성된 유묘를 수경재배장치로 직접 정식시키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이식 등의 과정이 단순하여 많이 쓰이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의 수경재배방법 중 엽채류 재배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스폰지배지를 이용하여 파종공정부터 생육 후 수확공정까지의 일체형 생산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기존의 육묘판에서 육성시킬 경우, 정식판으로 이식 시키기 전까지 신근(新根)이 스폰지 배지 밑에서 눌리거나 얽힘 현상이 발생하고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구조여서 정식 후에 안정적인 뿌리활착에 장애가 생길 소지가 많다. 이처럼, 식물체의 안정적인 성장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유묘의 육성단계에서 신근(新根)의 생육 간섭을 최소화시키고 안정적이고 균일한 유묘를 생산하기 위하여 육묘판의 구조를 변동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갖게 한 육묘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경제성이 있는 적절한 크기의 외형 설계가 필요하여, 내측은 스폰지의 손실이 적도록 상용화된 스폰지의 크기에 맞추어서 취급이 용이한 사각형의 크기로 설정하였고,
■ 판매되는 기존 육묘판으로는 다수의 셀(Cell)을 지닌 계란판(凸凹형)모양의 플라스틱 사출품(일명 육묘 플러그 트레이)이나 평판(일명 모판)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배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스폰지배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판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이로 인해 발아 후 육묘시에 모근(毛根)이 벋어갈 수 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본 고안은 평판의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공(사각형 또는 원형)을 설치하여 모근 활착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 육묘판의 바닥면을 벽면의 적정 중간부위에 설치하여 유효한 하부 공간을 확보하고,
■ 여러 단을 상하로 적재 또는 이동 시에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하부의 4코너부위에 돌출부를 설치한 구조로 제작한 것이 그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경재배를 위한 육묘판에서 스폰지배지를 이용하여 유묘를 육묘시킬 때에 식물뿌리가 눌리거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육묘판에서 이식 전까지 충분히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정식과정에서도 뿌리가 다치거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서, 정식 후에도 빠르고 안정적인 뿌리활착이 가능하게 되어 생육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성체로서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육묘판의 상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육묘판의 하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면 배수공의 배치도


도 4(A)는 기존의 육묘판에서 유묘가 성장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육묘판에서 유묘가 성장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 고안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한다. 단, 상기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첨부된 도면 대표도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A)는 기존의 육묘판(31)의 단면이고, (B)는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32)의 단면의 예(例)이고, 스폰지 배지(33)의 단위형상은 육면체로 높이는 30mm로 일정하고 각면의 길이는 식물체의 종류에 따라 20~30mm이며 중심에 표시가 있다.
■ 상기 육묘판(10)의 표준 크기는 내측기준으로 폭 300mm(~최대 600mm), 길이 600mm(~최대 900mm)이며 측고는 50mm로 설정하였다.
■ 바닥면(11)은 상부측으로부터 30mm 하단에 설치되며, 배수공(12)의 형태는 식물체의 종류에 따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3/4/6각형(13,14,15) 및 원형(16)으로 구별되며, 중심축 간의 간격은 스폰지배지(33)의 크기와 같이 20~30mm로 설정하였다.
■ 육묘판을 적층하여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닥의 사각 귀퉁이에 단층(21)을 제작하여서 상하판의 고정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음에 따라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일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육묘판 11 바닥면
12 배수공 13 삼각형 배수공
14 사각형 배수공 15 육각형 배수공
16 원형 배수공 21 연결단층
31 기존 육묘판의 단면 32 본 육묘판의 단면
33 스폰지 배지 34 식물체의 유묘(乳苗)

Claims (2)

  1. 측벽을 가진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바닥은 측벽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서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또는 원형인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 여유공간이 있는 수경재배에 사용하는 육묘판.
  2. 청구 항 1에 있어서,
    상기 육묘판의 안정적인 상하적층이 가능하고 이동 시에 용이하도록 상기 바닥의 사각 귀퉁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끼움용 돌출부를 포함하는 육묘판
KR2020120004592U 2012-05-31 2012-05-31 엽채류 수경재배를 위한 스폰지배지용 육묘판 KR201300070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592U KR20130007072U (ko) 2012-05-31 2012-05-31 엽채류 수경재배를 위한 스폰지배지용 육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592U KR20130007072U (ko) 2012-05-31 2012-05-31 엽채류 수경재배를 위한 스폰지배지용 육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72U true KR20130007072U (ko) 2013-12-10

Family

ID=5244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592U KR20130007072U (ko) 2012-05-31 2012-05-31 엽채류 수경재배를 위한 스폰지배지용 육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0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313B1 (ko) * 2020-11-09 2021-07-02 농업회사법인(주)이노그린팜 식물식재 수직 모듈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313B1 (ko) * 2020-11-09 2021-07-02 농업회사법인(주)이노그린팜 식물식재 수직 모듈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61957U (zh) 可拆卸的育苗穴盘
CN103348882A (zh) 一种塑料育苗穴盘
CN206061658U (zh) 一种林业用育苗装置
CA2829417A1 (en) Propagation container for plants and propagation plate having several such propagation containers
CN207399984U (zh) 便于大棚蔬菜种植的育苗装置
KR200477741Y1 (ko) 적층식 작물재배기
KR100840967B1 (ko) 식생매트리스
KR20130007072U (ko) 엽채류 수경재배를 위한 스폰지배지용 육묘판
KR101698112B1 (ko) 격자형 셀이 형성된 육묘 상자 및 블록매트형 상토를 포함하는 육묘 장치
KR20130007216U (ko) 엽채류 수경재배시 스폰지배지 육묘의 정식용 포트
WO2011142664A1 (en) Container and method for raising a plant
CN209994957U (zh) 育苗容器以及育苗装置
WO2020098781A1 (zh) 育苗容器、育苗装置及育苗方法
KR101811871B1 (ko)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 및 화분 받침대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CN203985398U (zh) 一种无土栽培苗菜盘
KR101488158B1 (ko) 수경재배용 트레이의 구조
CN208258534U (zh) 一种新型穴盘
KR20160150535A (ko) 식물 재배관리기
CN201308022Y (zh) 沙培育苗盘
KR20150002270U (ko) 높이조절기능을 가지는 육묘상자
CN219205359U (zh) 一种烤烟种植育苗基质盘
TWM479011U (zh) 具多孔式栽培杯的穴盤
KR101682763B1 (ko) 메인화분과 수조화분을 갖는 비료팩 교체용 식물재배관리기
CN210470438U (zh) 一种节水型育苗穴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