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055A -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055A
KR20130007055A KR1020110063066A KR20110063066A KR20130007055A KR 20130007055 A KR20130007055 A KR 20130007055A KR 1020110063066 A KR1020110063066 A KR 1020110063066A KR 20110063066 A KR20110063066 A KR 20110063066A KR 20130007055 A KR20130007055 A KR 20130007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ta
server
information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11006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055A/ko
Publication of KR2013000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강의에 관련된 필기 내용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서버를 통해 동영상 수강자에게 제공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필기 내용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동영상 수강자에게 유선 혹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영상 강의 수강자의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화면 분할을 통해 표시하므로서, 서버는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정보와 필기 정보를 동영상 강의 수강자에게 제공하고, 효과적으로 동영상을 검색하여 원하는 강의를 수강할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A lecture system in the communications network}
.본 발명은 서버,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표시장치 및 전자 칠판을 상호 연계하고, 정보 검색 및 상호 데이터 통신 기능을 부과하여 효과적인 강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인터넷은 데이터 정보를 공유하고 전달하기 위해 탄생한 기술이다. 그리고 그러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전송 기술이 매우 중요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도 매우 향상되어 100 Mbps를 지나 1Gbps 시대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환경은 교육 콘텐츠 시장에서도 변화를 가져와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강의가 활성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스트리밍(streaming) 기술의 발달로 동영상 서버 접속자는 동영상을 더욱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하지만, 교육용 동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는 일방적으로 동영상 강의만을 듣도록 되어 있어 원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된다. 물론, 미 합중국특허 5,818,439는 동영상을 중간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원하는 부분을 마음대로 선택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영상 강의에서 텍스트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에 대한 세부 정보처리를 하는 것에 대한 방법도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과 필기 내용을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고, 또한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동영상이 검색되면 해당되는 동영상 강사의 홈페이지와도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동영상 강의에 관련된 필기 내용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서버를 통해 동영상 수강자에게 제공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필기 내용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동영상 수강자에게 유선 혹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영상 강의 수강자의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화면 분할을 통해 표시하므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와 필기 내용 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화면에 필기 내용 데이터가 표시될 때 중요한 강조 표시 부분이 별도로 선택될 수 있고, 화면에 표시된 필기 내용에서 강조 내용에 추가로 이미지, 소리, 텍스트 파일,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강의에 관련된 필기 내용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서버를 통해 동영상 수강자에게 제공될 때.동영상 강의를 수강하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검색창이 표시되고, 상기 검색창을 통해 동영상 강의와 관련된 필기 내용을 입력하면,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 서버에 전송되고,
서버는 입력된 필기 내용을 검색하여, 일차적으로 해당되는 필기 내용을 검색하고 검색된 필기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동영상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와 연관된 필기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한다.
한편, 동영상 강의와 관련된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서버를 통해 동영상 수강자에게 제공될 때. 상기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검색창을 통해 질의어를 검색하면, 해당되는 질의어에 맞는 동영상 데이터가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동영상 데이터는 해당되는 동영상 강사의 정보와 함께 홈페이지에 표시되고,
상기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을 볼 수 있고, 해당되는 동영상 강사를 선택할 수 있으며, 동영상 강사를 선택하면 동영상 강사의 개인 홈페이지와 연결되고, 동영상 강사의 개인 홈페이지를 통해 동영상을 구매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서버는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정보와 필기 정보를 동영상 강의 수강자에게 제공하고, 효과적으로 동영상을 검색하여 원하는 강의를 수강할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인터넷 망을 통한 강의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동영상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전자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자 칠판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강사의 필기 내용을 인식하는 방법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와 도 8은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9내지 도15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화면 분할의 모양과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강조 표시를 선택하였을 때의 실시예 도면이다.
도 17은 강조 표시 선택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서 도 20은 상세 설명을 표시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1은 검색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2은 동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검색된 동영상이 홈페이지에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검색어 혹은 질의어의 답에 맞는 동영상 검색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과 도 27 동영상 검색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교육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특허로서, 동영상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정보를 활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강사는 전자 칠판(300)을 통해 강의하고, 강의 수강자는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표시장치를 통하여 강의를 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강사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 강의를 통한 강의를 수강하게 된다. 물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나 노트북 등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인터넷 망을 통한 강의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처럼 강사의 강의 내용을 강의실 내에서도 휴대용 표시장치를 통해 수강할 수 있지만, 인터넷 망이나 통신망을 통해 원거리에서도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도 2는 원거리를 통해 동영상 강의를 들을 수 있는 블록도를 나나탠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1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100)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03),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05), 각종 동영상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4) 및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0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용 표시장치(혹은 컴퓨터)(20)는 동영상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동영상 수신 단말기(20)에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1),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2),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4) 및 코드 입력 전송장치와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출력부(23)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자 칠판(300)도 본 발명의 구성에 필요할 수 있다.
전자 칠판은 강사가 전자칠판(300)의 보드에 필기한 정보를 인식하고, 데이터 변환을 시켜 정보를 저장하기도 하며, 인식한 필기 정보를 인터넷이나 통신망을 통해 서버(100)에 보내주게 된다.
전자칠판(300)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강의실에서 수강자가 볼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300번 참고)이며, 디스플레이 표면에 데이터 입출력부가 부착된 형태이다. 즉, 대형 디스플레이(33)이 상단에 입력장치(35)가 구비되어, 강사가 디스플레이 상단에 글씨를 쓰게되면 글씨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표시되고, 또한 표시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100)에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입력장치(35)는 터치패널처럼 평판 플레이트(Plate)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정보를 입력하고 때로는 소리로도 출력하는 데이터 입출력부(32), 정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스(31),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100)와 정보를 주고 받는 통신부(36), 및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4)도 더 구비된다. 휴대용 표시장치(20)도 디스플레이부(25), 메모리부(22), 데이터 입출력부(23) 및 입력장치(24)가 구비된다.
도 3은 동영상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영상서버(100) 내에는 제어부(101)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111), 데이터 처리부(112) 및 인터넷 접속자와 회원들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이트 운영부(113)로 구성된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14)가 더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4)에는 사이트 운영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141), 각각의 정보 코드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된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및 다수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43)로 구성된다.
한편, 동영상 서버(100)의 제어부(101)에서는 사이트 운영부(113)가 접속자에 대한 정보와 회원 가입여부 및 콘텐츠 사용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게 되며, 데어터 검색부(111)에서는 접속자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4)통해 검색하며, 데이터 처리부(112)에서는 검색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자에게 전송하여 준다.
도 4는 전자펜을 나타낸 도면이다.
강사가 칠판에 필기를 할 때, 필기된 정보를 인식하는 또 다른 방법의 실시예 도면이다. 즉, 평판 형태의 입력장치(35)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전자펜을 사용하는 것이다.
전자펜(40)에서 접촉부(36)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내부에 있어 펜이 상하 좌우 등으로 움직일 때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3), 정보 입력부(4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40)이 직접 서버(100)에 연결(유무선 통신을 통한 연결)될 필요는 없다. 예를들어, 강의실에 전자펜(4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인터넷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터넷 연결부를 통해 전자펜(40)이 서버(100)와 연결되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전자펜이 스마트폰 같은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고, 다시 스마트폰이 인터넷 망을 통해 서버와 연결될 수가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서버와 연결될 수가 있다.
도 5는 전자 칠판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는 구비되지 않고, 지지역할을 하는 바닥판(300a) 상단에 입력장치(300b)가 구비되고, 그 위에 보호판(300c)이 구비된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300c)에 강의 내용이 쓰여지고 입력장치(300b)가 쓰여진 내용을 인식하는 것이다.
당연히 입력장치(300b)가 인식한 정보는 직접 혹은 인테넷 연결부를 통해 서버(100)와 연결되게 된다.
도 6은 강사의 필기 내용을 인식하는 방법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미리 필기 내용(30p)을 준비하여 칠판에 표시하고, 강사는 강의 중에 추가로 미리 준비된 필기 내용(30p) 중에서 중요 부분을 밑줄 그음하거나 둥그렇게 추가 표시하거나, 추가 내용(30s)을 더 부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자칠판, 전자펜 등을 사용하여 상기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미리 준비한 필기 내용과 추가 필기 내용을 전부 인식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에는, 준비된 필기 내용(30p) 뿐 아니라, 추가 필기 내용(30s)도 함께 서버(100)에 전송해야 함은 당연하다.
이 경우는 준비된 필기 내용(30p)은 텍스트 파일로 저장되지만, 추가 필기 내용은 이미지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자 칠판(300)(입력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을 사용하여 강사의 필기 내용을 인식할 수 있고, 전자 칠판이 구비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전자펜(40)을 사용하여 강사의 필기 내용을 인식할 수 있으며, 혹은 입력장치(300b) 만을 구비하여 강사의 필기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강사의 필기 내용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분리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분리된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의 필기 내용을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는 아니므로, 어떠한 방법을 통해서라도 강의의 필기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필기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서버의 입력부(103)를 통해서 별도의 수작업으로 필기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와 도 8은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7에서처럼 통상의 휴대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21)가 제어하고 메모리(22a)(22b)(22c)가 작용하며, R/F부(26)를 통하여 통신한다.
그리고, 각종 센서(125)가 구비되어 작동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입력장치(250)와 입력장치 구동부(140-1)를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인 결과는 디스플레이(25)와 디스플레이 구동부(25a)를 표시된다. 물론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27)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도 8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25)(45)가 구비되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 구동부(25a)(45a)가 구비된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즉,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최종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상단에서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되는 입력장치(250-1)(250-2)와 입력장치 구동부(140-1)(140-2)도 두 개가 된다.
[실시예 2]
도 9내지 도15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화면 분할의 모양과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하나의 화면에서 화면 분할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처럼 휴대 단말기(20)에서 디스플레이(25)에 표시되는 화면을 분할한다. 그리고, 분할 된 곳의 한 부분은 동영상 이미지(31)를 표시하고, 다른 한 곳은 필기 내용(30)을 표시한다. 이때 필기 내용(30)은 필기 이미지 일 수 있고, 필기 텍스트 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필기 내용은 강사의 동영상 강의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0은 화면 분할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A)에서처럼 화면을 좌우 혹은 상하로 나눌 수 있으며, 이때 분할된 화면의 크기는 서로 같을 수도 있지만 한편이 더 큰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그리고, (B)에서처럼 전체 화면에서 작은 화면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분할 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을 분할하지 않고, 동영상 이미지(31) 혹은 필기 이미지(30) 중에서 하나 만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가 있다.
도 11은 두화면 방식에서의 화면 분할을 나타낸 도면이다.
(A)에서처럼 두 개 화면(25)(45)을 하나의 화면처럼 생각해서, 두 개의 전체화면에서 일부를 작은 화면으로 분할하여 전체화면은 동영상 이미지(31) 작은 화면에는 필기 이미지(31)를 표시할 수 있고, (B)에서처럼 하나의 화면(25)에는 동영상 이미지(31) 다른 화면(45)에는 필기 이미지(31)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C)에서처럼 두 개의 화면 모두(25)(45)에 동영상 이미지(31)만을 표시할 수 있고, (D)에서처럼 두 개의 화면(25)(45) 모두에 필기 이미지(30)만을 표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든 경우에서도 모두 스피커(27)를 통해 음성 신호를 계속 출력하게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2와 도 13은 필기 이미지내에서 중요 부분을 표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하나의 화면에서 화면을 분할하고 필기 이미지 중에서 중요한 부분을 강조 표시(30a)한 실시예이고, 도 13은 두 개의 화면에서 화면을 분할하고 필기 이미지 중에서 중요한 부분을 강조 표시(30a)한 실시예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인터넷 서버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즉, 임의의 A 강의가 시작되어 도2, 도4, 도5의 장치를 통해 얻어진 필기 내용 데이터와, 동영상 카메라를 통해 얻어진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서버(100)로 전송된다.(300 단계 - 310 단계)
이때, 서버로 전송한다는 것은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고, 유선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으며, 나중에 수동적으로 입력부(103)을 통해 서버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서버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서버(100)에서는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및 필기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143)에 저장한다. (320 단계)
한편, 상기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330 단계) 해당되는 동영상 강의를 선택한 고객에게, 동영상 데이터, 필기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임의의 A 강의가 종료되면, 데이터 저장과 데이터 전송이 종료된다.(340 - 350 단계)
이때,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해당되는 A 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고, 데이터 전송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사전에 정해진 고객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5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휴대 단말기 작동을 시작 하고, 인터넷 망을 통한 접속 및 임의의 A 동영상 강의를 선택하면, 해당되는 동영상 강의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게 되고, 데이터를 디코딩하게 된다.(360 - 370 단계)
즉, 휴대 단말기(20)에서 입력장치(250)를 통해 혹은 입력부(23a)를 통해 인터넷 망을 접속하고 시청하고자 하는 동영상 강의를 선택하면, 서버(100)에서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동영상 강의가 수신되게 된다.
이때, 수신된 데이터는 중앙처리 장치(21)의 제어를 통해 수행되고, 동영상 데이터, 필기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각각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화면에서 화면 표시 방법에 대한 메뉴가 표시된다. 화면 표시는 텍스트 혹은 이미지로 표시될 수가 있다, 즉 도 9에서 도 11까지 도시된 화면 표시 방법에 대한 메뉴가 표시된다는 것이다.
즉, 화면 표시 메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화면 표시 메뉴가 화면에서 확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여간, 화면 표시 메뉴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도 표시할 수 있다,(371 단계)
화면 표시 방법을 선택하였으면, 선택된 방법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고 화면 표시 방법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표준적으로 정해진 방법에 의해 화면 표시가 된다,(372단계 - 375 단계)
이때 화면 표시 방법은 화면을 분할하여 어느 부분에 동영상 이미지와 필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가를 선택하는 것이며, 때로는 동영상 이미지만 표시하거나 필기 이미지만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중앙처리장치(21)는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동영상 데이터와 필기 데이터를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하고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한편, 필기 데이터에서 강조 표시(30a)를 선택하면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강조 표시(30a)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분할 화면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한다.(375단계 - 380 단계)
종료가 선택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하지 않게 되는데, 이때 도 15의 순서도에서는 생략되었지만, 화면(25)(45)에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저장 질문이 표시되고, 저장을 선택하게 되면 수신된 데이터는 저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료후 원래의 단말기로 기능이 복귀되고, 종료되지 않았으면 표시된 화면이 계속 유지되기 위한 수행을 진행한다. (385 단계 - 395 단계)
이때 강조 표시(30a)는 필기 이미지 혹은 필기 내용 중에서 강사 혹은 인터넷 강의 수강자가 강조 표시를 해 놓은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필기 내용은 이미지로 데이터화 할 수 있고 텍스트 파일로 데이터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조 표시(30a)를 선택했다는 것은 입력부 혹은 입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상단에서 강조 표시(30a)에 해당되는 위치를 선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면, 필요에 따라 음성 데이터, 필기 이미지, 동영상 데이터를 임의로 선택하여 선택된 데이터만 출력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도 16은 강조 표시를 선택하였을 때의 실시예 도면이다.
강조 표시(30a)를 선택하면 강조표시 옆에 메뉴(30b)가 나타난다, 그리고 메뉴에 따라 새로운 내용을 찾아 저장할 수 있고 강조 표시가 된 부분과 연관된 상세 내용을 출력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강조 표시 선택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에서 필기 이미지(30)를 표시한 화면에서 강조 표시(30a)를 선택하면, 미리 정해진 내용의 메뉴(30b)가 표시되게 된다.(410 단계 - 425 단계) 이때 메뉴 화면은 도 16의 실시예에서처럼 표시된다, 물론 강조 표시를 선택하지 않으면 원래의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메뉴화면에서 상세 정보(30c)를 선택하면, 강조 표시(30a)와 관련되거나 강조 표시를 상세히 설명하는 내용이 출력된다. 이때 출력 방법은 소리, 이미지,동영상 혹은 텍스트 파일 일 수가 있다.
반대로, 강조 표시(30a)와 관련된 정보인 소리,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파일을 저장될 수 있고, 휴대 단말기에서는 해당 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가 있다.
즉, 중앙 처리 장치(21)는 강조 표시(30a)와 연관된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의 메모리(22a)(22b)(22c)에서 불러오거나, 인터넷 연결망을 통해 불러와서 화면 혹은 스피커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430 단계 - 435 단계)
인터넷 연결망을 통해 불러 오기 위해서는 중앙처리 장치(21)가 강조 표시 관련 정보를 통신만을 통해 요청하면, 서버(100)의 제어부(중앙처리장치)(101)은 데이터 베이스(104)를 통해 해당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인터넷 망을 통해 상세 정보를 요청한 수강자의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저장 선택을 하게 되면, 선택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향후에 상세 설명을 선택하면 다시 저장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440 단계 - 445 단계)
즉, 저장을 선택하면, 강사의 소리가 저장되거나 자신의 목소리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에 표시된 정지를 선택할 때까지 정보가 계속 저장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저장을 선택한 다음 문자를 입력하거나, 화면 상에서 이미지를 입력하거나 혹은 선택된 이미지를 선택하면, 해당되는 상기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검색을 선택하면, 정보를 검색한 후에 저장할 수가 있게 된다,(450 - 455 단계)
즉,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디렉토리 창이 화면에 표시되게 되고, 상기 디렉토리 창을 통해 휴대 단말기(20)의 메모리(22a)(22b)(22c) 내에서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고, 인터넷 망을 통해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되어 선택한 정보를 저장할 수가 있다.
당연히 이때 저장된 정보는 나중에 상세 설명(30c)을 선택하게 되면, 다시 출력되게 됨은 당연하다.
질문을 선택하면, 강사에게 질문 내용이 전송되게 된다.(460 단계 - 465 단계)
강조 표시(30a) 내용을 그대로 질문 전송을 할 수 있다. 물론, 추가로 내용을 적어서 추가 내용이 질문으로 전송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접속 종료 명령이 수행되면, 단말기 원래의 기능으로 복귀되지만, 접속 종료 명령이 수행되지 않으면 원래의 화면 표시가 계속되게 된다.(470 단계 - 475 단계)
당연히 수강생은 다른 강좌를 선택하여 수강할 수도 있고, 서버의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8에서 도 20은 상세 설명을 표시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을 선택하면, 텍스트나 이미지 파일(소리나 동영상으로도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로 상세정보가 출력 될 때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강조 표시(30a)를 선택하고 상세 설명을 선택하면, 화면(25) 상에서 새로운 창(30e)이 하나 더 생겨(새로운 화면 분할) 그곳에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다.
도 19와 도 20은 새로운 창이 더 생기는 실시예의 한 형태이다.
도 19는 하나의 화면(25)에서 새로운 창(30e)이 하나 더 생기는 실시예의 모양이다.
동영상 강의 이미지(31), 필기 이미지(30), 상세 설명(30e)이 각각 분활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도 20은 두 개의 화면(25)(45)에서 새로운 창(30e)이 하나 더 생길 때의, 실시예의 모양이다. 마찬가지로 동영상 강의 이미지(31), 필기 이미지(30), 상세 설명(30e)이 각각 분활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두 개의 화면(25)(45)이므로 하나의 화면에는 필기 이미지(30) 다른 화면에는 상세 설명(30e)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동영상 이미지 저장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 발명이다.
필기 이미지(30)는 본원 발명 설명의 편의상 필기 이미지로 표시되었지만, 실제로는 텍스트 파일 혹은 텍스트 파일과 이미지의 혼합 형태로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강사의 필기 내용을 데이터화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며, 본 발명은 강사의 필기 내용을 데이터화하는 방법이 아니라 데이터화된 필기 내용을 인터넷 망을 통해 서비스 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이다.
이때, 강사의 필기 내용을 데이터화 할 때, 이미 텍스트 데이터로 만들 수있고, 텍스트 데이터에 이미지 데이터를 혼합한 형태가 될 수 있고, 이미지 데이터로 만들어 질 수가 있다.
이때, 서버(100)에서 각각의 동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104) 저장할 때, 필기 데이터화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한번의 동영상 강의가 그대로 저장되지 않고, 나누어서 저장되게 된다. 에를들어 중학교 3학년 국어 과목 5번째 강의가 1시간 20분 짜라 동영상이라면, 상기 1시간 20분 짜리 동영상을 주제별 혹은 내용별로 나누어서 저장되게 된다. 짧게는 십여초가 될 수도 있고 길게는 일이십분이 될 수 있는 것처럼 인위적으로 나누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는 것이다.
이때, 동영상 데이터가 나누어져 저장될 때 해당되는 필기 이미지도 함께 저정된다, 함께 저장된다는 것은 반드시 같은 메모리를 사용한다는 것이 아니고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다는 것이다.
즉, 해당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 코드가 A12345 이고, 연계된 필기 데이터의 저장 코드가 B12345 이라면, 저장 코드 A12345 와 B12345는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다는 것이다.
도 21은 검색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필기 데이터를 통해 해당되는 동영상을 검색하는 순서도인 것이다. 검색창(30f)에서 커서(30h)의 위치에 검색어를 입력한다. 검색어를 입력할 때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입력 자판을 이용하거나 혹은 입력부(23a)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입력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텍스트 데이터를 검색어로서 입력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검색어를 입력할 때 데이터의 이미지를 부분 선택하여 선택한 부분을 검색창에 이동시켜 이미지로서도 검색을 할 수가 있다.
예를들어 필기 이미지(30) 만을 화면에서 보고 있다가 질문이 필요할 경우 해당 부분을 선택(해당되는 부분을 폐 곡선으로 일정 면적으로 선택)하여 검색창(30f)에 이동 시키므로서 해당 되는 필기 이미지와 연관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검색할 수가 있다.
도 22은 동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영상 정보를 검색을 선택하거나 정보 검색 명령을 시작하면, 검색창이 화면에 표시되고 검색창에 검색어 혹은 검색 이미지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검색어 혹은 검색 이미지가 인터넷 망을 통해 서버에 전송된다.(500 단계 - 510 단계)
검색정보 입력 방법으로는 검색창(30f)에 검색어를 입력 검색 기능을 명령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는 휴대 단말기(20)에서 필기 이미지(30) 만을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필기 이미지 중에서 일정 부분의 면적을 선택(30g)한 다음 정보 검색을 선택하고 검색창(30f)에 선택된 필기 이미지(30g)를 이동하여 검색 기능을 명령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검색어 혹은 검색 이미지가 서버에 전송된다, 이러한 기능은 중앙처리장치(21)의 제어와 R/F부(26) 그리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행된다.
서버(100)의 제어부(중앙처리장치)(101)는 데이터 베이스(104)를 통해 정일차적으로 필기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다음에 연계되는 동영상 데이터도 검색하며, 검색된 데이터는 인코딩 한 후 휴대 단말기(20)에 전송하게 된다. (515 단계 - 525 단계)
필기 이미지 화면을 화면 좌표상에서 패턴화하여 저장하고, 검색 이미지도 패턴화하면 동일한 패턴을 찾으면 되는 것이다. 동일한 이미지 패턴을 찾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준하게 된다.
검색되면, 해당되는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필기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20)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기능 수행은 서버(100)와 인터페이스부(102) 및 데이터 베이스(104)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휴대 단말기(20)에서 검색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디코딩을 통해 데이터를 분류하여, 동영상 정보(31)가 화면(25)(45)을 통해 출력 되고,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27)를 통해 출력된다.(530 단계) 물론 선택에 따라, 필기 이미지(30)도 출력되게 할 수 있다.(530 단계)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 선택 유무에 따라, 검색된 정보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의 기능은 R/F부(26) 및 유무선 통신망과 중앙처리장치(21)와 메모리(22) 부를 통해 수행이 가능하다.
한편,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선택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동일한 기능을 계속할 수도 있고,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540) 그리고, 종료 명령에 따라 종료가 수행된다.(545 단계)
[실시예 5]
질문에 의해 동영상 데이터가 검색되면, 검색된 동영상은 별도로 구별되어 저장되게 된다. 물론 저장 서버(100)의 운영 데이터 베이스(141)와 정보 데이터 베이스(142)를 활용하여, 동영상 데이터가 전부 그대로 저장하지 않고 동영상 저장 위치와 관련된 정보 코드만 따로 저장할 수 있다. 필요할 때 해당 동영상을 찾을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도 23은 검색된 동영상 정보를 보관하는 실시예이다.
처음부터 모든 동영상이 제작되면, 해당되는 동영상을 분류하여 각각 분류 코드를 부여한다. 예를들어 “초등학교 수학 5학년 일차방정식”에 해당되는 동영상이라면 “초등학교 수학 5학년 일차방정식”의 동영상에만 주어지는 분류코드를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검색어 혹은 질의어가 입력되어 검색된 동영상이 저장 될 때에는, 검색된 동영상이 저장된 위치와 검색된 동영상과 관련된 정보 분류코드이다,
따라서, 검색된 임의의 질의어 “000 000 000”에 의해 검색된 동영상의 저장 위치가 "A124585" 이고, 분류코드는 “AJ00”이고 강사 코드는 “K000” 이라면, 검색어 “000 000 000”에 해당되는 동영상 저장 위치, 분류 코드 및 강사 코드는 함께 저장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질의어 “000 000 000” 유사한 검색어가 입력되어도 저장 위치가 "A124585" 이고, 분류코드는 “AJ000”인 동영상이 검색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에는 분류코드가 같은 동영상 정보도 같이 나열되어 보여줄 수가 있다.
도 24는 검색된 동영상이 홈페이지에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의 실시예에서 처럼 동영상 이미지(50)와 이름 같은 강사 정보(51)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화면(25)(45)에 표시되는 것이다.
도 25는 검색어 혹은 질의어의 답에 맞는 동영상 검색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검색어 혹은 질의어를 입력하면, 해당 단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검색어 혹은 질의어에 해당되는 동영상을 검색한다.(550 단계 - 560 단계)
서버(100)에 접속된 휴대 단말기(20)의 화면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에 맞는 동영상을 검색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검색 방법은 앞의 실시예에 따른다.
이때, 검색어에 해당되는 동영상도 검색하여 표시하지만, 검색된 동영상과 분류 코드가 같은 동영상 정보도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동영상 정보는 검색어와 함께 분류코드 및 강사 정보를 별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565 단계 - 570 단계)
상기와 같이 검색 동영상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는 것은, 동일한 검색어나 유사한 검색어가 입력되면 이미 검색된 동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단말기에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물론 동영상 보기를 선택하였을 때에 해당된다. 그리고 수강자가 검색된 동영상과 분류 코드가 같은 동영상을 선택하면 역시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575 단계 - 572 단계)
검색된 동영상은 휴대 단말기에 전송되며, 당연히 휴대 단말기를 통해 분류코드가 같은 다른 동영상도 선택하여 전송 받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는 것이다.
만일 동영상을 강의하는 강사를 선택하게 되면, 강사 개인 홈페이지와 연결되며, 강사를 선택하지 않으면 계속 진행하거나 또 다른 선택에 대한 진행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기능 수행이 종료되면 단말기 기능 수행으로 돌아가게 된다.(580 단계 - 595 단계)
도 24의 실시예에서처럼 검색된 동영상 이미지 아래 강사에 대한 정보도 표시되고, 표시된 강사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강사를 선택하면 강사의 홈페이지와 연결이 된다는 것이다.
이때, 강사의 홈페이지 운영에 관련된 데이터도 본 발명의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의 서버(100)는 동영상에 관련된 정보 뿐 아니라, 강사의 홈페이지에 관련된 데이터도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의 선택에 의해 언제든지 강사의 홈페이지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도 26과 도 27 동영상 검색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6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하는 부분의 동영상 검색이 가능하도록, 특별한 저장 방법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하나의 강좌를 여러개의 단위로 분리하여 각각의 분리된 동영상 정보와 함게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게 된다.
예를들어 고등학교 국어에서 홍길동 선생님이 강의하는 현대문학 제 10 번 째 강좌가 80분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때, 상기 80분에 해당되는 동영상의 내용도, 소제목이나 각각의 주제에 따라 인위적으로 분리하며, 각각의 분리된 동영상과 관련된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즉, 10 번째 강좌에서 첫 번째 주제와 관련된 동영상을 제 1번이라고 했을 때, 당연히 해당되는 동영상 데이터에는 저장 정보 코드 "KH HKD 0000 00 - 01-A" 이 부여된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과 연결된 음성 데이터는 "KH HKD 0000 00 - 01-V"의 코드가 부여되게 된다. 또한, 동영상과 연결된 필기 데이터는 “KH HKD 0000 00 - 01-N”의 코드가 부여되며, 소제목 텍스트 데이터에는 “KH HKD 0000 00 -01-ST”의 코드가 부여된다.
한편, 음성 텍스트 데이터는 “KH HKD 0000 00 -01-VT” 의 코드가 부여되며, 본 발명에서 음성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에서 소제목은 동영상 강의의 내용 중에서 작은 제목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시를 강의할 때 특정한 시에서 하나의 문단에 해당되거나, 국사 같은 경우 “일본사기” 같은 하나의 단어 설명에 해당될 수도 있다.
그리고, “KH HKD 0000 00 - 01”와 같은 공통 코드를 가진 데이터는 상호 연관되어 검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필기 데이터를 통해서도 검색이 가능하고, 음성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서도 검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27은 동영상 검색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기(20)에서 검색을 선택하거나 검색 명령을 하면 검색창이 나나나고, 상기 검색창에 질의어 혹은 검색어를 입력하게 된다.(600 단계)
이때, 상기 질의어는 필기 내용, 음성 데이터, 혹은 필기 내용과 관련없는 문장 혹은 단어가 될 수 있다. 당연히 질의어는 앞의 실시예처럼 서버(1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서버(100)의 제어부(101) 에서는 질의어를 분석한다.(605 단계)
입력된 질의어가 필기 이미지 인가, 필기 내용인가 아니면 필기 내용과 관련 없는 단어 혹은 문장인가를 검색한다. 만일 동영상 관련 음성 데이터 이면 음성 데이터를 통해 검색하고, 필기 내용이면 이미지나 텍스트 데이터에 따라 검색하게 된다.
한편, 문장과 단어이면 소제목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서도 검색하여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이미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있으면, 동영상이 게시된 홈페이지에 연결되고 이미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없으면 서버는 동영상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이 게시된 홈페이지가 연결된다.(610 - 625 단계)
이미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있다는 것은, 이전에 유사하거나 같은 질의어를 통해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있다는 것이고, 그 경우에는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표시된 인터넷 페이지를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 연결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동영상 정보가 없으면 새롭게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이 게시된 화면을 질의어가 검색된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게 된다.
동영상 보기를 선택하면, 동영상 데이터가 전송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630 -635 단계) 그리고 강사를 선택하면 강사 홈페이지로 연결된다.(645 단계)
도 24의 실시예에서처럼 본 발명에서는 검색된 동영상 이미지(50) 아래에 강사 정보(51)도 표시되고 상기 강사 정보(51)를 선택하면, 해당 동영상을 강의 한 강사의 홈페이지로 연결된다.
상기 강사 홈페이지에 관한 데이터와 운영은 서버(100)에서 진행하므로서 일관성을 유지하게 되다. 즉, 강사 홈페이지의 제어는 서버(100)의 제어부(101)에서 진행하고, 강사 홈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된다.
인터넷 망을 통해 강사 홈페이지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을 구매하게 되면, 결재 시스템과 연결되어 결재가 된다.(650 - 655 단계) 그리고 구매된 동영상은 강사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강사 홈페이지와 연결되면, 강사 홈페이지에는 자신이 강의한 동영상 정보가 표시되고, 강사의 개인 신상 및 강사 홍보 내용도 표시될 수가 있다. 그리고, 결재 시스템은 통상의 결재 시스템으로 온라인 계좌, 신용카드, 휴대폰 결재 및 쿠폰 결재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러한 결재도 서버(100)의 제어부(101)을 통해 수행된다.
서버의 메인 홈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으며, 혹은 접속을 종료할 수 있게 되며, 그러면 휴대 단말기의 원래희 화면으로 되돌아 가게 된다.(660 - 665 단계) 기능 복귀라는 것은 휴대 단말기의 원래의 화면으로되 돌아 가는 것을 의미한다.
100 : 인터넷 서버 20 : 휴대 단말기
300 : 전자칠판 21 : 중앙처리장치
22 : 메모리부 24 ; 입력장치
23 : 데이터 입출력부 25 ; 디스플레이부
26 : R/F 부 40 : 전자펜
30 : 데이터 화면 30d : 중요 정보
30a : 강조 표시 30b : 메뉴
30c ; 메뉴 선택 30e ; 세부 설명
31 ; 동영상

Claims (5)

  1. 동영상 강의에 관련된 필기 내용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서버를 통해 동영상 수강자에게 제공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필기 내용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동영상 수강자에게 유선 혹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영상 강의 수강자의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화면 분할을 통해 표시할 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와 필기 내용 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화면에 필기 내용 데이터가 표시될 때 중요한 강조 표시 부분이 별도로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필기 내용에서 강조 내용에 추가로 이미지, 소리, 텍스트 파일,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4. 동영상 강의에 관련된 필기 내용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서버를 통해 동영상 수강자에게 제공될 때.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검색창이 표시되고, 상기 검색창을 통해 동영상 강의와 관련된 필기 내용을 입력하면,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 서버에 전송되고,
    서버는 입력된 필기 내용을 검색하여, 일차적으로 해당되는 필기 내용을 검색하고 검색된 필기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동영상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와 연관된 필기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5. 동영상 강의와 관련된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서버를 통해 동영상 수강자에게 제공될 때.
    상기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검색창을 통해 질의어를 검색하면, 해당되는 질의어에 맞는 동영상 데이터가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동영상 데이터는 해당되는 동영상 강사의 정보와 함께 홈페이지에 표시되고,
    상기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을 볼 수 있고, 해당되는 동영상 강사를 선택할 수 있으며, 동영상 강사를 선택하면 동영상 강사의 개인 홈페이지와 연결되고, 동영상 강사의 개인 홈페이지를 통해 동영상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KR1020110063066A 2011-06-28 2011-06-28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KR20130007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066A KR20130007055A (ko) 2011-06-28 2011-06-28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066A KR20130007055A (ko) 2011-06-28 2011-06-28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55A true KR20130007055A (ko) 2013-01-18

Family

ID=47837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066A KR20130007055A (ko) 2011-06-28 2011-06-28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0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508A (ko) * 2015-12-30 2017-07-10 (주) 이에스엘에듀 전자칠판 기반 강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0797A (ko) * 2014-10-17 2023-01-19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펜, 전자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797A (ko) * 2014-10-17 2023-01-19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펜, 전자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70080508A (ko) * 2015-12-30 2017-07-10 (주) 이에스엘에듀 전자칠판 기반 강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0944A1 (en) Multimedia Interactive Teaching System and Method
US9462175B2 (en) Digital annotation-based visual recognition book pronunci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CN113504852A (zh) 一种录播一体的智能全面屏黑板系统的控制方法
US89664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interactive three-dimension multimedia, and online editing and exchanging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of
CN101272469A (zh) 用于教学与会场的录制系统及方法
CN102157081A (zh) 一种基于同步文字教学内容显示的多媒体教学装置
US20140045162A1 (en) Device of Structuring Learning Contents, Learning-Content Selection Support System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evice
CN103996314A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教学系统
KR101858204B1 (ko)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30266923A1 (en) Interactive Multimedia Instructional System and Device
CN113950822A (zh) 实体活动表面的虚拟化
CN103413476A (zh) 一种触摸式电子教鞭
CN111610901B (zh) 一种基于ai视觉下的英语课文辅助教学方法及系统
Urdinez et al. R for political data science: a practical guide
KR20120111235A (ko) 단어장 기능 제공 시스템, 그의 단어장 기능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CN111542817A (zh) 信息处理装置、视频检索方法、生成方法及程序
KR101645582B1 (ko) 자기 주도 학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30007055A (ko) 통신망에서의 강의 시스템
KR101380692B1 (ko) 온라인 학습장치 및 온라인 학습방법
CN111241802A (zh) 一种作业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102414993B1 (ko) 연관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85333A (ko) 인공지능 어린이 교육 솔루션 장치
KR20230102566A (ko) 교육 콘텐츠의 반복 사용 횟수에 따른 마일리지 적립 방법 및 장치
KR20130113218A (ko) 전자노트 기능을 갖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0902406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of context-driven defin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