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017U - Handhelds holder - Google Patents

Handhelds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017U
KR20130007017U KR2020130008871U KR20130008871U KR20130007017U KR 20130007017 U KR20130007017 U KR 20130007017U KR 2020130008871 U KR2020130008871 U KR 2020130008871U KR 20130008871 U KR20130008871 U KR 20130008871U KR 20130007017 U KR20130007017 U KR 201300070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resent
terminal holder
processed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87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현
Original Assignee
김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현 filed Critical 김남현
Priority to KR2020130008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017U/en
Publication of KR201300070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1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스마트폰, DMB폰, PMP, 내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하나의 시트를 가공하여 제작되어지며, 상기의 시트는 전면부(110)와 측면부(120, 13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측면부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가공된 경사부(210)와 경사부에서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꺽어지도록 가공된 거치부(220), 전면부와 측면부가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절곡하여 사용하도록 가공되어진 절곡부(230), 두 개의 측면부(120, 130)가 체결되어 질 수 있도록 가공된 체결부(2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older capable of easily mounting various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DMB phone, a PMP, a navigation device, a portable game machine, and a tablet PC.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processing one sheet, and the sheet is formed of the front part 110 and the side parts 120 and 130. The side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210 is processed to be inclined downward and the mounting portion 220 is processed to be bent in the upward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is easily ben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esig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230, which is processed to be made, the fastening portion 240 is processed so that the two side parts (120, 130) is fastened.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Handhelds holder}{Handhelds holder}

본 고안은 휴대폰, 스마트폰, DMB폰, PMP, 내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older capable of easily mounting various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DMB phone, a PMP, a navigation device, a portable game machine, and a tablet PC.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DMB폰과 같이 넓은 화면과 고출력의 스피커가 구비되어 영상이나 음악을 재생할 수 있거나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capable of reproducing images and music or being able to use the Internet have been widely used, such as smart phones and DMB phones, which are equipped with wide screen and high output speakers.

그런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하는 용도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를 책상에 내려놓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은 천장이나 책상 면에 맞닿아버린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학교나, 사무실, 집에서 휴대용 단말기로 DMB를 시청한다거나, 영화를 보거나, 인터넷을 사용하여 서핑을 할 경우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올바르게 볼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한 손은 휴대용 단말기를 계속 잡고 있어야 하는 번거러움과 불편함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강의를 들을 경우에는 더욱더 그러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거치대가 마련된 상태로 제작된 특수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공통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designed to be used while being held by h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a desk,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comes into contact with a ceiling or a desk surface. For this reason, when a user watches a DMB, a movie, or the Internet using a mobile terminal at a school, office, or home, the user must hold the hand holding the screen to correctly view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the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that one hand must hold the portable terminal continuously. This is even more so when the user is listening to a lecture using a portable terminal. This problem is common to almost all portable terminals except a special portable terminal manufactured with a stand.

한국등록특허공보 10-0655690호 2006. 12. 08.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55690 Dec. 08, 2006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이나 DMB폰을 포함하는 휴대폰, 그리고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older capable of easily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including a DMB phone, and a tablet PC.

또한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하는 특성에 맞게 한 장소에서만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older that can be easily carried and used by a user rather than being able to use the holder only in one pl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통하여 광고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of advertising through a portable terminal hold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하나의 시트를 가공하여 제작되며, 상기의 시트는 전면부(110)와 측면부(120, 13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측면부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가공된 경사부(210)와 경사부에서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꺽어지도록 가공된 거치부(220), 전면부와 측면부가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절곡하여 사용하도록 가공되어진 절곡부(230), 두개의 측면부(120, 130)가 체결되어 질 수 있도록 가공된 체결부(240)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ign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processing one sheet, the sheet is made of a front portion 110 and side portions 120, 130. The side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210 is processed to be inclined downward and the mounting portion 220 is processed to be bent in the upward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is easily ben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esig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230, which is processed so as to be made of a fastening portion 240 processed to be fastened to the two side portions (120, 130).

또한 상기 시트의 전면부(110)와 측면부(120, 130)는 각각 전면광고부(310)와 측면광고부(320, 330)으로 활용되어 질 수 있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110 and the side portion (120, 130) of the sheet is another feature that can be utilized as the front advertising unit 310 and side advertising unit (320, 330), respectively.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사용함으로써, 스마트폰이나 DMB폰을 포함하는 휴대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특성에 맞게 한 장소에서만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손쉽게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obile phone including a smart phone or a DMB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can be easily moun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cradle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portable terminal whil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stand as needed.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인쇄된 문자와 이미지를 통하여 효과적인 광고를 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ffective advertisement can be performed through characters and images pri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절곡부를 절곡함으로써 전면부와 측면부가 형성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체결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체결부가 다른 형태로 가공되어 질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를 올려놓고 사용 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광고를 인쇄한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 1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광고를 인쇄한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 2이다.
1 is a developed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the bent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cessed in another form.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n advertisement is printed on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2 showing a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n advertisement is printed on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하나의 시트를 가공하여 제작하고, 상기의 가공된 시트는 전면부(110)와 측면부(120, 130)로 구성된다. 상기의 측면부(120, 130)에는 전면부(110)를 향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가공된 경사부(210)와, 전면부(110)를 향해 경사부에서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꺽어지도록 가공된 거치부(220), 전면부(110)를 향해 거치부(220)에서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경사진(지지부(215)의 기울기가 거치부(220)의 기울기보다 크다) 지지부(215), 전면부(110)와 측면부(120, 130)의 경계가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절곡할 수 있도록 가공되어진 절곡부(230), 두 개의 측면부(120, 130)가 체결되어 질 수 있도록 가공된 체결부(240)로 구성지며, 상기의 절곡부(230)를 사용자가 안내홈에 따라 절곡하고, 체결부(240)의 절개된 상태에 따라 두개의 측면부(120, 130)를 체결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500)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면부(110)는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하고, 측면부(120,130)는 각각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하며, 측면부(120,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경사부(210)와 거치부(220)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면부(110)와 두 개의 측면부(120,130)는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1 is a developed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processing one sheet, and the processed sheet is composed of a front portion 110 and side portions 120 and 130. The inclined portion 210 which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portion 110 and the mounting portion which is extended from the inclined portion toward the front portion 110 and bent upward in the side portions 120 and 130. 220, an inclined upward direction from the mounting portion 220 toward the front portion 110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215 is great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20), the supporting portion 215 and the front portion ( 110 and side (120, 130) of the bent portion 230 is processed so that the user can be easily bent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manufacturer, the fastening portion is processed so that the two side portions (120, 130) can be fastened And the bent portion 230 is bent according to the guide groove by the user, and according to the cut-out state of the fastening portion 240, the portable terminal 500 is fastened by the two side portions 120 and 130. ) Can be mounted. In this case, the front part 110 is located on one plane, the side parts 120 and 130 are located on one plane, respectively, and the inclined part 210 and the mounting part 22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arts 120 and 130 are the same. Located on the plane Thus, as shown in FIG. 3, one front portion 110 and two side portions 120 and 130 form a triangular shape.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경사부(210)와 거치부(220) 상에 놓여지며, 휴대용 단말기의 하중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사부(210)와 거치부(220)를 통해 지지된다. 이때, 경사부(210)와 거치부(220)는 절곡되지 않은 하나의 시트 상에 형성되므로, 측면부(120,130)에 해당하는 시트가 파손되지 않는 한 휴대용 단말기의 하중에 의해 경사부(210)와 거치부(220)가 근접하거나 이격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inclined portion 210 and the mounting portion 220, the load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upported through the inclined portion 210 and the mounting portion 220 located on the same plane. At this time, since the inclined portion 210 and the mounting portion 220 is formed on one sheet that is not bent, the inclined portion 210 and the inclined portion 210 by the load of the portable terminal unless the sheet corresponding to the side portion (120,130) is damaged. Mounting unit 220 is not adjacent or spaced apart, through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firmly supported.

상기에서 전면부(110)와 측면부(120, 130)의 경계가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절곡할 수 있도록 가공되어진 절곡부(230)를 절곡한 형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두개의 측면부(120, 130)가 체결되어 질 수 있도록 가공된 체결부(240)를 체결한 형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두 개의 측면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삼각형 밖으로 나오게 되는 측면부의 양 끝단은 거치대가 상기 휴대기기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휴대기기의 하중을 이겨냄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큰 도움을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에 휴대용 단말기(500)를 거치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도 5를 통해 두개의 측면부(120, 130)가 체결부(240)를 통해 체결되어 질 때, 전면부(110)의 뒤쪽에서 삼각형 모양을 이루며 체결되어 짐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와 같이 삼각형 형상으로 고안된 이유과 그로 인해 얻게 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다루도록 한다.
In FIG. 2, the shape of the bent portion 230,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portion 110 and the side portions 120 and 130 is easily ben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esign, is illustrated in FIG. 2. 3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fastening part 240 processed to be fastened to the side parts 120 and 130 is fastened. In FIG. 3, both ends of the side portion coming out of the triangle in the state in which the two side portions are fastened are structurally helpful in the cradle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mobile device effectively and overcoming the load of the mobile device.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500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and 5, when the two side parts 120 and 130 are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part 240,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fastened in a triangular shape at the rear of the front part 110. The reason why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as a triangle as viewed from the top and the effects obtained thereb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한 바와 같이 가공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함으로써 생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중을 매우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함으로써 생기는 하중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가 이루는 면의 방향과 수직방향이 아닌, 면에 대하여 측면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제작에 필요한 시트 자재를 최소화하면서도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강성(휨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그 목적한 바를 훌륭히 수행해 내기 위한 크기와 모양에 있어서도 최적의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건설현장에서 널리 활용되는 I빔이나, H빔과 그 원리를 같이한다. 건물을 지을 때 구조물로 I빔이나, H빔을 활용하는 데, 그 이유는 다른 모양에 비해 단면 2차 모멘트 값이 크기 때문이다. 굽힘응력 = M / Z (M : 굽힘모멘트, Z : 단면계수(I / y))이므로 같은 면적에서 단면 2차 모멘트가 크면 응력이 더 작아 적은 재료로도, 처짐을 일으키려하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processed as described above, can very effectively support the load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generated by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i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caused by the load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100, but the load acts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igidity (bending strength) necessary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minimizing the material. For this reaso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n optimal shape in terms of size and shape to perform its object well. This is the same principle as I beam, H beam widely used in the construction site. When building a building, I use an I beam or an H beam as a structure because the moment of inertia is larger than other shapes. Since the bending stress is M / Z (M: bending moment, Z is the section modulus (I / y)), the larger the moment of inertia at the same area, the smaller the stress, It will b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측면부(120, 130)를 체결할 경우 전면부(110)와 측면부(120,130)가 이루는 모양이 삼각형(상부에서 보았을 때)이 되는데, 이와 같이 형성되어진 삼각형 기둥은 동일한 자재를 사용하며, 동일한 부피를 가지는 그 어떤 다각형 기둥(원 기둥을 제외)보다 2차 단면 모멘트의 크기가 크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결국 동일한 자재를 사용하면서 동일한 부피라는 한정조건하에서는 그 어떤 다각형 기둥보다 삼각형 기둥이 더욱 하중에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하중에 매우 강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원 기둥 형상을 취하는 경우가 가장 큰 2차 단면 모멘트를 얻는 다고 할 수 있으나, 원 기둥의 형상을 취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생산하였을 경우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지 않고, 원 기둥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지속적으로 사용이 불가능 하는 등, 그 실효성이 떨어 지기 때문에, 빈번하게 사용하게 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형상으로는 적당하지 않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two side parts 120 and 130 are fastened to form a triangle (top part) and the side parts (120, 130) The triangular columns thus formed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have a larger secondary cross-sectional moment than any polygonal column (except the original column) with the same volume. This means that, under the same volume constraint, the triangular pillars are more resistant to loads than any other polygonal pillars, eventually using the same material.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strong structure against the load. For reference, it can be said that the largest sectional moment is obtain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takes a circular column shape. However, whe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having the shape of a circular column is manufactured, it is not easy to store and circulate, It can not be used continuously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olumn, and its effectiveness is deteriorated. Therefore, it is not suitable for a shape of a portable terminal base frequently used.

상기의 체결부(240)는 필요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하는 방법 외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측면부(120) 내에 1개 이상의 절개부(410)를 구성하고, 또 다른 측면부(130)에는 돌출부(420)를 구성하도록 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체결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240 is cut as shown in FIG. 1 as necessary, and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fastening as shown in FIG. 3, at least one cutout part in one side part 120 as shown in FIG. 4. 410, and the other side portion 130 may include various protrusion methods such as a protrusion 420, such that a fastening is perform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도 1에 도시된 절곡부(230)를 위한 절곡 가공 대신, 재단 가공을 행하고, 전면부(110) 양 측면과 상기 전면부의 양 측면과 연결되어 질 측면부(120, 130)의 일 측면에 체결부(240)와 유사하게 절개가공을 하여, 전면부(110)와 측면부(120, 130)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게 가공되어 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cutting process, instead of the bending process for the bent portion 230 shown in Figure 1,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110 and the side portion to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 The cut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 one side of the 120 and 130 similarly to the fastening part 240 to be formed to form a fastening part capable of fastening the front part 110 and the side parts 120 and 130.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종이로 제작이 가능하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로도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주(회사나 학원, 단체 등)가 원하는 형태의 이미지와 문자가 전면광고부(310)와 측면광고부(320, 330)에 용이하게 인쇄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전면광고부(310)와 측면광고부(320, 330)는 광고 인쇄가 되어질 전면부(110)와 측면부(120, 130)를 의미한다.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paper and can be also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etc., Images and characters of a desired format of an advertiser (company, academy, organization, etc.) can be easily printed on the entire advertisement unit 310 and the side advertisement units 320 and 330. Here, the front advertisement unit 310 and the side advertisement units 320 and 330 mean the front portion 110 and the side portions 120 and 130 to be printed on the advertisement.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로 TV 시청, 강의 시청, 영화 시청, 인터넷 서핑 등에 있어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용 단말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지지해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해 주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로써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와 같이 휴대용 거치대로써의 기능을 수행해내면서도 휴대하기 매우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로써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가 편리한 단말기 거치대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기업이나 학교, 단체의 이미지와 문자를 인쇄한 광고물로써도 이용되어 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portable terminal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out using a hand in viewing a TV, watching a lecture, watching a movie, surfing the Internet, etc.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It is suitable as a portable terminal holder. Also,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as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very convenient to carry while performing functions as a portable holder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ortable terminal holder, and can also be used as an advertisement that prints images and characters of a company, a school, or a group.

100 :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10 :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면부
120, 130 :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측면부
210 : 휴대용 단말기를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이기 위한 경사부
220 :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230 :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올바르게 절곡하기 위해 가공된 상태의 절곡부
240 :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올바르게 체결하기 위해 가공된 상태의 체결부
310, 320, 330 :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면부와 측면부를 활용한 광고부
500 : 휴대용 단말기
100: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0: front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0, 130: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0: inclined portion for tilting the portable terminal at a constant inclination
220: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230: bent portion in the state processed to correctly bend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40: fastening part in the state processed to correctly faste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10, 320, 330: advertising unit using the front and side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00: portable terminal

Claims (3)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면부; 및
일측이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시 상기 전면부에 대해 절곡되어 타측이 상호체결가능한 제1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는,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거치부; 및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의 절곡시, 상기 제1 거치부와 상기 제1 경사부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거치부와 상기 제2 경사부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A front part located at one side of the mounted portable terminal;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respectively, and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ide parts that are bent relative to the front por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the other side is mutually fastened,
The first and second side parts,
Located in the upper end,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ne side; And
Located on the upper en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 to be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ne side,
Wh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are bent,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re portable on the same plane. Terminal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one plan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는,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and second side parts,
Located in the upper end portion, and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formed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ne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and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arts, respectively.
KR2020130008871U 2013-10-29 2013-10-29 Handhelds holder KR2013000701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871U KR20130007017U (en) 2013-10-29 2013-10-29 Handhelds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871U KR20130007017U (en) 2013-10-29 2013-10-29 Handhelds hold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354U Division KR20120008385U (en) 2011-10-20 2011-10-20 Handhelds hold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668U Division KR20140005225U (en) 2014-09-11 2014-09-11 Handhelds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17U true KR20130007017U (en) 2013-12-09

Family

ID=5244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871U KR20130007017U (en) 2013-10-29 2013-10-29 Handhelds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017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830B2 (en) Holder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JP2018512828A (en) Terminal stand, terminal case and terminal assembly
KR101586496B1 (en) Portable cradle
US8919544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4077967B (en) Display device
WO2006012108A8 (en) A laptop stand
US20170230489A1 (en) Stand for smartphone and the like
KR200451879Y1 (en) Portable terminal holder
KR20160019136A (en) folding type smart phone holder
CN102548326B (en) Electronic device
KR200472787Y1 (en) Portable supporter of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20130007017U (en) Handhelds holder
KR20130002875U (en) Cellphone Case
KR20120008385U (en) Handhelds holder
KR20140002951U (en) Mobile phone case with a stand
US20120267269A1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KR101354213B1 (en) Handhelds holder
KR20140005225U (en) Handhelds holder
US20150041244A1 (en) Universal Tablet Holder
KR20120008384U (en) Handhelds holder
KR20150002726U (en) Resting Structure For Mobile Telephone
KR200467316Y1 (en) Mobile terminal supporter for reinforcing low frequency band
KR101485262B1 (en) Apparatus for moun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591079B1 (en)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487719Y1 (en) Mobile phon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