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079B1 -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079B1
KR102591079B1 KR1020180032347A KR20180032347A KR102591079B1 KR 102591079 B1 KR102591079 B1 KR 102591079B1 KR 1020180032347 A KR1020180032347 A KR 1020180032347A KR 20180032347 A KR20180032347 A KR 20180032347A KR 102591079 B1 KR102591079 B1 KR 10259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clamp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s
main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0403A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8003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079B1/en
Publication of KR2019011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4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0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017Anti-theft devices, e.g. tags or monitors, fixed to articles, e.g. clothes, and to be removed at the check-out of sh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즈가 상이한 다양한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전시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ibition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can display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f different sizes.

Description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Exhibition stand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아이폰과 같이 DMB, 동영상 플레이어, 인터넷 등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폰,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전자기기, 즉 휴대단말기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uch as the iPhone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DMB, video player, and Internet, MP3 player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have become avail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widely used.

매년 다양한 종류의 휴대전자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새롭게 출시되는 휴대전자기기는 전체적인 디자인뿐만 아니라 화면의 크기 두께 등도 상이하다. 휴대전자기기가 새롭게 출시되면 이를 전시하기 위해서 신규 휴대전자기기의 크기나 제품 디자인 컨셉에 맞도록 전시대를 새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Every year, various type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released. Newly releas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differ not only in overall design but also in screen size and thickness. When a new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released, it is common to create a new display stand to fit the size or product design concept of the new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display it.

그러나 새로 출시되는 휴대전자기기마다 새롭게 전시대를 제작하는 경우 제조 단가나 판매 단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는 다른 용도로의 전용이 거의 불가능한 바, 차세대 제품의 출시와 함께 폐기처분해야 하므로 폐기 비용이 또한 발생하며, 폐기 과정 중에 환경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However, if a new display stand is produced for each newly releas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manufacturing or selling price may increase. In addition, display stan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almost impossible to repurpose for other purposes, so they must be disposed of with the launch of next-generation products, which also incurs disposal costs and may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during the disposal process.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가 상이한 다양한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전시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hibition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can display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f different siz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는, 판매 또는 전시를 목적으로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지지하는 메인 크래들과, 상기 메인 크래들에 탈부착이 가능한 클램프, 및 상기 메인 크래들에 상기 클램프가 부착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거치부를 를 구비하며, 두께가 다른 클램프를 상기 메인 크래들에 부착함으로써 사이즈가 상이한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hold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or the purpose of sale or display, and includes a main cradle suppor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a main cradl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main cradle. It is provided with a possible clamp, and a mounting part where the clamp is attached to the main cradle to provide a spac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mounted,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f different sizes can be mounted by attaching clamps of different thicknesses to the main cradle. You ca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래들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으로 솟아오른 융기부, 상기 융기부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 내에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여 상기 메인 크래들과 부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radle includes a base portion, a ridge rising above the base portion, a depression that is depressed from the ridge toward the base portion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and The depression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clamp and can be attached to the main crad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서 상기 받침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받침부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착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에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includes a support portion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upport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that secures the support portion to the seating portion, a guide part that provides a movement path to the clamp so that the fixing part can be fixed to the seating part; may inclu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래들은, 상기 고정부가 관통함으로써 상기 받침부가 고정되는 관통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요철로 맞물려 상기 클램프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radle may include a penetrating part through which the fixing part penetrates and thereby fixes the support part, and a sliding part through which the clamp slides by engaging with the guide part in an uneven mann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도난 방지를 위해 상기 휴대전자기기에 부착되는 가이드부(124)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f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receiv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guide unit 124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의 교체 만으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전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f various sizes can be mounted and displayed by simply replacing the clam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도 3b는 클램프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된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 1.
FIG. 3A is a perspective and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lamp shown in FIG. 1.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lamp.
FIG.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 1.
FIG. 5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 1.
FIG. 6 is a rear view showing the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 1 on whi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mounte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whi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mounte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구비하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dditionally, when a part of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being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formed on another part, the direction of formation is not limited to the upward direction and includes formation in the side or downward direction. . Conversely, when a part of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benea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immediately below” an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100)는 메인 크래들(110) 및 클램프(12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 display stand 1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main cradle 110 and a clamp 120.

메인 크래들(110)은 휴대전자기기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메인 크래들(110)은 판매 또는 전시를 목적으로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메인 크래들(110)은 휴대전자기기들이 판매되는 매장에서 테이블이나 전시장 상에 놓일 수 있다. The main cradle 110 can suppor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is, the main cradle 110 can hol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or the purpose of sale or display. The main cradle 110 can be placed on a table or exhibition hall at a store wher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sold.

클램프(120)는 메인 크래들(1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클램프(120)는 메인 크래들(110) 내에 부착되어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인 거치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휴대전자기기는 거치부(130)에 거치될 수 있다. The clamp 12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main cradle 110. The clamp 120 may be attached within the main cradle 110 to form a mounting portion 130, which is a space wher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30.

클램프(120)가 메인 크래들(110)에 부착되어 마련되는 거치부(130)는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거치부(130)의 폭에 대응되는 휴대전자기기는 거치부(130)에 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거치부(130)의 폭보다 큰 휴대전자기기는 거치부(130) 내로 들어갈 수 없으므로 거치부(130)에 거치될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클램프(120)를 메인 크래들(110)에서 분리하고 상기 클램프(120) 보다 두께가 더 작은 다른 클램프를 메인 크래들(110)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클램프와 메인 크래들(110)에 의해 형성되는 거치부의 폭은 상기 클램프(120)와 메인 크래들(1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거치부(130)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두께가 더 두꺼운 휴대전자기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130 provided by attaching the clamp 120 to the main cradle 110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13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30 . Howeve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130 cannot be placed in the mounting portion 130 because it cannot fit into the mounting portion 130. In this case, the clamp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cradle 110 and another clamp with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clamp 120 may be attached to the main cradle 110.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formed by the other clamp and the main cradle 110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130 formed by combining the clamp 120 and the main cradle 110. Therefore, thick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n be easily mounted.

상기 클램프(120)와 메인 크래들(1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거치부(130) 보다 폭이 더 작은 휴대전자기기는 거치부(13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전자기기와 거치부(130)의 폭의 차이로 인하여 폭이 작은 휴대전자기기는 거치부(130)에서의 거치가 불안정하고 휴대전자기기의 폭에 따라서는 작은 충격에도 전시대(100)에서 떨어질 수 있다.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ose width is smaller than the mounting portion 130 formed by combining the clamp 120 and the main cradle 110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30.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in width betwe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mounting portion 130, the small-wid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unstable on the mounting portion 130, and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may be thrown off the display stand 100 even with a small impact. It may fall.

이 경우 상기 클램프(120)를 메인 크래들(110)에서 분리하고 상기 클램프(120)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또 다른 클램프를 메인 크래들(110)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클램프와 메인 크래들(110)에 의해 형성되는 거치부의 폭은 상기 클램프(120)와 메인 크래들(1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거치부(130)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두께가 더 얇은 휴대전자기기도 손쉽게 거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lamp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cradle 110 and another clamp thicker than the clamp 120 may be attached to the main cradle 110.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formed by the other clamp and the main cradle 11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130 formed by combining the clamp 120 and the main cradle 110. Therefore, even thinn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n be easily moun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가 상이한 여러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기 위해 별도의 전시대를 마련할 필요없이 기본이 되는 메인 크래들(110)에 거치하려는 휴대전자기기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여러 다른 클램프를 번갈아 부착함으로써 여러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separate display stand to mount severa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f different thicknesses, and several devices having thicknesses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o be mounted on the basic main cradle 110 are used. You can hold multip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y attaching different clamps alternately.

메인 크래들(110)은 일 예로서 베이스부(111), 융기부(112), 함몰부(113), 및 안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main cradle 110 may include a base portion 111, a raised portion 112, a depressed portion 113, and a seating portion 114.

베이스부(111)는 메인 크래들(110)의 몸체에 해당한다. 베이스부(111) 상으로는 융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1)와 융기부(1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1) 저면은 전시대(100)가 배치되는 면과 직접 접하게 된다. 전시대(100)는 휴대전자기기의 판매 또는 전시를 위해 매장이나 전시장의 테이블 등에 놓이게 되며, 베이스부(111)가 직접 상기 테이블에 접하게 된다. 베이스부(111)의 저면은 휴대전자기기가 베이스부(111) 상의 융기부(112)에 안전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1)의 저면에는 테이블에서 베이스부(111)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미끄럼방지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11 corresponds to the body of the main cradle 110. A raised portion 112 may be formed on the base portion 111. The base portion 111 and the protruding portion 112 may be formed integrally.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11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n which the exhibition stand 100 is placed. The display stand 100 is placed on a table in a store or exhibition hall to sell or displa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the base portion 11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able.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111 may have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safely mounted on the raised portion 112 on the base portion 111. An anti-slip pad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111 to prevent the base portion 111 from slipping on the table.

베이스부(111)는 그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1a)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11)가 도 1에서와 같이 평면 상으로 보았을 때 사각형인 경우 상기 사각형의 일 측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11a) 상에는 커버부재(111b)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11b)는 연장부(111a)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연장부(111a)를 모두 덮을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11 may have an extension portion 111a extending to one side. When the base portion 111 is square when viewed in plan as shown in FIG. 1, it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square. A cover member 111b may be disposed on the extension portion 111a. The cover member 111b is formed to have the same area as the extension part 111a and can cover the entire extension part 111a.

커버부재(111b)는 연장부(111a) 상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커버부재(111b) 상에는 전시대(100)에 거치되는 휴대전자기기의 각종 재원이 기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시대(100)에 거치되는 휴대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그 휴대전자기기를 설명하는 스팩이 기재된 커버부재(111b)를 교체하여 연장부(111a)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시대(100)에 거치되는 휴대전자기기를 다른 휴대전자기기로 변경하여 전시 또는 판매하는 경우 이전에 거치되었던 휴대전자기기를 설명하는 커버부재(111b)를 분리하고 다른 휴대전자기기의 설명이 기재된 커버부재를 연장부(111a)에 부착함으로써 베이스부(111) 전체의 교환없이도 커버부재(111b)의 교환만으로 다양한 종류의 휴대전자기기를 전시 또는 판매할 수 있다. The cover member 111b is detachable from the extension portion 111a. Various financial resource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mounted on the exhibition stand 100 may be written on the cover member 111b. Therefore, depending on the typ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display stand 100, the cover member 111b on which specifications describ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re written can be replaced and attached to the extension portion 111a. Therefore, when chang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display stand 100 to display or sell an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cover member 111b explaining the previously moun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must be separa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 must be removed. By attaching the described cover member to the extension portion 111a, various type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n be displayed or sold by simply replacing the cover member 111b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base portion 111.

융기부(112)는 베이스부(111) 상으로 솟아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융기부(112)는 베이스부(111)의 저면에 대응되는 상면에서 그 위쪽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방와 같이 베이스부(111)가 XY평면 상에 놓이는 경우 융기부(11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to rise above the base portion 111. The raised portion 112 may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111. When the base portion 111 is placed on the XY plane as shown in FIG. 1, the raised portion 112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함몰부(113)는 융기부(112)에서 베이스부(111)를 향하여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함몰부(113)는 베이스부(111)의 일 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부(113)는 도 1에서와 같이 X축에 평행한 베이스부(111)의 일 변과 동일하게 X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13) 내에 클램프(120)가 부착됨으로써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The depression 113 may be formed by depression from the elevation 112 toward the base portion 111. As an example, the recessed portion 113 may be reces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11. The depression 113 may be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identical to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11 parallel to the X-axis, as shown in FIG. By attaching the clamp 120 to the recessed portion 113, a space wher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placed can be provided.

함몰부(113)가 융기부(112)에 형성됨에 따라 융기부(112)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융기부(1121)와 후방 융기부(1122)를 가질 수 있다. 즉 전방 융기부(1121)와 후방 융기부(1122) 사이에 함몰부(113)가 위치한다. As the depression 113 is formed in the elevation 112, the elevation 112 may have a front elevation 1121 and a rear elevation 1122, as shown in FIGS. 1 and 4. That is, the depression 113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ridge 1121 and the rear ridge 1122.

높이에 있어서 후방 융기부(1122)가 전방 융기부(112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융기부(1121)와 후방 융기부(1122)의 높이는 베이스부(111)의 저면에서 전방 융기부(1121)와 후방 융기부(1122)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다. 휴대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전방 융기부(1121)을 향하며, 휴대전자기기의 배면부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후방 융기부(1122)을 향할 수 있다. 즉, 휴대전자기기는 전면에 화상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며, 후면에 하우징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대(100)에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경우, 휴대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전방 융기부(1121)를 향하게 하고 휴대전자기기의 후면 하우징이 후방 융기부(1122)를 향하게 거치함으로써 전방 융기부(1121)에 의해 휴대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erms of height, the rear ridge 1122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front ridge 1121. The height of the front ridge 1121 and the rear ridge 1122 is from the bottom of the base 111 to the top of the front ridge 1121 and the rear ridge 1122. The display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face the front protrusion 1121, which has a relatively low height, and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face the rear protrusion 1122, which has a relatively high height. That i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hav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mages, etc., placed on the front, and a housing may be placed on the back. When moun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the exhibition stan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ces the front protrusion 1121 and the rear housing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ces the rear protrusion 1122. By mounting it facing forwar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play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ing obscured by the front protrusion 1121.

후방 융기부(1122)는 제1 후방 융기부(1122a)와 제2 후방 융기부(11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후방 융기부(1122a)와 제2 후방 융기부(1122b) 사이에는 수용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의 배면도인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수용부(117)는 후방 융기부(1122)의 중앙부에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수용부(117)는 제1 후방 융기부(1122a)와 제2 후방 융기부(1122b) 각각이 서로 마주보는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The rear ridge 1122 may include a first rear ridge 1122a and a second rear ridge 1122b. A receiving portion 117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ear ridge 1122a and the second rear ridge 1122b.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which are rear views of the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ure 1, the receiving portion 117 may be a groov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protruding portion 1122. The receiving portion 117 is a space formed by th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elevations 1122a and 1122b facing each other.

수용부(117)는 휴대전기기에 부착되는 가이드부(124)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도 6은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에서 전시 판매되는 휴대전자기기(10)는 도난 방지를 위해 휴대전자기기(10)의 후면에 시건 장치(20)를 부착한다. 휴대전자기기(10)에서 시건 장치(2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경우 경보음이 울리게 된다. 시건 장치(20)는 휴대전자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를 가리지 않도록 휴대전자기기(10)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용부(117)는 휴대전자기기(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시건 장치(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대(100)는 시건 장치(20)가 배치되는 휴대전자기기(10)를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다. The receiving portion 117 can accommodate the guide portion 124 device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ic device. Figure 6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whi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mounted. As shown in FIG. 6, a locking device 20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 displayed and sold in a store to prevent theft. If the locking device 20 is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 an alarm sounds. The locking device 20 is generally placed on the rea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 so as not to block the display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 The receiving portion 117 may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the locking device 20 disposed on the rea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ly, the exhibition stan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hol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 on which the locking device 20 is placed.

시건 장치(20)는 사각형뿐만 아니라 원형일 수도 있다. 원형인 시건 장치(20)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부(117)는 반원 형상의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시건 장치(20)가 장착된 휴대전자기기를 전시대(100)에 거치하는 경우, 휴대전자기기의 뒷면에 배치된 시건 장치(20)는 수용부(117)에 수용되며, 휴대전자기기는 전시대(100)에 거치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20 may be circular as well as square.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ircular locking device 20, the receiving portion 117 may have a semicircular groove. Wh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20 is mounted on the display stand 100, the locking device 20 disposed on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7,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laced on the display stand (100). 100).

전방 융기부(1121)는 최단부의 중심에 그루브(1121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121c)의 양측에 각각 제1 전방 융기부(1121a)와 제2 전방 융기부(1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융기부(1121)가 그루브(1121c)에 의해 제1 전방 융기부(1121a)와 제2 전방 융기부(1121b)로 나누어지게 되어 전방 융기부(1121)에 의해 휴대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가리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자기기가 전시대(100)에 거치되는 경우, 전방 융기부(1121)는 휴대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향하게 된다. 제로 베젤 또는 베젤리스의 특징을 갖는 휴대전자기기는 전방 융기부(1121)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가리게 된다. 본 발명은 전방 융기부(1121)에 그루브(1121c)를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그루브(1121c)에 대응되는 영역 만큼은 가려지지 않는게 된다. The front ridge 1121 may have a groove 1121c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istal end. A first front ridge 1121a and a second front ridge 1121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oove 1121c, respectively. The front ridge 1121 is divided into a first front ridge 1121a and a second front ridge 1121b by a groove 1121c, so that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obscured by the front ridge 1121. can be minimized. As described above, wh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display stand 100, the front protrusion 1121 faces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zero bezel or bezel-less features have the display portion covered by the front elevation 1121.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groove 1121c in the front ridge 1121, at leas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121c is not obscur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함몰부(113)에 의해 제1 경사부(1131), 제2 경사부(1132), 및 제3 경사부(11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경사부(1131)는 함몰부(113)의 일 측에 대한 전방 융기부(1121)의 경사면이고, 제3 경사부(1133)는 함몰부(113)의 타 측에 대한 후방 융기부(1122)의 경사면이다. 제2 경사부(1132)는 제1 경사부(1131)와 제3 경사부(11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경사부(1132)는 함몰부(113)의 바닥부일 수 있다. 제2 경사부(1132)의 일 측은 제1 경사부(1131)와 접하게 되고, 제2 경사부(1132)의 타 측은 제3 경사부(1133)와 접하게 된다. FIG.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4 , a first inclined portion 1131, a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and a third inclined portion 1133 may be formed by the recessed portion 113. In detail, the first slope 1131 is an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ridge 1121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depression 113, and the third slope 1133 is an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ridge 1121 with respect to the other side of the depression 113. This is the slope of the rear ridge 1122.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an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As an exampl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may be the bottom of the recessed portion 113. One sid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제1 경사부(1131)와 제3 경사부(1133) 사이의 폭은 제2 경사부(1132)를 향할수록 좁아질 수 있다. 즉 제1 경사부(1131)와 제3 경사부(1133)로 이루어지는 함몰부(113)는 베이스부(111)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The width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an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may become narrower towar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That is, the recessed portion 113 consisting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an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may have a tapered shape whose width narrows toward the base portion 111.

일 예로서, 제3 경사부(1133)가 기울어진 각도(a2)는 제1 경사부(1131)가 기울어진 각도(a1)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상기 각도(a2)는 제3 경사부(1133)와 베이스부(111)에 대한 법선(l) 사이의 각도이며, 각도(a1)는 제1 경사부(1131)와 상기 법선(l) 사이의 각도이다. 각도(a2)가 각도(a1) 보다 더 크다는 것은 제3 경사부(1133)가 제1 경사부(1131)보다 베이스부(111)에 대해 더 눕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함몰부(113)에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경우, 휴대전자기기의 뒷면은 제3 경사부(1133)를 향하고, 휴대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제1 경사부(1131)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3 경사부(1133)의 각도에 따라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각도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angle a2 at which the third inclined part 1133 is inclined may be greater than the angle a1 at which the first inclined part 1131 is inclined. The angle (a2) is the angle between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and the normal line (l) to the base portion 111, and the angle (a1) i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and the normal line (l). It's an angle. That the angle a2 is greater than the angle a1 means that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lies further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11 tha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Wh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laced in the recessed portion 113,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ces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and the display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ces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Therefore, the angle at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may also be affected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제2 경사부(1132)는 제3 경사부(1133)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132)가 제3 경사부(1133)를 향하여 기울어져 있으므로 휴대전자기기를 거치부(130)에 놓는 경우에 제2 경사부(1132)의 경사에 따라 휴대전자기기는 제3 경사부(1133)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된다.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Sinc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is inclined towar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laced on the holder 13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ves towar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It is inclined toward the inclined portion 1133.

안착부(114)는 함몰부(113) 내에서 클램프(12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안착부(114)는 제2 경사부(1132)에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클램프(120)의 받침부(도 3a의 121)가 상기 그루브에 수용됨으로써, 클램프(120)가 함몰부(113)에 완전히 부착될 수 있다. 안착부(114)의 형상은 받침부(121)의 형상과 동일하며, 안착부(114)의 깊이, 즉 상기 그루브의 깊이는 받침부(121)의 두께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120)가 함몰부(113)에 완전히 수용되는 경우, 클램프(120)의 받침부(121)와 제2 경사부(113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114 may accommodate the clamp 120 within the recessed portion 113. That is, the seating portion 114 may be a groove formed i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By receiving the support portion (121 in FIG. 3A) of the clamp 120 in the groove, the clamp 120 can be completely attached to the recessed portion 113. The shape of the seating portion 114 is the same as that of the support portion 121, and the depth of the seating portion 114, that is, the depth of the groove, may be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121. Accordingly, when the clamp 12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ortion 113, the support portion 121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of the clamp 120 may form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관통부(114a)는 안착부(114)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일 수 있다. 클램프(120)가 함몰부(113)에 부착되는 경우, 클램프(120)의 고정부(123)가 관통함으로써 클램프(120)와 함몰부(113)에 완전히 안착될 수 있으며, 클램프(120)가 메인 크래들(11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penetrating portion 114a may be an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14. When the clamp 120 is attached to the depression 113, the fixing part 123 of the clamp 120 penetrates and can be completely seated on the clamp 120 and the depression 113, and the clamp 120 is It may be fixed to the main cradle 110.

슬라이딩부(115)는 클램프(120)의 받침부(121)가 안착부(11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슬라이딩부(115)는 클램프(120)의 가이드부(124)와 맞물려 되며, 가이드부(124)와 슬라이딩부(115)가 맞물린 상태로 클램프(120)는 슬라이딩부(115)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받침부(121)가 안착부(114)에 수용된다. The sliding part 115 may function as a guide so that the support part 121 of the clamp 120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art 114. As an example, the sliding part 115 is engaged with the guide part 124 of the clamp 120, and the clamp 120 moves along the sliding part 115 with the guide part 124 and the sliding part 115 engaged. When moved, the support portion 121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4.

슬라이딩부(115)와 가이드부(124)는 요철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부(115)는 후방 융기부(1122)의 제3 경사부(113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슬라이딩부(115)는 제3 경사부(1133) 상에서 안착부(114)을 향하여 길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클램프(120)의 가이드부(124)는 돌출 형상의 슬라이딩부(115)를 수용하도록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liding part 115 and the guide part 124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irregularities. In detail, the slid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on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of the rear protrusion 1122. As an example, the sliding part 115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long from the third inclined part 1133 toward the seating part 114. Correspondingly, the guide portion 124 of the clamp 120 may be formed as a concave groove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sliding portion 115.

클램프(120)의 가이드부(124)에 슬라이딩부(115)가 맞물리게 하면, 클램프(120)는 슬라이딩부(115)를 벗아니지 않고1, 슬라이딩부(115)를 따라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클램프(120)의 고정부(123)는 관통부(114a)에 다다르게 되어 받침부(121)를 누름으로써 고정부(123)는 관통부(114a)를 통과하게 되고 받침부(121)는 안착부(114)에 안착될 수 있다. 클램프(120)의 가이드부(124)와 메인 크래들(110)의 슬라이딩부(115)에 의해 실수없이 한번에 용이하게 클램프(120)를 메인 크래들(1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When the sliding part 115 is engaged with the guide part 124 of the clamp 120, the clamp 120 can move downward along the sliding part 115 without leaving the sliding part 115. Afterwards, the fixing part 123 of the clamp 120 reaches the penetration part 114a and presses the support part 121, so that the fixing part 123 passes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114a and the support part 121 is seated. It may be seated on unit 114. The clamp 12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main cradle 110 at once without mistakes by using the guide part 124 of the clamp 120 and the sliding part 115 of the main cradle 110.

걸림부(116)는 제1 경사부(1131) 상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16)는 휴대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함으로써 거치부(130)에 거치되는 휴대전자기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부(130)에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경우, 휴대전자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경사부(1132)의 기울어진 각도로 인하여 제3 경사부(1133)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휴대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제1 경사부(1131)를 향하게 된다. 제1 경사부(1131)의 각도(a1)는 제2 경사부(1132)의 각도(a2) 보다 작기 때문에 제1 경사부(1131) 만으로는 휴대전자기기를 지지할 수 없으며 휴대전자기기가 제3 경사부(1133)를 넘어 떨어질 수 있다. 걸림부(116)는 제1 경사부(1131) 상에 돌출되므로 휴대전자기기가 제3 경사부(1133)를 향해 기울어지는 경우 휴대전자기기는 걸림부(116)에 걸리게 되어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부(13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The catching portion 116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The locking portion 116 supports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reby enab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30 more stably. More specifically, wh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3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tilted towar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due to the inclined angl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as described above. You lose. At this time, the display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ces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Since the angle a1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is smaller than the angle a2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32,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not be supported by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alon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not support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2. It may fall beyond the inclined portion 1133. The locking portion 116 protrudes o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so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tilted towar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caught in the locking portion 116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held. It can be stably moun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unit 130.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도 3a의 (a)는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의 (b)는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FIG. 3A is a perspective and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lamp shown in FIG. 1. Figure 3a (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lamp, and Figure 3a (b)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lamp.

도 3a의 (a) 또는 (b)를 참조하면, 클램프(120)는 받침부(121), 지지부(122), 가이드부(124), 및 고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r (b) of FIG. 3A, the clamp 120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121, a support portion 122, a guide portion 124, and a fixing portion 123.

받침부(121)는 메인 크래들(110)의 안착부(114)에 수용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121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4 of the main cradle 110.

지지부(122)는 받침부(121)의 일측에서 받침부(12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부(122)는 제3 경사부(1133)에 접하게 된다. 지지부(122)의 두께에 따라 거치부(130)의 폭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거치부(130)는 함몰부(113)에 클램프(120)가 부착됨으로써 형성되므로 지지부(122)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제1 경사부(1131)와 지지부(12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지지부(122)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제1 경사부(1131)와 지지부(12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The support portion 122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1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upport portion 121. The support portion 12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130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122. That is, since the mounting portion 130 is formed by attaching the clamp 120 to the recessed portion 113, whe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122 is thick, the gap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1 and the support portion 122 is narrowed. If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art 122 is thin, the gap between the first inclined part 1131 and the support part 122 becomes wider.

휴대전자기기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지지부(122)를 선택하여 함몰부(113)에 부착하여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휴대전자기기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경우에는 지지부(122)의 두께가 그에 대응하여 얇은 클램프(120)를 함몰부(113)에 부착하여 거치부(130)의 폭을 넓게 하여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휴대전자기기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지지부(122)의 두께가 그에 대응하여 두꺼운 클램프(120)를 함몰부(113)에 부착하여 거치부(130)의 폭을 좁게 하여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122 having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selected and attached to the recessed portion 113 to moun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other words, when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relatively thick,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122 is correspondingly thin by attaching the clamp 120 to the recessed portion 113 to widen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130 to enabl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mounted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hold electronic devic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thi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122 is correspondingly thick by attaching a thick clamp 120 to the recessed portion 113 to narrow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130 to secu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can be moun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께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기 위해 그 두께에 맞는 전시대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없이도 동일한 메인 크래들(110)에 지지부(122)의 두께가 다른 클램프(120)를 부착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he clamp 120 with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support portion 122 to the same main cradle 110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manufacture a display stand suitable for the thickness in order to mount various type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different thicknesses. It can hold various type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고정부(123)는 받침부(121)를 메인 크래들(110)의 안착부(1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23)는 받침부(121)의 하면에서 연장되며, 그 일단은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123)는 안착부(114)에 형성된 관통부(114a)를 통과할 수 있다. 고정부(123)가 관통부(114a)를 통과한 후에는 고정부(123)의 일 단에 형성된 후크로 인하여 관통부(114a)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다. The fixing part 123 may fix the support part 121 to the seating part 114 of the main cradle 110. The fixing part 123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21, and one end thereof may have a hook shape. The fixing part 123 may pass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114a formed in the seating part 114. After the fixing part 123 passes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114a, it is not easily removed from the penetrating part 114a due to the hook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part 123.

가이드부(124)는 고정부(123)가 안착부(1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클램프(120)에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24)는 제3 경사부(1133)의 슬라이딩부(115)와 맞물려 이동함에 따라 고정부(123)가 안착부(114)의 관통부(114a)를 통과하게 되고 받침부(121)는 안착부(114)에 안착될 수 있다.The guide part 124 may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clamp 120 so that the fixing part 123 can be fixed to the seating part 114. As described above, as the guide part 124 engages with the sliding part 115 of the third inclined part 1133 and moves, the fixing part 123 passes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114a of the seating part 114 and supports. Part 121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4.

가이드부(124)는 슬라이딩부(115)에 대응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부(115)가 오목한 홈인 경우에는 가이드부(124)는 이에 대응하여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24)와 슬라이딩부(115)는 요철로서 맞물릴 수 있다. The guide part 124 may have a concave groo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part 115.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when the sliding part 115 is a concave groove, the guide part 124 may have a correspondingly convex shape. Accordingly, the guide portion 124 and the sliding portion 115 may be engaged as uneven surfaces.

도 3b는 클램프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3b의 (a)는 클램프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의 (b)는 클램프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lamp. In detail, Figure 3b (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lamp, and Figure 3b (b)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lamp.

도 3b의 (a) 및 (b)를 참조하면, 도 3b에 도시된 클램프(220)는 도 3a에 도시된 클램프(120)와는 지지부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클램프(120)는 지지부(122)의 높이가 제3 경사부(1133)를 넘어서지 않는다. 그러나, 도 3b에 도시된 클램프(220)는 지지부(222)의 높이가 제3 경사부(1133)를 넘어 제3 경사부(1133)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Referring to (a) and (b) of FIG. 3B, the clamp 220 shown in FIG. 3B is different from the clamp 120 shown in FIG. 3A in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That is, in the clamp 120 shown in FIG. 3A,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122 does not excee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However, in the clamp 220 shown in FIG. 3B,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222 may excee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and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도 3b의 클램프(220)는 휴대전자기기를 가로가 아니 세로로 세울때 사용할 수 있다. 전시대(100)에 휴대전자기기를 세워서 거치하는 경우에는 휴대전자기기의 세로 길이는 제3 경사부(1133)의 높이보다 현저히 크기 때문에 작은 충격이나 휴대전자기기를 전시대(100)에서 들었다가 다시 전시대(100)에 내려 놓는 순간에 휴대전자기기가 제3 경사부(1133)를 넘어 쓰러질 수 있다. The clamp 220 of FIG. 3b can be used to st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vertically rather than horizontally. Wh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laced upright on the display stand 100, the vertical length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so a small impact may occur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lifted from the display stand 100 and returned to the display stand. At the moment of putting down on (10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fall over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도 3b의 클램프(220)는 그 지지부(222)가 제3 경사부(1133)의 높이 이상이기 때문에 휴대전자기기를 세로로 거치하는 경우에도 제3 경사부(1133) 너머로 길게 연장된 지지부(222)가 휴대전자기기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클램프(220)는 세로로 거치되는 휴대전자기기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Since the clamp 220 of FIG. 3B has a support portion 222 that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the support portion 222 extends long beyon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133 even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vertically. ) can suppor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ly, the clamp 220 shown in FIG. 3B can relatively stably hol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ed vertically.

클램프(220)는 지지부(222) 뒤쪽으로 보강부(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225)는 클램프(220)가 함몰부(113)에 안착하는 경우 제3 경사부(1133) 상단부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강부(225)는 제3 경사부(1133)를 누름으로써 지지부(222)가 뒤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lamp 220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ement portion 225 behind the support portion 222. The reinforcing part 22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third inclined part 1133 when the clamp 220 is seated in the recessed part 113. Accordingly, the reinforcement part 225 can prevent the support part 222 from bending backward by pressing the third inclined part 1133.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200)는 메인 크래들(210), 특히 베이스부(211)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100)와 차이가 있다. 상세하게는, 도 1의 전시대(100)는 베이스부(111)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1a)를 가지나, 도 8에 도시된 전시대(200)는 베이스부(211)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연장부가 없으므로 연장부를 덮는 커버부재 또한 포함하지 않는다. 도 8의 전시대(200)는 휴대전자기기의 재원을 알릴 필요가 없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전시대(100)를 배치하기에는 협소한 장소에 연장부가 없는 도 8의 전시대(200)를 사용할 수 있다.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display stand 2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display stand 1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 1 in the main cradle 210, especially the base portion 211. There is. In detail, the display stand 100 of FIG. 1 has an extension portion 111a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11, but the display stand 200 shown in FIG. 8 has an extension portion 111a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211. Does not include extensions. Since there is no extension, a cover member covering the extension is also not included. The display stand 200 of FIG. 8 can be used when there is no need to announce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dditionally, the exhibition stand 200 of FIG. 8 without an extension part can be used in a narrow place to place the exhibition stand 100 of FIG. 1.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or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should not deviate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not permitted.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what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100: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
110: 메인 크래들
120: 클램프
130: 거치부
100: Exhibition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110: main cradle
120: clamp
130: Holder

Claims (5)

판매 또는 전시를 목적으로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지지하는 메인 크래들;
상기 메인 크래들에 탈부착이 가능한 클램프; 및
상기 메인 크래들에 상기 클램프가 부착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거치부; 를 구비하고,
두께가 다른 클램프를 상기 메인 크래들에 부착함으로써 사이즈가 상이한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크래들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으로 솟아오른 융기부;
상기 융기부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 내에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여 상기 메인 크래들과 부착될 수 있는 안착부; 를 포함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
In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hold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or the purpose of sale or display,
a main cradle suppor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clamp detachable from the main cradle; and
A mounting portion where the clamp is attached to the main cradle to provide a spac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mounted; Equipped with
By attaching clamps of different thicknesses to the main crad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f different sizes can be mounted,
The main cradle is,
base part;
a ridge rising above the base portion;
a recessed portion that is recessed from the protruding portion toward the base portion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and
a seat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clamp within the recessed portion and can be attached to the main cradle; Exhibition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서 상기 받침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
상기 받침부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착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에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lamp is,
A support portion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upport portion;
a fixing part that fixes the support part to the seating part; and
a guide part providing a movement path to the clamp so that the fixing part can be fixed to the seating part; Exhibition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래들은,
상기 고정부가 관통함으로써 상기 받침부가 고정되는 관통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요철로 맞물려 상기 클램프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main cradle is,
A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fixing portion penetrates to secure the support portion; and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sliding part that engages with the guide part in an uneven manner so that the clamp sl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도난 방지를 위해 상기 휴대전자기기에 부착되는 시건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전시대.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urther comprising a receiv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a locking device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prevent thef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0180032347A 2018-03-20 2018-03-20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5910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47A KR102591079B1 (en) 2018-03-20 2018-03-20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47A KR102591079B1 (en) 2018-03-20 2018-03-20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403A KR20190110403A (en) 2019-09-30
KR102591079B1 true KR102591079B1 (en) 2023-10-18

Family

ID=6809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347A KR102591079B1 (en) 2018-03-20 2018-03-20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07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19Y1 (en) 2011-12-16 2013-10-02 주식회사 인피센스 Display stand for moke-up of mobile phone
JP2014123451A (en) * 2012-12-20 2014-07-0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Mechanism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US20140328020A1 (en) 2011-08-09 2014-11-06 Compucage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equipment securit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618U (en) * 2010-05-07 2011-11-15 양경철 Cellular phone displaying device
KR20120010706A (en) * 2010-07-27 2012-02-06 김영기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machine
KR20140000648U (en) * 2012-07-21 2014-01-29 김태형 multi-function moni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8020A1 (en) 2011-08-09 2014-11-06 Compucage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equipment security device
KR200469219Y1 (en) 2011-12-16 2013-10-02 주식회사 인피센스 Display stand for moke-up of mobile phone
JP2014123451A (en) * 2012-12-20 2014-07-0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Mechanism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403A (en)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830B2 (en) Holder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CN109565561B (en) Display device
US9677704B1 (en) Mobile telephone holder and display
JP2005195613A5 (en)
US11450241B2 (en) Electronic label device holder
US11292651B2 (en) Protective film attachable to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ve film package including same
KR20170066761A (en) Curve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56609B1 (en) Display device
US20060231667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detachable support
FR3040847A1 (en)
JP2019109667A (en) holder
KR102591079B1 (en)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30103960A (en) Supporter for smart phone
JP6952805B2 (en) Display device
US20120267269A1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CN106597754A (en) Ultrathin backlight module, aligning structure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0472542Y1 (en) case and holder for Tablet computer
KR200494369Y1 (en) Display Device
KR20150001403U (en) A smartphone holder for moniter
JP5965510B1 (en) Cover stand and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stand
JP2015215822A (en) Co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cover
US20240013683A1 (en) Shelf tag attachment apparatus
JP3231752U (en) Stand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20230276956A1 (en) Shelf tag attachment apparatus
JP6875147B2 (en)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