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920A -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920A
KR20130006920A KR1020110062291A KR20110062291A KR20130006920A KR 20130006920 A KR20130006920 A KR 20130006920A KR 1020110062291 A KR1020110062291 A KR 1020110062291A KR 20110062291 A KR20110062291 A KR 20110062291A KR 20130006920 A KR20130006920 A KR 20130006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history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5260B1 (ko
Inventor
강찬휘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6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260B1/ko
Priority to US13/534,828 priority patent/US9214002B2/en
Publication of KR2013000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 정보 생성부,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이미지 정보 전송부 및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재생 이력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이 제공된다.
제 1 단말로부터, 제 2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이미지 정보 수신부,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재생 이력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재생 이력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된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DEVI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EAMLESSLY}
본 발명은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 태블릿 PC, 노트북, TV 등과 같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의 보급이 확대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단순히 하나의 단말을 이용한 콘텐츠의 이용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단말을 서로 연계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복수 개의 단말을 이용하게 됨에 따라, 단말에서 재생 중이던 콘텐츠를 다른 단말에서 바로 이어서 볼 수 있는 이어보기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를 통해 공급되는 콘텐츠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사용자 수요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IPTV는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로서, 시청자는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IPTV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기존에 일방적으로 제공 받던 지상파 TV와는 다르게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며, 텔레비전 수상기와 리모콘만 있으면 원하는 콘텐츠를 간편하게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IPTV는 이동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여,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가 이종 단말 간에 제공되어짐에 따라, IPTV에서 재생하던 콘텐츠를 사용자의 이종 단말에서 이어볼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IPTV에서 재생 중이던 콘텐츠를 이종 단말에서 이어보기 위하여 단말에서 실행 중인 콘텐츠를 정지시키고, 메인 화면으로 빠져 나오는 등의 IPTV 제어를 한 이후, 이종 단말을 통해 이어보고자 하는 콘텐츠를 찾아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캡쳐하는 조작을 통하여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 정보 생성부,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이미지 정보 전송부 및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재생 이력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 1 단말로부터, 제 2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이미지 정보 수신부,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재생 이력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재생 이력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a)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캡쳐하는 조작을 통하여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의 이어보기 및 재생 중지를 하기 위한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콘텐츠를 이어보기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은 제 1 단말(110) 및 제 2 단말(120)을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이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및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IPTV, 인터넷 TV,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 1 단말(110)을 이용하여 제 2 단말(12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할 수 있으며, 캡쳐한 콘텐츠 화면의 다음 화면에서부터 제 1 단말(110)에서 이어보기할 수 있다. 이때, 제 2 단말(120)은 재생 중이던 콘텐츠를 재생 중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2 단말(120)에서 콘텐츠를 재생하다가, 제 1 단말(110)로 콘텐츠 이어보기를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 2 단말(120)의 화면을 제 1 단말(110)로 캡쳐하면, 제 1 단말(110)에서 콘텐츠 이어보기를 실행할 수 있고, 제 2 단말(120)에서 콘텐츠 재생 중지를 위한 조작 없이 재생 중지를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이미지 정보 생성부(101), 이미지 정보 전송부(103), 재생 이력 정보 수신부(105)를 포함한다.
이미지 정보 생성부(101)는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여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정보 생성부(101)는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여, 캡쳐한 화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전송부(103)는 이미지 정보 생성부(101)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재생 이력 정보 수신부(105)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는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및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재생 이력 정보 수신부(105)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재생 이력 정보를 판독하여,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할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재생 이력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고,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통해 콘텐츠의 재생 시점을 검색하여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재생 이력 정보에 의해 복수 개의 콘텐츠 중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콘텐츠의 재생 시점을 찾아 이어보기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이력 정보 수신부(105)가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다른 단말에서의 재생 중지 요청을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이미지 정보 수신부(201),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203), 재생 이력 정보 전송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수신부(201)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로부터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203)는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는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에서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203)는 각 콘테츠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여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DB(미도시)에서, 이미지 정보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한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정보를 찾아 매칭시킴으로써, 매칭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생 이력 정보 전송부(205)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203)에 의해 생성된 재생 이력 정보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의 이어보기 및 재생 중지를 하기 위한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이미지 정보 수신부(201),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203), 재생 이력 정보 전송부(205) 및 재생 중지 요청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수신부(201)는 제 1 단말(110)로부터, 제 2 단말(12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203)는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는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단말(110)에서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203)는 각 콘테츠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여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DB(미도시)에서, 이미지 정보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한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정보를 찾아 매칭시킴으로써, 매칭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생 이력 정보 전송부(205)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203)에 의해 생성된 재생 이력 정보를 제 1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재생 중지 요청부(207)는 제 1 단말(110)로부터 제 2 단말(120)에서의 재생 중지 요청을 수신하여, 제 2 단말(120)로 콘텐츠의 재생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재생 중지 요청부(207)에 의해 제 2 단말(120)로 콘텐츠의 재생 중지 요청을 전송하면, 제 2 단말(12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는 재생 중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할 뿐만 아니라, 재생 중이던 콘텐츠의 재생 중지를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단말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게 되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서 콘텐츠를 이어볼 수 있으며, 별도로 다른 단말을 조작하여 재생 중지할 필요 없이,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이던 콘텐츠는 재생 중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콘텐츠를 이어보기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IPTV와 이동 단말 간에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를 실행하고, 재생 중이던 콘텐츠를 재생 중지할 수 있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은 IPTV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IPTV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이동 단말로 캡쳐하게 되면, 이동 단말은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여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신된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이동 단말은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콘텐츠의 재생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IPTV로 재생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TV는 콘텐츠를 재생하던 중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중지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TV는 콘텐츠 재생을 중지하고, 이전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한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판독하여 IPTV에서 재생 중이던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단말(110)은 제 2 단말(120)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여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S601), 생성된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603).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전송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S605).
제 1 단말(110)은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S607),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콘텐츠의 재생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S609),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재생 중지 요청을 제 2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S611).
제 2 단말(120)은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재생 중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재생 중이던 콘텐츠를 재생 중지할 수 있다(S613).
한편, 제 1 단말(110)은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재생 이력 정보를 판독하여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할 수 있다(S615).
여기서, S613 단계 및 S615 단계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101: 이미지 정보 생성부
103: 이미지 정보 전송부 105: 재생 이력 정보 수신부
110: 제 1 단말 120: 제 2 단말
200: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201: 이미지 정보 수신부
203: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 205: 재생 이력 정보 전송부
207: 재생 중지 요청부 300: 네트워크

Claims (14)

  1.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 정보 생성부,
    상기 이미지 정보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이미지 정보 전송부 및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재생 이력 정보 수신부
    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이력 정보 수신부가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다른 단말에서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재생 이력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6.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 1 단말로부터, 제 2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이미지 정보 수신부,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재생 이력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재생 이력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되,
    상기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단말에서의 재생 중지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중지 요청을 전송하는 재생 중지 요청부
    를 더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중지 요청부에 의해 상기 제 2 단말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중지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말에서 재생 중인 상기 콘텐츠는 재생 중지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10. 콘텐츠의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콘텐츠의 이미지 정보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d)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상기 콘텐츠의 재생 중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e)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재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다른 단말에서 재생 중인 상기 콘텐츠의 재생 중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콘텐츠의 재생 중지를 요청하는 신호는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되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시키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062291A 2011-06-27 2011-06-27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 KR10144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91A KR101445260B1 (ko) 2011-06-27 2011-06-27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
US13/534,828 US9214002B2 (en) 2011-06-27 2012-06-27 Contents providing scheme using display history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91A KR101445260B1 (ko) 2011-06-27 2011-06-27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20A true KR20130006920A (ko) 2013-01-18
KR101445260B1 KR101445260B1 (ko) 2014-10-02

Family

ID=4736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291A KR101445260B1 (ko) 2011-06-27 2011-06-27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14002B2 (ko)
KR (1) KR101445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587A (ko) *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372A (ko) * 2013-09-30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컨텐츠 동기화 서버 및 그 동작방법
EP3739490A1 (en) 2019-05-17 202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38391B1 (ko) * 2020-12-14 2023-05-31 (주)케이시크 연속 콘텐츠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5444B2 (ja) * 2005-05-31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受信再生装置、再生方法
KR100681407B1 (ko) * 2005-07-29 2007-02-09 (주) 아이티서포트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기록/재생기 및 그영상기록/재생기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498023B1 (ko) * 2008-01-03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북마크 처리방법
US8463597B2 (en) * 2008-05-11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nabling identification of previously entered data for transliteration of an input
KR20100081160A (ko) * 2009-01-05 2010-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ptv 단말기와 연동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57230B1 (ko) * 2010-01-20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US9319625B2 (en) * 2010-06-25 2016-04-19 Sony Corporation Content transfer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587A (ko) *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14002B2 (en) 2015-12-15
KR101445260B1 (ko) 2014-10-02
US20120327093A1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041B2 (en) System for exchanging media content between a media content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device
US8806530B1 (en) Dual channel presence detection and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20070089145A1 (en)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video data
US201100165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in real-time
US9219743B2 (en) System for tracking media content transactions
US20100251292A1 (en) Smartphone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201001505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playback control across multiple access mediums
US8683540B2 (en) System and method to record encoded video data
US20130089085A1 (en) Wireless transmission of content simultaneously accessible to multiple users using wi-fi infrastructure
KR20130006920A (ko)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
US20090019480A1 (en) System for remote access of media services
CN102137287A (zh) 一种提供三屏无缝融合服务的电视系统
KR20130042763A (ko) 콘텐츠 공유 관리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콘텐츠를 공유하는 단말
KR102099776B1 (ko) 클립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리보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KR101974434B1 (ko)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20150066914A (ko) 디바이스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KR101810635B1 (ko) 컨텐츠 이어보기 제공 서버, 단말 및 방법
KR101891811B1 (ko) 모자이크 epg의 소스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소스정보를 제공받는 단말
KR101467442B1 (ko) 단말로 방송 스트림의 정지 화상을 전송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101979425B1 (ko)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이기종 단말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101870782B1 (ko) 단말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102014769B1 (ko) 얼굴 인식 정보를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11443A (ko) 오디오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이어보기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546A (ko) 단말의 배터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US20150156237A1 (en) Video Streaming System, Computer Device, and Video Stream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