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881A -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881A
KR20130006881A KR1020110061854A KR20110061854A KR20130006881A KR 20130006881 A KR20130006881 A KR 20130006881A KR 1020110061854 A KR1020110061854 A KR 1020110061854A KR 20110061854 A KR20110061854 A KR 20110061854A KR 20130006881 A KR20130006881 A KR 20130006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tilt
case
hinge modu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450B1 (ko
Inventor
김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네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네카
Priority to KR102011006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4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와 본체케이스 사이에 구성되어 본체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의 슬라이딩 운동(sliding motion)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틸팅 운동(tilting motion)을 구현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드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양측 단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브라켓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틸트샤프트와, 상기 각각의 틸트샤프트를 중심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틸트브라켓을 구비하는 틸트힌지부와; 상기 틸트브라켓 각각에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틸트브라켓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양측 단부가 각각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서로 개별체로 이루어진 2개의 슬라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Slide Hinge Module for Porterble Terminal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와 본체케이스 사이에 구성되어 본체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의 슬라이딩 운동(sliding motion)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틸팅 운동(tilting motion)을 구현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는 키패드와 배터리, 메인보드 등이 장착되는 본체케이스에 대해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되는 슬라이드케이스가 수평하게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개방되거나 닫히도록 된 휴대단말기이다.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개폐 작동은 본체케이스와 슬라이드케이스 사이에 구성되는 힌지모듈에 의해 구현된다.
한편,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본체케이스와 슬라이드케이스 사이에는 본체케이스 내의 전자부품(예컨대 메인보드)와 슬라이드케이스의 전자부품(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연성회로기판(FPCB)이 설치되어, 본체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의 이동시 함께 연동하면서 본체케이스 내의 전자부품과 슬라이드케이스 내의 전자부품 간에 전원 공급 및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은 슬라이드케이스의 힌지모듈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통해서 전자부품에 연결되는 바, 본체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의 상대이동거리, 즉 스트록크(stroke)가 커지게 되면 개방 상태에서 연성회로기판(FPCB)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성회로기판(FPCB)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여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의 (A)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닫혀진 상태에서 연성회로기판(3)은 대략 1/2 정도로 접혀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1의 (B)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드케이스(2)를 본체케이스(1)에 대해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일반적인 스트록크로 개방시킬 경우에는 연성회로기판(3)이 통과하는 관통홀(2a)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연성회로기판(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도 1의 (C)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의 스트록크를 더 길게 설정하면, 연성회로기판(3)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의 스트록크가 기존보다 더 길어지게 설계하면, 연성회로기판(50)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슬라이드케이스의 스트록크가 제한되어 본체케이스에 구성된 키패드 등의 구성을 다양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슬라이드케이스에 슬라이드케이스의 이동과 연동하여 슬라이딩운동하면서 상기 관통홀(2a)을 가리는 별도의 FPCB 커버 등을 구성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 FPCB 커버와, FPCB 커버를 슬라이드케이스와 연동시키기 위한 커플링장치, FPCB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장치 등이 추가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힌지모듈의 구성요소의 수가 증가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롱스트록크형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창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여 개방된 후 Z축 방향으로 회동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틸팅 운동(tilting motion)을 할 수 있게 구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케이스(2)의 슬라이딩 운동 및 틸팅 운동을 구현하는 종래의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은, 도 2b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레일부재(4)가 기다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틸팅운동을 구현하는 틸트힌지부(5)에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Z축 방향으로 틸팅 운동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졌을 때 상기 슬라이드레일부재(4)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미가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도 2b 참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케이스가 본체케이스에 대해 Z축 방향으로 틸팅 운동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졌을 때 슬라이드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깨끗하고 미려한 외관미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구성요소를 추가하거나 구조를 복합하게 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가 본체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개방되었을 때 연성회로기판(FPCB)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드케이스의 스트록크(stroke)를 대폭 증대시킴과 동시에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와 본체케이스 사이에 구성되어 본체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의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 및 Z축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구현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양측 단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브라켓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틸트샤프트와, 상기 각각의 틸트샤프트를 중심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틸트브라켓을 구비하는 틸트힌지부와; 상기 틸트브라켓 각각에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틸트브라켓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양측 단부가 각각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서로 개별체로 이루어진 2개의 슬라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일단이 상기 본체케이스에 내장된 전기부품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 내에 내장된 전기부품에 연결되어 전원 및 신호를 인가하는 연성회로기판(FPCB)은, 상기 본체케이스에서부터 슬라이드레일의 일측 단부의 외측면을 통해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슬라이드케이스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된 다음 슬라이드케이스 내의 전기부품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케이스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레일이 각각 개별체로 이루어져 틸트힌지부의 틸트브라켓에 일체로 고정되므로 슬라이드케이스가 Z축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운동하여 기울어졌을 때 슬라이드케이스의 배면에 구조물이 거의 보이지 않고 깨끗한 외관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본체케이스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FPCB)이 일측 슬라이드레일 및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일측 가장자리 외측을 통해서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슬라이드케이스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된 후 슬라이드케이스 내의 전기부품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슬라이드케이스의 스트록크를 대폭 증대시키더라도 외부에서 연성회로기판이 전혀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구성요소를 추가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가 개방되었을 때 연성회로기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은폐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슬라이드 및 틸트 타입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개폐 작동시의 연성회로기판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슬라이드 및 틸트 타입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동작 상태 및 회전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이 적용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들로서, 도 4a는 휴대단말기가 닫혀진 상태이고, 도 4b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가 본체케이스에 대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방된 상태이고, 도 4c는 슬라이드케이스가 개방 상태에서 본체케이스에 대해 Z축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동하여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의 틸트힌지부 및 슬라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틸트힌지부 및 슬라이드레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의 연성회로기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의 슬라이딩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의 틸팅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이 적용되는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2)와 본체케이스(1)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된 상태이며, 도 4c는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Z축 방향으로 회전 운동(tilting motion)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케이스(1)는 주로 키패드(1a), 배터리(미도시), 메인보드(미도시) 등이 장착되는 구성부이며,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는 전방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2a) 등이 장착되는 구성부이나, 본체케이스(1) 및 슬라이드케이스(2)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하다.
상기 본체케이스(1)와 슬라이드케이스(2) 사이에는 본체케이스(1)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2)의 슬라이딩 운동 및 틸팅 운동을 구현하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및 틸팅 힌지모듈이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의 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10)와, 상기 본체케이스(1)의 양측 단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의 Z축 방향 회전 운동을 구현하는 2개 1조의 틸트힌지부(20)와, 상기 각각의 틸트힌지부(20)에 개별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의 양측 단부가 각각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홈(31)이 형성된 서로 개별체로 이루어진 2개의 슬라이드레일(30)과, 상기 각각의 슬라이드레일(30)에 고정되게 형성된 스프링브라켓(60)과,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와 슬라이딩플레이트(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스프링브라켓(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스프링(40)과, 일단이 상기 본체케이스(1)에 내장된 전기부품(예를 들어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30)의 일측 단부 및 스프링브라켓(60)의 외측면을 통해 슬라이딩플레이트(10)와 슬라이드케이스(2)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 내에 내장된 전기부품(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소자)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FPCB)(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틸트힌지부(20)는 본체케이스(1)의 양측 단부 각각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이스브라켓(21)과, 상기 베이스브라켓(21)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틸트샤프트(22)와, 상기 틸트샤프트(22)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틸트샤프트(22)를 중심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틸트브라켓(23)과, 상기 틸트브라켓(23) 및 슬라이드레일(30)의 외측에서 상기 슬라이드레일(30)에 결합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기능을 하는 FPCB커버부재(55)와, 상기 틸트샤프트(22)가 틸트브라켓(23)과 함께 회전할 때 회전에 저항하거나 회전을 가속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면에 오목한 제1캠면(24a)이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틸트샤프트(2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캠(24)과, 일면에 상기 고정캠(24)의 제1캠면(24a)과 대응하는 볼록한 형태의 제2캠면(25a)이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틸트샤프트(22)에 끼워지며 틸트샤프트(22)에 대해 상대 회전은 불가능하지만 축방향 이동은 가능하도록 되어 틸트샤프트(2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캠(25)과, 상기 회전캠(25)의 외측에서 틸트샤프트(22)에 끼워져 고정캠(24) 및 회전캠(25)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26)과, 상기 틸트샤프트(22)의 일단부에 나선 결합되는 너트(27)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틸트샤프트(22)에는 틸트샤프트(22)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와셔(28)가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와셔(28)의 외주부에는 상기 고정캠(24)의 일측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스톱돌기(24b)와 부딪히며 회전이 제한되는 걸림턱부(28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틸트브라켓(23)은 상기 틸트샤프트(22)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브라켓(21)은 틸트샤프트(22)의 내측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틸트브라켓(23)이 틸트샤프트(22)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베이스브라켓(21)이 틸트샤프트(22)의 내측부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슬라이드케이스(2)를 본체케이스(1)에 대해 Z축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 기울였을 때 틸트브라켓(23)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FPCB커버부재(55)의 일부만 보이게 되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2개의 틸트브라켓(23)들은 상기 본체케이스(1)의 외부에서 커버플레이트(7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70)는 양단이 상기 틸트브라켓(23)에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면서 틸트브라켓(23)들의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과 함께 틸트브라켓(23)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30)들은 상기 틸트브라켓(23)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30)들은 틸트브라켓(23)과 함께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슬라이드레일(30)이 틸트브라켓(23)과 개별체로 만들어진 다음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 틸트브라켓(23)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레일(30)은 내측부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31)이 형성된 'ㄷ'자형 바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31)에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안내된다.
상기 스프링브라켓(60)들은 상기 각각의 슬라이드레일(30)의 내측부에 고정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브라켓(60)은 상기 슬라이드레일(30)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슬라이드레일(30)과 개별체로 만들어진 다음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 슬라이드레일(3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브라켓(60)에는 상기 스프링(40)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레일(30)의 가이드홈(31)에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이드케이스(2)의 슬라이딩 운동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는 슬라이드케이스(2)의 일면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결합되고, 슬라이드케이스(2)와 슬라이딩플레이트(10)의 이격된 공간 내측에 상기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슬라이드케이스(2)가 개방되었을 때 스프링(4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커버의 기능도 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40)은 2개 1조로 구성되며, 슬라이딩플레이트(10)의 이동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드케이스(2)의 슬라이딩 운동시 슬라이딩플레이트(1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즉, 상기 스프링(40)들은 슬라이딩플레이트(10)가 슬라이드레일(3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도중 일정 구간까지는 압축되다가 일정 구간을 지나는 지점에서부터 팽창하면서 탄성력을 가하여 슬라이드케이스(2)의 반자동 개폐를 구현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스프링(40)은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프링하우징(42)과, 상기 스프링하우징(42)에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샤프트(미도시)와, 상기 샤프트(미도시)에 끼워진 코일 형태의 탄성체(43)와,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브라켓(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른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하우징(42) 내측에서 상기 샤프트(미도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43)를 압축시키거나 팽창시키는 피스톤바아(41)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은 본체케이스(1)에 내장된 메인보드와 같은 전기부품을 슬라이드케이스(2)에 내장된 디스플레이소자 등의 전기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과 신호를 인가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은 일단이 상기 본체케이스(1)의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의 후단부 중앙부를 통해서 디스플레이소자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의 중간부는 상기 슬라이드레일(30)들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드레일(30)의 외측 공간을 통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의 일측단부와 슬라이드케이스(2)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고, 이 공간 내측에서 슬라이드케이스(2)의 이동방향, 즉 Y축 방향으로 길게 접혀진 후 다시 내측방향으로 접혀져 슬라이드케이스(2)의 중앙부로 연장된 다음 슬라이드케이스(2) 내의 디스플레이소자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은 상기 본체케이스(1)의 메인보드에 연결되는 것과 슬라이드케이스(2)의 디스플레이소자에 연결되는 것이 상기 슬라이드레일(30)에 고정되는 컨넥터(51)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지만, 이와 다르게 단일체로 된 연성회로기판(50)을 복수회 접거나 절곡하여 본체케이스(1)의 메인보드와 슬라이드케이스(2)의 디스플레이소자 각각에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미설명부호 52는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의 중간부분을 상기 스프링브라켓(60)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으로, 상기 고정편(52)은 양면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스프링브라켓(60)에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은 연성회로기판(50)이 슬라이드레일(30)과 스프링브라켓(60)의 일단부 외측면을 통해서 본체케이스(1) 및 슬라이드케이스(2)에 연결되므로 슬라이딩플레이트(10)에 FPCB 연결을 위한 별도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가리기 위한 별도의 커버 및 이 커버를 슬라이드케이스와 연동시키기 위한 구성품이 필요없게 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10의 (A)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닫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드케이스(2)를 개방하기 위해 슬라이드케이스(2)를 Y축 방향으로 밀면, 도 4b 및 도 10의 (B)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에 고정된 슬라이딩플레이트(10)가 슬라이드케이스(2)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딩플레이트(10)의 양단부가 슬라이드레일(30)의 가이드홈(31)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와 슬라이딩플레이트(10) 사이의 공간에 접혀져 있던 연성회로기판(50)이 슬라이드케이스(2)와 함께 이동하여 펼쳐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40)들이 제1연결핀(4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40)이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40)의 피스톤바아(41)가 스프링하우징(42)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탄성체(43)가 서서히 압축된다.
상기 스프링(40)이 도 4b에 도시된 상태에서 피스톤바아(41)는 스프링하우징(42)의 최내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고, 탄성체(43)는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 위치를 천이점이라 한다.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가 천이점을 지나게 되면, 스프링(40)의 피스톤바아(41)가 스프링하우징(42)의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체(43)가 팽창하여 축적되어 있던 탄성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케이스(2)의 Y축 방향 이동이 가속된다.
도 4c 및 도 10의 (C)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완전히 슬라이딩하여 개방되면, 슬라이드케이스(2)와 슬라이딩플레이트(10) 사이의 공간에 접혀져 있던 연성회로기판(50)이 거의 완전히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개방될 때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은 슬라이딩플레이트(10)와 슬라이드케이스(2) 사이의 공간에서 펼쳐지게 되므로 슬라이드케이스(2)가 개방된 상태에서 연성회로기판(50)은 슬라이딩플레이트(10)에 의해 가려져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를 본체케이스(1)에 대해 끝까지 슬라이딩시켜 개방한 다음, 사용자가 슬라이드케이스(2)에 Z축 방향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도 4c 및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가 틸트힌지부(20)의 작용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가 Z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할 때, 상기 틸트힌지부(20)의 틸트브라켓(23)과 틸트샤프트(22), 이에 결합된 회전캠(25)과 스토퍼와셔(28)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25)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캠(24)과 회전캠(25)의 제1,2캠면(24a, 25a) 간의 작용에 의해 회전캠(25)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26)이 압축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케이스(2)가 회전 개시 시점에서부터 어느 정도 각도까지는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받다가 고정캠(24)과 회전캠(25)의 제1,2캠면(24a, 25a)이 상사점을 지나는 시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캠(25)이 다시 축방향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하여 슬라이드케이스(2)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토퍼와셔(28)의 걸림턱부(28a)가 고정캠(24)의 스톱돌기(24b)에 부딪히면서 더 이상 틸트브라켓(23)이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케이스(2)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목적으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 본체케이스 2 : 슬라이드케이스
10 : 슬라이딩플레이트 20 : 틸트힌지부
21 : 베이스브라켓 22 : 틸트샤프트
23 : 틸트브라켓 24 : 고정캠
25 : 회전캠 26 : 압축코일스프링
27 : 너트 28 : 스프링와셔
28a : 걸림턱부 30 : 슬라이드레일
31 : 가이드홈 40 : 스프링
50 : 연성회로기판(FPCB) 60 : 스프링브라켓
70 : 커버플레이트

Claims (11)

  1.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2)와 본체케이스(1) 사이에 구성되어 본체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의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 및 Z축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구현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의 일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10)와;
    상기 본체케이스(1)의 양측 단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베이스브라켓(21)과, 상기 각각의 베이스브라켓(21)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틸트샤프트(22)와, 상기 각각의 틸트샤프트(22)를 중심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틸트브라켓(23)을 구비하는 틸트힌지부(20)와;
    상기 틸트브라켓(23) 각각에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틸트브라켓(23)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의 양측 단부가 각각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홈(31)이 형성된 서로 개별체로 이루어진 2개의 슬라이드레일(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브라켓(23)은 상기 틸트샤프트(22)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브라켓(21)은 틸트샤프트(22)의 내측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의 외부에서 상기 틸트브라켓(23)들을 서로 연결하는 커버플레이트(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샤프트(22)가 틸트브라켓(23)과 함께 회전할 때 회전에 저항하거나 회전을 가속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면에 오목한 제1캠면(24a)이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틸트샤프트(2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캠(24)과, 일면에 상기 고정캠(24)의 제1캠면(24a)과 대응하는 볼록한 형태의 제2캠면(25a)이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틸트샤프트(22)에 끼워지며 틸트샤프트(22)에 대해 상대 회전은 불가능하지만 축방향 이동은 가능하도록 되어 틸트샤프트(2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캠(25)과, 상기 회전캠(25)의 외측에서 틸트샤프트(22)에 끼워져 고정캠(24) 및 회전캠(25)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26)과, 상기 틸트샤프트(22)의 일단부에 나선 결합되는 너트(2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샤프트(22)에는 외주부에 걸림턱부(28a)가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와셔(28)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캠(24)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와셔(28)의 걸림턱부(28a)가 부딪히면서 회전이 제한되는 스톱돌기(24b)가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는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의 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 또는 슬라이딩플레이트(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레일(3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0)가 슬라이드레일(3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도중 일정 구간까지 압축되다가 일정 구간을 지나는 지점에서부터 팽창하면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레일(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스프링(4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스프링브라켓(60)이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케이스(1)에 내장된 전기부품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 내에 내장된 전기부품에 연결되어 전원 및 신호를 인가하는 연성회로기판(FPCB)(50)은, 상기 본체케이스(1)에서부터 슬라이드레일(30)의 일측 단부의 외측면을 통해 슬라이딩플레이트(10)와 슬라이드케이스(2)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된 다음 슬라이드케이스(2) 내의 전기부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50)은 중간부분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와 슬라이딩플레이트(10) 사이의 공간에서 접혀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접혀진 부분이 펼쳐졌다가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브라켓(23) 및 슬라이드레일(30)의 외측에서 상기 슬라이드레일(30)에 결합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FPCB커버부재(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KR1020110061854A 2011-06-24 2011-06-24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KR101241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854A KR101241450B1 (ko) 2011-06-24 2011-06-24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854A KR101241450B1 (ko) 2011-06-24 2011-06-24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81A true KR20130006881A (ko) 2013-01-18
KR101241450B1 KR101241450B1 (ko) 2013-03-11

Family

ID=4783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854A KR101241450B1 (ko) 2011-06-24 2011-06-24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4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839A1 (ko) * 2018-02-03 2019-08-08 박현민 탄성구동체
CN110133992A (zh) * 2018-09-29 2019-08-1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拍摄方向可调的智能手表
CN113819139A (zh) * 2020-06-18 2021-12-21 德铃电子株式会社 铰链装置及具有其的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77B1 (ko) * 2008-03-18 2010-12-08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90104401A (ko) * 2008-03-31 2009-10-06 (주)나라테크놀로지 휴대폰 슬라이딩 장치
KR101019680B1 (ko) * 2008-12-09 2011-03-07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자판 내장형 휴대폰의 슬라이드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839A1 (ko) * 2018-02-03 2019-08-08 박현민 탄성구동체
KR20190094285A (ko) * 2018-02-03 2019-08-13 (주)오라컴디스플레이 탄성구동체
CN110133992A (zh) * 2018-09-29 2019-08-1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拍摄方向可调的智能手表
CN110133992B (zh) * 2018-09-29 2023-09-2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拍摄方向可调的智能手表
CN113819139A (zh) * 2020-06-18 2021-12-21 德铃电子株式会社 铰链装置及具有其的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450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450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US8208244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16446B1 (ko) 슬라이드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762131B1 (ko) 플렉시블 힌지 장치
CN113357256A (zh) 一种移动终端内折叠铰链
KR101062621B1 (ko) 이중 회전축을 갖는 힌지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KR100791266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KR20090031171A (ko) 틸팅이 가능한 슬라이딩 장치
JP2011139429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KR100979249B1 (ko)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조립의 편리성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1253328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KR20060095310A (ko)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152850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6192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KR100975710B1 (ko)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274084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KR100663653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10277B1 (ko) 듀얼 연결부재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KR100842625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1009929B1 (ko) 힌지 모듈
KR100810220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KR100967123B1 (ko)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342941Y1 (ko) 회전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갖는 슬라이드식 휴대폰단말기 및 회전 기구
KR100932886B1 (ko) 전자기기용 스탠드힌지
KR10063017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