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828A - 금융업무 ods 시스템 - Google Patents

금융업무 ods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828A
KR20130006828A KR1020110061550A KR20110061550A KR20130006828A KR 20130006828 A KR20130006828 A KR 20130006828A KR 1020110061550 A KR1020110061550 A KR 1020110061550A KR 20110061550 A KR20110061550 A KR 20110061550A KR 20130006828 A KR20130006828 A KR 20130006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odule
ctsam
accou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호
조영호
강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아이씨씨
강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아이씨씨, 강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아이씨씨
Priority to KR102011006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828A/ko
Publication of KR2013000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이 있는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신규 계좌 개설이나 사용자카드를 발급 등의 각종 금융업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상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의 중요 정보가 노출될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은 계좌 개설에 사용될 예비계좌와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키가 탑재되어 있어서 각종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며, 계좌 개설에 사용된 예비계좌와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CTSam 모듈 및 초기화 상태의 사용자카드에 고객정보와 카드 일련번호를 기록하는 카드 라이터 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금융업무 ODS 시스템{Financing Work Out Door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객이 있는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신규 계좌 개설이나 사용자카드를 발급 등의 각종 금융업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상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의 중요 정보가 노출될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객이 금융기관, 예를 들어 은행이나 증권사 등에서 신규 계좌 개설이나 이미 개설된 계좌의 해지 또는 계좌를 매개로 한 각종 카드, 예를 들어 현금카드나 신용카드 또는 증권카드(이하 이를 총칭하여 ‘사용자카드’라 한다)를 발급(이하 이를 총칭하여 ‘금융업무’라 한다)받고자 하는 경우에 현재까지는 해당 금융기관의 가까운 지점을 방문하여 처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고객이 신규 계좌 개설이나 카드 발급과 같은 금융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아까운 시간과 비용을 들여가면서 금융기관을 직접 방문해야 했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고, 결과적으로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이 신규 고객을 유치하는데 장애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객이 있는 현장으로 찾아가서 금융업무를 처리해주는 서비스, 이른바 ODS(Out Door Service)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ODS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영업직원이 신규 계좌 개설이나 카드 발급과 같은 금융업무를 현장에서 처리하기 위해 텔러 프로그램이 담긴 노트북 컴퓨터, 신청서나 신분증 스캐너, 비밀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입력기 및 초기화된 IC카드에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카드 라이터(Card Writer)기 등을 모두 커다란 가방에 넣어서 고객이 있는 장소로 방문해야 했다.
이 상태에서 영업직원 휴대한 노트북 컴퓨터 등을 통해 해당 금융기관의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여 신규 계좌 개설 또는 사용자카드 발급 과정에서의 각종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에 전달하고 계좌 번호나 사용자카드 일련번호 등을 전달받아 사용자카드를 발급한다. 이 과정에서 고객정보나 사용자카드 정보 등의 중요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인증된 암호화키가 담긴 별도의 보안용 IC카드에 의해 고객정보를 암호화하여 호스트 컴퓨터에 전달하고,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암호화된 채로 전달되는 계좌 번호나 사용자카드 일련번호 등을 상기 보안용 IC카드에 의해 복호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ODS 시스템에 따르면, 비록 호스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주고받는 각종 정보를 암호화한다 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네트워크를 통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해킹당할 가능성이 상존하였다. 더욱이 상기한 보안용 IC카드 자체에 대한 보안(인증) 시스템이 부족하여 다른 직원 등에 의해 불순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순한 용도로 사용된 경우에도 사후 추적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객이 있는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신규 계좌 개설이나 사용자카드를 발급 등의 각종 금융업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상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의 중요 정보가 노출될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금융업무 ODS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은 계좌 개설에 사용될 예비계좌와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키가 탑재되어 있어서 각종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며, 계좌 개설에 사용된 예비계좌와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CTSam 모듈 및 초기화 상태의 사용자카드에 고객정보와 카드 일련번호를 기록하는 카드 라이터 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은 고객의 비밀번호(PIN)를 입력받는 PIN 패드 모듈 및 계좌 개설에 따른 사용자카드 발급시 계좌 개설 신청서를 프린트하는 프린트 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CTSam 모듈은 내부에 운영체제 및 메모리가 탑재된 IC 카드로 이루어져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에서 착탈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은 상기 IC 카드로 이루어진 상기 CTSam 모듈을 인식하는 CTSam카드 인식 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은 계좌 개설과 관련한 각종 데이터 중에서 계좌 개설 신청서나 고객 신분증의 스캔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IC 카드로 이루어진 CTSam 모듈에는 상기 계좌 개설과 관련한 각종 데이터 중에서 계좌 개설 고객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고객 개인정보, 비밀번호 및 계좌 개설에 사용된 예비계좌 및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은 직원카드를 인식하는 직원카드 인식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CTSam 모듈은 자기와 상기 직원카드 사이의 정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직원카드 인증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융업무 ODS 시스템은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과 연동하여 계좌 개설과 사용자카드 발급 및 직원카드 인증과 관련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카메라를 구비하여 계좌 개설 신청서나 고객 신분증의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에 전달하는 휴대용 텔러 단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텔러 단말은 무선데이터 통신에 의해 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고객이 가입한 상품 정보 또는 계좌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는 기능을 더 구비하되, 상기 상품 정보 또는 계좌 정보의 요청 시에는 요청 사항을 상기 CTSam 모듈의 상기 암호화 및 복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요청하고, 상기 상품 정보 또는 계좌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에는 이를 상기 CTSam 모듈에 전달하여 상기 암호화 및 복호화 키에 의해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융업무 ODS 시스템은 금융기관의 전산센터에 구비되어 IC 카드로 이루어진 CTSam 모듈을 발급하는 CTSam카드 발급용 컴퓨터 및 이와 연동하는 CTSam카드 라이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CTSam 모듈에 상기 예비계좌와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키를 저장하는 CTSam카드 발급 장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융업무 ODS 시스템은 금융기관의 전산센터에 구비되어 직원카드를 발급하는 직원카드 발급용 컴퓨터 및 이와 연동하여 CTSam카드를 읽어 들이는 CTSam카드 리더기와 직원카드에 비밀번호와 직원카드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기록하는 직원카드 라이터기를 구비한 직원카드발급 장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융업무 ODS 시스템은 상기 CTSam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계좌 개설에 사용된 예비계좌를 전달받아 활성계좌로 변경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 따르면, 영업직원이 고객이 있는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신규 계좌 개설이나 사용자카드를 발급 등의 각종 금융업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상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의 중요 정보가 노출될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정당한 영업직원인지가 인증된 경우에 한하여 신규 계좌 개설이나 사용자카드 발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안이 강화된 전체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안이 강화된 전체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서 CTSam카드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서 직원카드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금융업무 ODS 장비에서의 오프라인 직원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금융업무 ODS 장비에서의 온라인 직원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금융업무 ODS 장비에서 고객에 대한 신규 계좌 개설 및 사용자카드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금융업무 ODS 장비에서 기존 고객에 대한 각종 조회 및 추가 계좌 개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의 후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안이 강화된 전체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안이 강화된 전체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 ODS 발급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크게 은행이나 증권사 등의 금융기관의 전산센터(100) 및 영업직원에 의해 금융기관의 지점 외부, 즉 고객이 있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금융업무 ODS 장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금융기관의 전산센터(100)는 다시 계정처리와 그 외의 업무 처리를 담당하는 계정계/업무계 서버(112)와 금융업무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호스트 컴퓨터(110), CTSam(Chain To Security access module)카드 발급용 컴퓨터(122) 및 이와 USB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CTSam카드 라이터기(124)로 이루어져서 CTSam카드를 발급하는 CTSam카드발급 장비(120) 및 영업직원카드(이하 간단히 ‘직원카드’라 한다) 발급용 컴퓨터(132) 및 이와 USB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CTSam카드 리더기(134)와 직원카드 라이터기(136)로 이루어져서 직원카드를 발급하는 직원카드발급 장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카드 리더기와 카드 라이터기는 기능적으로 명명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리더기 및 라이터기의 기능이 통합된 단일의 기기가 사용될 것이다.
금융업무 ODS 장비(200)는 다시 휴대용 텔러 단말(Teller Terminal)(210)과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휴대용 텔러 단말(210)은 호스트 컴퓨터(110)와의 사이에서, 예를 들어 Wi-Fi, 3G 또는 4G(Wibro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 등에 의해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기능과 문서(신분증) 스캔(촬영)용 카메라 및 전용의 텔러 프로그램이 탑재된 기기이면 되는바, 이러한 기능이 구비된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내지는 스마트 패드, 예를 들어 애플사의 아이패드나 삼성전자의 갤럭시탭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은 숫자키를 통해 사용자 및 직원의 비밀번호(PIN)를 입력받는 PIN 패드 모듈(222); 휴대용 텔러 단말(210)로부터 전달받은 신청서나 신분증의 스캔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222); 사용자카드 발급시 사용자가 작성할 또는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 의해 입력되어 작성된 신청서를 프린트하는 프린트 모듈(223); 금융업무 ODS, 특히 신규 계좌 개설에 사용될 예비계좌와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고 암호화 및 복호화키와 인증키, 예를 들어 금융공동망키가 탑재되어 있어서 각종 정보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며 직원카드를 인증하는 CTSam 모듈(224) 및 장비의 적소에 구비된 카드 삽입 슬릿을 통해 삽입된 CTSam카드(카드 형태의 경우) 또는 직원카드를 인식하고 발급할 사용자카드의 IC칩에 고객의 개인정보나 계좌정보 또는 카드정보를 기록하는 카드 인식(리드/라이트) 모듈(2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CTSam 모듈(224)은 운영체제와 메모리가 내장된 IC칩이 구비된 플라스틱 카드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금융업무 ODS 장비(200)를 구성하는 휴대용 텔러 단말(210)과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은 USB 등의 유선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전산센터(100)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살펴보면, 계정계/업무계 서버(112)는 다시 고객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가입 상품 정보나 계좌 정보 등을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고객정보조회 모듈(112a); 후술하는 예비계좌를 생성하여 CTSam카드로 분배하며 생성 및 분배된 예비계좌를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하는 예비계좌관리 모듈(112b); 사용자카드의 발급 및 등록과 등록후 예비계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활성화시키는 예비계좌 활성화 모듈(112c); CTSam카드와 직원카드의 일련번호(Card Serial Number; CSN)와 비밀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하는 CTSam/직원카드저장 모듈(112d) 및 발급된 사용자카드의 발급 정보, 예를 들어 고객정보와 계좌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 모듈(112e)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CTSam카드발급 장비(120)의 발급용 컴퓨터(122)(의 프로그램)는 금융업무 ODS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및 직원카드 인증을 위한 키, 예를 들어 금융공동망키를 저장하는 금융공동망키 저장 모듈(122a); CTSam카드의 비밀번호(PIN)를 저장하는 CTSam카드 PIN 저장 모듈(122b) 및 발급할 CTSam카드에 일련번호(CSN)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CTSam카드 CSN 채번 모듈(12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직원카드발급 장비(130)의 발급용 컴퓨터(132)(의 프로그램)는 직원카드의 인증을 위한 직원 인증키를 저장하는 직원용 인증키 저장 모듈(132a); 해당 직원카드에 대한 비밀번호(PIN)를 저장하는 직원카드 PIN 저장 모듈(132b) 및 발급할 직원카드에 일련번호(CSN)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직원카드 CSN 채번 모듈(13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금융업무 ODS 장비(200) 중에서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 설치되는 텔러 프로그램은 다시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각종 상품을 조회하는 상품조회 기능, 고객이 가입한 상품이나 계좌를 비롯한 각종 고객정보를 조회하는 고객 상품 및 계좌조회 기능, 고객이 가입한 상품이나 계좌를 조회함에 따른 고객 인증을 수행하는 고객 인증 기능 및 고객정보 전달과 인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하는 고객정보조회 모듈(212) 및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사용자카드발급 신청서의 출력(프린트)을 요청하고 작성 또는 사용자 서명이 완료된 동 신청서를 스캔(촬영)한 후에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전달하는 기능, 사용자의 신분증을 스캔(촬영)한 후에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전달하는 기능 및 전술한 각종 데이터의 조회나 출력 및 사용자카드 발급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과 연동을 수행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용자카드 발급 모듈(2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은 전술한 하드웨어 구성을 구비하는바, 이 중에서 CTSam 모듈(224)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카드 발급시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와 직원카드 인증을 위한 금융공동망키를 분배하고 해당 고객정보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사용자카드 발급 기능, 비밀번호(PIN) 등에 의해 직원(카드)의 인증을 수행하는 직원카드 인증 기능, 발급할 사용자카드에 개설할 예비계좌를 관리하는 예비계좌관리 기능 및 성명, 주소, 전화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등의 고객의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고객정보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사용자카드는 바람직하게는 IC칩이 내장된 IC카드(또는 IC카드와 마그네틱 카드 겸용)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서 CTSam카드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CTSam카드는 전산센터 관리자에 의해 CTSam카드 발급용 컴퓨터(122)를 통해 발급될 수 있는데, CTSam카드 발급용 컴퓨터(122)는 먼저 CTSam카드 발급 프로그램을 기동(단계 S1)시킨 상태에서, 발급할, 즉 초기화 상태의 CTSam카드에 미리 정해진 채번 규칙에 의해 일련번호(CSN)를 부여(단계 S2)한다. 이 상태에서 CTSam카드 발급용 컴퓨터(122)는 호스트 컴퓨터(110)로부터 금융업무 ODS용의 예비계좌 또는 이에 더하여 이와 연계(매핑)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를 수신(단계 S3)하고, 다시 전산센터 관리자로부터 암호화/복호화 및 직원카드 인증에 사용될 금융공동망키를 입력(단계 S4)받은 후에 이를 CTSam카드 라이터기(124)에 전달하여 상기한 내용을 그 IC칩에 기록하게 함으로써 CTSam카드를 발급(단계 S5)한다.
여기에서, 예비계좌는 복수가 랜덤하게 또는 규칙적, 예를 들어 일련번호 순으로 된 밴드(묶음) 단위로 부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CTSam카드의 발급이 완료되면 CTSam카드 발급용 컴퓨터(122)는 해당 CTSam카드에 부여된 일련번호(CSN)를 호스트 컴퓨터(110)에 전달(단계 S6)하고, 호스트 컴퓨터(110)는 이를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단계 S7)함으로써 CTSam카드 발급 과정이 완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서 직원카드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원카드는 전산센터 관리자에 의해 직원카드 발급용 컴퓨터(132)를 통해 발급될 수 있는데, 직원카드 발급용 컴퓨터(132)는 먼저 직원카드 발급 프로그램을 기동(단계 S11)시킨다. 이 상태에서, 관리자는 당해 영업직원에게 발급된 하나 이상의 CTSam카드 중에서 하나의 CTSam카드를 CTSam카드 리더기(134)에 삽입함과 함께 발급할, 즉 초기화 상태의 직원카드를 직원카드 라이터기(136)에 삽입한 상태에서 직원카드 발급용 컴퓨터(132)에 해당 영업직원의 비밀번호(PIN)를 입력(단계 S12)한다.
다음으로, 직원카드 발급용 컴퓨터(132)는 미리 정해진 채번 규칙에 의해 직원카드에 일련번호(CSN)를 부여함과 함께 CTSam카드에 부여된 금융공동망키와 동일한 키 또는 이를 일련번호(CSN) 등에 의해 암호화하여 얻어진 인증키를 부여(단계 S13)한 후에 이 정보를 직원카드 라이터기(136)에 전달하여 직원카드를 발급(단계 S14)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직원카드의 발급이 완료되면 직원카드 발급용 컴퓨터(132)는 해당 직원카드에 부여된 일련번호(CSN)를 호스트 컴퓨터(110)에 전달(단계 S15)하고, 호스트 컴퓨터(110)는 이를 CTSam카드에 부여된 일련번호(CSN)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단계 S16)함으로써 직원카드 발급 과정이 완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금융업무 ODS 장비(200)에서의 오프라인 직원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융업무 ODS 장비(200)에서 오프라인 직원 인증을 위해서는 먼저 휴대용 텔러 단말(210)과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을 블루투스나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한 상태에서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 설치된 텔러 프로그램 중에서 직원 인증 프로그램을 기동(단계 S21)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CTSam카드(224)와 직원카드(230)를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카드 슬릿에 삽입(단계 S22)하고, 해당 영업직원이 자기의 비밀번호(PIN)를 직원 인증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면 이렇게 입력된 비밀번호(PIN)가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전달된다.
한편,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은 이렇게 전달받은 비밀번호(PIN)를 직원카드(230)에 기록된 비밀번호(PIN)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에 그 결과를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 전달함으로써 직원카드의 인증을 수행(단계 S23)한다. 물론, 단계 S23은 휴대용 텔러 단말(210)이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직원카드(230)에 기록된 비밀번호(PIN)의 독출(Read)을 요청하여 전달받은 상태에서 직접 수행하는 방식으로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인증에 실패하면 휴대용 텔러 단말(210)은 이후의 금융업무의 처리를 거부하는 반면에 인증에 성공하면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서는 CTSam카드(224)와 직원카드(230) 사이에서 상호 인증이 수행(단계 S24)된다. 여기에서 상호 인증은 전술한 바와 같이, CTSam카드(224)가 직원카드(230)에 부여된 인증키를 읽어 들여 자기와 정합, 예를 들어 당해 인증키가 자기에게 부여된 금융공동망키와 동일한 것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당해 인증키를 직원카드(230)의 일련번호(CSN)에 의해 복호화하여 자기에게 부여된 금융공동망키와 동일한 것임을 확인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호 인증을 거쳐서 그 결과가 정상으로 확인되면 비로소 CTSam카드(224)가 활성화(단계 S25)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향후 신규 계좌 개설이나 이와 연동된 사용자카드 발급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절차는 무선데이터 통신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등에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금융업무 ODS 장비에서의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직원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융업무 ODS 장비(200)에서 오프라인 직원 인증 과정인 단계 S31 내지 S34는 도 5의 단계 S21 내지 S24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온라인 직원 인증 과정에 따르면 도 6의 단계 S34를 대체하여 휴대용 텔러 단말(210)이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로부터 CTSam카드(224)의 일련번호(CSN)와 직원카드(230)의 일련번호(CSN)를, 바람직하게는 금융공동망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받아 호스트 컴퓨터(110)에 전달(단계 S35)하고, 호스트 컴퓨터(110)에서는 이렇게 전달받은 각각의 일련번호(CSN)를 직접 데이터베이스(114)에서 조회하여 그 정합 여부를 검증(단계 S36)한 후에 그 검증 결과를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 전송(단계 S37)한다.
여기에서, CTSam카드(224)와 직원카드(230)의 일련번호(CSN)를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받은 경우에 호스트 컴퓨터(110)에서는 먼저 이를 복호화한 후에 단계 S36 및 S37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온라인 인증을 거쳐서 그 검증 결과가 정상으로 확인되면 비로소 CTSam카드(224)가 활성화(단계 S38)되어 향후 신규 계좌 개설이나 이와 연동된 사용자카드 발급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금융업무 ODS 장비에서 고객에 대한 신규 계좌 개설 및 사용자카드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5 및 도 6의 직원 인증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영업직원은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 설치된 텔러 프로그램의 사용자카드 발급 모듈(214)을 기동시킨 상태에서 고객으로부터 개인정보, 예를 들어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을 전달(단계 S41)받아 입력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객의 개인정보는 이후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전달되어 여기에 삽입된 CTSam카드(224)의 고객정보관리 서브모듈에 저장(단계 S42)되게 된다.
다음으로 휴대용 텔러 단말(210)은 내장된 카메라를 활성화시켜서 고객의 신분증을 스캔(촬영)한 후에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전달한다. 이후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CTSam카드(224)는 이렇게 전달받은 신분증 이미지를 자체의 상기 고객정보관리 서브모듈에 저장하거나 또는 자기와는 별개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구비된 메모리칩(222)에 저장(단계 S43)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금융공동망키를 통해 암호화하여 저장하게 된다.
다음으로, 영업직원은 고객에게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을 제공하여 원하는 비밀번호(PIN)를 입력받게 되는데, 이렇게 입력된 비밀번호(PIN)는 이후 CTSam카드(224)의 금융공동망키에 의해 암호화된 채로 상기 고객정보관리 서브모듈에 저장(단계 S44)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CTSam카드(224)는 그 예비계좌관리 서브모듈을 통해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계좌(번호) 중에서 하나를 추출하고, 이후 사용자카드발급 서브모듈을 통해 상기 고객정보 및 추출된 예비계좌와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CSN) 등을 금융공동망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사용자카드 발급 및 직원카드 인식모듈(225)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삽입된 초기화 상태의 사용자카드(240)에 이들 정보가 암호화된 채로 기록되어 사용자카드(240)가 발급(단계 S46)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카드(240)의 발급이 완료되면,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서는 단계 S14에서 입력받은 고객정보가 기록된 발급 신청서를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프린트 모듈(223)에 전달하여 오프라인 신청서로 출력(단계 S47)한다. 다음으로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서는 이렇게 출력된 신청서를 다시 카메라로 스캔(촬영)한 후에 공인인증서 또는 IC키로 암호화하여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메모리칩(222)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카드 발급 과정이 완료된다.
이상의 과정은 오프라인을 통한 현장에서의 계좌 개설 및 사용자카드 발급 과정인바, 이 과정을 통해서는 비록 계좌가 개설되고 사용자카드(240)가 발급되었더라도 호스트 컴퓨터(110)의 승인을 득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당장은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한편, 휴대용 텔러 단말(210)이 호스트 컴퓨터(110)와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5에서와 같이 CTSam카드(224)에 저장된 예비계좌를 사용함이 없이 호스트 컴퓨터(110)로부터 실제계좌와 카드 일련번호를 직접 전달받아 이에 의해 신규 계좌 개설 및 사용자카드를 발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단계 S42는 고객정보가 CTSam카드(224)에 저장된 금융공통망키에 의해 암호화된 후에 호스트 컴퓨터(110)로 전달되는 것으로 그 내용이 변경될 것이고, 단계 S43은 및 단계 S47도 신분증 이미지를 CTSam카드(224)에 저장된 금융공동망키에 의해 암호화된 후에 호스트 컴퓨터(110)로 전달되는 것으로 그 내용이 변경될 것이다.
이외에도 단계 S44도 계좌 비밀번호(PIN)가 금융공동망키에 의해 암호화된 채로 호스트 컴퓨터(110)에 전달되는 것으로 그 내용이 변경될 것이고, 단계 S48도 금융공동망키에 의해 암호화된 신청서가 호스트 컴퓨터(110)에 전달되는 것으로 그 내용이 변경되게 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의 금융업무 ODS 장비에서 기존 고객에 대한 각종 조회 및 추가 계좌 개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5 및 도 6의 직원 인증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업직원은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 설치된 텔러 프로그램의 고객정보조회 모듈(212)을 통해 고객과 관련한 개인정보 및 상품 또는 계좌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영업직원은 고객으로부터 신분증이나 이미 발급된 사용자카드(240)를 전달(단계 S51)받는다. 이후 신분증을 전달받은 경우에 영업직원은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 내장된 카메라를 활성화시켜서 고객의 신분증을 스캔(촬영)한 후에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전달한다. 그러면,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CTSam카드(224)는 이렇게 전달받은 신분증 이미지를 자체의 상기 고객정보관리 서브모듈에 저장하거나 또는 자기와는 별개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구비된 메모리칩(222)에 저장(단계 S52-1)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금융공동망키를 통해 암호화하여 저장하게 된다. 물론 호스트 컴퓨터(110)와의 사이에서 무선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암호화된 신분증 이미지를 메모리칩(222)에 저장하는 대신에 호스트 컴퓨터(110)에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에 이미 발급된 사용자카드(240)를 전달받는 경우에는 영업직원은 이를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삽입하여 사용자카드에 기록된 고객정보를 독출(단계 S52-2)한 후에 CTSam카드(224)에 저장된 금융공동망키로 암호화하여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게 전달하는데, 휴대용 텔러 단말(210)의 사용자카드 발급 모듈(214)은 이후 이렇게 전달받은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고객정보조회 모듈(212)에 전달(단계 S53)한다. 이후 휴대용 텔러 단말(210)의 고객정보조회 모듈(212)은 이렇게 전달받은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10)에 무선으로 전달하여 당해 고객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가입 상품이나 계좌 정보 또는 상세 거래 내역 등의 정보를 요청(단계 S54)한다. 이후 호스트 컴퓨터(110)에서는 요청받은 내용을 데이터베이스(114)에서 조회하여 발췌한 후에 이를 금융공동망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 전달(단계 S55)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전달받은 휴대용 텔러 단말(210)의 고객정보조회 모듈(212)은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전달하고,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CTSam카드(224)는 이렇게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자체에 저장된 금융공동망키에 의해 복호화한 후에 휴대용 텔러 단말(210)의 고객정보조회 모듈(212)에 전달함으로써 원하는 고객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 따르면, 고객정보와 같은 중요 정보인 경우에는 사용자카드(240)나 신분증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휴대용 텔러 단말(210)을 통해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휴대용 텔러 단말(210)에서 호스트 컴퓨터(110)로 전달되는 모든 정보를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CTSam카드(224)에 저장된 금융공동망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전달하고, 호스트 컴퓨터(110)를 통해 암호화된 채로 전달되는 고객정보 역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CTSam카드(24)에 저장된 금융공동망키에 의해 복호화하여 전달받음으로써 보안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가 있다.
한편, 이미 사용자카드(240)를 발급받은 고객이 추가 계좌 개설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단계 S56 내지 S60을 수행하는데, 이는 도 7의 단계 S44 내지 S48과 동일하기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설명은 하지 않았으나 영업직원은 휴대용 텔러 단말(210)의 텔러 프로그램에 포함된 고객정보조회 모듈(212)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110)로부터 당해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각종 상품을 조회하여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고객에서 설명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일반 상품 조회의 경우 등에는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과의 연동없이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금융업무 ODS 시스템에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의 후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금융기관 지점 창구의 텔러 컴퓨터(300)와 호스트 컴퓨터(110)에 각각 영업 개시 프로그램과 업무 종료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먼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사용자카드 발급 등의 업무를 처리한 후에 금융기관의 지점에 복귀한 영업직원은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을 텔러 컴퓨터(300)와 USB 인터페이스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단계 S61)하는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는 CTSam카드(224)와 직원카드(230)이 삽입된 상태여야 한다.
다음으로, 영업직원은 텔러 컴퓨터(300)에서 영업 개시 프로그램을 기동(단계 S62)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CTSam카드(224) 및 직원카드(230)로부터 각각 일련번호(CSN)를 추출(단계 S63 및 S64)한 후에 이를 호스트 컴퓨터(110)에 전달(단계 S65)하고, 이후 호스트 컴퓨터(110)는 이를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단계 S66)함으로써 영업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영업이 개시된 상태에서 영업직원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러 컴퓨터(300)의 업무 종료 프로그램을 기동(단계 S72)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의 CTSam카드(224)에서 사용자카드 발급 정보, 즉 사용된 예비계좌와 이에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 및 고객정보를 추출(단계 S73)하고, 다시 그 메모리칩(222)에서 고객 신분증 정보와 신청서 정보를 추출(단계 S74)하여 호스트 컴퓨터(110)에 전달(단계 S75)한다.
그러면, 호스트 컴퓨터(110)는 이를 데이터베이스(114)에 등록(단계 S76)하게 되는데, 이 단계 S76을 거치게 되면 예비계좌가 비로소 활성계좌로 변환되어 즉시 사용가능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호스트 컴퓨터(110)는 신규 계좌 개설에 의해 부족하게 된 예비계좌를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전달(단계 S77)하게 되는데, 이후 이렇게 전달된 예비계좌는 CTSam카드(224)에 갱신하여 저장(단계 S78)함으로써 다음의 ODS에 대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CTSam카드(2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220)에 모듈화된 채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는 달리 CTSam카드(224)를 직원카드(230)와 일체로 할 수 있을 것인바, 이 경우에는 CTSam카드(224)에 당해 영업직원의 비밀번호(PIN)이 추가로 저장될 것이고, 직원카드의 비밀번호(PIN) 인증 단계는 CTSam카드의 비밀번호(PIN)인증 단계로 변경될 것이며, CTSam카드와 직원카드의 상호 인증 단계는 생략되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텔러 단말과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을 별개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휴대용 텔러 단말의 제반 기능을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에 내장시킴으로써 금융업무 ODS 장비를 단일체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CTSam카드, 직원카드 및 사용자카드를 모두 NFC 기능을 탑재한 카드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의 사이즈를 더욱 작게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100: 전산 센터, 110: 호스트 컴퓨터,
112: 계정계/업무계 서버, 114: 데이터베이스,
120: CTSam카드 발급 장비, 122: CTSam카드 발급용 컴퓨터,
124: CTSam카드 라이터기, 130: 직원카드 발급 장비,
132: 직원카드 발급용 컴퓨터, 134: CTSam카드 리더기,
136: 직원카드 라이터기, 200: 금융업무 ODS 장비,
210: 휴대용 텔러 단말, 212: 고객정보조회 모듈,
214: 사용자카드 발급 모듈, 220: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
221: 핀 패드 모듈, 222: 메모리 칩(모듈),
223: 프린트 모듈, 224: CTSam 모듈(카드),
225: 사용자카드 발급 및 직원카드 인식 모듈,
230: 직원카드, 240: 사용자카드,
300: 텔러 컴퓨터

Claims (10)

  1. 계좌 개설에 사용될 예비계좌와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키가 탑재되어 있어서 각종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며, 계좌 개설에 사용된 예비계좌와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CTSam 모듈 및
    초기화 상태의 사용자카드에 고객정보와 카드 일련번호를 기록하는 카드 라이터 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금융업무 ODS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은 고객의 비밀번호(PIN)를 입력받는 PIN 패드 모듈 및
    계좌 개설에 따른 사용자카드 발급시 계좌 개설 신청서를 프린트하는 프린트 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업무 ODS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TSam 모듈은 내부에 운영체제 및 메모리가 탑재된 IC 카드로 이루어져서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에서 착탈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은 상기 IC 카드로 이루어진 상기 CTSam 모듈을 인식하는 CTSam카드 인식 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업무 ODS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은 계좌 개설과 관련한 각종 데이터 중에서 계좌 개설 신청서나 고객 신분증의 스캔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IC 카드로 이루어진 CTSam 모듈에는 상기 계좌 개설과 관련한 각종 데이터 중에서 계좌 개설 고객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고객 개인정보, 비밀번호 및 계좌 개설에 사용된 예비계좌 및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업무 ODS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은 직원카드를 인식하는 직원카드 인식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CTSam 모듈은 자기와 상기 직원카드 사이의 정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직원카드 인증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업무 ODS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과 연동하여 계좌 개설과 사용자카드 발급 및 직원카드 인증과 관련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카메라를 구비하여 계좌 개설 신청서나 고객 신분증의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사용자카드 취급 단말에 전달하는 휴대용 텔러 단말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업무 ODS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텔러 단말은 무선데이터 통신에 의해 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고객이 가입한 상품 정보 또는 계좌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는 기능을 더 구비하되,
    상기 상품 정보 또는 계좌 정보의 요청 시에는 요청 사항을 상기 CTSam 모듈의 상기 암호화 및 복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요청하고, 상기 상품 정보 또는 계좌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에는 이를 상기 CTSam 모듈에 전달하여 상기 암호화 및 복호화 키에 의해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업무 ODS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금융기관의 전산센터에 구비되어 IC 카드로 이루어진 CTSam 모듈을 발급하는 CTSam카드 발급용 컴퓨터 및 이와 연동하는 CTSam카드 라이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CTSam 모듈에 상기 예비계좌와 이와 연계된 사용자카드 일련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키를 저장하는 CTSam카드 발급 장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업무 ODS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금융기관의 전산센터에 구비되어 직원카드를 발급하는 직원카드 발급용 컴퓨터 및 이와 연동하여 CTSam카드를 읽어 들이는 CTSam카드 리더기와 직원카드에 비밀번호와 직원카드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기록하는 직원카드 라이터기를 구비한 직원카드발급 장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업무 ODS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TSam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계좌 개설에 사용된 예비계좌를 전달받아 활성계좌로 변경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업무 ODS 시스템.
KR1020110061550A 2011-06-24 2011-06-24 금융업무 ods 시스템 KR20130006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550A KR20130006828A (ko) 2011-06-24 2011-06-24 금융업무 ods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550A KR20130006828A (ko) 2011-06-24 2011-06-24 금융업무 ods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28A true KR20130006828A (ko) 2013-01-18

Family

ID=4783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550A KR20130006828A (ko) 2011-06-24 2011-06-24 금융업무 ods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8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309B2 (en) EMV transactions in mobile terminals
US11876911B2 (en) Blockchain based alias interaction processing
JP5050066B2 (ja) 携帯型電子的課金/認証デバイスとその方法
CN101101687B (zh) 用生物特征进行身份认证的方法、设备、服务器和系统
US69783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uthentication of a subscriber of network services
US8812859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resource based on data supplied by a local user
US20210166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EP2128830A1 (en) A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transferring application data from a source electronic device to a destination electronic device
TW201528028A (zh) 身份驗證之裝置和方法
US20120166344A1 (en) Secure wireless pay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25146B1 (ko) 카드 인식 장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EP2854087A1 (en) Method for processing a payment
US20020095580A1 (en) Secure transactions using cryptographic processes
TWM589842U (zh) 以實名制手機實現的行動交易櫃檯
KR20130123986A (ko) 오티피 발생기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7433848B1 (en) System for carrying out a transaction
TWI753243B (zh) 共享自動化設備現金存提款服務系統
JP5981507B2 (ja) 支払いを処理する方法
KR20140012335A (ko) Qr 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금융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19194797A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3186846A (ja) 顧客登録システム
KR20140105683A (ko) Qr 보안코드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801059B (zh) 一种移动支付系统和移动支付方法
KR20130006828A (ko) 금융업무 ods 시스템
RU2771449C1 (ru) Контрольно-кассовый термина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