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764U - 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 Google Patents

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764U
KR20130006764U KR2020120004075U KR20120004075U KR20130006764U KR 20130006764 U KR20130006764 U KR 20130006764U KR 2020120004075 U KR2020120004075 U KR 2020120004075U KR 20120004075 U KR20120004075 U KR 20120004075U KR 20130006764 U KR20130006764 U KR 201300067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ngth
handle
power suppl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0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0207Y1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2020120004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07Y1/en
Publication of KR20130006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76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0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와; 복수단으로 분리되어 길이조절구에 의해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손잡이부 또는 지지대의 내측에 수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전원공급의 제어하는 스위치조작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제1발광수단과; 상기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조작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되,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 송신기와 수신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무선송신기에서 송신된 신호에 따라 반응하는 무선 수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에 특정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정도의 알람신호 또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손잡이부 또는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음향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gth-adjustable safety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handle; A plurality of supports separated by a plurality of stages and configured to be vertically adjustable by a length adjusting mechanism, the plurality of supports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art; A power supply unit accommodated in the handle part or the support to supply power; A switch operation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le unit to control power supply by a user's operation; A first light emitting means installed at an upp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support and configured to emit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by an operation of the switch control unit; A wireless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witch control unit, the wireless receiver configured to be able to receive the radio transmitter owned by the user and to respond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When a specific frequency signal is received in the wireless receiver, the sound output means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dle or the support so that the alarm signal or sound of the user can he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adjustable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Adjustable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팡이 본체의 내측에 전원공급부와 발광수단, 음향출력수단 및 무선수신기가 구비되고, 본체 하단에 구비되는 팁에는 충격이나 유동시 자체 발광가능한 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지팡이 사용시 타인으로부터의 식별력을 높이고 그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gth-adjustable safety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particularly, a power supply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an audio output unit, and a wireless receiver are provided inside the cane body, and a tip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has a shock or flow rate. It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means that is self-illuminating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power from others when using the wand relates to a length-adjustable safety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지팡이는 신체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시각장애인 등이 자신의 신체를 균형감 있게 지탱하도록 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보행시 전방의 장애물 유무를 확인하여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행 보조기구의 하나이다.The cane is one of the walking aids that can be used to help the elderly and the visually handicapped, who are inconvenient in movement, to support their body in a balanced manner, and to check the presence of obstacles in front of them when walking.

이러한 지팡이는 통상, 상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손잡이의 하단으로 일정길이의 지지대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Such a cane is usually provided with a handle at an upper en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andle.

또한, 근래에는 종래의 지팡이를 이용하여 등산시 등산용 보조기구로 T형상의 스틱으로 제작되어 등산시 일반인들도 휴대하고 다니면서 지면에 스틱을 짚고 다니면서 자신의 체중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하여 등산이 더욱 수월하도록 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Also, in recent years, using a cane in the past as a climbing aid for climbing is made of a T-shaped stick to climb the public to carry the stick on the ground while carrying the ordinary people to carry the weight so that climbing is easier It is used a lot to do it.

한편, 지팡이의 다양한 용도 가운데에서 본 고안은 시각장애로 인해 전방 식별이 어려워 보행이 불편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고안이 속하는 동일 분야의 기술 중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한정해서 그 종래기술을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among various uses of the cane relates to a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o is difficult to walk due to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front due to a visual impairment. Hereinafter, only the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among the related 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Let's look at the technology.

신체거동이 불편하거나 시각장애인 등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종래의 지팡이에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 또는 손잡이부의 하단에 손잡이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지지대에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이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받은 전기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수단(램프, 엘이디 등)을 구비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신체거동 불편자나 시각장애인의 이동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다수 안출된 바 있다.Conventional walking sticks designed to be used by the physically handicapped or visually impaired ar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means on the handle part and a support unit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part at the bottom of the handle part or the handle part, and through the power supply means. A number of technologies have been devised to provide light emitting means (lamps, LEDs, etc.) to emit light with the supplied electricity so that others can perceive movement of the physically disabled or visually impaired.

이러한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로 한국 실용신안등록제20-311338호(명칭:시각장애인용 지팡이)가 안출되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311338 (name: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has been conceived as an example of such a prior art.

상술한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요구성으로 손잡이(5)와, 상기 손잡이(5)와 일체로 연결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9)로 구성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9)를 슬라이드 착탈되도록 제1,2 지지대(9a,9b)로 분할하되, 상기 제2 지지대(9b)의 상단 체결부(8)에 다수의 절개홈을 형성하고 외측면에는 나선을 형성하여 조임구(7)로 체결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손잡이(5)에 내장되는 기판과 연결되는 다수의 조작버튼(22)이 형성된 조작 스위치부(6)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대(9a)로 상기 기판과 조작버튼에 의해 신호음과 빛을 발광하도록 연결되는 램프 및 스피커가 매입되는 위치확인 표시부(4)를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대(9b)의 밑단에는 완충구(9c)가 끼워져 구성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알맞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 제3자가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였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composed of a handle (5), a support (9)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5) to support the ground In the wand, the support 9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supports 9a and 9b so as to slide on and off, and a plurality of cutouts are formed in the upper fastening portion 8 of the second support 9b. The outer surface forms a spiral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er 7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nd an operation switch part 6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22 connected to a substrate embedded in the handle 5 is formed. And a positioning display unit 4 having a lamp and a speaker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9a so as to emit a beep sound and light by the substrate and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9b. Provides a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is configured to fit the buffer (9c) As to enable visually impaired users to pinpoint the course is composed of third party users of the lo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elderly so that you can use to adjust the length suitable, depending on their physical condition hayeoteotda to allow safe walk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지지대의 길이를 제2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는 조임구(7)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지지대의 길이조절에 한계가 있었으며, 제1지지대(9a)에 구비되는 램프와 스피커로 구성되는 위치확인표시부(4)가 지팡이의 일측 전면을 향하도록 상단부에만 구성되어 있어서 측면이나 후방에서 다가오는 제3자로 하여금 지팡이 사용자에 대한 정확한 인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with a fastener 7 fastened to a spiral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which has a limitation in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Positioning display portion 4 consisting of a lamp and a speaker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9a) is configured only in the upper portion to face the front side of the cane so that the third party coming from the side or the rea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cane user. There was a difficult issue.

또한, 지지대에 설치되는 상기 위치확인표시부(4)의 점등 및 소리발생을 위한 전원공급부가 손잡이부에 구비되어야 하나, 이 전원공급부는 통상 소형 건전지를 이용하게 되므로, 그 수명이 짧아 잦은 교체를 해야하고 건전지 수명이 다한 경우 발광되는 빛이나 발생되는 신호음의 출력이 안 되어 시각장애인용으로 사용되는데 불편함이 많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for lighting and sound generation of the positioning display (4) to be installed on the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this power supply is usually using a small battery, its life is short, so frequent replacement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life is over, the light emitted or the sound of the generated beeps are not output.

또한, 이러한 종래의 지팡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다가 다시 사용하기 위해 지팡이를 찾을 경우, 시각장애인인 경우는 지팡이가 어디에 있는지 그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거나 찾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user who uses such a cane does not use the cane and finds the cane to use it again, it is difficult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find the location of the cane or find it.

(선행기술문헌 1)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403610호(등록일 : 2005.12.06, 명칭 :다목적 안전지팡이)(Prior Ar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403610 (Registration Date: Dec. 06, 2005, Name: Multipurpose Safety Stick) (선행기술문헌 2)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165403호(등록일 : 1999.10.18, 명칭 : 신변보호기능을 갖는 노인용 지팡이)(Prior Art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165403 (Registration Date: Oct. 18, 1999, Name: Cane for the Elderly with Personal Protective Function) (선행기술문헌 3)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252866호(등록일 : 2001.10.22, 명칭 : 점등장치를 내장한 지팡이)(Prior art document 3)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52866 (Registration date: October 22, 2001, Name: Walking stick with built-in lighting device)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주야간 구분없이 제3자에게 지팡이 사용자에 대한 식별력을 높이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그 길이조절을 여유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present invention enhances the identification of the cane user to a third party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day and night, and allows the length adjustmen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The aim is to provide a length-adjustable safety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특히, 본 고안은 지팡이의 지지대 하단에 지팡이의 움직임에 의해 자체 발전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수단이 구비되어 밧데리의 수명과 무관하게 지팡이 사용시에는 항상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명이 짧고 잦은 교체가 필요한 건전지를 이용한 표시등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ght emitting means for self-developed by the movement of the cane to emit light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of the cane, so that the light is always emitted when using the cane regardless of the life of the battery is short life and frequent replacement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gth-adjustable safety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can solve the shortcomings of an indicator light using a battery.

또한, 본 고안은 지팡이 사용자가 지팡이 사용 후 재 사용시에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자신이 놓았던 위치에 지팡이가 없더라도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지팡이를 쉬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sually impaired safety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user can easily find and use his wand by using a wireless transceiver even when the wand user does not have a wand at the place where the visually impaired user when using the wand again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는 손잡이부와, 복수단으로 분리되어 길이조절구에 의해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손잡이부 또는 지지대의 내측에 수용되어 전원공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스위치조작부와, 상기 손잡이부 하단의 지지대 상단 외주연에 복수개가 매립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제1발광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및 스위치조작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되,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 송신기와 수신가능한 채널이 구성되어 무선송신기에서 송신된 신호에 따라 반응하는 무선 수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에서 특정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정도의 알람신호 또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손잡이 또는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음향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ength-adjustable safety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andle and a plurality of stages separated by a length adjusting mechanism, which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the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handle. A plurality of support units coupled to each other, a power supply unit accommodated in the handle unit or the support unit to supply a power ball, and a switch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to be operated by a us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le unit, and the handle unit A plurality of embedded parts are embedded i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pport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means to emit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control unit, and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and the switch control unit, the user A radio transmitter and a receivable channel are configured to respond to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And a sound output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andle or the support so as to output an alarm signal or sound enough to be heard by the user when a specific frequ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and the radio receiver.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지지대의 맨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탄성재의 팁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팁은 그 재질이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팁의 내부에는 무전지로 점멸되는 제2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지팡이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 지지대의 하단에서 빛이 발광되어 타인으로 하여금 지팡이 사용자의 파악 및 인식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suppo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ip of the elastic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tip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f the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of the material, the inside of the tip flashing a second battery The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so that light is emitted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while the user is using the wand to allow others to easily grasp and recognize the wand user.

특히, 상기 무전지 타입으로 구성되는 제2발광수단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양측이 폐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 내벽을 따라 유동가능한 자석과, 상기 자석의 유동을 탄발 지지하도록 하우징의 중공부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탄발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주연에 다수회 권취되는 전선과, 상기 하우징의 유동에 의한 자석의 왕복이동으로 생성된 전기를 공급받아 점멸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복수개 구비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of the battery-less typ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closed at both sides thereof, a magnet movable along an inner wall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housing to support the flow of the magnet.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so as to be flashed by receiving a ball spring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the wi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housing,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agnet by the flow of the housing It compris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provided.

또한, 상기 복수단의 지지대중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하부 지지대의 외주연에는 길이조절홈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중 상부 지지대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외측 나사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나사체결부의 하단부에는 외압에 의해 중공형 지지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지지대의 길이조절홈에 걸리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구에는 상기 상부측 지지대의 하단에 형성된 외측 나사체결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측 나사결합부가 내주연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나사결합부의 하단으로는 상기 내외측 나사체결부 간의 결합 및 해제시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시키는 가압편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groov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pport,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an outer screw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outer screw fasten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hat is protruded into the hollow support by an external pressure and is caught in the length adjusting groove of the lower support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and the length adjusting port has an outer screw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An inner screw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ce, and a lower end of the inner screw coupling part is configured to pressurize or release the protrusion when the inner and outer screw fastening parts are engaged and released. It consists of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전지팡이는 주야간은 물론 시각장애인 유무에 관계없이 지팡이 사용자를 제3자가 파악하기 용이하여 지팡이 사용자의 보행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afety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improve the walking safety of the cane user by easily identifying the cane user regardless of whether the person is visually impaired, day or nigh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 안전지팡이는 복수단으로 지지대가 구성될 뿐만 아니라 상하 지지대 사이가 상호 끼움 결합되되, 하측 지지대의 외주연에 일정 간격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각 지지대의 연결부에는 길이조절구가 구비되어 지지대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충분하게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adjustment safety c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he suppo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ages, but also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are coupled to each other, a fixed groov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pport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each support A sphere is provid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freely as necessary to make it more convenient to use.

또한, 지팡이의 상단에 제1발광수단이 구비되고, 지지대의 하단에는 지팡이의 움직임에 따라 자체 발전 및 발광되는 제2발광수단이 구비되어 건전지 소모에 따른 경비의 지출과 잦은 건전지 교체에 따른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first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ane, and a second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and generates and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ne,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expense and frequent battery replacement. To reduce it.

또한, 사용 후 지팡이를 놓아둔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지팡이를 찾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송신기를 조작하여 지팡이에 구비된 수신기에서 일정한 신호음이 발생되어 비록 시각장애인이더라도 지팡이를 놓아둔 위치 파악이 용이하여 지팡이를 찾는데 불편함이 없어 그 사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In addition, if it is difficult to find the location of the cane after us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ane, and the receiver equipped with the cane generates a constant beep to operate the transmitter possessed by the user.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finding the wand so that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도 1은 종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분리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제1실시예의 길이조절구가 결합된 일부 절단사시도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지팡이에 대한 일부 절단된 종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복수단의 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길이조절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지지대의 맨 하단에 결합된 팁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지팡이의 사용상태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팡이에 적용되는 길이조절구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팡의 일부 발췌사시도와 길이조절구 및 그 주요 구성의 일부발췌도 및 단면확대도,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지팡이에 적용되는 길이조절구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의 일부 발췌사시도 및 길이조절구의 내부 구성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nd Figure 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separate perspective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coupled to the wand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cut longitudinal section of the w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length adjuster coupled between the support of a plurality of stages,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ip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8 is a use state of the c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3 is a partial excerpt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length of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ment tool applied to the c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in configuration,
14 and 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ment tool applied to the c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ternal configuration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ngth control.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전지팡이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복수단으로 분리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복수의 지지대 사이에는 길이조절구가 결합되어 상부 지지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하부 지지대를 가압 및 해제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지팡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Length adjustable safety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andle and a suppo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the support is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The length adjusting mechanism is coupled between the supports of the pressurizing and releasing the lower support that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pport is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ane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또한, 상기 손잡이부 또는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교체가능한 건전지가 수용되어 전원공급이 가능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발광되는 제1발광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외측 또는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제1발광수단 및 기타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조작부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or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replaceable battery is supplied with a power supply capable of supplying power,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means for emitting light from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he outside or one side of the power supply A switch control un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first light emitting means and other devices.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맨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시 명쾌하고 맑은 소리가 나는 팁(tip)이 구비되되, 상기 팁은 지팡이의 유동 및 지면과의 접촉시 유동되어 자체 발전 및 발광하는 무전지 발광소자가 포함된 제2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 또는 지지대의 상단에 구비된 제1발광수단에 관계없이 발광되어 지팡이 사용자의 식별력을 높여 안전 보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nd, the bottom of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tip (tip) that makes a clear and clear sound when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tip is a battery-less light emitting device that flows upon the flow of the cane and contact with the ground to generate and generate self The included second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regardles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means provided on the handle portion or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is configured to increase safety of the walking stick user to enable safe walking.

또한, 상기 손잡이부 또는 지지대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특정 채널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수신기에 특정신호가 수신되면 일정한 신호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출력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ortion or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wireless receive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a frequency signal of a specific channel, the sound output to output a constant beep when a specific signal is received in the wireless receiver Means are additionally provided.

특히, 상술한 본 고안의 길이조절 안전지팡이에서 복수단으로 구성된 지지대의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구의 제1실시예는 그 동작방식이 회전식으로 이루어져 길이조절구의 조임과 해제에 따라 상부(외부) 지지대에 결합된 하부(내부) 지지대의 구성이 해제되거나 조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2실시예의 길이조절구에는 밀고 당기는 구조로 이루어져, 밀고 당김에 따라 상부(외부) 지지대와 하부(내부) 지지대 상호간에 조임 또는 조임이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구는 버튼방식으로 이루어져 푸시버튼의 가압시 연결된 지지대 사이의 구속력이 해제되고 푸시버튼의 가압해제시에는 연결된 지지대간에 구속력이 발생되어 지지대간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In particula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ing mechanism to enable the vertical length adjustment of the suppor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ages in the above-described length adjustment safety w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thod is made of a rotary type upper ( Outer) The lower (inner) support coupled to the suppor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released or tightened, the length adjust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consists of a push and pu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ush and pull the upper (outer) support and the lower (inner) ) The fastening or tightening between the support is made of a structure, th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made of a button method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t between the support connected when the push of the push button and the support is connected when the push of the push button The restraint force is generated in the liver and is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분리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2 and 3 show a combined perspective view and a separate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ength-adjustable safety wand for the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 안전지팡이(100)는 최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단에 복수단으로 구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공형 지지대(2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걸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구성된 스트립(12)과, 상기 지지대(20)의 맨 하단에 교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팁(tip,70)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ength adjustable safety ca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top end of the handle portion 10 and made of a constant size and shape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bottom of the handle portion 10 Hollow support 20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ages,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10, the strip 12 consisting of a constant length to hang on the user's wrist, and The bottom of the support 20 is composed of a tip (70, 70) that is coupled to the replaceable structure is provided.

상기 지지대(20)는 최상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손잡이부(10)와 분리가능하도록 상단부에 연결부(25)가 구비된 제1지지대(21)와, 상기 제1지지대(21)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제1지지대(21)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1지지대(21)보다 그 직경이 다소 작게 형성되어 제1지지대(2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길이조절구(30)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2지지대(22)와, 상기 제2지지대(22)의 하단에서 제2지지대(22)의 내부로 끼움 결합되며, 제2지지대(22)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길이조절구(30)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 상기 팁(70)이 구비된 제3지지대(23)로 구성된다.The support 20 is fitted to the first support 21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21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25 in the upper end so as to be located at the top and detachable from the handle 10 The diameter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first support 21 so that the first support 21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upport 21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by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21. The second support 22 is made of, and the length adjuster 30 is fitted into the second support 22 i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22, the fastening portion 30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22 It is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and consists of a third support 23 provided with the tip 70 at the lower end.

도면에 도시된 지지대(20)의 구성이 3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사용하는 용도나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4단 또는 그 이상 및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20 shown in the drawing consists of three stages, it may be configured in four or more stages or les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r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그리고, 상기 제1지지대(21)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발광수단(60)이 매립 설치되며, 상기 발광수단(60)은 전력소모가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복수개의 엘이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종류의 조명장치가 채택될 수 있다.And, the light emitting means 60 is embedd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21, the light emitting means 6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excellent durability, but other types Lighting device can be adopted.

또한,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 또는 상기 지지대(20)의 상단측 내부에는 상기 발광수단(6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가 구비된 전원공급수단(40)이 내부에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10 or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0, the power supply means 40 is provided with a control circuit unit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the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60 therein do.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공급수단(40)이 손잡이부(10)의 하단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수단(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figure is the power supply means 40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handle portion 10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light emitting means 60.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10)의 내부에 설치된 전원공급수단(40)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조작부(50)가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조작부(50)는 사용자의 사용편리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 구조를 채택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푸시버튼식으로 구성되어 한번 누르면 전원공급수단(40)에서 발광수단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다시 한번 누르면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푸시 온/오프식으로 구성되어 있다.And,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switch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means 40 installed inside the handle portion 10, the switch control unit 50 is user-friendly It can be configured by adopting a switch structure of various forms for, but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is configured as a push button type, onc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means from the power supply means 40, press the power once again It is composed of push on / off type which cuts off the supply.

이와 더불어, 상기 전원공급수단(40) 또는 발광수단(60)이 구비된 손잡이부(10)의 하단이나 지지대(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송신된 특정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에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알람신호나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수단(65)이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handle 10 having the power supply means 40 or the light emitting means 60 or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ans 40 and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a specific frequency signal and a sound output means 65 for outputting a specific alarm signal or a warning sound when the signal is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er is further included.

상기 지지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형의 복수단으로 이루어져 하부측 지지대(22,23)가 상부측 지지대(21,22) 내측으로 출입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상부측 지지대(21,22)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하부측 지지대(22,23)의 외주연에는 일정 간격으로 일정 깊이의 오목한 길이조절홈(24)이 형성된다.The support 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llow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upport (22, 23) is configured to be allowed to enter the upper support (21, 22) inside the upper and lower length can be adjusted, the upper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ide supports (22, 23) to be fitted into the side supports (21, 22) is formed with a concave length adjustment groove 24 of a predetermined depth at regular intervals.

그리고, 복수의 지지대 중 상부측 지지대(21,22)와 하부측 지지대(22,23) 사이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구(30)는 지지대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타입으로 이루어져 좌우 회전에 따라 조여지거나 그 조임이 해제되어 상하 지지대간에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And,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support (21, 22) and the lower support (22, 23)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in a cylindrical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It is tighten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r the tightening is released to enable the length adjustme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따라서, 길이조절구(30)의 내주연 상단부에는 내측 나사체결부(32)가 형성되고, 내측 나사체결부(32)의 하단으로는 상단부보다 내부 중심축방향으로 약간 내향되게 경사진 가압편(3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inner screw fastening portion 32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upp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screw fastening portion 32 is inclined slightly i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entral axis than the upper end ( 34) is formed.

상기 길이조절구(30)가 결합되는 상부측 지지대(21,22)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길이조절구(30)의 내측 나사체결부(32)와 결합되는 외측 나사체결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나사체결부(26)의 하단으로는 상부측 지지대(21,22)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일정간격으로 절개되고 그 내측면에 일정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가압편(27)이 구비되어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21, 22) to which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 is coupled is formed an outer screw fastening part (26) which is combined with the inner screw fastening part (32) of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screw fastening portion 2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upport (21, 22), it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iece (27) which is cut at regular intervals and formed with a predetermined protrusion on the inner surface It is.

한편, 도 4에는 상술한 길이조절 안전지팡이(100)의 내부 구성을 더욱 알아보기 쉽도록 수직 절단상태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vertical cutting state is shown to make it easier to se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bove-mentioned adjustable length safety wand 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0)의 내부에 전원공급수단(40)이 구비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40)은 전원공급을 위한 건전지(42)가 수용되는 건전지수용부(41)가 일정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건전지수용부(41)의 일측에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제어회로부(43)가 위치하며, 상기 제어회로부(43)는 손잡이부(10)의 외측에 구비된 스위치조작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4, a power supply means 40 is provided inside the handle part 10, and the power supply means 40 includes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battery 42 for power supply is accommodated. 41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43 including a circuit boar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unit 41,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43 is provided outside the handle unit 1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control unit 50.

또한, 상기 지지대(20)의 상단 즉, 제1지지대(21)의 상단부 내측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스위치조작부(50)의 조작에 따라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발광되는 제1발광수단(60)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0,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ans 40, the user is supplied with pow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control unit 50 to emit light The first light emitting means 60 is inserted.

상기 제1발광수단(60)은 지지대(20)의 내부에 매립되어 외부로 빛을 발광시키는 복수개의 엘이디(61,62,63,64)가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가 설치된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40)으로부터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며 외부의 무선송신기와 특정 주파수 채널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기(65)와, 상기 무선수신기(65)에서 신호가 수신될 경우, 외부로 일정한 알람신호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66)이 구비된다.The first light emitting means 60 is embedded in the support 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61, 62, 63, 64) for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the pow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LEDs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supply means 40 and a wireless receiver 65 for receiving a signal through an external wireless transmitter and a specific frequency channel, and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65, a constant alarm signal to the outside. Or sound output means 66 for outputting sound is provided.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상하 지지대 사이에 결합되어 상부측 지지대와 하부측 지지대 상호간에 결합시키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구(30)의 결속 및 해제시 그 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and Figure 6 is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when the binding and release of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and coup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

상기 길이조절구(30)는 상부측 지지대(21,22)의 하단에 구비된 외측 나사체결부(26)에 내측 나사체결부(32)가 결합되어 완전히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면, 길이조절구(30)의 내주연 하단측에 지지대 중심축 방향으로 내향되게 형성된 가압편(34)이 외측 나사체결부(26) 하단에 구비된 돌기가 형성된 분할편(27)의 외면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분할편(27)의 돌기(28)가 지지대(21,22)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부측 지지대(22,23)의 외주연에 형성된 길이조절홈(24)에 걸리게 되어 상부측 지지대와 하부측 지지대를 상호간에 고정시키게 된다(도 5참조).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 is a length adjusting device when the inner screw fastening portion 32 is coupled to the outer screw fastening portion 26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upper supporters 21 and 22 to maintain a fully fastened state. The pressing piece 34 formed inwardly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center axis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30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divided piece 27 having protrusion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screw fastening portion 26. The projections 28 of the piece 27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s 21 and 22 to be caught by the length adjusting grooves 24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pports 22 and 23,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The side supports are fixed to each other (see Figure 5).

또한, 상기 길이조절구(30)를 외측 나사체결부(26)에서 풀리게 되면, 풀려진 나사산의 피치 이동거리만큼 길이조절구(30)가 지지대(21,22)의 하단으로 이동되면서 길이조절구(30)의 가압편(34)도 하향 이동되어 지지대(21,22)의 하단부에 구비된 분할편(27)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지지대의 중심축 방향으로 기울어졌던 분할편(27)의 돌기(28)가 본래 위치로 되돌아오면서 하부 측 지지대의 길이조절홈(24)으로부터 이탈되어 하부측 지지대가 상부측 지지대에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도 6참조).In addition, when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 is released from the outer screw fastening portion 26,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 is mov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s 21 and 22 by the pitch moving distance of the loosened thread. The projections of the divided pieces 27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support while the pressing piece 34 of the 30 is also moved downward to release the pressing force of the divided pieces 27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supports 21 and 22. 28) is retracted from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24 of the lower side support while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lower support can be withdrawn from the upper support (see FIG. 6).

이와 같이, 길이조절구(30)의 조임과 해제에 따라 지지대(21,22)의 하단부에 구비된 분할편(27)이 지지대(21,22)의 중심축 방향으로 내향되게 기울어지거나 그 기울어짐이 복귀되어 지지대(21,22)의 내측으로 삽입된 하부 지지대(22,23)의 외주연에 형성된 길이조절홈(24)에 돌기(28)가 걸리거나 그 걸림이 해제되어 지지대(2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uch, the divided pieces 27 provided on the lower ends of the supports 21 and 22 are inclined inward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s 21 and 22 as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 is tightened and released. The projection 28 is caught in the length adjusting groove 24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pports 22 and 23 inserted into the supports 21 and 22 and the release thereof is released to release the support 20. It is made of adjustable structure.

한편, 도 7에는 맨 하단의 지지대(23)에 결합되는 팁(70)의 내부구성을 알아보기 쉽도록 확대된 절단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s easy to se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ip 70 coupled to the support 23 at the bottom.

즉, 맨 하단의 지지대(23)에 결합되는 팁(70)은 지면 또는 바닥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충격에 강한 내구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지팡이를 짚을 때마다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at is, the tip 70 coupled to the bottom support 23 is made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or the floor, it is preferably made of a durable material resistant to impact, in particular delivered from the floor every time the straw stick More preferably,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the impact.

특히, 상기 팁(70)은 투명 또는 반투명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대(23)의 하단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상단부에 나사체결부(72)가 구비되며, 지지대(23)의 저면에는 상기 팁(70)의 나사체결부(72)와 결합되는 체결홈(29)이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tip 70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e screw fastening portion 7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to be replaceable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23, the bottom of the support 23 is the tip 70 The fastening groove 29 is coupled to the screw fastening portion 72 is formed.

또한, 상기 팁(70)의 내부에는 무전지로 점멸되는 제2발광수단(80)이 구비된다. 상기 제2발광수단(8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양측이 폐쇄된 하우징(81)과, 상기 지팡이의 움직임에 따라 하우징(81) 중공부의 내측에서 유동가능한 자석(82)과, 상기 자석(82)의 유동을 탄발 지지하도록 하우징(81)의 중공부 내측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탄발스프링(83)과, 상기 하우징(81)의 일측 외주연에 다수회 권취되는 코일(84)과, 상기 하우징(81)의 유동에 의한 자석(82)의 왕복이동으로 생성된 전기를 공급받아 점멸되도록 상기 하우징(81)의 외주연에 복수개 구비되는 발광소자(85)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tip 70 is provided with a second light emitting means 80 that is flashing with no battery.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80 has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the housing 81 of which both sides are closed, and a magnet 82 movable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8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and, and the magnet ( A ball spring 83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hollow part of the housing 81 to support the flow of the ball 82; a coil 84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housing 81;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85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81 so as to receive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agnet 82 by the flow of (81).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2발광수단(80)이 구비된 팁(70)은 사용자가 지팡이를 사용할 때 흔들리는 유동이나 지팡이를 지면에 짚을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하우징(81) 내부에서 자석(82)이 유동하게 되고, 자석(82)의 유동으로 하우징(81)의 외주연에 감긴 코일(84)측에 전자기가 발생되어 코일(84)과 연결된 상기 발광소자(85)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미세한 전류에도 상기 발광소자(85)가 발광되게 된다.The tip 70 provided with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8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magnet 82 inside the housing 81 due to a shock generated when the user uses the wand or when the wand is placed on the ground. Electromagnetic is generated on the side of the coil 84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81 by the flow of the magnet 82, so that a current flows 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85 connected to the coil 84, so that even a minute current The light emitting element 85 is to emit light.

따라서, 지팡이를 움직일때마다 상기 발광소자(85)에서 항상 빛을 발하게 되어 시각장애인이 전방 사물을 식별하기 곤란한 상태에서 제3자가 시각장애인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의 보행에 지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the light emitting device 85 always emits light every time the wand is moved so that the third person can identify the visually impaired in a state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identify the front object, thereby preventing the gait of the visually impaired from walking. Do not.

한편,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 안전지팡이(100)의 사용상태가 도 8에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 state of the adjustable length safety w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structure is briefly shown in FIG.

즉, 사용자가 본 고안의 지팡이를 손에 잡고 바닥을 짚으면서 보행하게 될 때,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조작부(5)를 누르면, 손잡이부(10)의 내측에 설치된 전원공급수단(40)에서 지지대(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1발광수단(60)에 전원을 공급하여 다수개의 엘이디로 구성된 발광수단(60)이 발광하게 되고,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사방으로 일정한 빛이 발광됨으로써 반대편에서 보행하는 제3자가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들이 시각장애인이 사용하고 있는 지팡이를 식별하게 되어 지팡이를 소지한 보행자의 인식으로 주의 운전을 하게 되어 보행자의 안전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walks while holding the c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his hand, he presses the switch operation part 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part 10, and a power source installed inside the handle part 10. The supply means 40 supplies power to the first light emitting means 6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0, the light emitting means 6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EDs to emit light, constant light in all directions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s the light is emitted, drivers of vehicles traveling on the other side of the road can identify the cane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so that the driver can be cautious with the awareness of the pedestrian with the cane. .

상기 제1발광수단(60)의 점멸 또는 점등은 전원공급수단(40)의 제어회로부에 셋팅된 메모리에 따라 그 점멸이 이루어지거나 상시 점등상태가 유지된다.The flashing or lighting of the first light emitting means 6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mory set in the control circuit part of the power supply means 40, or is constantly turned on.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지팡이의 길이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지지대의 연결부를 찾아 연결부에 결합된 상기 길이조절구(30)를 해제하여 상부측 지지대에 고정된 하부측 지지대를 고정해제시킨 후에 하부측 지지대를 상부측 지지대에 더 깊이 밀어넣어 길이를 줄이거나, 상부측 지지대에서 하부측 지지대를 인출하여 필요한 길이만큼의 지지대 길이를 조정하고, 길이를 조정한 후에는 다시 길이조절구를 지지대에 나사결합함으로써 길이가 조정된 하부측 지지대를 상부측 지지대와 일체로 고정시키게 된다.In addition, if the length of the cane that the user intends to use does not fit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the user finds the connection of the support and releases the length adjuster 30 coupled to the connection to the lower support fixed to the upper side support After releasing the, lower the lower support into the upper support to reduce the length, or draw the lower support from the upper suppor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to the required length, and then adjust the length again. By screwing the adjuster to the support, the length-adjusted lower support is fix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upport.

본 고안의 지팡이는 하부측 지지대의 외주연 전체에 일정 간격으로 길이조절홈이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지지대의 길이를 여유있게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c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groove at regular intervals throughou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ide suppor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according to his physical condition.

또한, 지팡이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손잡이부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조작부를 누르게 되면, 지지대 상단 내측에 구비된 무선수신기와 음향출력수단도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작동을 위한 대기상태가 유지된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cane,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control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the wireless receiver and the sound output means provid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is also supplied with power to maintain a standby state for operation.

따라서, 사용자가 실내에 들어가 지팡이를 한쪽에 놓아 둔 후에, 다시 외출을 하기 위해 지팡이를 찾고자 할 때, 자신의 손을 이리저리 휘젖으며 지팡이를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무선송신기를 동작시키면, 지팡이에 구비된 무선수신기에서 일정한 신호음이 음향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지팡이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는 듣고 지팡이의 위치를 파악하여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팡이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user enters the room and puts the cane on one side, and wants to find the cane to go out again, the user can swing his or her hands and not find the cane, but operate the wireless transmitter that he holds. In the wireless receiver provided in the constant signal sound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means,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cane to easily find the location of the cane so that the use of the cane more convenient.

상기 무선송신기와 무선수신기는 단방향 통신채널이 구축된 RF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송신기측에서 보내온 특정 주파수를 지팡이에 설치된 무선수신기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어회로부를 거쳐서 상기 음향출력수단을 통해 일정한 신호음이 출력되게 되며, 본 고안에 적용된 RF형식의 무선송수신기의 기술은 다른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공용된 기술이므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이러한 공지 공용의 기술을 어렵지 않게 접목하여 그 실시가 가능할 것이어서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adio transmitter and the radio receiver receive a specific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side using the RF communication in which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channel is established in the radio receiver installed in the can and output a constant signal through the sound output means through the control circuit unit. Since the technology of the RF type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blicly known technology widely used in other technical field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mplement the known public technology without difficulty.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invention.

또한, 도 9 내지 도 13은 상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지팡이에 적용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구(30a)의 구성 및 그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Figures 9 to 13 shows the configuration an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pplied to the stick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즉,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구(30a)가 상하측 지지대의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구(30a)는 사용자가 길이조절구(30a)를 밀고 당기는 조작에 의해 상하(또는 내외측) 지지대간에 조임 또는 조임이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Figure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adjuster 3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the length adjuster 3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length adjuster by the user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lamping or tightening is relea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or the inner and outer side) support members by pushing and pulling the 30a.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구(30a)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내주연 일측에 누름편(31a)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편(31a)이 형성된 반대측 내주연에는 일정한 길이의 걸림돌기(31b)가 형성된 조절노브(31)와, 상기 조절노브(31)의 내측에 삽입결합되고 일단이 상부(또는 외부) 지지대(21)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절노브(31)의 누름편(31a)에 의해 승강작동되어 하부(또는 내부) 지지대(22)의 외주연에 형성된 길이조절홈(24)에 걸림 해제되는 스토퍼(33a)가 탄력적으로 동작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33a)의 반대측에 형성된 걸림홈(33b)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노브(31)의 조작에 따라 탄성적으로 동작되는 스프링클램프(35)가 구비된 원통형의 가이드관(33)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0 and 11,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pressing piece 31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ce, the opposite inner circumference formed with the pressing piece (31a) is a constant length The control knob 31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31b) of the control knob 31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knob 31, one end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or outer) support 21, the control knob 31 The stopper 33a which is lifted and operated by the pressing piece 31a of the stopper 33a which is released from the length adjusting groove 2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or inner) support 22 is elastically operated to stop the stopper 33a. I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guide tube 33 having a spring clamp 35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33b)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nd elas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knob (31).

상기 가이드관(33)에 형성된 스토퍼(33a)는 가이드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절보느의 누름편(31a)의 가압동작에 따라 탄력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된다.The stopper 33a formed on the guide tube 33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tube and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piece 31a of the adjusting beam.

도 12는 상기 가이드관(33)의 외주연과 조절노브(31)의 내측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스프링클램프(35)의 형상과 그 구조를 발췌 도시하고 있다.12 illustrates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spring clamp 35 which is fit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tube 33 and the inner side of the adjustment knob 31.

상기 스프링클램프(35)는 양측에 스프링(35a,35b)이 결합되고, 상기 조절노브(31)의 걸림돌기(31b)가 결합되는 걸림레버(36)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레버(36)는 외측이 호형(弧形)으로 된 돌편(36a,36b)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노브(31)에 삽입되어 걸림돌기(31b)와 결합될 시 진입이 용이하고, 한번 걸림 결합되면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spring clamp 35 has springs 35a and 35b coupled to both sides thereof, and locking levers 36 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s 31b of the adjustment knob 31 are coupled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locking levers 36 ) Is the outer side of the arc-shaped (36), 36b, 36b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control knob 31 is easy to enter when combin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31b), once the engagement is not separated. It is configured not to.

한편, 상기 스프링클램프(35)가 결합되는 가이드관(33)에는 상기 스토퍼(33a)의 반대측에 스프링클램프(35)와 스프링(35a,35b)이 결합되는 결합홈(33b)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33)의 결합홈(33b) 외측에는 스프링클램프(35)의 걸림레버(36)를 안내하는 가이드(도시생략)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pipe 33 to which the spring clamp 35 is coupled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33b to which the spring clamp 35 and the springs 35a and 35b are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topper 33a. A guide (not shown) for guiding the locking lever 36 of the spring clamp 35 is formed outside the coupling groove 33b of the guide tube 33.

도 13은 상술한 제2실시예의 길이조절구(30a)의 조립상태 후 동작상태를 단면도로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FIG. 13 is a simplified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ng state after the assembled state of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a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상기 가이드관(33)의 일측으로 상부(또는 외부) 지지대(21)의 일단이 결합 고정되고, 상부(또는 외부) 지지대(21)의 가이드관(33)의 내측으로 하부(또는 내부) 지지대(22)가 삽입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되며, 하부(또는 내부) 지지대(22)의 길이조절홈(24)에 가이드관(33)의 스토퍼(33a)가 걸림, 해제되면서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One end of the upper (or outer) support 21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tube 33, and the lower (or inner) support (inward) of the guide tube 33 of the upper (or outer) support 21 is fixed. 22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lide movement, the stopper (33a) of the guide tube 33 in the length adjusting groove 24 of the lower (or inner) support 22 is locked, the length of the support can be adjusted It is configured to.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30a)를 손으로 잡고 일방으로 당기거나 밀어주게 되면, 스토퍼(33a)를 누르고 있는 조절노브(31)의 누름편(31a)이 스토퍼(33a)를 누르고 있는 위치를 벗어나면서 조절노브(31)의 작동으로 상부(또는 외부) 지지대(21)가 이동하면서 스토퍼(33a)가 하부(또는 내부) 지지대(22)의 길이조절홈(24)으로부터 해제되어 조절노브(30a)의 이동방향에 따라 지지대를 원하는 길When the control knob 3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ld by a hand and pulled or pushed in one direction, the pressing piece 31a of the control knob 31 holding the stopper 33a moves the stopper 33a. The stopper 33a is released from the length adjusting groove 24 of the lower (or inner) support 22 while the upper (or outer) support 21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knob 31 while moving out of the pressed position. The desired path for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djusting knob 30a

이로 신축조절할 수 있게 되며, 조절노브(30a)를 놓게 되면 누름편(31a)이 스토퍼(33a)를 하부(또는 내부) 지지대(22)의 길이조절홈(24)에 위치되면서 필요로 한길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stretch, and when the adjusting knob 30a is released, the pressing piece 31a is positioned at the length adjusting groove 24 of the lower (or inner) support 22 of the stopper 33a, and thus the required length. Adjust it.

또한, 도 14 및 도 15에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구(30b)의 구조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Figure 14 and Figure 15 shows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length adjusting device 3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riefly.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구(30b)는 상부(또는 외부) 지지대(21)의 외주연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편(36)과, 상기 고정편(36)의 내측에서 일단이 핀고정되어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푸시버튼(36a)의 동작시 타측에 구비된 고정돌기(37a)가 상부(또는 외부) 지지대(21)에 형성된 관통공(37d)을 통하여 하부(또는 내부) 지지대(22)의 길이조절홈(24)에 걸림 또는 걸림이 해제되어 하부(또는 내부) 지지대(22)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동편(37)과, 상기 푸시버튼(36a)이 구비된 회동편(37)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어 푸시버튼(36a) 및 회동편(37)의 탄성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37c)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ength adjusting tool 3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fixing piece 36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upper (or outer) support 21 and the fixing piece 36 One end is pinned from the inside of the through-hole 37d formed in the upper (or outer) support 21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jection (37a) provided on the other side when the push button (36a)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one side to the outside Rotating piece 37 is configured to enable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lower (or inner) support 22 by the locking or locking is released to the length adjusting groove 24 of the lower (or inner) support 22 through the above, It is composed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mpression spring (37c)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rotating piece 37 provided with a push button (36a) and the elastic spring of the push button (36a) and the rotating piece (37).

상기 고정편(36)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회동편(37)은 그 일단에 고정핀(37b)에 의해 핀 고정되어 지렛대 원리로 고정돌기(37a)가 형성된 타측이 일측의 푸시버튼(36a) 가압시 상하 동작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rotating piece 37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fixing piece 36 has a pin fixed to one end thereof by a fixing pin 37b, and the other side o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37a is formed on the principle of a lev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iece 37. (36a)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operated up and down during pressing.

이와 같은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구(30b)는 사용자가 일측 지지대에 고정 설치된 고정편의 일측 푸시버튼을 누르게 되면, 푸시버튼에 의해 일측이 가압된 회동편의 타측이 상승되어 지지대의 길이조절홈(24)에 삽입되었던 고정돌기(37a)가 빠져나오게 되고, 고정돌기(37a)가 빠져 나옴으로 인해서 외측 또는 내측 지지대를 일측으로 밀거나 잡아 당겨 필요한 만큼의 길이조절을 한 후, 가압된 푸시버튼을 놓으면 회동편의 고정돌기(37a)가 다시 내측 지지대의 외주연에 형성된 길이조절홈에 끼워져 내측 지지대가 고정되는 구조로 그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The length adjusting tool 3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structure, when the user presses one side pushbutton of the fixed piece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iece pressurized by one side by the pushbutton is raised. After the fixing protrusion 37a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groove 24 of the support comes out, and the fixing protrusion 37a is pulled out, the outer or inner support is pushed to one side or pulled to adjust the length as necessary. When the push button is released, the fixing protrusion 37a of the pivot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pport, and the length of the inner support is fixed.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안전지팡이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손잡이부와 지지대 등은 그 중량이 가벼우면서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조절구는 외부 충격이나 무리한 조작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and the support, which constitute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afety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ade of a material that is light in weight and strong in du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and the length adjusting mechanism is easily damaged even by external impact or excessive manipulation.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material that is not.

10 : 손잡이 12 : 스트립
20 : 지지대 21 : 제1지지대
22 : 제2지지대 23 : 제3지지대
24 : 길이조절홈 25,26 : 나사체결부
27 : 분할편 28 : 돌기
29 : 체결홈 30, 30a, 30b : 길이조절구
31 : 조절노브 31a : 누름편
31b : 걸림돌기 32 : 내측 나사체결부
33 : 가이드관 33a : 스토퍼
33b : 걸림홈 34 : 가압편
35 : 스프링클램프 35a,35b : 스프링
36 : 고정편 37 : 회동편
37a : 고정돌기 37b : 고정핀
37c : 압축스프링 37d : 관통공 : 길이조절구
32 : 내측 나사체결부 34 : 가압편
40 : 전원공급수단 41 : 수용부
42 : 건전지 43 : 제어회로부
50 : 스위치조작부 60 : 제1발광수단
61,62,63,64 : 엘이디 65 : 무선수신기
66 : 음향출력수단 70 : 팁(TIP)
72 : 나사체결부 80 : 제2발광수단
81 : 하우징 82 : 자석
83 : 탄발스프링 84 : 코일
85 : 발광소자 100 : 안전지팡이
10: handle 12: strip
20: support 21: first support
22: second support 23: third support
24: length adjusting groove 25, 26: screw connection
27: divided piece 28: protrusion
29: fastening groove 30, 30a, 30b: length adjustment
31: Adjustment knob 31a: Pressing piece
31b: engaging projection 32: inner screw fastening portion
33: guide tube 33a: stopper
33b: locking groove 34: pressure piece
35: spring clamp 35a, 35b: spring
36: fixed piece 37: rotating piece
37a: fixing protrusion 37b: fixing pin
37c: Compression Spring 37d: Through Hole: Length Adjuster
32: internal threaded portion 34: pressure piece
40: power supply means 41: receiving portion
42: battery 43: control circuit
50: switch operation unit 60: the first light emitting means
61,62,63,64: LED 65: Wireless Receiver
66: sound output means 70: tip (TIP)
72: screw fastening portion 80: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81: housing 82: magnet
83: bullet spring 84: coil
85: light emitting device 100: safety wand

Claims (6)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와;
복수단으로 분리되어 길이조절구에 의해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손잡이부 또는 지지대의 내측에 수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조작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제1발광수단과;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되,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 송신기와 수신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무선송신기에서 송신된 신호에 따라 반응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무선 수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에 특정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정도의 알람신호 또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손잡이부 또는 지지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음향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
A handle part which the user can grip by hand;
A plurality of supports separated by a plurality of stages and configured to be vertically adjustable by a length adjusting mechanism, the plurality of supports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art;
A power supply unit accommodated in the handle part or the support to supply power;
A switch manipulation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le unit to control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y a user's manipulation;
A first light emitting means installed at an upp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support and configured to emit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by an operation of the switch control unit;
A wireless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switch control unit, and to be configured to be received by a wireless transmitter carried by a user,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an upper end of the support to react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a wireless transmitter;
When a specific frequency signal is received in the wireless receiver, the sound output means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or the support so that the alarm signal or sound of the user can hear; Adjustable safety stick for the bli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맨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시 맑은 소리가 나는 팁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팁의 내부에는 지지대의 유동과 지면 충격시 무전지로 자체 점멸되는 제2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지팡이의 사용시 팁의 외부로 일정한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of the suppo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ip that makes a clear sound when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tip of the inside of the tip is provided with a second light emitting means that flashes itself without a battery when the flow of the support and the impact of the tip Safety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mit a constant light to the out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수단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양측이 폐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 내벽을 따라 유동가능한 자석과,
상기 자석의 유동을 탄발 지지하도록 하우징의 중공부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탄발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다수회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하우징의 유동에 의한 자석의 왕복이동으로 생성된 전기를 공급받아 점멸되도록 상기 코일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주연에 복수개 구비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has a hollow formed therein and the housing is closed on both sides;
A magnet movable along an inner wall of the hollow part of the housing;
A bullet spring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ollow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flow of the magnet in a shot;
A coil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times,
Length-adjustable safety wand for visually impaired,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connected to the coil and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so as to receiv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agnet by the flow of the housing and blink.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단의 지지대는 3~4개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상부측 지지대에 하부측 지지대가 끼움 결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하측 지지대 사이에 구비된 상기 길이조절구는 회전식 길이조절방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 지지대의 외주연에는 길이조절홈이 상하로 일정 간격 유지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외측 나사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나사체결부의 하단부에는 지지대의 중심축방향으로 외압에 의해 내향되게 기울어져 상부측 지지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측 지지대의 길이조절홈에 걸리는 돌기가 내면에 형성된 분할편이 구비되며,
상기 길이조절구에는 상기 상부측 지지대의 하단에 형성된 외측 나사체결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측 나사결합부가 내주연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나사결합부의 하단으로는 상기 외측 나사체결부와 나사결합 및 해제시 상기 분할편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시키도록 지지대의 중심축 방향으로 내향되게 경사진 가압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of the plurality of stages is composed of three to four support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adjustable in length by fitting the lower side support to the upper side support,
The length adjusting mechanism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is made of a rotary length adjusting method,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support is formed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grooves are maintain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The outer screw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pport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screw fastening portion inclined inward by an external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divided piec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jections,
The length adjusting mechanism includes an inner screw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an outer screw coupling pa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side support, and formed at an upper end of an inner circumference, and a lower screw coupling part and a screw coupling part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crew coupling part. And a pressing piece which is inclined i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support to press or release the divided pieces when relea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단의 지지대는 3~4개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밀고 당기는 길이조절구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길이조절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외주연 일측에 누름편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편이 형성된 반대측 내주연에는 일정한 길이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조절노브;
상기 조절노브의 내측에 삽입결합되고 일단이 바깥쪽 지지대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절노브의 누름편에 의해 승강작동되어 내측 지지대의 외주연에 형성된 길이조절홈에 걸림 해제되는 스토퍼가 탄력적으로 동작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반대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노브의 조작에 따라 탄성적으로 동작되는 스프링클램프가 구비된 원통형의 가이드관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of the plurality of stages is composed of three to four support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the length adjusting device to push and pull, the length adjusting device is
A control knob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pressing piece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having an engaging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at the opposite inner circumferential edge formed with the pressing piece;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djustment knob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uter support, the stopper is lifted by the pressing piece of the control knob to release the stopper is released in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support elastically Length-adjustable safety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comprising a cylindrical guide tube having a spring clamp which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opper and is elas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knob.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단의 지지대는 3~4개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버튼식의 길이조절구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길이조절구는
외측 지지대의 외주연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내측에서 일단이 핀고정되어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푸쉬버튼의 동작시 타측에 구비된 고정돌기가 외측 지지대의 관통공을 통하여 내측 지지대의 길이조절홈에 걸림 또는 걸림이 해제되어 내측 지지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동편;
상기 푸쉬버튼이 구비된 회동편의 하부에 결합되어 푸쉬버튼 및 회동편의 탄성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of the plurality of stages is composed of three to four support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a button-type length adjustment, the length adjustment is
A fixing piece fixedly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tip of the outer support;
One end of the fixing piec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piece in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coupled to protrude from one side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rojec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outer support is caught or caught in the length adjusting groove of the inner support Rotating piec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the length of the inner support;
The push button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iece provided with a compression spring installed to enable the elastic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and the rotating piece; Length-adjustable safety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KR2020120004075U 2012-05-16 2012-05-16 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KR20047020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075U KR200470207Y1 (en) 2012-05-16 2012-05-16 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075U KR200470207Y1 (en) 2012-05-16 2012-05-16 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64U true KR20130006764U (en) 2013-11-26
KR200470207Y1 KR200470207Y1 (en) 2013-12-06

Family

ID=5075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075U KR200470207Y1 (en) 2012-05-16 2012-05-16 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07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34B1 (en) * 2014-03-24 2015-06-25 정한나래 Fixed structure of adjustable stick
KR20170018227A (en) * 2015-08-07 2017-02-16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Length adjustable stick
KR20200125316A (en) 2019-04-26 2020-11-04 이동훈 Ultrasonic range only for people who are blind, badges
SE2230054A1 (en) * 2022-02-23 2023-08-24 Fast Ip Hb Device for locking adjustment of r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683A (en) 2015-05-28 2016-12-07 (주)해올 Cane with lighting function
ITUA20164013A1 (en) * 2016-05-31 2017-12-01 Scen Srl STICK FOR BLIND AND / OR HYDRAULIC
KR102327291B1 (en) 2020-06-25 2021-11-1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Cane with catch and telescopic func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717B2 (en) * 1994-06-14 1999-08-30 昇 原田 Cane
HK1066400A2 (en) * 2004-10-20 2005-02-25 King Fai Chan A kind of multi-functional walking stick.
JP2007209728A (en) * 2006-02-13 2007-08-23 Nariyuki Mitachi Walking stick, cane or umbrella with reminder function
KR20110085242A (en) * 2010-01-19 2011-07-27 (주) 아이엘디자인 A stick using ultrasonic sensors for blind pers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34B1 (en) * 2014-03-24 2015-06-25 정한나래 Fixed structure of adjustable stick
KR20170018227A (en) * 2015-08-07 2017-02-16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Length adjustable stick
KR20200125316A (en) 2019-04-26 2020-11-04 이동훈 Ultrasonic range only for people who are blind, badges
SE2230054A1 (en) * 2022-02-23 2023-08-24 Fast Ip Hb Device for locking adjustment of r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207Y1 (en)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207Y1 (en) 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US7954870B2 (en) Tweezers with magnetically pivotal illumination device
US8201964B2 (en) Handheld flashlight with retractable leash
TW200634256A (en) Switch with light control function
US86952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lding fishing rod
US20090056777A1 (en) Lighted Cane
US20070277863A1 (en) Self-standing walking stick with light
US11240993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a grip to a leash end loop
US9526294B2 (en) Footwear with insertable lighting assembly
US7119679B1 (en) Vehicle locating apparatus
US7360921B1 (en) Portable flashlight alarm clock
KR20160001525U (en) A multi-functional stick
US7059738B1 (en) Handle with light for walking member
KR20160063705A (en) Stick having position tracing
CN203262438U (en) Outdoor cross country type zipper puller
CN110575370A (en) intelligent blind guiding stick structure and system
CN204796912U (en) Multifunction walking stick
US10578258B1 (en) Removable illumination device for a button
US20150316698A1 (en) Illuminated Accessory Device
RU148190U1 (en) A BRACELET
KR20120011477A (en) Glasses assembly for comfortable tracking of location
KR101872505B1 (en) Safety Umbrella for Accident Prevention on a Location Basis
CN201912316U (en) Luminous telescopic earpick
KR101535581B1 (en) Multi-purpose Stick of Self-generating Type
KR101649344B1 (en) Multi-Funtional stick for climb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