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758A -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6758A KR20130006758A KR1020110060978A KR20110060978A KR20130006758A KR 20130006758 A KR20130006758 A KR 20130006758A KR 1020110060978 A KR1020110060978 A KR 1020110060978A KR 20110060978 A KR20110060978 A KR 20110060978A KR 20130006758 A KR20130006758 A KR 201300067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station
- band
- uplink
- lte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0—Circuit switching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path is physically permanent during the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향링크 송신 모드가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과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기지국으로의 동시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 전력이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 전력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위험 대역을 제외하기 위한 동시 송신 모드 전용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상기 LTE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동시 송신 모드 전용 스케줄링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험 대역을 제외한 상향링크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CDMA 기지국으로 CS(Circui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LTE 기지국으로 PS(Packe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동 통신 분야에서는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데이터 고속 송수신 측면에서 꾸준한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현재 4세대 이동 통신 기술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이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4세대 통신 망과 기존에 상용화된 3세대 통신 망이 혼재한 상황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이동 통신 데이터 카드는 4세대 이동 통신 기술뿐만 아니라, 기존에 상용화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3G 이동 통신 기술을 동시에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 세대의 이동통신 기술과 기존 세대의 이동통신 기술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하여, 듀얼 모뎀 프로세서를 지닌 이동 단말기나 데이터 카드 타입의 디바이스(이하, 듀얼 모드 단말)가 필요하게 된다.
듀얼 모드 단말은 통신 방식이 다른 2개의 모뎀을 탑재하여 각각을 이용한 무선통신을 지원하며, 이종의 통신망이 혼재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듀얼 모드 단말의 대표적인 예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무선 통신과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방식의 무선 통신이 모두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가 주목 받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LTE 망, CDMA 망 모두와 통신할 수 있는 멀티 모드 디바이스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방식의 무선 통신 역시 적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LTE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는 복수개의 송신안테나와 복수개의 수신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MIMO 기법이 적용된다. MIMO 기법에 의하는 경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 혹은 수신단에서 복수개의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용량을 증대시키고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CDMA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도 EV-DO REV. A에서부터 다이버시티 기법을 위한 다중 안테나가 필요하다. 이하 본 문헌에서 MIMO를 '다중 안테나'라 지칭할 수 있다.
다중 안테나 기술에서는, 하나의 전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단일 안테나 경로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 대신 다중 안테나 기술에서는 여러 안테나에서 수신된 데이터 조각(fragment)을 한데 모아 병합함으로써 데이터를 완성한다. 다중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면, 특정된 크기의 셀 영역 내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특정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보장하면서 시스템 커버리지(coverage)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과 중계기 등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다중 안테나 기술에 의하면,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던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 통신에서의 전송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는, 제 1 기지국과 PS(Packe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모듈; 제 2 기지국과 CS(Circui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모듈; 상기 제 1 기지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모듈은 상향링크 송신 모드가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동시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 전력이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 전력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 1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위험 대역을 제외하기 위한 동시 송신 모드 전용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상기 동시 송신 모드 전용 스케줄링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험 대역을 제외한 상향링크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상기 위험 대역을 통한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신호의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대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험 대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값 이내에 위치하는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이 777MHz에서 787MHz이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은 824MHz에서 849M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는 제 1 기지국과 PS(Packe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모듈; 제 2 기지국과 CS(Circui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모듈; 상기 제 1 기지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모듈은 상향링크 송신 모드가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동시 송신 모드인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기 설정된 값의 채널 품질 정보를 제 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상향링크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값 이내에 위치하는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PMI(Precoding Matrix Index),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기 설정된 값은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이 수행되지 않는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기지국은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이며, 상기 제 2 기지국은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향링크 송신 모드가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과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기지국으로의 동시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 전력이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 전력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위험 대역을 제외하기 위한 동시 송신 모드 전용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상기 LTE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동시 송신 모드 전용 스케줄링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험 대역을 제외한 상향링크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CDMA 기지국으로 CS(Circui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LTE 기지국으로 PS(Packe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험 대역은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상기 CDMA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값 이내에 위치하는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향링크 송신 모드가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과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기지국으로의 동시 송신 모드인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기 설정된 값의 채널 품질 정보를 LTE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상향링크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CDMA 기지국으로 CS(Circui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LTE 기지국으로 PS(Packet Switching)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PMI(Precoding Matrix Index),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기 설정된 값은 상기 LTE 기지국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이 수행되지 않는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듀얼 모드 단말기가 LTE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CDMA 네트워크로의 음성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SVLTE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미국 버라이존社에서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의 단말기 구조 및 도 6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VLTE시 LTE 시스템의 상향링크 대역을 안전 대역과 위험 대역으로 구분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SVLTE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미국 버라이존社에서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의 단말기 구조 및 도 6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VLTE시 LTE 시스템의 상향링크 대역을 안전 대역과 위험 대역으로 구분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주된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 LTE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 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 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 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 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기지국(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3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 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03 내지 단계 S3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S303),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04).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 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307) 및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30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DCI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포맷이 서로 다르다.
한편, 단말이 상향 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상향 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듀얼 모드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LTE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LTE 프로세서 및 CDMA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CDMA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듀얼 모드 단말 내부에서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고, 혹은 PC 에 포함되어 듀얼 모드 단말과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CDMA 네트워크 또는 LTE 네트워크로 접속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CM(connection manager)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M은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과 두 프로세서 중 하나 (CDMA 프로세서 혹은 LTE 프로세서)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스위칭 역할을 수행한다. 즉, 듀얼 모드 단말이 CDMA 네트워크와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CDMA 프로세서와 애플리케이션이 연결되도록 A 인터페이스로 송수신하며, 듀얼 모드 단말이 LTE 네트워크와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LTE 프로세서와 애플리케이션이 연결되도록 B 인터페이스로 송수신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는 CDMA 프로세서와 LTE 프로세서 사이에 위치하며, 각 프로세서 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SVLTE (Simultaneous 1xRTT Voice and LTE Data)란, LTE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기능으로서, 음성 통화(Voice Call)와 동시에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화 사용 중에도 멀티태스킹으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기능을 말한다.
기존의 CDMA 네트워크 접속만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 SVLTE가 지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음성 통화 중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 즉 전화와 인터넷을 동시에 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CDMA 네트워크 접속만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도중 음성 통화를 위한 페이징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인터넷 연결이 끊기고, 단말 구현에 따라 음성 통화 종료 후 다시 인터넷 연결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또한, 음성 통화 도중 멀티태스킹 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더라도, 특정 알림 메시지 없이 인터넷 접속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모드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SVLTE가 지원되는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음성 통화를 하면서도 인터넷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중에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통화를 시도하더라도 인터넷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SVLTE가 지원되지 않는 영역, 즉 CDMA 네트워크 접속만이 허용되는 영역에 위치한 경우, 음성 통화와 인터넷 접속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게에는 어떤 경우에는 음성 통화와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고, 어떤 경우에는 음성 통화와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혼란을 발생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자에게 적절히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5는 SVLTE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시스템을 위한 독립적인 송수신부가 2개 존재하고, 이것을 통하여 개별 시스템 기지국과 동시에 통신을 함으로써 동시에 음성과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b)는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 각 시스템의 송수신 신호를 어떻게 분리하여 전송하는 가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다. 특히, 도 5의 (a) 및 (b)에서는 두 개의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500)가 포함되어 있다.
도 5의 (a)는 LTE 송신부와 CDMA 송신부를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501 및 502)로 분리한 구조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LTE 송신부와 CDMA 송신부가 같은 안테나 포트(503)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미국 버라이존社에서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국 버라이존社에서 제공하는 CDMA DCN(Data Core Network) UL(UpLink) 대역(602)과 LTE UL 대역(601)간의 간격이 37MHz로 매우 좁은 관계로, 현재 기술로는 CDMA DCN UL 대역(602)과 LTE UL 대역(601)을 구분할 수 있는 고정밀 결합기/분리기의 구현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능하더라도 가격의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7은 도 5의 단말기 구조 및 도 6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두 개의 서로 다른 송신부에서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때, 발생된 인터-모듈레이션 성분(Inter-modulation Product)이 수신대역에 영향을 주는 상황을 나타낸다. 즉, LTE 시스템과 CDMA 시스템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대역에 신호를 송신하면, CDMA DCN(Data Core Network) UL(UpLink) 대역(702)과 LTE UL 대역(701)간의 간격이 37MHz로 매우 좁기 때문에, 두 신호 간의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이 수신 대역(703 및 704)을 침범하는 경우가 발생을 하게 되어, 수신 성능에 심각한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도 5의 (b)와 같이 두 송신부가 안테나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한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각 송수신부에 특정 대역을 걸러내는 필터가 추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필터의 추가로 인하여 삽입 손실(Insertion Loss)이 추가 되어 기본적인 수신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다른 안테나를 통하여 유입되는 잡음을 걸러낼 수는 없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도 5의 (a)와 같이 두 송신부가 다른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필터는 추가되어야 하고, 이 경우 역시 안테나를 통하여 유입되는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에 대하여는 걸러낼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기존 구조에서 두 개의 송신부가 동시에 동작하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에 의한 잡음성분이 걸러지지 않고 수신대역을 침범함으로써, 통화 끊김 현상이나 데이터 전송 실패가 빈번히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SV-LTE 시스템에서 CDMA 신호와 LTE 신호가 동시에 송신된다면, 두 신호간의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에 의한 잡음이 수신대역으로 유입되어 성능에 치명적인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여러 회로적인 기법들이 존재하지만, 근본적으로 이러한 잡음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두 신호간의 간섭이 생길 수 있는 주파수에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야 한다. CDMA는 대역폭과 주파수가 고정되어 있어서, 같은 지역 내에서는 기지국에서 요청하는 주파수 이외의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여지가 없는데 반해, LTE 시스템은 같은 지역 내에서도 기지국이 할당해 주는 주파수 및 대역폭에 따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송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으로 인한 잡음이 생기는 주파수에 LTE 신호를 송신하지 않으면 CDMA와 LTE시스템이 동시에 동작한다 하더라도, 그로 인한 성능 저하가 없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단계 801과 같이 현재 동작 모드를 확인하여, SVLTE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한다. 이후 단말은 단계 802에서 현재의 CDMA 채널 정보를 확인하여 위험 채널 범위에 속해있는지 파악한다.
단계 803 및 단계 804에서 CDMA와 LTE의 송신 전력 각각의 임계치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에 의한 잡음 발생 여부를 인지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단말은 전송해야 할 신호가 수신 성능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 판단하고, 이를 회피하기 위한 특별한 메시지, 즉 단계 805의 “Special Scheduling 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한편, 단말이 SVLTE로 동작하지 않거나, 현재의 CDMA 채널이 위험 채널 범위가 아닌 경우, 혹은 CDMA와 LTE의 송신 전력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806에서 일반적인 “Scheduling 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9는 도 8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으로 “Special Scheduling Request” 메시지를 전달한 경우를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단계 901에서 “Special Scheduling Request” 메시지를 전달하고, 기지국은 단계 902에서 SVLTE시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이 발생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 즉, 안전 대역으로만 단말을 스케줄링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한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안전 대역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안전 대역과 위험 대역에 관하여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VLTE시 LTE 시스템의 상향링크 대역을 안전 대역과 위험 대역으로 구분한 예이다. 즉, 상향링크 신호 송신 시,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이 발생하더라도 하향링크 수신 대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대역이 안전 대역(Safe Frequency Band)이고,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이 발생하여 하향링크 수신 대역에 영향을 미치는 대역이 위험 대역(Risky Frequency Band)이다.
한편, LTE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에 사용되는 물리채널은 랜덤 접속을 위한 PRACH와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PUCCH, 데이터 전송을 위한 PUSCH로 구성되므로, 기지국은 PRACH 및 PUCCH, PUSCH등의 모든 물리채널에 대하여 위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는 주파수에 제약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LTE 시스템의 기지국, 즉 eNB는 단계 1101과 같이 인근 CDMA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정보를 전달받아,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LTE 단말의 송신 주파수에 제한을 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인근 CDMA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채널 정보에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을 유발할 수 있는 채널이 있다고 판단되면, eNB는 단계 1102에서 LTE 단말의 송신 주파수를 안전 대역으로만 제한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며, 제한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단계 1103에서 상기 안전 대역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은 단계 1201과 같이 현재의 SVLTE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이 경우, SVLTE 모드에서의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에 따른 수신 성능 하락이 예측되면, 단말은 단계 1202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CQI, RI, PMI, SRS와 같은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에 해당 주파수의 정보를 기 설정된 값으로 보고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값은 상기 위험 대역의 채널의 품질이 좋지 않은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계속하여, 단계 1203에서 기지국은 LTE 단말의 송신 주파수를 안전 대역으로만 제한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며, 제한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단계 1204에서 상기 안전 대역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직접적인 주파수 제한을 하지 않더라도, 단말에서 제공하는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주파수를 피해서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은 별도의 “Special Scheduling”를 요청 및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 1301과 같이 일반적인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다만, 단말은 단계 1302에서 자체적으로 SVLTE 모드에서의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의 영향이 예측하고, 단계 1303과 같이 송신 파워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제약을 가함으로써, 성능 저하를 회피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 제 1 기지국과 PS(Packe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모듈;
제 2 기지국과 CS(Circui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모듈;
상기 제 1 기지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모듈은,
상향링크 송신 모드가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동시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 전력이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 전력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 1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위험 대역을 제외하기 위한 동시 송신 모드 전용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상기 동시 송신 모드 전용 스케줄링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험 대역을 제외한 상향링크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대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값 이내에 위치하는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상기 위험 대역을 통한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신호의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대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 제 1 기지국과 PS(Packe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모듈;
제 2 기지국과 CS(Circui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모듈;
상기 제 1 기지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모듈은,
상향링크 송신 모드가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동시 송신 모드인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기 설정된 값의 채널 품질 정보를 제 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상향링크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PMI(Precoding Matrix Index),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기 설정된 값은,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이 수행되지 않는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값 이내에 위치하는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은,
777MHz에서 787MHz이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은,
824MHz에서 849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이며,
상기 제 2 기지국은,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향링크 송신 모드가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과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기지국으로의 동시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 전력이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신호 송신 전력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위험 대역을 제외하기 위한 동시 송신 모드 전용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상기 LTE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동시 송신 모드 전용 스케줄링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험 대역을 제외한 상향링크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CDMA 기지국으로 CS(Circui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LTE 기지국으로 PS(Packe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대역은,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상기 CDMA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값 이내에 위치하는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상기 위험 대역을 통한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CDMA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신호의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은,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대역 또는 상기 CDMA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향링크 송신 모드가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과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기지국으로의 동시 송신 모드인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기 설정된 값의 채널 품질 정보를 LTE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상향링크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CDMA 기지국으로 CS(Circuit Switching) 서비스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LTE 기지국으로 PS(Packet Switching)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PMI(Precoding Matrix Index),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기 설정된 값은,
상기 LTE 기지국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이 수행되지 않는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 중 상기 CDMA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값 이내에 위치하는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은,
777MHz에서 787MHz이며,
상기 CDMA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대역은,
824MHz에서 849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LTE 기지국으로의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한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CDMA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신호의 인터-모듈레이션 성분은,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대역 또는 상기 CDMA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0978A KR101731356B1 (ko) | 2011-06-23 | 2011-06-23 |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
US13/196,817 US8676252B2 (en) | 2011-06-23 | 2011-08-02 | Dual mode mobile terminal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0978A KR101731356B1 (ko) | 2011-06-23 | 2011-06-23 |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758A true KR20130006758A (ko) | 2013-01-18 |
KR101731356B1 KR101731356B1 (ko) | 2017-04-28 |
Family
ID=4736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0978A KR101731356B1 (ko) | 2011-06-23 | 2011-06-23 |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676252B2 (ko) |
KR (1) | KR10173135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44642A (ko) * | 2013-06-11 | 2014-12-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장치 |
US11211965B2 (en) | 2014-04-01 | 2021-1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43280B2 (en) * | 2009-04-21 | 2015-09-22 |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 Terminal apparatus and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
GB201009649D0 (en) | 2010-06-09 | 2010-07-21 | Roke Manor Research | Mobile device and method |
CN102882588B (zh) * | 2011-09-07 | 2016-04-27 | 开曼群岛威睿电通股份有限公司 | 通信传输方法和系统 |
US20130210481A1 (en) | 2012-02-15 | 2013-08-15 | Sachin Sane |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wirless technology selection |
KR20130099689A (ko) * | 2012-02-29 | 2013-09-06 | 주식회사 팬택 | 안테나 간 상호변조 잡음신호 저감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신 단말 장치 |
US9107049B2 (en) * | 2012-05-11 | 2015-08-11 | D2 Technologies, Inc. | Advanced real-time IP communication in a mobile terminal |
KR20140133408A (ko) * | 2013-05-10 | 2014-11-19 | 주식회사 팬택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
US9999005B2 (en) * | 2013-05-20 | 2018-06-12 |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secondary cel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
US20150009874A1 (en) * | 2013-07-08 | 2015-01-08 | Amazon Technologies, Inc. | Techniques for optimizing propagation of multiple types of data |
US9549410B2 (en) | 2014-08-13 | 2017-01-17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Interference mitigating cellular network |
US9967766B2 (en) * | 2016-02-29 | 2018-05-08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ve measurement configuration selection in a vehicula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61568A (en) * | 1996-10-01 | 2000-05-09 | Ericsson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modulation effects in multiple-signal transmission systems |
US8184580B2 (en) | 2009-02-12 | 2012-05-22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Data packet communication schedu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
US8285291B2 (en) | 2010-02-02 | 2012-10-09 | Clearwire Ip Holdings Llc |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e device handover |
US8917593B2 (en) | 2010-03-18 | 2014-12-23 | Qualcomm Incorporated | Random access design in a multiple component 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
-
2011
- 2011-06-23 KR KR1020110060978A patent/KR10173135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8-02 US US13/196,817 patent/US867625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44642A (ko) * | 2013-06-11 | 2014-12-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장치 |
US11211965B2 (en) | 2014-04-01 | 2021-1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1356B1 (ko) | 2017-04-28 |
US20120329514A1 (en) | 2012-12-27 |
US8676252B2 (en) | 2014-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1356B1 (ko) |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 |
US10470228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device-to-device link signal based on location of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
US907816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1829840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2014032828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 |
KR102120106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20220264393A1 (en) | Cell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 |
CN115004600A (zh) | 用于基于单下行链路控制信息的多传送接收点通信的波束故障恢复后的默认准共处假设 | |
EP4195850A1 (en) | Method for terminal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that uses the method | |
KR20140058644A (ko) |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EP2628352A1 (en) | Device to device and connection mode switching | |
US9832665B2 (en) |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signals for alleviat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 |
US20240008120A1 (en) |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 |
CN115336189A (zh) | 双连接中的天线管理 | |
US12107717B2 (en) | Beam failure recovery method an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 |
EP4256873A1 (en) | Facilitating duplex mode per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 |
CN114762437A (zh) | 联合msg3重复因子和tpc指示 | |
US20220248325A1 (en) | Status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 |
US20240163773A1 (en) | Method for access control, relay terminal and network device | |
EP2139244A1 (en) | User device, base st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
EP4106368A1 (en)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 |
KR20190034336A (ko) |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CN114342444A (zh) | 用于具有不同参数设计或异步的副蜂窝小区群改变的准共位优先级排定 | |
US2024021509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liability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fr2 rrm | |
JP2024514068A (ja) | 統一されたtci指示を使用したdciにおけるダミー指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