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642U - 타일 연결 유닛 - Google Patents

타일 연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642U
KR20130006642U KR2020120003856U KR20120003856U KR20130006642U KR 20130006642 U KR20130006642 U KR 20130006642U KR 2020120003856 U KR2020120003856 U KR 2020120003856U KR 20120003856 U KR20120003856 U KR 20120003856U KR 20130006642 U KR20130006642 U KR 201300066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connection unit
gap adjusting
til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이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화 filed Critical 이병화
Priority to KR2020120003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642U/ko
Publication of KR20130006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6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3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서리 부분에 서로 맞물리는 걸림턱(13a)과 걸림홈(13b)이 각각 형성되고 표면에는 타일(T)의 시공위치를 분할하는 간격조절부(17)가 돌출 형성된 타일 연결 유닛을 제공함으로서, 걸림턱과 걸림홈에 의해 타일 연결 유닛이 수직 수평으로 서로 조립되고 간격조절부가 타일의 부착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해주므로 위치정렬이 간편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초보자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타일 연결 유닛{Tile connection unit}
본 고안은 타일 연결 유닛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및 바닥에 시공되는 타일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타일 연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은 바닥ㆍ벽면ㆍ천정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만든 평판상(平板狀)의 점토질 소성제품으로, 내구성이 우수하여 주방ㆍ화장실ㆍ목욕탕ㆍ세면장 등의 마감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일의 시공은 시멘트 몰타르가 도포된 벽면, 천정 또는 바닥에 타일의 줄과 열을 맞춰 부착하는 습식공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시공과정에서 타일 사이에 줄눈 시공을 위한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야 함에 따라 초보자의 경우 타일 하나하나를 간격에 맞게 수평으로 부착시키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부직포 상에 타일 여러장을 일체로 배치한 매트형태의 모자이크 타일 또한 상호연결 작업시 전체적인 수평을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초보자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9-0001105호에서 상부에 십자 형태로 돌출부가 형성된 베이스판이 타일의 모서리 부분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가로 세로 위치를 정렬해주는 타일 시공용 맞춤구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타일 시공용 맞춤구는 하나의 맞춤구에 4개의 타일이 결합되도록 구획된 것으로 이들 4공간이 분리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반드시 4개의 타일이 모이는 곳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타일설치부위의 가장자리부분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십자형 돌출부 중 2개의 돌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단하여야 하므로 절단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타일 시공용 맞춤구와 타일을 접착제로 접착하므로 사용중 접착제의 접착력 약화로 인하여 타일과 타일 시공용 맞춤구 사이에 틈이 발생함으로서 사용중 타일이 벽면 등 설치 면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타일의 수직ㆍ수평 정렬이 용이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초보자도 쉽게 타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한 타일 연결 유닛은 사용목적에 따라 타일의 네 꼭지점 부분에만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매 유닛마다 한 개의 타일을 배치하여 사용하는 등 활용도가 다양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일 연결 유닛과 타일을 못이나 피스 등의 체결구로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 중 타일 연결 유닛과 타일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설치면으로부터 타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인접한 타일연결유닛끼리 서로 조립되도록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13a)과 상기 걸림턱(13a)과 대응되도록 측면에 내측으로 만곡형성되는 걸림홈(13b)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타일(T)의 시공위치를 분할하는 간격조절부(17)가 돌출 형성된 타일 연결 유닛(10)에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일 연결 유닛(10)에는 못이나 피스 등으로 타일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1)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13b)은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내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걸림턱(13a)은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시 측방향 및 상/하 방향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17)는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고,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사용 목적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중첩 배치되거나 각각 다른 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걸림턱과 걸림홈에 의해 타일 연결 유닛이 서로 조립되고 이러한 조립에 의하여 간격조절부가 수직/수평정렬되고, 이와 같이 정렬된 간격조절부가 타일의 부착위치를 설정해주므로, 작업자는 타일을 간격조절부 사이에 배치하는 과정만으로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한 간격조절부가 벽면시공시 설치된 타일의 하단을 지지해주게 되므로 타일이 하부로 낙하 혹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공에 의해 타일 연결 유닛과 타일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사용중에 타일이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타일 시공 경험이 없는 초보자도 간단하게 타일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타일 연결 유닛은 사용목적에 따라 타일의 네 꼭지점 부분에만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매 유닛마다 한 개의 타일을 배치하여 사용하는 등 그 활용도가 다양하여 사용상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일 연결 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연결 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연결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연결 유닛을 이용한 타일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연결 유닛을 이용한 타일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일 연결 유닛을 이용한 타일 시공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타일연결유닛(10)은 대칭되는 2개의 변에 서로 대응되는 걸림턱(13a)과 걸림홈(13b)이 각각 형성되고 표면에는 타일(T)의 시공위치를 분할 및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7)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타일연결유닛(10)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일연결유닛(10)과 타일(T)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못이나 피스 등의 체결구(B)가 체결되는 체결공(11)이 더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공(11)은 인접한 다른 타일 연결 유닛(10)에 연결되어 하중이 집중되는 걸림턱(13a)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턱(13a)과 걸림홈(13b)은 지그소(jigsaw) 퍼즐 형태 즉, 걸림홈(13b)의 경우 내측으로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걸림턱(13a)을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고정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타일 연결 유닛(10)은 서로 결합 되었을 때 상하 좌우로 일직선상에 놓이게 됨과 아울러 측방향 및 상/하방향 이탈이 방지된다.
참고로,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외주면 마다 하나씩의 걸림턱(13a) 또는 걸림홈(13b)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타일 연결 유닛(10)의 크기가 확장되거나 보다 견고한 체결이 필요한 경우 복수의 걸림턱(13a)과 걸림홈(13b)을 구비하여 타일 연결 유닛(10)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줄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턱(13a)과 걸림홈(13b)은 도 3a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3a)과 걸림홈(13b)의 형상은 연결부의 내구성을 저하 시키지 않는 범위 내라면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17)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일(T)의 설치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것으로, 하나의 타일 유닛에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고,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는데, 인접한 걸림턱(13a)과 걸림홈(13b)에 각각 1개씩 형성될 수도 있고, 인접한 걸림턱(13a)에만 1개씩 2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타일연결유닛(10)의 크기가 타일(T)과 대응되는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부(17)가 각 타일연결유닛(10)에 둘 이상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타일 연결 유닛(10)이 상호 체결되었을 때 각각의 간격조절부(17)가 인접한 타일 연결 유닛(10)의 간격조절부(17)와 연결되어 타일(T)의 둘레를 수직 및 수평으로 감싸는 격자형상으로 배치되므로 타일(T)의 시공위치를 명확하게 결정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공자는 타일(T)을 상기한 간격조절부(17) 사이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정확한 수평 및 수직위치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타일연결유닛(10)의 크기가 타일(T)의 1/2보다 작은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일 연결 유닛(10)은 인접한 간격조절부(17)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4개의 타일연결유닛(10)이 서로 결합된 경우 간격조절부(17)가 전체적으로 '+'형이 되도록 하여 타일(T)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조절부(17)는 타일(T)이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시공되었을 때 시공된 타일(T)의 하단을 받쳐주게 되므로 타일(T)이 하부로 떨어지며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17)는 타일(T)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시공 후 백시멘트를 이용한 줄눈작업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깔끔하게 가려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타일연결유닛(10)은 벽면에 타일접착용 접착제(백시멘트 등)를 통해서 고정된다.
10 : 타일 11 : 체결공
13a : 걸림턱 13b : 걸림홈
17 : 간격조절부
T : 타일 B : 체결구

Claims (5)

  1. 인접한 타일연결유닛끼리 서로 조립되도록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13a)과 상기 걸림턱(13a)과 대응되도록 측면에 내측으로 만곡형성되는 걸림홈(13b)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타일(T)의 시공위치를 분할하는 간격조절부(17)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연결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13b)은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내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걸림턱(13a)은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연결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17)는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연결 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연결 유닛(10)에는 체결공(11)이 더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연결 유닛.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17)는 인접한 두 변에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연결 유닛.
KR2020120003856U 2012-05-10 2012-05-10 타일 연결 유닛 KR201300066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856U KR20130006642U (ko) 2012-05-10 2012-05-10 타일 연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856U KR20130006642U (ko) 2012-05-10 2012-05-10 타일 연결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42U true KR20130006642U (ko) 2013-11-20

Family

ID=5243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856U KR20130006642U (ko) 2012-05-10 2012-05-10 타일 연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64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5309A1 (en) Panel veneer systems
US9003736B2 (en) System for a floor covering
KR100996878B1 (ko) 조립식 타일 결합체
RU143969U1 (ru) Фасадный облицовочный модуль (варианты)
KR20090117289A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JP6301587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101336959B1 (ko) 조립식 건축물의 모서리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5685157B2 (ja) 見切り部材セットとその施工方法
KR20130006642U (ko) 타일 연결 유닛
RU2613221C1 (ru) Крепление пазогребневой фасадной плитки к несущей стене
CN215889035U (zh) 一种墙地整体装饰结构
RU173103U1 (ru) Фасадный облицовочный модуль
RU2018131942A (ru)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набор и моду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ухого создания конструкций для сооружений
RU143949U1 (ru) Угловой фасадный облицовочный модуль
TWM610287U (zh) 建築扣件裝置
CN112814308A (zh) 一种墙地整体装饰结构及其安装方法
KR20130105586A (ko)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및 실내 몰딩 설치방법
KR101336669B1 (ko) 건축물의 벽면에 내/외장재로 설치되는 판넬 구조체
RU145040U1 (ru) Угловой фасадный облицовочный модуль
CN214402554U (zh) 建筑扣件装置
CN212176408U (zh) 一种墙面板材结构
JP6181398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JP7329315B2 (ja) 天井材の施工方法
CN215563764U (zh) 一种吊顶的安装组件及吊顶结构
KR200423527Y1 (ko) 천정 마감패널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