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581U - 유아용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양손잡이 - Google Patents

유아용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양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581U
KR20130006581U KR2020120003759U KR20120003759U KR20130006581U KR 20130006581 U KR20130006581 U KR 20130006581U KR 2020120003759 U KR2020120003759 U KR 2020120003759U KR 20120003759 U KR20120003759 U KR 20120003759U KR 20130006581 U KR20130006581 U KR 201300065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ttle
handle
cup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886Y1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2020120003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88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5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5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23Holders for bottles facilitating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4Handles formed separa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젖병이나 이유식병, 유아용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용 젖병이나 이유식병, 유아용 컵 등에 구비되어 양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고, 직경이 다른 병이나 컵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일부가 단절되어 있어 손잡이를 잡고 벌리면 하우징의 직경을 넓힐 수 있도록 형성된 양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용 병이나 유아용 컵에 적용되는 양손잡이에 있어, 병이나 컵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하우징; 하우징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하우징의 일부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잡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아용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양손잡이{BOTH HAND HANDLE PROVIDED WITH FEEDING BOTTLES OR CUPS}
본 고안은 유아용 젖병이나 이유식병, 유아용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용 젖병이나 이유식병, 유아용 컵 등에 구비되어 양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고, 직경이 다른 병이나 컵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일부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부를 잡고 벌리면 하우징의 직경을 넓힐 수 있는 양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수유를 하기 위한 젖병이나 이유식병, 유아용 컵 등은 유아에게 일용할 음식을 먹인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도구이다.
근래에는 모유의 수유가 줄어들고 있고, 모유를 수유한다고 하더라도 어머니가 직장을 다니는 이유 등으로 직접 수유보다는 모유를 미리 짜두었다가 필요할 때 먹이는 방법을 활용할 때가 많으므로 수유를 보관하기 위한 병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유아용 병이나 유아용 컵은 보호자가 이를 쥐고 유아에게 먹이는 경우도 있지만, 악력이 발달한 유아는 스스로 잡고 먹게 된다. 그러나, 유아가 직접 병이나 컵을 쥐는 경우 집중력이 떨어지는 유아기의 특성상 떨어트리는 등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또 직접 병이나 컵을 쥐기에는 악력이 부족한 유아를 위하여 안정적으로 병이나 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양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양손잡이를 이용하여 병이나 컵을 쥔 채 쉽고 안전하게 내용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예로,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1991-0000309호에 손잡이를 가진 유아용 젖병이 공개되어 있다. 이 고안은 젖병 몸체와 젖병 뚜껑 사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캡에 양손잡이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7005호에 심장 박동 음향을 발생하는 기능성 젖병 케이스가 등록되어 있다. 이 발명은 우유병 내의 우유를 매질로 음향이 유아에게 전달되게 함으로서 보다 그윽하고 은은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심장 박동 소리에 대한 청감을 유아에게 전달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자궁 내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젖병으로 젖병에 끼워지는 하우징에 손잡이가 달려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경우 손잡이가 특정한 병에 맞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병이나 컵에 활용하려면 그에 맞는 별도의 양손잡이 도구가 있어야 하며 이것은 비용적으로나 실용적으로 번거로운 일이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아용 병이나 컵 등에 구비되어 양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고, 직경이 다른 병이나 컵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일부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를 잡고 벌리면 하우징의 직경을 넓힐 수 있도록 형성된 양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용 병이나 유아용 컵에 적용되는 양손잡이에 있어, 병이나 컵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하우징; 하우징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하우징의 일부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잡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심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하우징의 단면이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잡이가 제공된다.
한편, 손잡이부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어 하우징의 직경이 넓어질 수 있는 양손잡이가 제공되어 직경이 다른 다양한 병이나 컵에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하우징 및 손잡이 내부에 심재가 삽입되어 있어 유연하면서도 경도를 지니고 있으며 유연한 재질의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으로 외형을 형성할 수 있는 양손잡이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병이나 유아용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는 병이나 컵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하우징(10); 하우징(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21,22);를 포함하되, 하우징(10)에는 절개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병이나 유아용 컵에 구비되는 양손잡이는 병이나 컵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2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유연성이 있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그 일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일부에 절개부(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21,22)를 잡고 바깥쪽으로 벌리면 하우징(10)은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벌어지게 된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심재(12)가 삽입될 수 있다. 심재(12)에 적용되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은 경도가 높고 연성이 좋은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양손잡이의 하우징(10)에 심재(12)가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0)의 강도를 높이고 내구성을 좋게 하며 유아의 악력으로는 쉽사리 하우징(10)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경도는 높되 연성이 좋은 재질의 심재를 적용해 하우징(10)을 벌리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힘이 필요하지만, 일단 벌어지는 수준의 힘을 넘어서면 쉽사리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을 참조하면, 전술한 모든 예에서 하우징(10)의 단면을 하우징(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만곡부(10a)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손잡이를 병이나 컵에 부착시킬 때 더 압착되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모든 예에서 손잡이부(21,22)를 미끄러지지 않고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21,22)의 내외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손잡이를 활용하면 병이나 컵의 직경이 다르더라도 손잡이부(21,22)를 잡아 벌려 하우징(10)의 직경을 넓힌 상태에서 병이나 컵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양손잡이의 손잡이부(21,22)를 벌릴 수 있는 정도의 악력은 성인의 악력 기준에 맞춰지도록 하여 유아가 잡을 경우에는 단지 병이나 컵을 쥐는 수단으로만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양손잡이가 쉽사리 병이나 컵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하우징 11 절개부
12 심재 21,22 손잡이부

Claims (4)

  1. 유아용 젖병이나 이유식병 또는 유아용 컵에 적용되는 양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병이나 컵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잡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심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잡이.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면이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잡이.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잡이.
KR2020120003759U 2012-05-07 2012-05-07 유아용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양손잡이 KR200470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759U KR200470886Y1 (ko) 2012-05-07 2012-05-07 유아용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양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759U KR200470886Y1 (ko) 2012-05-07 2012-05-07 유아용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양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81U true KR20130006581U (ko) 2013-11-15
KR200470886Y1 KR200470886Y1 (ko) 2014-01-16

Family

ID=5141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759U KR200470886Y1 (ko) 2012-05-07 2012-05-07 유아용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양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8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22U (ko) 2020-04-09 2021-10-19 윤기문 젖병의 양손잡이 조립구조
KR102370414B1 (ko) * 2021-07-01 2022-03-04 주식회사 도리도리 촉감 손잡이가 구비된 유아용 젖병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523Y2 (ja) * 1992-02-21 1998-07-16 ピジョン株式会社 幼児用飲用器
KR950009633Y1 (ko) * 1993-02-08 1995-11-09 이준호 유아용 우유병 지지구
USD454642S1 (en) 1997-11-21 2002-03-19 Nouri E. Hakim Baby bottle
US8215519B2 (en) 2009-10-06 2012-07-10 Zak Designs, Inc. Fluid dispensing val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22U (ko) 2020-04-09 2021-10-19 윤기문 젖병의 양손잡이 조립구조
KR102370414B1 (ko) * 2021-07-01 2022-03-04 주식회사 도리도리 촉감 손잡이가 구비된 유아용 젖병 커버
WO2023277354A1 (ko) * 2021-07-01 2023-01-05 주식회사 도리도리 촉감 손잡이가 구비된 유아용 젖병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886Y1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98932A1 (en) Device for attaching to a baby bottle for holding the bottle
US8146760B1 (en) Baby bottle with tubular gripping sections
US20200163475A1 (en) Spoon
EP3294257B1 (en) A container gripping aid
KR200470886Y1 (ko) 유아용 병이나 컵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양손잡이
US20110239470A1 (en) Helper Utensil
USD823474S1 (en) Nippled top for a baby bottle
US20110003273A1 (en)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US20180168379A1 (en) A handheld apparatus with orientation guiding grip
US20100212115A1 (en) Holder
US10455961B2 (en) Adaptive handcuff for progressive feeding utensils
JP5713384B2 (ja) 飲食用具
GB2376410A (en) Child feeding utensil with mouth guard
EP3059180B1 (en) Weaning clip
GB2434968A (en) Child feeding utensil with mouth guard
KR200449188Y1 (ko) 고리부재를 갖춘 식사도구
CN201888944U (zh) 奶瓶保护套
TWI709401B (zh) 嬰幼兒學習擷取水分的手持裝置
KR20170078181A (ko) 유아용 스푼
JP2006271419A (ja) 飲食用具
GB2497590A (en) Training bottle or cup with grip portion
CN107981652A (zh) 儿童水杯
TWM569320U (zh) Rehabilitation auxiliary strap
KR20170048089A (ko) 유아용 안전 포크
CN104708642A (zh) 儿童剪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