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506U - 방수 케이스 - Google Patents

방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506U
KR20130006506U KR2020120003639U KR20120003639U KR20130006506U KR 20130006506 U KR20130006506 U KR 20130006506U KR 2020120003639 U KR2020120003639 U KR 2020120003639U KR 20120003639 U KR20120003639 U KR 20120003639U KR 20130006506 U KR20130006506 U KR 201300065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terproof
waterproof bag
bag memb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삼
Original Assignee
최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삼 filed Critical 최병삼
Priority to KR2020120003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506U/ko
Publication of KR20130006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5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2Watertight containers for use while sw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8Details; Accessories for making water- or air-t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방수 주머니부재를 케이싱부재 내부에 보관하고, 필요한 경우에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 및 상품성이 크고, 항상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여 비상 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방수 케이스{Waterproof case}
본 고안은 방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물이나 습한 환경에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미사용 시 휴대가 간편한 방수 케이스에 관한 고안이다.
최근에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간에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는 휴대폰(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각 개인이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근래에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 폰의 보급율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중에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스마트폰등과 같이 휴대폰은 점차 기능이 다양화되어 이동 중 활용성이 점차 더 커지고 있다.
상기한 스마트 폰 등의 휴대폰 이외에도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이 되는 소형 전자 기기에는 소형 디지털 카메라, MP3플레이어, PDA, 테블릿 PC 등이 있다.
특히, 스마트 폰과 테블릿 PC 등의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사용하고 싶어한다.
그런데, 상기한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물에 약해 야외에서 비가 오거나, 바닷가, 수영장 등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방수 케이스를 사용하여 물로부터 휴대용 전자 기기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수 케이스는 연질의 시트로 제조되고, 보관하려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종래의 방수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내부에 휴대하지 않는 경우 불필요하게 넓은 크기를 가져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휴대용 전자 기기는 상기 방수 케이스 내부에서 수시로 인출되어 사용된다.
종래의 방수 케이스는 적어도 보관하려는 휴대용 전자 기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수납하지 않는 경우 불필요한 크기 때문에 불편함이 커서 활용도가 점차 낮아지게 되고, 비상 시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 선행기술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41094호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여 활용성 및 상품성이 높은 방수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과제는, 일 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개구된 부분을 밀폐시키는 방수 지퍼부가 구비된 방수 주머니부재; 및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가 보관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가 인출되는 슬릿부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개폐할 수 있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한 방수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수납하지 않는 경우 크기를 줄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는 항상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여 비상 시 바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에서 도어부를 잠금, 해제하는 도어 잠금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의 미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의 미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는 일 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방수 주머니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 공간에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수납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지갑 등 기타 물놀이 또는 우천 시 방수 대상이 되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는 비닐재질의 시트가 두 겹으로 배치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일측 이외의 둘레가 접합되어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수납 대상이 되는 물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는 개구된 일 측에 개구된 부분을 밀폐시키는 방수 지퍼부(11)가 구비된다. 상기 방수 지퍼부(11)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안쪽면에 각각 개구된 부분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이격된 지퍼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는 개구된 일 측에 구비된 지퍼 레일을 분리하여 개구된 부분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지퍼 레일을 서로 맞물려 결합시키면 개구된 부분을 밀폐시킨다.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는 케이싱부재(20) 내에 보관된다. 상기 케이싱부재(20)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가 내부에 보관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는 상기 케이싱부재(20)의 공간부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된다.
상기 케이싱부재(20)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가 내부에 보관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를 폭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된 케이스 몸체부(21); 및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케이스 도어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와 상기 케이스 도어부(22)의 사이에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를 폭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인출할 수 있는 슬릿부(20a)가 형성된다. 상기 슬릿부(20a)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폭과 적어도 같게 형성되어 상기 방수 주머니가 폭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인출된다.
상기 케이스 도어부(22)는 일 측이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의 일 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 도어부(22)의 타 측 단부와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의 타 측 단부 사이에 상기 슬릿부(20a)가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도어부(22)의 타 측 단부와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의 타 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상기 슬릿부(20a)로 인출된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일 측을 가압하여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개구된 일 측을 밀폐시키는 패킹부(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부(23)는 상기 슬릿부(20a)를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 도어부(22)의 타 측 단부와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의 타 측 단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가 상기 케이스 몸체부(21) 내로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부(20a)를 막아 상기 슬릿부(20a)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 몸체부(2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패킹부(23)는 고무, 합성 고무, 우레탄 등과 같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는 일 측이 상기 케이싱부재(20)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일 측과 상기 케이싱부재(20)의 내측면 중 한 측에는 숫 벨크로 테이프(12)가 구비되고,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일 측과 상기 케이싱부재(20)의 내측면 중 다른 측에는 암 벨크로 테이프(13)가 구비되어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일 측에는 숫 벨크로 테이프(12)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부재(20)의 내측면에는 암 벨크로 테이프(13)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는 상기 케이싱부재(20)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방수 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내부에 물건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는 사용 중 상기 케이싱부재(20)의 내측에 일 측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부재(20)에서 분리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는 상기 케이싱부재(20)와 연결되는 목걸이부재(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케이싱부재(20)를 사용자의 목에 걸어 간편하게 휴대하고, 휴대 중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걸이부재(40)는 상기 케이싱부재(20)의 폭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부(41);
상기 와이어부(41)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부재(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와이어 결합구(41a);
상기 케이싱부재(20)의 폭 방향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측 및 상기 와이어부(41)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결합구(41a)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결합구(41a)는 상기 와이어부(41)의 양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42)는 상기 케이싱부재(20)의 폭 방향 양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부으 양 단부 중 하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분리하여 상기 와이어부에 장착된 상기 와이어 고정부(42)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42)는 상기 와이어 결합구(41a)가 삽입되는 결합 홈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결합구(41a)를 상기 결합 홈에 넣고 누르면 결합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42)와 상기 와이어 결합구(41a)는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볼트 결합 구조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양한 예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20)는 상기 케이스 도어부(22)를 닫힌 상태로 잠그고, 잠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도어 잠금부(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잠금부(24)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 도어부(22)는 복수의 도어 잠금부(24)를 해제한 경우에만 열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열릴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도어 잠금부(24)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 내에 물건을 수납하여 사용 중 상기 케이스 도어부(22)가 갑자기 열리면서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사고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도어 잠금부(24)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를 상기 케이스 몸체부(21) 내에 보관하여 휴대 중에 상기 케이스 도어부(22)가 갑자기 열리면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케이스 도어부(22)는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 잠금부(24)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회전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부(21)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 도어부(22)는 자동으로 회전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부(21)를 열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도어 잠금부(24)는 탄성 지지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도어부(22)를 걸어 지지하는 걸림구(24a)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구(24a)를 누르면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일 예를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도어 잠금부(24)는 상기 케이스 도어부(22)에 구비되는 걸림턱(24b),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부(21)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걸림구(24a), 상기 걸림구(24a)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4c)을 포함한다.
즉, 상기 케이스 도어부(22)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24b)이 상기 걸림구(24a)에 걸려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24a)를 누르면 걸림턱(24b)이 걸림구(24a)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케이스 도어부(22)가 열리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도어부(22)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면 상기 스프링(24c)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기 걸림구(24a)가 상기 걸림턱(24b)이 걸리는 위치로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 도어부(22)를 닫힌 상태로 잠그게 된다.
상기 걸림구(24a)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걸림구(24a)를 동시에 눌러 각각의 걸림구(24a)에 대한 걸림 상태가 동시에 해제된 경우에만 상기 케이스 도어부(22)가 열리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는 미사용 시 즉,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 내에 물건을 보관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를 접어서 상기 케이싱부재(20)의 내부에 보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재(20)의 내부에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가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부재(40)는 상기 와이어부(41)의 한 단부에 구비된 와이어 결합구(41a)가 상기 케이싱부재(20)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부(42)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부(41)의 다른 단부에 구비된 와이어 결합구(41a)가 상기 와이어부(41)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부(42)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 내에 물건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를 상기 슬릿부(20a)를 통해 폭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인출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해 일단 상기 케이스 도어부(22)를 열어 접혀진 방수 주머니부재(10)를 펼치고, 개구된 일 측을 통해 휴대용 전자 기기와 같은 방수 대상 물건을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내부에 수납한다. 이 때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를 상기 케이싱부재(20)에서 분리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와 같은 방수 대상 물건을 삽입한 후 다시 상기 케이싱부재(20)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에 물건을 삽입한 후 개구된 방수 지퍼부(11)를 닫아 개구된 일측을 밀폐시킨 후 상기 케이스 도어부(22)를 닫는다.
상기 슬릿부(20a)에서 상기 패킹부(23)에 의해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일 측부분이 가압 밀착되어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내부가 더 완전하게 밀폐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 내에 물건이 삽입되어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가 상기 케이싱부재(10)에서 인출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목걸이부재(40)는 상기 와이어부(41)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케이싱부재(20)의 양 단부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상기 목걸이부재(40)는 사용자의 편의 또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의 사용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와이어부(41)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에 방수 대상의 물건을 수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10)를 상기 케이싱부재(20)의 내부에 보관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항상 휴대 시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아 휴대하면서 비상 시에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수납하지 않는 경우 크기를 줄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상품성이 높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방수 주머니부재 11 : 방수 지퍼부
12 : 숫 벨크로 테이프 13 : 암 벨크로 테이프
20 : 케이싱부재 21 : 케이스 몸체부
22 : 케이스 도어부 23 : 패킹부
24 : 도어 잠금부 40 : 목걸이부재
41 : 와이어부 42 : 와이어 고정부

Claims (8)

  1. 일 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개구된 부분을 밀폐시키는 방수 지퍼부가 구비된 방수 주머니부재; 및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가 보관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가 인출되는 슬릿부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개폐할 수 있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는 일 측이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의 일 측과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측면 중 한 측에는 숫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의 일 측과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측면 중 다른 측에는 암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는,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가 내부에 보관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를 폭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된 케이스 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 몸체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케이스 도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케이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도어부는 일 측이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일 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 도어부의 타 측 단부와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타 측 단부 사이에 상기 슬릿부가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를 폭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를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 도어부의 타 측 단부와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타 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상기 슬릿부로 인출된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의 일 측을 가압하여 상기 방수 주머니부재의 개구된 일 측을 밀폐시키는 패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케이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는 상기 케이스 도어부를 닫힌 상태로 잠그고, 잠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도어 잠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케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부는 탄성 지지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도어부를 걸어 지지하는 걸림구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구를 누르면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와 연결되는 목걸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걸이부재는,
    상기 케이싱부재의 폭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부;
    상기 와이어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와이어 결합구; 및
    상기 케이싱부재의 폭 방향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측 및 상기 와이어부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결합구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케이스.
KR2020120003639U 2012-05-03 2012-05-03 방수 케이스 KR201300065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39U KR20130006506U (ko) 2012-05-03 2012-05-03 방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39U KR20130006506U (ko) 2012-05-03 2012-05-03 방수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06U true KR20130006506U (ko) 2013-11-13

Family

ID=5243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639U KR20130006506U (ko) 2012-05-03 2012-05-03 방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50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9764B2 (en) Water resistant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210076793U (zh) 箱包收纳盒及拉杆箱
AU2013358877B2 (en) Latch and carry detachable messenger bag and shoulder strap assembly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US8005251B2 (en) Portable waterproof equipment
US8295896B2 (en) Waterproof cover for mobile phone
CA2829468A1 (en) Hard suitcase
KR200476233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40074786A (ko)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US11601009B2 (en) Sheath for convenient charging
KR100863840B1 (ko) 휴대기기용 방수팩
CN212787749U (zh) 组合式防水袋
KR101168293B1 (ko) 방수 케이스
KR20130006506U (ko) 방수 케이스
KR101552062B1 (ko) 백팩
CN203563800U (zh) 一种新型行李箱
CN211985215U (zh) 一种毛巾
US20120273499A1 (en) Sturdy notebook carrying case
KR20150110061A (ko) 휴대전화 다이어리 케이스 체결부에 설치되는 유에스비 메모리
KR20200053339A (ko) 휴대 단말기용 방수케이스
CN202222623U (zh) 防水保护袋
KR100438683B1 (ko) 배낭형 학생가방
KR200478580Y1 (ko) 카드 인출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201082792Y (zh) 一种床上用品多件套包装箱
KR101395885B1 (ko) 방수 케이스
CN207234888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