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254U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254U
KR20130006254U KR2020120003235U KR20120003235U KR20130006254U KR 20130006254 U KR20130006254 U KR 20130006254U KR 2020120003235 U KR2020120003235 U KR 2020120003235U KR 20120003235 U KR20120003235 U KR 20120003235U KR 20130006254 U KR20130006254 U KR 201300062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touch
display unit
protective plate
sens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초우 예
원-치 로
Original Assignee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20003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254U/ko
Publication of KR201300062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2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유닛을 가지는 터치컨트롤장치에 적응된 터치패널이 개시된다. 이는 표면에 형성되는 커버영역과 투명영역을 가지는 보호판; 상기 투명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보호판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감지층; 상기 터치감지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상기 투명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보호판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도체회로를 구비한다. 기대되는 터치컨트롤 기능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더욱 많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좁은 프레임을 가지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터치컨트롤장치(1)는, 터치패널(11) 및 디스플레이유닛(1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터치패널(11)은 통상, 보호판(111) 또는 커버글래스(CG)의 레이어 하에 보호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111)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판(111)의 프레임(1111)은, 대개 심미적 이유에서 불투명인데, 이는, 터치감지층(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체회로(115)가 대개 불투명 금속선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불투명 프레임(1111) 뒤에 숨겨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좁은 프레임을 가지는 터치컨트롤장치가 점점 인기를 끌고 있고, 따라서, 종래의 프레임을 가지는 종래의 터치패널(11)은, 더 이상 적절하지 않아서 좁은 프레임의 현대적 수요에 부응하도록 개선될 필요가 있다. 게다가, 도체회로(115)의 존재 때문에, 종래 터치패널(11)을 이용하여 터치컨트롤장치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아이콘의 개수가 한정되어 있고, 증가시키기 어렵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영역(1110) 즉 터치컨트롤장치(1)의 디스플레이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은 단 6개의 아이콘(16)뿐이다. 이러한 한계는, 보다 작고, 얇고 가벼운 신규 터치컨트롤 제품의 개발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터치컨트롤장치에 적응된 개선된 터치패널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컨트롤장치가 좁은 프레임을 가지도록 하여, 보다 많은 아이콘들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도록 할 수 있는, 터치컨트롤장치에 적응된 터치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유닛을 가지는 터치컨트롤장치에 적응된 터치패널을 제공하고, 이는, 그 표면에 형성된 커버영역 및 투명영역을 가지는 보호판; 상기 투명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보호판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감지층; 상기 터치감지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상기 투명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보호판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도체회로로 이루어진다.
본 출원의 적용가능성의 기타 범위는 이하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과 개량이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용이한 이해를 위한 설명의 목적으로서 주어지는 것일 뿐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컨트롤장치가 좁은 프레임을 가져서, 보다 많은 아이콘들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도록 할 수 있는, 터치컨트롤장치에 적응된 터치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 이하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이들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주어지는 것이며, 본 발명의 제한이 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컨트롤장치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종래의 터치컨트롤장치의 예시적 디스플레이 능력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그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6개의 아이콘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터치컨트롤장치를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터치컨트롤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터치패널을 이용하는 터치컨트롤장치의 예시적 디스플레이 능력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그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12개의 아이콘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구비된 기능과 구조적 특성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인지를 위하여, 몇 가지 예시적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과 함께 제시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들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터치컨트롤장치를 보여주는 전개도 및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컨트롤장치(2)는, 본 발명의 터치패널(21) 및 디스플레이유닛(23)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터치패널(21)은 디스플레이유닛(23)의 상면 위에 부착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유닛(23)은 종래의, 액정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플라즈마패널디스플레이(PDP) 또는 이-페이퍼(e-paper) 등과 같은 평판패널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패널(21)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호판(211), 터치감지층(213) 및 도체회로(215)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판(211)의 하나의 특정 기능은, 터치컨트롤장치(2)를 보호하는 것이고, 이는 통상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사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COC)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투명박판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판(211)의 표면 상에 투명영역(211a) 및 커버영역(211b)이 형성된다. 여기서, 투명영역(211a)은, 도 5에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유닛(23)에서 방출된 빔이 통과하여 진행하도록 할 수 있는 영역이고, 동작 아이콘의 그림이 나타나도록 한다. 또한, 커버영역(211b)은, 보호판(211)의 하면의 둘레부 상의 코팅으로서, 잉크, 컬러 포토리지스트, 유기물질, 및 비(非)유기물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불투명 물질의 사용에 의하여 형성되고, 또한, 종래의 수단, 예컨대 프린팅, 코팅 또는 금속증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터치감지층(213)은, 커패시터적 터치센서 또는 저항적 터치센서일 수 있는데, 투명영역(211a)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보호판(211)과 디스플레이유닛(2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터치감지층(213)은, 종래의 어떠한 터치센서이어도 좋고, 따라서 여기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동작상, 터치감지층(213)은, 스퍼터링 또는 에칭에 의하여 보호판(211)의 하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도체회로(215)도, 또한 투명영역(211a)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보호판(211)과 디스플레이유닛(2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본 발명의 도체회로(215)는, 그라핀, 인듐주석 옥사이드(ITO), 인듐징크 옥사이드(IZO), 및 알루미늄 징크 옥사이드(AZO)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투명 도전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도체회로(215)도 또한, 보호판(211)의 하면 상에 형성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터치감지층(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컨트롤러(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도체회로(215)가 투명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유닛(23)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도 5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하여 진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터치컨트롤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은, 추가되는 투명기판(217)이 터치감지층(213)과 도체회로(215) 아래이고 디스플레이유닛(23) 위인 위치에 배치된다는 점이고,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이 제2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장치와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장치 사이의 차이점은, 이 제2 실시예의 도체회로(215)가 투명 도전재료로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조작상, 종래의 글래스-투-글래스(G/G) 터치패널기술이 두 투명박판, 즉 터치감지층(213) 및 도체회로(215)가 그 표면에 형성된 투명기판, 및 보호판(211)을 붙이고 본딩하는데에, 광학적으로 깨끗한 접착제의 사용에 의하여, 적용되어, 터치패널(21)을 제작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터치컨트롤장치의 예시적 디스플레이 능력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동시에 12 아이콘(2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예와 도 3에 나타난 예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터치패널(21)을 채용한 터치컨트롤패널이, 더 많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종래의 6개에 비하여, 12개의 아이콘이다. 요약하자면, 도체회로(215)를 형성하는 투명도전재료의 사용에 의하여, 보다 많은 아이콘과 많은 정보가 디스플레이유닛(23)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호판(211)에 심미적 이유로 인하여 보다 좁은 커버영역(21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유닛(23)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아이콘이 보다 많으므로, 터치컨트롤장치(2) 상에서 수행되는 스크린 스위치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에너지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관련하여, 크기, 재질, 형상, 형태, 기능 및 동작, 조립 및 사용의 방식의 변화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부품들의 최적 크기관계는, 이 기술의 숙련된 자에게 극히 명확하고 명백한 것으로 이해되고, 도면에 예시되고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등가적 관계는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23: 디스플레이유닛, 211: 보호판, 211a: 투명영역, 211b: 커버영역, 213: 터치감지층, 215: 도체회로, 217: 투명기판

Claims (7)

  1. 디스플레이유닛을 가지는 터치컨트롤장치에 적응된 터치패널로서,
    표면에 형성되는 커버영역과 투명영역을 가지는 보호판;
    상기 투명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보호판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감지층;
    상기 터치감지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상기 투명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보호판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도체회로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층과 도체회로 아래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위인 위치에 배치되는 투명기판
    을 더욱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회로는, 그라핀, 인듐주석 옥사이드(ITO), 인듐징크 옥사이드(IZO), 및 알루미늄 징크 옥사이드(AZO)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투명 도전재료로 만들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사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COC)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투명박판임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영역은, 잉크, 컬러 포토리지스트, 유기물질, 및 비(非)유기물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불투명 물질의 사용에 의하여 형성되는 코팅임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층은, 커패시터적 터치센서 및 저항적 터치센서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장치임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액정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플라즈마패널디스플레이(PDP) 및 이-페이퍼(e-paper)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장치임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KR2020120003235U 2012-04-20 2012-04-20 터치패널 KR201300062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235U KR20130006254U (ko) 2012-04-20 2012-04-20 터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235U KR20130006254U (ko) 2012-04-20 2012-04-20 터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54U true KR20130006254U (ko) 2013-10-30

Family

ID=5243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235U KR20130006254U (ko) 2012-04-20 2012-04-20 터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25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5660B2 (en) Touch display device
KR100991801B1 (ko)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KR101521681B1 (ko) 터치패널
KR102260875B1 (ko) 표시 장치
KR2012006568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30078065A (ko) 터치패널
US8558807B2 (en) Transparent touch panel
KR101181342B1 (ko) 터치스크린
US20130293487A1 (en) Touch panel
US20130307826A1 (en) Touch panel and touch-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20130051803A (ko) 터치패널
KR20150095449A (ko)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US20140062959A1 (en) Touch panel
KR20130119762A (ko) 터치패널
KR20120010795A (ko) 터치패널 일체형 전자종이
JP2017504111A (ja) タッチパネルの製造装置、製造システム及び製造方法
CN203397317U (zh) 触控显示装置
KR101765513B1 (ko) 전극 일체형 윈도우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US20160103518A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076174A (ko) 터치패널
KR20160018894A (ko) 압력 감지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30207903A1 (en) Touch panel
KR20070103143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3174901U (ja) タッチパネル
TWM445219U (zh) 觸控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