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573U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573U
KR20130005573U KR2020120002035U KR20120002035U KR20130005573U KR 20130005573 U KR20130005573 U KR 20130005573U KR 2020120002035 U KR2020120002035 U KR 2020120002035U KR 20120002035 U KR20120002035 U KR 20120002035U KR 20130005573 U KR20130005573 U KR 201300055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ester
insulating
circuit breaker
cove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573U/ko
Publication of KR201300055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voltage, e.g. for lightning protection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피뢰기연결부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본체와, 이 피뢰기연결부에 연결되는 피뢰기 및 이 피뢰기와 피뢰기연결부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카운터의 감지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운터의 감지 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단기 또는 회로차단기는, 전기회로에 있어서의 발생가능한 사고전류(단락, 지락 사고등에 의한 대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전원과 부하기기 사이에 설치되는 전기 보호기기이다.
여기서, 상기 회로차단기는,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부하개폐기(Load Breaker Switch), 및 자동부하절환개폐기(Automatic Load Transfer Swith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차단기는, 고정접점부와 가동접점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와, 사고전류를 검출하여 대전류의 통전이 차단되게 트립 명령을 출력하는 과전류 계전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로차단기 중에는 여러 형태의 과전압, 예를 들면, 차단기의 개폐시 발생되는 소위 차단기 써지 및/또는 낙뢰에 의한 (낙)뇌 써지로부터 전력설비의 절연을 보호할 수 있게 피뢰기가 구비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피뢰기의 설치가 요구되는 장소는 규정(예를 들면 전기설비 기술기준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1]
도 1은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피뢰기 설치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차단기(예를 들면 가스절연개폐장치)(10)의 일 측에는 피뢰기(50)가 설치될 수 있게 피뢰기연결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로차단기(10)는 절연탱크(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탱크(20)는 하향 개구된 탱크본체(21)와, 상기 탱크본체(21)의 개구를 차단하는 커버(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연탱크(20)의 하측에는 상기 절연탱크(20)를 지지하는 지지대(29)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뢰기연결부(30)는 상기 절연탱크(20)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피뢰기연결부(30)는, 상기 절연탱크(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도체(31)와, 상기 연결도체(31)의 하단에 접속되는 소켓(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도체(31)는 전원의 각 상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5)에는 상기 각 소켓(33)에 대응되게 관통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뢰기(50)는, 예를 들면, 피뢰기본체(51)와, 상기 피뢰기본체(51)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33)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53)와, 상기 커버(25)에 접촉 및 결합되는 결합부(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결합부(55)는 복수의 체결부재(57)에 의해 상기 커버(25)에 체결(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뢰기본체(51)는, 예를 들면, 접지선(59)에 의해 대지와 접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뢰기(50)에는 피뢰기 카운터(60) 또는 누설전류계(이하, "카운터(60)"로 표기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피뢰기(50)의 동작 상태 및/또는 누설전류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60)는 상기 피뢰기(50)의 일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뢰기(50)는 상기 지지대(29)에 절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60)는 일 측이 상기 피뢰기(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피뢰기(50)의 동작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60)와 상기 피뢰기(50) 사이에는 제1접지선(6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60)의 타 측은, 예를 들면, 제2접지선(62)이 구비되어 대지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피뢰기(50)의 설치 시, 상기 피뢰기(50)의 결합부를 커버(25)에 단순히 접촉시킨 후 체결부재(57)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어, 실제로 상기 피뢰기(50)는 도전체인 상기 절연탱크(20)와 전기적으로 연결(통전)될 수 있다. 이에 기인하여, 상기 카운터(60)는 상기 피뢰기(50)의 동작시 흐르는 전류뿐만 아니라 상기 절연탱크(20)를 통해 누설되는 전류도 감지하게 되어 상기 카운터(60)의 감지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카운터의 감지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피뢰기연결부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본체; 상기 피뢰기연결부에 연결되는 피뢰기; 및 상기 피뢰기와 상기 피뢰기연결부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피뢰기연결부는 전원의 각 상에 대응되게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각 피뢰기연결부에 대응되게 복수의 관통부를 구비한 절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각 피뢰기와 상기 피뢰기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피뢰기에 결합되고,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피뢰기의 상호 접촉영역에 위치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피뢰기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돌기와,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가 수용되게 형성되는 돌기수용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각 피뢰기와 상기 피뢰기연결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절연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차단기 본체는, 하향 개구된 절연탱크 및 상기 절연탱크의 개구를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피뢰기연결부는, 상기 커버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피뢰기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커버에 접촉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뢰기는 상기 결합부 및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소켓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커버를 절연하는 절연링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뢰기와 피뢰기연결부 사이에 절연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카운터가 피뢰기의 동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피뢰기의 감지 신뢰도가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와 피뢰기 사이에 위치조절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절연부재가 상기 피뢰기에 일정한 조립 위치에서 조립되므로 상기 피뢰기의 체결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피뢰기 설치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일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절연부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2의 피뢰기 접속영역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2의 절연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절연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절연링부재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절연링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절연부영역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절연부의 결합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는, 피뢰기연결부(130)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본체(110); 상기 피뢰기연결부(130)에 연결되는 피뢰기(150); 및 상기 피뢰기(150)와 상기 피뢰기연결부(130)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회로차단기 본체(110))는, 예를 들면, 가스절연개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회로차단기 본체(110))는 절연탱크(1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탱크(120)의 하측에는 상기 절연탱크(120)를 지지하는 지지대(1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탱크(120)는, 예를 들면, 하향 개구된 탱크본체(121)와, 상기 탱크본체(121)의 개구를 차단하는 커버(125)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회로차단기 본체(110))의 일 영역에는 피뢰기(150)가 설치될 수 있게 피뢰기연결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뢰기연결부(130)는 상기 절연탱크(120)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피뢰기연결부(130)는, 상기 절연탱크(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도체(131)와, 상기 연결도체(131)의 하단에 접속되는 소켓(1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도체(131)는 전원의 각 상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25)에는 상기 각 소켓(133)에 대응되게 관통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5)에는, 예를 들면 각 상 별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되는 접속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예를 들면, 부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부(126)의 일 측에는 상기 접속부(12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뢰기(150)는, 예를 들면, 피뢰기본체(151)와, 상기 피뢰기본체(151)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133)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53)와, 상기 커버(125)에 접촉 및 결합되는 결합부(1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5)는 상기 피뢰기본체(151)에 비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결합부(155)는 복수의 체결부재(157)에 의해 상기 커버(125)에 체결(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결합부(155)에는 상기 체결부재(157)가 삽입될 수 있게 체결부재삽입공(15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삽입공(156)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뢰기본체(151)는, 예를 들면, 접지선에 의해 대지와 접지될 수 있다.
상기 피뢰기본체(151)에는 상기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볼트(158)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뢰기(150)에는 피뢰기 카운터(160) 또는 누설전류계(이하, "카운터(160)"로 표기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피뢰기(150)의 동작 상태 및/또는 누설전류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160)는 상기 피뢰기(150)의 일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뢰기(150)는 상기 지지대(129)에 절연되게 지지 및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160)는 일 측이 상기 피뢰기(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피뢰기(150)의 동작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160)와 상기 피뢰기(150) 사이에는, 예를 들면, 제1접지선(16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선(161)은 상기 접지볼트(15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160)는 제2접지선(162)에 의해 대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25)와 상기 피뢰기(150) 사이에는 절연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피뢰기(150)와 상기 커버(125)가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70)는 상기 각 피뢰기(150)의 결합부(15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부(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또는 원반 형상의 절연패드(171)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절연패드(171)의 중심에는 상기 삽입부(153)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패드(171)에는 상기 결합부(155) 및 커버(125)를 관통하여 상기 소켓(133)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57)가 통과하여 수용될 수 있게 체결부재수용공(1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70)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별 피뢰기(15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절연플레이트(18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181)에는 각 상별 피뢰기(150)의 삽입부(153)가 통과할 수 있게 복수(3개)의 관통부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181)의 각 관통부의 둘레에는 상기 각 피뢰기(150)의 결합부(155) 및 커버(125)를 통과하여 소켓(133)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57)가 통과할 수 있게 체결부재수용공(18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커버(125)에는 상기 커버(125)를 통과하여 상기 소켓(133)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57)가 수용될 수 있게 체결부재수용공(12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체결부재수용공(128)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5)와 상기 체결부재(157)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절연링부재(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링부재(135)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수용공(128)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링부재(135)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부재(157)가 수용될 수 있게 체결부재수용공(13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링부재(135)는 상기 커버(125)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를 구비하여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뢰기(150)와 상기 커버(125)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170)는 상기 피뢰기(150)에 결합되는 절연부재(19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191)와 상기 피뢰기(15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위치조절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절연부재(191)와 상기 피뢰기(150)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191)는,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뢰기(150)의 결합부(155)와 상기 커버(125) 사이에 개재되는 원반 형상의 원반부(192a)와, 상기 원반부(192a)의 테두리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155)의 외곽에 배치되는 스커트부(192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반부(192a)에는 상기 삽입부(153)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부(194)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94)의 둘레에는 상기 체결부재(157)가 수용될 수 있게 체결부재수용공(19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210)는, 예를 들면, 상기 절연부재(191)와 상기 피뢰기(150)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돌기(211)와,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211)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돌기수용부(21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211)는 상기 절연부재(191)에 형성되고 돌기수용부(213)가 상기 피뢰기(150)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그 반대로 돌기(211)가 상기 피뢰기(150)에 형성되고 돌기수용부(213)가 상기 절연부재(19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211)는 상기 스커트부(19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211)는 상기 스커트부(192b)의 내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211)는 후크(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부(213)에는 상기 후크(212)가 수용될 수 있게 후크홈(214)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절연부재(191)가 상기 결합부(155)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절연부재(191)가 상기 결합부(155)로부터 불시에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회로차단기(회로차단기 본체(110))의 활선 상태에서 상기 피뢰기(150)는 그 본래의 목적(기능)상 대지와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 과전압 발생이 되면, 상기 피뢰기(150)가 동작하여 이상 전압을 대지로 안내함으로써 전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운터(160)는 상기 피뢰기(150)가 동작하면서 대지로 흐르는 전류만을 감지하게 됨으로써 감지의 신뢰도가 제고될 수 있다.
110 : 회로차단기 본체 120 : 절연탱크
121 : 탱크본체 125 : 커버
126 : 관통부 128,136,175,185,195 : 체결부재수용공
130 : 피뢰기연결부 131 : 연결도체
133 : 소켓 150 : 피뢰기
151 : 피뢰기본체 153 : 삽입부
155 : 결합부 156 : 체결부재삽입공
157 : 체결부재 158 : 접지볼트
160 : 카운터 161 : 제1접지선
162 : 제2접지선 170 : 절연부
171 : 절연패드 181 : 절연플레이트
191 : 절연부재 192a : 원반부
192b : 스커트부 210 : 위치조절부
211 : 돌기 212 : 후크
213 : 돌기수용부 214 : 후크홈

Claims (9)

  1. 피뢰기연결부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본체;
    상기 피뢰기연결부에 연결되는 피뢰기; 및
    상기 피뢰기와 상기 피뢰기연결부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
    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뢰기연결부는 전원의 각 상에 대응되게 복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각 피뢰기연결부에 대응되게 복수의 관통부를 구비한 절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각 피뢰기와 상기 피뢰기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피뢰기에 결합되고,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피뢰기의 상호 접촉영역에 위치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피뢰기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돌기와,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가 수용되게 형성되는 돌기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각 피뢰기와 상기 피뢰기연결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절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차단기 본체는, 하향 개구된 절연탱크 및 상기 절연탱크의 개구를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피뢰기연결부는, 상기 커버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피뢰기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커버에 접촉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뢰기는 상기 결합부 및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소켓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커버를 절연하는 절연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KR2020120002035U 2012-03-14 2012-03-14 회로차단기 KR201300055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35U KR20130005573U (ko) 2012-03-14 2012-03-14 회로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35U KR20130005573U (ko) 2012-03-14 2012-03-14 회로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73U true KR20130005573U (ko) 2013-09-25

Family

ID=5243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035U KR20130005573U (ko) 2012-03-14 2012-03-14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57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3088B2 (en) Devices for overvoltage, overcurrent and arc flash protection
US11159007B2 (en) Electric circuit device with a residual current monitoring module for detecting a closed switch contact as well as a protection ground conductor interruption in a one or multiphase electric supply line
CN106684739A (zh) 一种配电柜的安装工艺
US8705216B2 (en) High sensitivity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KR101015135B1 (ko) 변압기용 퓨즈내장 엘보접속재
EP1724803B1 (en) Electronic device to be associated with an electrical apparatus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KR20130005573U (ko) 회로차단기
KR101325998B1 (ko) 전압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개폐장치
KR101228914B1 (ko) 누전감지기 일체형 과전류 계전기
KR102397714B1 (ko) 볼트리스 단로기
AU2015221437B2 (en) Excess voltage protection apparatus
CN103872612A (zh) 用于避免地闪击的电弧减轻组件和组装方法
KR101325997B1 (ko) 전압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개폐장치
KR101325996B1 (ko) 전압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개폐장치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KR200491171Y1 (ko) 전계완화 실드
KR101602060B1 (ko) 보호 계전기를 이용한 고장점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283642B1 (ko) 절연 리드선이 부착된 피뢰기 일체형 컷 아웃 스위치
JP4926818B2 (ja) 油入電気設備の絶縁体保護機構
JP4695356B2 (ja) 工事用開閉器
KR102073126B1 (ko) 누전 차단기
Kries et al. Application of a Permanent Voltage Detection and Indication System (VDIS) for Reliable Personnel Safety and Monitoring of the Presence of Power in Switchgear Equipment; Experiences from the IEC Market for the US
JP2005278299A (ja) 接地端子装置
KR20170002504U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