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424U - 개인 보호 장비 및 그를 구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보호 장비 및 그를 구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424U
KR20130005424U KR2020120001772U KR20120001772U KR20130005424U KR 20130005424 U KR20130005424 U KR 20130005424U KR 2020120001772 U KR2020120001772 U KR 2020120001772U KR 20120001772 U KR20120001772 U KR 20120001772U KR 20130005424 U KR20130005424 U KR 201300054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se
supply
helmet
protectiv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783Y1 (ko
Inventor
주종무
Original Assignee
주종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무 filed Critical 주종무
Priority to KR2020120001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78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7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 유해한 분진이나 화학물질 또는 가스 등이 존재하는 유해한 환경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호흡하고 개선된 작업성을 갖도록 하는 개인 보호 장비와 상기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한 다수의 작업자들이 별도의 공간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개인 보호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을 개시하며, 상기 개인 보호 장비는, 적어도 작업자의 상체에 견착되며 플라스틱이나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견갑체를 포함하는 보호복; 상기 보호복의 상기 견갑체의 상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헬멧; 상기 보호복에 장치되는 공급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상기 보호복에 장치되는 배기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 장치; 상기 보호복의 외면에 라운드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 호스와 상기 배기 호스를 체결하여서 이동성을 보장하는 링크 장치; 및 라운드를 형성한 상태에서 양단 간의 접착이 가능한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자의 견갑체의 목부분에 설치되는 목보호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 보호 장비 및 그를 구비한 시스템{INDIVIDUAL PROTECTION EQUIPMENT AND SYSTEM WITH THE SAME}
본 고안은 개인 보호 장비 및 그를 구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분진이나 화학물질 또는 가스 등이 존재하는 유해한 환경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호흡하고 개선된 작업성을 갖도록 하는 개인 보호 장비와, 상기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한 다수의 작업자들이 별도의 공간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개인 보호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유해한 분진이나 화학물질 또는 가스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분진이나 화학물질 또는 가스 등과 같이 유해한 물질을 호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크, 방독면 또는 산소 탱크와 같은 보호 용품이나 장비의 착용이 요구된다.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도장이나 도색이 이루어지는 작업실,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화학 공장 또는 플라스틱 제조 공장, 고청정 상태가 요구되거나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이용되는 반도체 공장, 금속 물질의 그라인딩 현장이나, 채광 현장 또는 터널 공사 현장과 같이 분진이나 유해 가스가 발생하는 현장, 공기를 통한 전염이 발생할 수 있는 수술실과 같은 공간 등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가 절실히 요구된다.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이용되는 마스크(방진 마스크 등)는 숨쉬기가 곤란하고 분진에만 어느 정도 효용성을 가질 뿐 기타 오염된 공기(독성 가스, 신나나 황산 등 화학 물질 등)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사용상 제한이 따른다.
또한, 방독면도 숨쉬기가 곤란하고 제한된 기능성을 갖기 때문에 사용상 제한이 따른다.
한편, 산소 탱크는 호흡을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양에 제한이 따르고 무게가 무거워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어려움이 있고, 소요되는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크게 발생하며, 필요 이상의 산소를 마시기 때문에 호흡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이용시 피로감이 크게 발생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일예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보호 장비가 등록실용 제20-0415425호로 개시된 바 있다.
따라서, 유해한 환경에서 작업자가 경제적인 부담없이 깨끗한 공기를 항시 공급받을 수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호 장비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해한 분진이나 화학물질 또는 가스 등이 존재하는 유해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항상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이용하는데 경제적인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성이 개선된 개인 보호 장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다수의 위치에 배치된 개인 보호 장비 별로 깨끗한 공기를 같이 공급하고,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각 작업자가 이용하기 편리하면서 작업성이 확보될 수 있는 개인 보호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보호 장비는, 적어도 작업자의 상체에 견착되며 플라스틱이나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견갑체를 포함하는 보호복; 상기 보호복의 상기 견갑체의 상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헬멧; 상기 보호복에 장치되는 공급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상기 보호복에 장치되는 배기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 장치; 상기 보호복의 외면에 라운드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 호스와 상기 배기 호스를 체결하여서 이동성을 보장하는 링크 장치; 및 라운드를 형성한 상태에서 양단 간의 접착이 가능한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자의 견갑체에 형성된 목부분에 설치되는 목보호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호복은 상기 견갑체와 결합된 소매들과 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소매들과 상기 하부 커버 중 하나 이상은 단부의 조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갑체는 작업자의 목 둘레에 대응하는 목 테두리와 상기 목 테두리의 외측에 분리된 영역에 고정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목 테두리의 상부에는 상기 목보호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테두리는 상기 헬멧 내부의 기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헬멧의 하부 입구와 내측 또는 외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 테두리와 상기 고정 테두리의 사이에 상기 공기 공급 장치의 상기 공급 호스의 단부와 상기 공개 배출 장치의 상기 배기 호스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헬멧 내부로 연장되는 상기 공급 호스의 단부에는 공급되는 공기를 하측으로 분산하는 공급 탭이 구성되고 상기 배기 호스의 단부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흡입 압력을 분산하는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배기 탭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헬멧은 상기 견갑체와 리벳으로 고정되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견갑체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헬멧의 하부 입구와 접촉하는 상기 견갑체 상에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헬멧의 하부 입구의 하측에 상기 채널과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헬멧은 투시창, 제1 조명등, 용접 마스크, 외부 통신을 위한 무선 무전 장치, 연기 감지기 및 상기 연기 감지기의 센싱에 의하여 작동되는 배터리 내장형 제2 조명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상기 공급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급 버퍼 탱크 및 타이머를 내장함으로써 상기 공급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공기의 양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조절하는 개폐 기능을 갖는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 장치는 상기 배기 호스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 버퍼 탱크 및 상기 타이머를 내장함으로써 상기 배기 호스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양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조절하는 개폐 기능을 갖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 밸브와 상기 배출 밸브의 개폐가 상보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 호스와 상기 배기 호스는 커버 호스에 매입되고, 상기 커버 호스는 나선형으로 구성되며 와이어를 이송하는 링에 체결되어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가열 및 냉각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상기 공급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보호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은, 다수로 분리된 작업 공간 별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개인 보호 장비; 상기 작업 공간 외부의 공기 공급 배관과 상기 개인 보호 장비의 상기 공급 호스 간의 인터페이스와 외부의 공기 배출 배관과 상기 개인 보호 장비의 상기 배기 호스 간의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연결 유니트; 상기 공기 공급 배관을 포함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공급 배관을 통하여 상기 작업 공간 별로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 및 상기 공기 배출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공간 별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 배관을 통하여 펌핑하여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연결 유니트에서 상기 개인 보호 장비의 상기 공급 호스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가열 및 냉각 유니트;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서 상기 공기 공급 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가열 및 냉각 모듈; 및 상기 에어 컴프레셔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정화 장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유해한 분진이나 화학물질 또는 가스 등이 존재하는 유해한 환경에서 작업자가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개인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작업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작업 공간에 배치되는 개인 보호 장비에 대한 공기의 공급과 배출이 구현될 수 있어서 유해한 분진이나 화학물질 또는 가스 등이 존재하는 공장이나 작업장 또는 갱도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보호 장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헬멧이 고정되기 전 상태의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헬멧이 고정된 상태ㅐ의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공급 탭의 단면도.
도 5는 배출 탭의 단면도.
도 6은 링크 장치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와이어와 링을 이용하여 커버 호스가 체결되고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개인 보호 장비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보호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계통도.
도 12는 도 11의 계통도에 적용되는 가열 및 냉각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보호 장비(100)는 도 1과 같이 보호복(10), 헬멧(12), 공기 공급 장치(14), 공기 배출 장치(16), 링크 장치(18) 및 목 보호대(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보호복(10)은 플라스틱이나 우레탄폼 재질로 제작되며 작업자의 상체에 견착되는 견갑체(22)를 포함한다. 견갑체(22)는 작업자의 목과 팔이 출입될 수 있는 구멍들이 형성되며 하부는 개방된 형상으로써 작업자의 어깨에 견착되어서 가슴과 등의 일부를 커버하는 모양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견갑체(22)는 작업자의 머리가 출입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개폐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작업자가 견착한 상태에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견갑체(22)는 헬멧(12), 공기 공급 장치(14), 공기 배출 장치(16) 및 링크 장치(18)를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로 이용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우레탄폼 재질 등과 같이 화재나 폭발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재질과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견갑체(22)는 6mm 이상의 통체를 이루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보호복(10)은 견갑체(22)의 팔이 출입되는 구멍에 결합된 소매들(24)과 견갑체(22)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 커버(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매들(24)과 하부 커버(26)는 단부에 조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며, 조임을 위하여 끈이나 밸크로 테이프 등을 이용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견갑체(22)는 작업자의 목 둘레에 해당하는 목 테두리(28)와 목테두리 외측에 분리된 영역에 형성되는 고정 테두리(30)가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목 테두리(28)보다 고정 테두리(30)가 상측으로 더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목 테두리(28)의 상부에는 목 보호대(20)가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 테두리(30)는 헬멧(12) 내부의 기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헬멧(12)의 하부 입구와 내측 또는 외측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헬멧(12)은 상부의 돔 형상과 하부의 실린더 형상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에는 원형의 하부 입구가 형성된다. 헬멧(12)은 도 2와 같이 견갑체(22) 상에서 분리되거나 도 3과 같이 견갑체(22)와 조립될 수 있다.
여기에서, 헬멧(12)은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머리의 상부와 전후 및 좌우로 여유 공간을 갖도록 높이와 직경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헬멧(12)은 외피(32)가 4mm 아크릴 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내피(34)는 10mm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피(34)와 외피(32) 사이는 충전재(36)로써 16mm 스티로폼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헬멧(12)의 벽체를 이루는 내피, 충전재 및 외피는 다수의 리벳이나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헬멧(12)의 하부 입구는 충전재(36)의 단부를 커버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링형 캡(40)으로 마감될 수 있으며, 링형 캡(40)의 저면에는 돌기(4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링형 캡(40)은 약 16cm 정도의 높이를 가지며, 돌기(41)는 약 2cm 정도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헬멧(12)의 구조에 대응하여 견갑체(22)의 헬멧(12)의 하부 입구의 링형 캡(40)이 맞닿는 부분에 돌기(41)와 결합되는 채널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채널의 저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둘 이상의 오-링(O-RING)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견갑체(22)에는 상기한 공기 공급 장치(14), 공기 배출 장치(16), 및 링크 장치(18)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 공급 장치(14)는 공급 호스(44)와 헬멧(12)의 내부로 연장된 공급 호스(44) 단부에 결합되어서 헬멧(12)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하측으로 분산하는 공급 탭(46)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급 호스(44)는 견갑체(22)의 외부 즉 작업자가 보호복(10)을 착용한 상태에서 등 쪽의 견갑체(22)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하여 상측으로 이어지고 단부가 헬멧(12)의 내측에 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급 탭(46)은 작업자가 호흡하기 불편하지 않도록 배출되는 공기를 하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와 같이 공급 호스(44)와 연통되면서 하측을 지향하는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 장치(16)는 배기호스(48)와 헬멧(12)의 내부로 연장된 배기 호스(48)의 단부에 결합되어서 헬멧(1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탭(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기 호스(48)도 견갑체(22)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하여 상측으로 이어지고 단부가 헬멧(12)의 내측에 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 탭(50)은 도 5와 같이 공기를 흡입하면서 공기의 흡입 압력을 분산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접시 형상의 면을 가짐으로써 관통공에 연통되는 배기 호스(48)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공급 호스(44)와 배기 호스(48)는 견갑체(22)의 상부에 형성된 목 테두리(28)와 고정 테두리(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관통하여서 헬멧(12)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견갑체(22)의 하부에는 보호복(10)의 외면에 즉, 견갑체(22)의 외면에 라운드되게 설치되면서 공급 호스(44)와 배기 호스(48)를 체결하여서 이동성을 보장하는 링크 장치(18)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링크 장치(18)의 구조를 살펴보면, 링크 장치(18)는 견갑체의 외면에 라운드 지게 설치되면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부(58)와 공급 호스(44)와 배기 호스(48)를 체결하면서 채널부(58)의 채널에 일단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커(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링커(60)는 채널부(58)의 채널에 삽입되는 지지부와 공급 호스(44)와 배기 호스(48)를 체결하는 링이 일체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링커(60)에 의하여 공급 호스(44)와 배기 호스(48)가 체결된 상태가 채널부(58)를 따라서 링커(60)가 작업자의 앞쪽과 뒤쪽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링커(60)에 의하여 체결되는 공급 호스(44)와 배기 호스(48)는 커버 호스(70)에 매입되어서 연장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커버 호스(70)는 나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개인 보호 장비(100)는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받고 배출해야 한다. 또한, 이동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7과 같이 개인 보호 장비(100)를 사용하는 장소에는 고정된 와이어(80)에 이동 가능하게 링(82)이 체결되머, 링(82)에 의하여 커버 호스(70)가 체결되면서 외부로 연장된다.
상술한 도 7의 구성에 의하여 개인 보호 장비(100)를 이용하는 작업자가 작업을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 개인 보호 장비(100)에 연결된 커버 호스(70)는 링(82)의 이동 반경 범위 내로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링(82)이 이동되는 범위는 각 작업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성격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커버 호스(70)에 매입된 공급 호스(44)와 배기 호스(48)는 다수의 개인 보호 장비(100)에 대하여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공기 공급 배관(220)과 공기 배출 배관(240)에 도 7과 같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공기 공급 배관(220)과 공급 호스(44) 간의 연결과 공기 배출 배관(240)과 배기 호스(48) 간의 연결은 밸브 박스(84)의 각 밸브(86, 88)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밸브 박스(84)에 커버 호스(70)의 공급 호스(44)와 배기 호스(48)를 연결하고 각 밸브(86, 88)를 개방하면 커버 호스(70)에 연결된 개인 보호 장비(100)에 대한 공기 공급과 공기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 공급 배관(220)은 후술되는 에어 컴프레셔(300)의 공급압에 의하여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며, 공기 배출 배관(240)는 후술되는 펌프(400)의 펌핑력에 의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고, 미설명 부호 200은 후술되는 연결 유니트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보호 장비(100)가 구성됨으로써 공급 호스(44)를 통하여 공기가 헬멧(12) 내부로 공급되고, 배기 호스(48)를 통하여 헬멧(1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원활한 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헬멧(12)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압력이 공기를 배출하는 펌핑 압력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헬멧(12)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외부의 온도 환경에 무관하도록 가열 및 히트 블럭을 내장한 온도 조절 장치(500)가 도 8과 같이 각 개인 보호 장비(100)로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 호스(44) 상 또는 공급 호스(44)와 공기 공급 배관(220)의 연결 부위 등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외부의 날씨가 추워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온도 조절 장치(500)가 공급되는 공기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외부의 날씨가 더워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은 경우 온도 조절 장치(500)가 공급되는 공기를 일정한 온도로 냉각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하기에 적당한 온도를 갖는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어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온도 조절 장치(500)는 외부 온도를 센싱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헬멧(12)은 도 8과 같이 견갑체(22) 상에 체결 볼트(43)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도 8의 견갑체(22)는 목 테두리(28)만 구성되고 고정 테두리는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실시된 것이 예시되며, 여기에서 공급 호스(44)와 배기 호스(48)는 헬멧(12)의 하부 입구가 체결된 위치로부터 목 테두리(28)가 형성된 사이 영역에서 견갑체(22)를 관통하여 헬멧(12) 내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헬멧(12)에는 투시창(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9와 같이 조명등(15)이 구성되거나 또는 용접 마스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헬멧(12)에는 외부 통신을 위한 무전 장치(17)가 부착되어서 헬멧(12)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외부와 대화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연기 감지기(23)가 구성됨으로써 연기 감지기(23)의 센싱에 의하여 작동되는 배터리 내장형 조명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 내장형 조명등은 조명등(15)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도 10과 같이 공기 공급 장치(14)로서 공급 호스(44)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급 버퍼 탱크(90) 및 타이머를 내장함으로써 공급 호스(44)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조절하는 개폐 기능을 갖는 공급 밸브(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 장치(16)로서 배출 호스(48)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 버퍼 탱크(94) 및 타이머를 내장함으로써 배기 호스(48)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조절하는 개폐 기능을 갖는 배출 밸브(9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구성되는 공급 버퍼 탱크(90)는 공급 호스(44)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며, 배출 버퍼 탱크(94)는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급 호스(44)에 연결되는 공급 밸브(92)와 배기 호스(48)에 연결되는 배출 밸브(96)는 개폐 상태가 서로 상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가 작업을 하면서 호흡하는 것을 기준으로 10초 내지 15초 간격으로 공급 밸브(92)가 열리면 배출 밸브(96)는 닫히는 상태와 공급 밸브(92)가 닫히면 배출 밸브(96)가 열리는 상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호흡하는 것에 동기하여서 호흡을 들이쉴 때 공급 밸브(92)가 열리고 배출 밸브(96)가 닫힘으로써 헬멧(12) 내부로 공기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고, 호흡을 내쉴 때 공급 밸브(92)가 닫히고 배출 밸브(96)가 열림으로써 헬멧(120 내부의 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보호 장비는 다수로 분리된 작업 공간 별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서 시스템화하여 운영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보호 장비(100)는 작업 공간(102) 별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서 운영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작업 공간(102)은 밀폐된 공간에서 도장이나 도색이 이루어지는 작업실,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화학 공장 또는 플라스틱 제조 공장, 고청정 상태가 요구되거나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이용되는 반도체 공장, 금속 물질의 그라인딩 현장이나, 채광 현장 또는 터널 공사 현장과 같이 분진이나 유해 가스가 발생하는 현장, 공기를 통한 전염이 발생할 수 있는 수술실과 같은 공간 등과 같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가 요구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작업 공간(102)에 배치된 다수의 개인 보호 장비(100)는 연결 유니트(200)에 연결된다.
연결 유니트(200)는 작업 공간(102) 외부의 공기 공급 배관(220)과 개인 보호 장비(100)의 공급 호스(44) 간의 인터페이스와 외부의 공기 배출 배관(240)과 개인 보호 장비(100)의 배기 호스(48) 간의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한 연결 유니트(200)의 공기 공급 배관(220)은 에어 컴프레셔(300)에 연결되어서 공급압에 의하여 공기를 공급받으며, 공기 배출 배관(240)은 펌프(400)의 펌핑력에 의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 컴프레셔(300)는 정화 장치(3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가압하여서 공기 공급 배관(220)으로 공급하는 것이며, 펌프(400)는 공기 배출 배관(240)을 통하여 펌핑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정화 장치(320)는 필터를 구비하거나 가습 장치를 구비하여서 청정한 상태나 일정한 습도를 갖는 공기를 에어 컴프레셔(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1의 구성과 같이 도 12의 가열 및 냉각 유니트(500)는 공기 공급 배관(220)에 설치되어서 각 작업 공간(102) 별로 공급되는 전체 공기에 대하여 온도를 조절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1의 구성과 같이 도 12의 가열 및 냉각 유니트(500)는 공급 호스(44)에 설치되어서 각 개인 보호 장비(100) 별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가열 및 냉각 유니트(500)가 공기 공급 배관(220) 상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것이며, 가열 및 냉각 유니트(500)는 히팅 또는 쿨링이 이루어지는 온도 조절 장치(520)와 내부를 경유하는 공기 공급 배관(220) 내로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교환체(5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열 및 냉각 유니트(500)는 외부의 온도 센서에 연동하여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구성됨으로써 유해한 분진이나 화학물질 또는 가스 등이 존재하는 유해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항상 깨끗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어서 안정성이 확보되며 사용상 편리성과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 : 보호복 12 : 헬멧
14 : 공기 공급 장치 16 : 공기 배출 장치
18 : 링크 장치 20 : 목 보호대
22 : 견갑체 28 : 목 테두리
30 : 고정 테두리 32 : 외피
34 : 내피 36 : 충진재
44 : 공급 호스 46 : 공급 탭
48 : 배기 호스 50 : 배출 탭
100 : 개인 보호 장비 102 : 작업 공간
200 : 연결 유니트 300 : 에어 컴퓨레셔
320 : 정화 장치 400 : 펌프
500 : 가열 및 냉각 유니트

Claims (13)

  1. 적어도 작업자의 상체에 견착되며 플라스틱이나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견갑체를 포함하는 보호복;
    상기 보호복의 상기 견갑체의 상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헬멧;
    상기 보호복에 장치되는 공급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상기 보호복에 장치되는 배기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 장치;
    상기 보호복의 외면에 라운드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 호스와 상기 배기 호스를 체결하여서 이동성을 보장하는 링크 장치;
    라운드를 형성한 상태에서 양단 간의 접착이 가능한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자의 견갑체의 목부분에 설치되는 목보호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보호 장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복은 상기 견갑체와 결합된 소매들과 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소매들과 상기 하부 커버 중 하나 이상은 단부의 조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개인 보호 장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견갑체는 작업자의 목 둘레에 대응하는 목 테두리와 상기 목 테두리의 외측에 분리된 영역에 고정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목 테두리의 상부에는 상기 목 보호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테두리는 상기 헬멧 내부의 기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헬멧의 하부 입구와 내측 또는 외측으로 결합되는 개인 보호 장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테두리와 상기 고정 테두리의 사이에 상기 공기 공급 장치의 상기 공급 호스의 단부와 상기 공기 배출 장치의 상기 배기 호스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개인 보호 장비.
  5.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내부로 연장되는 상기 공급 호스의 단부에는 공급되는 공기를 하측으로 분산하는 공급 탭이 구성되고 상기 배기 호스의 단부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흡입 압력을 분산하는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배기 탭이 구성되는 개인 보호 장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은 상기 견갑체와 리벳으로 고정되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견갑체와 결합되는 개인 보호 장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의 하부 입구와 접촉하는 상기 견갑체 상에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헬멧의 하부 입구의 하측에 상기 채널과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개인 보호 장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은 투시창, 제1 조명등, 용접 마스크, 외부 통신을 위한 무선 무전 장치, 연기 감지기 및 상기 연기 감지기의 센싱에 의하여 작동되는 배터리 내장형 제2 조명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개인 보호 장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상기 공급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급 버퍼 탱크 및 타이머를 내장함으로써 상기 공급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공기의 양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조절하는 개폐 기능을 갖는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 장치는 상기 배기 호스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 버퍼 탱크 및 상기 타이머를 내장함으로써 상기 배기 호스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양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조절하는 개폐 기능을 갖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 밸브와 상기 배출 밸브의 개폐가 상보되도록 구동되는 개인 보호 장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호스와 상기 배기 호스는 커버 호스에 매입되고, 상기 커버 호스는 나선형으로 구성되며 와이어를 이송하는 링에 체결되어서 외부로 연장되는 개인 보호 장비.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가열 및 냉각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상기 공급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블럭을 더 포함하는 개인 보호 장비.
  12. 다수로 분리된 작업 공간 별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개인 보호 장비;
    상기 작업 공간 외부의 공기 공급 배관과 상기 개인 보호 장비의 상기 공급 호스 간의 인터페이스와 외부의 공기 배출 배관과 상기 개인 보호 장비의 상기 배기 호스 간의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연결 유니트;
    상기 공기 공급 배관을 포함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공급 배관을 통하여 상기 작업 공간 별로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 및
    상기 공기 배출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공간 별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 배관을 통하여 펌핑하여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보호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니트에서 상기 개인 보호 장비의 상기 공급 호스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가열 및 냉각 유니트;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서 상기 공기 공급 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가열 및 냉각 모듈; 및
    상기 에어 컴프레셔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정화 장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개인 보호 장비를 구비한 시스템.
KR2020120001772U 2012-03-07 2012-03-07 개인 보호 장비 및 그를 구비한 시스템 KR200470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72U KR200470783Y1 (ko) 2012-03-07 2012-03-07 개인 보호 장비 및 그를 구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72U KR200470783Y1 (ko) 2012-03-07 2012-03-07 개인 보호 장비 및 그를 구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24U true KR20130005424U (ko) 2013-09-17
KR200470783Y1 KR200470783Y1 (ko) 2014-01-08

Family

ID=5141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772U KR200470783Y1 (ko) 2012-03-07 2012-03-07 개인 보호 장비 및 그를 구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78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173A1 (ko) * 2015-12-29 2017-07-06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KR20190014100A (ko) * 2016-06-23 2019-02-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안전 이벤트 검출을 위한 분석 스트림 처리를 가진 개인 보호 장비(ppe)
CN110141813A (zh) * 2019-05-31 2019-08-20 深圳市中天潜水装备有限公司 一种密闭空间生命支持系统
CN111558182A (zh) * 2020-05-20 2020-08-21 安徽工程大学 个人防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528B1 (ko) * 2014-05-27 2015-05-04 김병찬 송기식 방제복
KR200493528Y1 (ko) * 2019-03-29 2021-04-15 최상철 복합 기능 헬멧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111U (ja) * 1992-02-28 1994-04-19 俊幸 小崎 プロテクタ
KR101059580B1 (ko) * 2008-10-10 2011-08-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물,동물실험실용 안전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173A1 (ko) * 2015-12-29 2017-07-06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KR20190014100A (ko) * 2016-06-23 2019-02-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안전 이벤트 검출을 위한 분석 스트림 처리를 가진 개인 보호 장비(ppe)
CN110141813A (zh) * 2019-05-31 2019-08-20 深圳市中天潜水装备有限公司 一种密闭空间生命支持系统
CN111558182A (zh) * 2020-05-20 2020-08-21 安徽工程大学 个人防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783Y1 (ko)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783Y1 (ko) 개인 보호 장비 및 그를 구비한 시스템
US8201273B2 (en) Protective hood
CN101179996B (zh) 组合空气供应/空气净化系统
US6796304B2 (en) Personal containment system with sealed passthrough
CN101180101A (zh) 利用封闭过滤器的便携式空气净化系统
US9192793B2 (en) Abrasive blast respirator
US20070084463A1 (en) Breathing Apparatus
KR102288048B1 (ko) 송풍팬이 구비된 보호복
KR101078333B1 (ko) 공기호흡장치가 장착된 헬멧
US10238898B2 (en) Air conditioned and ambient fresh air supply system for respirator users
US4411264A (en) Supplied air respirator
IT9021801A1 (it) Dispositivo di raffreddamento per indumento protettivo
KR102206508B1 (ko)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WO2015005955A1 (en) Respiratory hood capable of being worn with external head gear
KR102099708B1 (ko) 방독면
KR101264970B1 (ko) 휴대용 정화공기 공급 방호복
KR102288049B1 (ko) 공기 순환 기능을 가진 보호복
KR101347569B1 (ko) 화재용 방호 시스템
KR200454085Y1 (ko) 약액전용 보호구
KR100264353B1 (ko) 이동식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용접용 작업복 및 용접용 마스크의 냉기공급시스템
KR101876539B1 (ko) 송기 마스크 및 호흡용 공기 공급 방법
NO133529B (ko)
KR101499443B1 (ko)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JP2023075639A (ja) 装着具および封じ込めシステム
RU64030U1 (ru) Изолирующий скафанд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