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215A -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 - Google Patents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215A
KR20130005215A KR1020120047226A KR20120047226A KR20130005215A KR 20130005215 A KR20130005215 A KR 20130005215A KR 1020120047226 A KR1020120047226 A KR 1020120047226A KR 20120047226 A KR20120047226 A KR 20120047226A KR 20130005215 A KR20130005215 A KR 2013000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image
request message
termina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훈
고석갑
윤심권
이병탁
김영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529,34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011017A1/en
Publication of KR2013000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은 서버에서 수행되는 영상획득 방법으로, 합성된 공간 영상을 소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주변 영역과의 연속성이 임계치 이하인 단절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단절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지리적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METHOD FOR OBTAINING SPATIAL IMAGES ON DEMAND}
본 발명은 공간영상 획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집된 공간영상을 지속적으로 갱신하기 위한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기술의 발전으로 관련성 있는 많은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더 큰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로드뷰 서비스가 있다. 로드뷰 서비스는 실제 거리의 모습을 웹 브라우저 상에서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적절한 이미지들을 많이 수집하는 것이 이 서비스의 핵심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이루는 기술로는 거리의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해서 중앙 서버에 전달하는 기술과 서버에 수집된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실제 거리에 대응하는 큰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지도와 연계하여 웹으로 게시하는 기술이 있으며, 대표적인 서비스 제공자로는 다음 커뮤니케이션과 네이버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위해서는, 거리를 촬영하는 기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현재는 고가의 카메라 장치들을 장착한 특수 차량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장비와 인력의 제한 때문에 이미지 갱신 주기가 상당히 느린 단점이 있으며, 골목길과 같은 좁은 공간의 모습까지는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사용자들이 직접 촬영한 영상을 수집하고, 이를 합성하여 로드뷰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사용자들의 촬영 영상이 비 규칙적으로 무작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이미지 누락이 발생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고, 중복된 영상이 전달되어 네트워크나 저장공간에 부하를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버에서 수행되는 영상획득 방법으로, 합성된 공간 영상을 소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주변 영역과의 연속성이 임계치 이하인 단절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단절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지리적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절 영역은 상기 공간 영상 내의 일부가 누락된 영역, 상기 공간 영상 내 주변 영역과 대비하여 품질이 임계치 이하인 영역, 상기 공간 영상 내 주변 영역과 대비하여 일정기간 이상 오래전에 촬영된 영역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단절 영역의 검출은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생성된 촬영요청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촬영을 위한 파라미터 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 값은 촬영 방향, 촬영 시간, 촬영 조건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촬영장치는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촬영장치에서 수행되는 영상수집 방법으로, 서버로부터 지리적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리적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가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장치는 이동수단 내에 위치하는 단말에 부착되고,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의 상기 차량의 이동거리상의 촬영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촬영장치가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상기 서버가 합성된 공간 영상을 소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주변 영역과의 연속성이 임계치 이하인 단절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단절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촬영을 위한 파라미터 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 값은 촬영 방향, 촬영 시간, 촬영 조건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동수단 내의 제1 단말에서 수행되는 영상 획득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의 도로 상황에 대한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위치의 도로상황이 상기 제1 단말의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특정 위치의 도로 상황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한 영상을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기 제1 단말의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의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거리상의 촬영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상기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영상에서 갱신이 필요한 영역을 추출하여, 단말로 촬영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단말로부터 대응하는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수신한 이미지를 영상에 반영하여 갱신함으로써, 로드뷰 같은 서비스에 활용하여 좀 더 정확한 합성 이미지를 제공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활용하면 이미지 기반 지도 서비스를 좀더 짧은 주기로 갱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 획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의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측 공간 영상 획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영상 획득을 위한 촬영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요청에 따른 공간 영상 획득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요청에 따른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 획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 획득 시스템은 공간영상(30)을 포함하는 영상수집장치(10)와 공간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영상수집장치에 제공하는 단말(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수집장치(10)에는 연관성이 있는 복수개의 이미지로부터 합성된 영상(30)이 저장되어 있으며, 합성된 영상(30)은 지리적으로 근접한 사진들이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합성된 영상이 완벽하지 않고 특정 영역(40)이 누락되어 있거나 품질이 저하된 부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들은 신속하게 갱신해 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각 지역의 촬영장치(20)가 촬영(31)하여 전송한 이미지(32)를 이용하는 경우, 전송되지 않고 누락되거나, 완벽하게 합성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상수집장치는 공간영상(30)을 분석하여 누락되어 빈 영역이나 주변영역과 비교하여 일관성이 떨어지는 영역, 예를 들면 품질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영역(40)을 추출하고, 이와 관련된 지리적 정보 및 촬영정보, 시간정보, 기타 센서정보 등으로 구성된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촬영 요청 메시지(50)를 구성하여 촬영장치(20)로 전송한다. 이때 공간영상으로는 디지털 실사 이미지, 디지털 실사 비디오, 레이저 스캔 이미지, Lidar 스캔 이미지, 초음파 스캔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촬영장치(20)가 영상수집장치(10)로부터 촬영요청 메시지(50)를 수신하면, 메시지 내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 및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지역에 대하여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32)을 영상수집장치(1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영상수집장치(10)는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촬영장치(20)는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 내에 장착되는 항법장치나 블랙박스, 또는 스마트폰, 대중교통 장치에 탑재되는 측정기기, 항공기에 탑재되는 측정기기일 수 있다.
촬영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지리적 정보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도, 경도, 고도를 포함할 수 있고, 파라미터에는 사진촬영에 필요한 촬영각도, 줌정보, 노출값 및 기타 주변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시간정보, 온도정보 등과 같은 센싱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촬영요청 메시지(50)는 데이터통신 네트워크(60)를 통해 촬영장치(20)로 전달될 수 있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60)는 현존하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 무선랜, 3G 망, WiBro 등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촬영요청 메시지(50)는 촬영장치(20)에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등의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도1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촬영장치(20)로 유니캐스트로 전달되거나,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촬영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메시지를 수신한 촬영장치는 메시지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와 파라미터가 촬영장치가 위치한 환경에 대응되는 경우 해당 지역을 촬영하여 영상수집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의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의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은 단절영역 검출단계(S210), 지리적 정보 생성단계(S220), 촬영요청 메시지 생성단계(S230), 메시지 전송단계(S240), 영상 수신단계(S250) 및 영상 합성 단계(S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의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단절영역 검출단계(S210)는 공간 영상을 소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주변 영역과의 연속성이 임계치 이하인 단절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공간 이미지를 분석하여 주변 영역과 대비하여 연속성이 떨어지는 부분, 예를 들면, 영상의 일부분이 누락된 영역, 주변 영역과 대비하여 품질이 임계치 이하인 영역, 주변 영역과 대비하여 일정기간 이상 오래 전에 촬영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절영역의 검출은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어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리적 정보 생성단계(S220)는 단절영역 검출단계(S210)에서 검출한 단절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리적 정보에는 단절영역에 대응하는 위도, 경도, 고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촬영요청 메시지 생성단계(S230)는 생성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에 대한 촬영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촬영요청 메시지에는 지리적 정보 및 촬영을 위한 촬영정보, 시간정보, 기타 센서정보 등으로 구성된 파라미터 값이 포함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단계(S240)는 생성된 촬영요청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촬영요청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단말을 지정해서 전송되는 유니캐스트 방식이나 단말을 특정하지 않고 여러 단말로 전송하는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영상 수신단계(S250)는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촬영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촬영장치는 촬영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한 영상은 기존의 공간영상에 합성(S260)함으로써 영상을 새로이 갱신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측 공간 영상 획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측 공간 영상 획득 장치는 단절영역 검출부(310), 지리적정보 추출부(320), 메시지 생성부(330), 전송부(340), 수신부(350) 및 합성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영상 획득 장치의 각 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단절영역 검출부(310)는 영상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공간 영상(30)을 소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주변 영역과의 연속성이 임계치 이하인 단절 영역을 검출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주기적으로 공간 영상(30)을 분석하여 빠져 있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 및 품질이 저하된 영역을 검출하게 된다. 예를 들면, 영상의 일부분이 누락된 영역, 주변 영역과 대비하여 품질이 임계치 이하인 영역, 주변 영역과 대비하여 일정기간 이상 오래 전에 촬영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절영역의 검출은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어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리적정보 추출부(320)는 단절영역 검출부(310)에서 검출한 단절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단절영역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지리적 공간에서 위치정보(위도, 경도, 고도 등)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촬영 위치 정보, 촬영각도 정보, 노출정보, 시간 정보 등으로 구성된 파라미터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기타 다른 센싱 정보, 예를 들면, 온도, 습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330)는 생성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에 대한 촬영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촬영요청 메시지에는 지리적 정보 및 촬영을 위한 촬영정보, 시간정보, 기타 센서정보 등으로 구성된 파라미터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전송부(340)는 생성된 촬영요청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촬영요청 메시지는 특정 단말을 지정해서 전송되는 유니캐스트 방식이나 단말을 특정하지 않고 여러 단말(21-23)로 전송하는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수신부(350)는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중 일부의 단말로부터 촬영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촬영장치는 촬영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한 영상은 합성부(360)에서 기존의 공간영상과 같이 합성함으로써 새로이 갱신된 영상이 생성되고, 영상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은 촬영요청 메시지 수신단계(S410), 촬영가능 여부 판단 단계(S420), 촬영 단계(S430) 및 영상 전송단계(S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촬영요청 메시지 수신단계(S410)는 서버로부터 지리적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촬영가능 여부 판단 단계(S420)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가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촬영장치는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 내에 위치하는 단말에 부착될 수도 있고, 개인이 소지할 수도 있고,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만일 촬영장치가 차량 등의 이동수단 내에 위치한다면,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의 상기 차량의 이동거리상의 촬영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이 일정 시간 운행하여 상기 촬영 가능한 범위상의 위치에 도달 할 수 있다면 단순히 촬영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촬영범위 만이 아니라, 이동거리나 시간을 고려하게 되므로 촬영 가능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촬영 단계(S430)는 촬영장치가 촬영 가능한 범위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촬영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행 가능한 차량에 촬영장치가 존재한다면(예를 들어, 네비게이터, 블랙박스, 스마트폰 등의 형태로) 일정시간 이동하여 촬영함으로써 촬영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공간영상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 전송단계(S440)는 수신한 촬영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영상획득을 위한 촬영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는 메시지 수신부(510), 지리적 정보 비교부(520), 촬영부(530) 및 영상 전송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메시지 수신부(510)는 서버로부터 지리적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지리적 정보 비교부(520)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가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촬영장치는 차량 내에 위치하는 단말(20)에 부착될 수 있고, 이 경우,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의 차량의 이동거리상의 촬영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530)는 촬영장치가 촬영 가능한 범위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촬영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540)는 수신한 촬영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한 영상을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서 차량간 촬영요청을 주고 받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예를 들면, 도로가 혼잡하여 차량이 서행하거나 움직이지 않는 경우, 앞의 차량에 도로상황에 대한 영상을 요청하거나, 우회하기 위하여 다른 길을 운행하는 차량에게 도로상황에 대한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도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요청에 따른 공간 영상 획득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B 위치에 있는 차량(602)에서는 직접 볼 수 없는 전방의 도로 상황을 파악하기를 원하는 경우, D 위치에서 전방인 동쪽방향으로 촬영된 영상을 보고자 할 때, 이에 대응하는 파라미터(D-위치, 동쪽방향)를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610)할 수 있다. 도로상에서 통신 가능한 모든 차량(601-604)이 이 메시지를 확인하여 수신된 파라미터가 자신의 상황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통신 방식은 현존하는 차량간 통신방식, 예를 들면, Ad-hoc 무선 통신, 무선 메쉬 통신 이나 3G, WiBro 통신 등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D-위치에 있는 차량(604)만이 파라미터에 포함된 상황과 일치(620)하므로, 수신한 촬영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영상을 촬영(630)하고, 이를 B-위치 차량(702)에게 전달하게 된다(64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요청에 따른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요청에 따른 공간 영상 획득 과정은 메시지 수신단계(S710), 촬영 가능여부 판단단계(S720), 촬영 단계(S730) 및 영상 전송단계(S7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요청에 따른 공간영상 획득 과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메시지 수신단계(S710)는 제1 단말에서 제2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의 도로 상황에 대한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촬영요청 메시지는 상기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가능여부 판단단계(S720)는 특정 위치의 도로상황이 제1 단말의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의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의 차량의 이동거리상의 촬영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단계(S730)는 상기 판단결과 특정 위치의 도로상황이 제1 단말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 있으면, 특정 위치의 도로 상황을 촬영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영상 전송단계(S740)는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서버에서 수행되는 영상획득 방법으로,
    공간 영상을 소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주변 영역과의 연속성이 임계치 이하인 단절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단절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지리적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획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절 영역은 상기 공간 영상 내의 일부가 누락된 영역, 상기 공간 영상 내 주변 영역과 대비하여 품질이 임계치 이하인 영역, 상기 공간 영상 내 주변 영역과 대비하여 일정기간 이상 오래전에 촬영된 영역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절 영역의 검출은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촬영요청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촬영을 위한 파라미터 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 값은 촬영 방향, 촬영 시간, 촬영 조건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촬영장치는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8. 촬영장치에서 수행되는 영상수집 방법으로,
    서버로부터 지리적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리적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가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획득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이동수단 내에 위치하는 단말에 부착되고,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의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거리상의 촬영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촬영장치가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획득 방법.
  11.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상기 서버가 합성된 공간 영상을 소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주변 영역과의 연속성이 임계치 이하인 단절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단절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12.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촬영을 위한 파라미터 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 값은 촬영 방향, 촬영 시간, 촬영 조건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13. 제1 단말에서 수행되는 영상 획득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의 도로 상황에 대한 촬영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위치의 도로상황이 상기 제1 단말의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특정 위치의 도로 상황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한 영상을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획득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이동수단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가능한 범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의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거리상의 촬영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상기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16.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촬영요청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 방법.
KR1020120047226A 2011-07-05 2012-05-04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 KR20130005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29,346 US20130011017A1 (en) 2011-07-05 2012-06-21 Method of obtaining spatial images on dem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6393 2011-07-05
KR1020110066393 2011-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215A true KR20130005215A (ko) 2013-01-15

Family

ID=4783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226A KR20130005215A (ko) 2011-07-05 2012-05-04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2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424A (ko) * 2020-03-30 2021-10-08 한국과학기술원 기간 시설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424A (ko) * 2020-03-30 2021-10-08 한국과학기술원 기간 시설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6744B2 (ja) 地域監視サーバ、提供端末及びそのシステム
US10582162B2 (en)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n moving object
JP2004166024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CN106027960B (zh) 一种定位系统和方法
JP4434219B2 (ja) 画像サーバ
CN104426957A (zh) 配置参数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CN103416050A (zh) 信息提供系统、信息提供装置、拍摄装置以及计算机程序
KR20160078724A (ko) 카메라 감시 영역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30011017A1 (en) Method of obtaining spatial images on demand
JP2012216102A (ja) 画像蓄積システム
KR101424740B1 (ko) 버디차량 간의 녹화영상 공유를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공유 방법
CN106534347A (zh) 基于lbs和自动拍照技术进行户外广告监测的方法
JP2016038703A (ja) センサ制御装置、センサ制御方法およびセンサ制御プログラム
KR101619522B1 (ko) 차량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수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4790B1 (ko) 협업용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EP2827259A1 (en) Method for providing image data for a location
JP2012114895A (ja) 通信品質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
KR101894145B1 (ko)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및 카메라
KR20130005215A (ko) 주문형 공간영상 획득 방법
US10701122B2 (en) Video streaming stitching and transmitting method, video streaming gateway and video streaming viewer
KR20200000297A (ko) 영상 감시시스템및 드론을 이용한 영상감시방법
KR20150011654A (ko) 저조명 지역을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저조명 지역을 알리는 서버
KR101163651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영상 푸쉬/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서버
JP2003018070A (ja) 被撮影者に映像を送信するシステム
JP5893525B2 (ja) 撮影システム、第一端末装置、および第二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