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082A - 3차원 컨텐츠의 시청 피로도를 제공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피로도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컨텐츠의 시청 피로도를 제공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피로도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082A
KR20130005082A KR1020110066450A KR20110066450A KR20130005082A KR 20130005082 A KR20130005082 A KR 20130005082A KR 1020110066450 A KR1020110066450 A KR 1020110066450A KR 20110066450 A KR20110066450 A KR 20110066450A KR 20130005082 A KR20130005082 A KR 20130005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igue
content
level
fatigue lev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861B1 (ko
Inventor
조승기
손광훈
최양림
한희철
신형철
최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8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2Eyestrain reduction by processing stereoscopic signals or controlling stereoscop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피로도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깊이 및 화소 정도에 따라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3D 컨텐츠의 피로도 정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정도를 고려하여 3D 컨텐츠 재생이나 편집 등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컨텐츠의 시청 피로도를 제공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피로도 제공 방법{3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fatigue of 3D contents}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D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이란 2차원 평면 정보와 달리 깊이 및 공간 형상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보다 사실적인 영상을 말한다. 이 같은 3차원 영상은 양안 시차 효과의 원리에 의한 기술로서, 양쪽 눈에 서로 다른 각도에서 관찰된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두 영상을 인식한 두뇌에서 공간감을 인식하게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같은 3차원 영상은 3차원 실물과 완전히 동일한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2차원 영상에 비해 시청자에게 더 많은 피로감을 유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3차원 영상은 초점거리와 수렴각도의 불일치, 두 눈에 제공되는 영상의 차이, 시공간적인 과도한 변화 등으로 인해 시청자에게 피로감과 어지럼증 등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눈에 미치는 영향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안전성과 관련된 화질평가 표준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3차원 영상으로부터 피로감을 유발하는 요인과 그 요인별 측정 방법과 관련된 기술, 3차원 영상 내의 특정 변인에 의한 시각적 피로도 정량화 기술, 사용자의 피로도를 정량화하는 기술 등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구 개발은 시청자들의 피로도를 예측하고, 그 예측된 피로도 정보에 따라 3차원 영상을 보정하여 보다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써, 시청자에게 화면에 재생되는 3차원 영상의 피로도 정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시청자가 3차원 영상을 시청함에 있어서, 피로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피로도 예측에 따라 화면에 출력되는 3차원 영상 보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같은 3차원 영상 보정만으로 시청자의 피로감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3차원 영상에 대한 피로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3차원 영상 보정 뿐만 아니라 시청자가 화면에 출력되는 3차원 영상의 피로도 정도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3차원 영상의 피로도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D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며, 동시에 화면에 출력되는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깊이 및 화소 정도에 따라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피로도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깊이 및 화소 정도에 따라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로 유발 요인은,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공간적 복잡도와 깊이 변화를 포함하는 깊이 정도 요인과 시간적 복잡도, 평균 움직임 속도 및 밝기 차이를 포함하는 화소 정도 요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3D 컨텐츠 프레임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여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하는 파라미터 값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파라미터 값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과 상기 피로도 레벨과 관련된 3D 컨텐츠 프레임을 상기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는, 정규화된 파라미터 값 내에서 산출 가능한 파라미터 값들과 대응하는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가 저장되는 3D 컨텐츠 정보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산출된 파라미터 값과 대응하는 피로도 레벨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결정된 실시간 피로도 레벨 및 상기 피로 유발 요인들의 실시간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추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 결정된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는, 적어도 하나의 3D 컨텐츠와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 및 피로도 레벨이 저장되며, 상기 3D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와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상기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 및 상기 피로 유발 요인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참조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 전체 평균 피로도 레벨 및 상기 3D 컨텐츠의 전체 평균 피로도 레벨을 결정하여 이를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참조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구간별 피로도 정도를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로부터 촬영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깊이 및 화소 정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는 단계, 정규화된 파라미터 값 내에서 산출 가능한 파라미터 값들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가 저장된 3D 컨텐츠 정보 DB로부터 상기 산출된 파라미터 값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피로도 레벨과 상기 3D 컨텐츠를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로 유발 요인은, 상기 입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공간적 복잡도와 깊이 변화를 포함하는 깊이 정도 요인과 시간적 복잡도, 평균 움직임 속도 및 밝기 차이를 포함하는 화소 정도 요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 및 상기 결정된 피로도 레벨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제공하는 방법,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다수의 3D 컨텐츠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3D 컨텐츠의 재생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로부터 상기 선택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깊이 정도 요인과 화소 정도 요인을 포함하는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피로도 레벨과 상기 선택된 3D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 및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참조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 피로도 레벨 및 상기 3D 컨텐츠의 전체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상기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전체 구간들 중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구간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정도를 바(Bar) 또는 텍스트(Text)와 같은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면에 출력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통해 3D 컨텐츠의 피로도 정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정도를 고려하여 3D 컨텐츠 재생이나 편집 등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또다른 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저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저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또다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로써, 제어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제어부(120)는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깊이 및 화소 정도에 따라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3D 컨텐츠는 방송용 3D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한 쌍의 좌, 우 영상 촬영이 가능한 장치로부터 촬영된 스테레오 영상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외부 장치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된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 혹은 기저장된 다수의 3D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의 3D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외부 장치로부터 촬영된 3D 컨텐츠의 피로도 레벨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3D 컨텐츠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촬영된 3D 컨텐츠를 입력받는다. 3D 컨텐츠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입력된 3D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프레임의 깊이 정도 및 화소 정도에 따라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생성하여 해당 3D 컨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피로 유발 요인은 입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공간적 복잡도(Spatial Complexity; SC)와 깊이 변화(Depth Gradient; DG)를 포함하는 깊이 정도 요인과, 시간적 복잡도(Temporal Complexity; TC), 평균 움직임 속도(Temporal Mean; TM) 및 밝기 차이(Difference of Brightness; BR)를 포함하는 화소 정도 요인이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전술한 피로 유발 요인들 중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프레임에서 시각적으로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생성하여 해당 3D 컨텐츠와 함께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부(120)는 파라미터 값 산출부(121)와 3D 컨텐츠 재생부(122)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파라미터 값 산출부(121)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미터 값을 산출한다. 즉, 파라미터 값 산출부(121)는 아래와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D 컨텐츠의 프레임의 공간적 복잡도에 따른 파라미터 값, 깊이 변화에 따른 파라미터 값, 시간적 복잡도에 따른 파라미터 값, 평균 움직임 속도에 따른 파라미터 값 및 밝기 차이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요인들별 산출된 파라미터 값은 최소 0에서 최대 1까지 산출될 수 있다. 산출된 파라미터 값이 0에 가까우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산출된 파라미터 값이 1에 가까울수록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는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깊이 정도 요인에 해당하는 공간적 복잡도와 깊이 변화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은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Depth_Gradient[수학식 1]는 공간적 복잡도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며, Spatial_Complexity[수학식 2]는 깊이 변화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여기서, N은 3D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m,n은 깊이 영상의 크기(가로, 세로)를, f(x,y)는 깊이 정도 관련 좌표값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화소 정도 요인에 해당하는 시간적 복잡도, 평균 움직임 속도 및 밝기 차이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은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5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Temporal_complexity[수학식 3]는 시간적 복잡도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며, Temporal_mean[수학식 4]은 평균 움직임 속도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그리고, Brightness_diff[수학식 5]는 밝기 차이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여기서, N은 3D 컨텐츠의 프레임 수를, m,n은 깊이 영상의 크기(가로, 세로)를, R,G,B(x,y)는 화소 정도 관련 좌표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파라미터 값 산출부(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요인들 별로 기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피로가 발생할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미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3D 컨텐츠와 해당 3D 컨텐츠의 피로도 레벨을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3D 컨텐츠 재생부(122)는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3)를 포함한다. 이 같은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3)는 파라미터 값 산출부(121)로부터 3D 컨텐츠의 프레임에 대한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미터 값이 산출되면, 산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산출된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여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피로도 레벨을 결정한다. 즉,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3)는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기설정되어 저장된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에 따라,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피로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기설정되어 저장된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는 정규화된 파라미터 값 내에서 산출 가능한 파라미터 값들과 대응하여 설정된 정보이다. 따라서,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3D 컨텐츠 정보 DB(140)를 참조하여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산출된 파라미터 값들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 결정된 피로도 레벨과 해당 3D 컨텐츠를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한다. 이 같이, 입력되는 3D 컨텐츠의 프레임에서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피로도 레벨이 결정되면,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그 결정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피로도 레벨과 해당 3D 컨텐츠가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 같은,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도 2과 같이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3D 컨텐츠에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와 함께, 해당 3D 컨텐츠에서 피로를 발생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 결정된 피로도 레벨(2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 결정된 피로도 레벨 및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210)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5개의 바들은 파라미터 값 산출부(121)로부터 산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에 따라 정량화된 피로도 레벨로써, 밝기 차이(BR) 관련 피로도 표시 바가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평균 움직임 속도(TM) 관련 피로도 표시 바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경우, 밝기 차이(BR)와 평균 움직임 속도(TM)에 대한 피로도는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깊이 변화(DG), 시각적 복잡도(TC) 및 공간적 복잡도(SC)에 대한 피로도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장 우측에 형성된 바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에서 피로를 발생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로써, 사용자는 현재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우측 상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피로 유발 요인들 별 결정된 피로도 레벨 및 피로 유발 요인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텍스트(Text)(210)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210) 형태로 제공되는 피로도 레벨은 파라메타 산출부(121)로부터 산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과 피로 유발 요인들의 평균 피로도 관련 파라메타 값이 될 수 있다. 이 같이,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을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에 따라 각각의 피로 유발 요인들의 텍스트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에 따라 피로도가 높은 피로 유발 요인의 텍스트 색상은 빨간색으로 표시하며, 피로도가 낮은 피로 유발 요인의 텍스트 색상은 녹색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피로도가 높고 낮음을 또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 피로도 레벨 및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230)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구하기 위해서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해당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을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이후,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를 참조하여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산출된 평균값과 대응하는 피로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산출된 평균값을 합산하고, 그 합산된 값을 피로 유발 요인들 개수로 나누어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전체 평균값을 산출한다. 이후,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전체 피로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 피로도 레벨과 전체 피로도 레벨을 바(230)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같은,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도 3과 같이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3D 컨텐츠에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에 따라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또다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화면에 재생되는 3D 컨텐츠의 프레임으로부터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산출된 파라메타 값에 따라 각각의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이 결정되면, 그 결정된 피로도 레벨을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화면에 재생되는 3D 컨텐츠 중 피로도 증가 요인이 물체(310(a))인 것으로 체크되면,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피로도 증가 요인인 물체(310(a))를 물체(310(b))와 같이 깜빡거리도록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는 3D 컨텐츠 중 어느 물체 또는 영역에 피로도가 많이 발생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2)는 피로도 증가 요인인 물체 또는 영역의 화소를 피로도가 낮은 범위 정도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3D 컨텐츠와 해당 3D 컨텐츠의 피로도 레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3D 컨텐츠 재생부(122)는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를 더 포함한다.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3D 컨텐츠와 해당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기저장된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3D 컨텐츠 정보 DB(140)는 적어도 하나의 3D 컨텐츠와 해당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과 그 파라메타 값과 대응하는 피로도 레벨이 저장된다. 따라서,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사용자로부터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3D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3D 컨텐츠의 재생과 함께 해당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화면에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바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참조하여 피로 유발 요인들 별 전체 평균 피로도 레벨 및 해당 3D 컨텐츠의 전체 피로도 레벨을 바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한다. 이 같이, 3D 컨텐츠의 피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바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방법은 도 2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도 4a와 같이 3D 컨텐츠의 구간에 따라 피로도를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저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참조하여 해당 3D 컨텐츠의 구간별 피로도 정도를 상이하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3D 컨텐츠에 대한 편집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3D 컨텐츠의 전체 프레임들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3D 컨텐츠의 전체 프레임들을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구간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들의 피로도 레벨을 분석한다. 이후,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그 분석 결과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피로도 정도가 높은 구간(410)을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간별 피로도 정도를 고려하여 3D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한편,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도 4b와 같이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다수의 3D 컨텐츠들의 피로도 정도를 상이하게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저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또다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다수의 3D 컨텐츠들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참조하여 각각의 3D 컨텐츠들의 전체 피로도 레벨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피로도 레벨에 따라 각각의 3D 컨텐츠들의 아이콘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124)는 다수의 3D 컨텐츠(420, 430, 440)들 중 피로도가 가장 낮은 3D 컨텐츠(420)의 아이콘을 녹색으로 표시하고, 피로도가 보통인 3D 컨텐츠(430)의 아이콘을 노란색으로 표시하며, 피로도가 가장 높은 3D 컨텐츠(440)의 아이콘을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3D 컨텐츠들의 전체 피로도 정도가 높은지 혹은 낮은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3D 컨텐츠의 피로도 정도를 제공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촬영된 3D 컨텐츠를 입력받는다(S510). 여기서, 외부 장치로부터 촬영되어 3D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력되는 3D 컨텐츠는 방송용 3D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한 쌍의 좌, 우 영상 촬영이 가능한 장치로부터 촬영된 스테레오 영상이다. 이 같은 3D 컨텐츠가 입력되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깊이 및 화소 정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파라미터 값을 산출한다(S520). 여기서, 피로 유발 요인은 입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공간적 복잡도와 깊이 변화를 포함하는 깊이 정도 요인과, 시간적 복잡도, 평균 움직임 속도 및 밝기 차이를 포함하는 화소 정도 요인이다. 이 같은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파라메타 값들은 전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과 같은 알고리즘으로 산출되며, 각각의 요인들별 산출된 파라미터 값은 최소 0에서 최대 1까지 산출될 수 있다. 산출된 파라미터 값이 0에 가까울수록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는 높으며, 산출된 파라미터 값이 1에 가까울수록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는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으로부터 피로 유발 요인별 파라미터 값이 산출되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출된 파라미터 값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결정한다(S530). 즉,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규화된 파라미터 값 내에서 산출 가능한 파라미터 값들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가 저장된 3D 컨텐츠 정보 DB로부터 피로 유발 요인별로 산출된 파라미터 값들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같은 피로도 레벨이 결정되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결정된 피로도 레벨과 해당 3D 컨텐츠의 프레임을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한다. 이후,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로 유발 요인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과 해당 3D 컨텐츠가 실시간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한다(S540). 이 같은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에 피로 유발 요인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와 같이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에서 피로를 발생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을 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5개의 바들은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에 따라 정량화된 피로도 레벨을 나타내는 것이며, 가장 우측에 형성된 바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에서 피로를 발생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와 같이,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에서 피로를 발생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산출된 파라메타 값을 텍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에 따라 피로도가 높은 피로 유발 요인의 텍스트 색상을 빨간색으로 표시하며, 피로도가 낮은 피로 유발 요인의 텍스트 색상을 녹색으로 표시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와 같이,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 피로도 레벨 및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 정보 DB로부터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들을 획득한다. 이후,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파라메타 값을 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값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결정한다. 또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산출된 평균값들을 합산하고, 그 합산된 값을 피로 유발 요인들 개수로 나누어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전체 평균값을 산출한다. 이후,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산출된 3D 컨텐츠의 전체 평균값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 피로도 레벨과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전체 피로도 레벨이 결정되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결정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 피로도 레벨과 현재까지 재생된 3D 컨텐츠의 전체 피로도 레벨을 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3과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에 따라 해당 3D 컨텐츠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프레임으로부터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이 결정되면, 그 결정된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현재 출력되고 있는 3D 컨텐츠에서 피로도가 높은 물체 또는 영역을 깜빡거리도록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화면에 출력되는 3D 컨텐츠로부터 피로도가 많은 물체 또는 영역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지금까지,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촬영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시각적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다수의 3D 컨텐츠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3D 컨텐츠의 재생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다(S610). 재생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 정보 DB로부터 재생 요청 정보와 관련된 3D 컨텐츠를 획득한다. 동시에,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 정보 DB로부터 해당 3D 컨텐츠의 프레임 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획득한다(S620). 여기서, 피로 유발 요인들은 공간적 복잡도와 깊이 변화를 포함하는 깊이 정보 요인과 시간적 복잡도, 평균 움직임 속도 및 밝기 차이를 포함하는 화소 정도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이 획득되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한 피로도 레벨과 재생 요청에 따른 3D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630). 이 같은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화면에 출력되는 3D 컨텐츠에 피로 유발 요인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3D 컨텐츠의 프레임 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즉,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각각의 바를 형성할 수 있으며,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형성된 각각의 바들의 크기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로부터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 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을 텍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에 따라 피로도가 높은 피로 유발 요인의 텍스트 색상을 빨간색으로 표시하며, 피로도가 낮은 피로 유발 요인의 텍스트 색상을 녹색으로 표시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의 전체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 피로도 레벨 및 3D 컨텐츠의 전체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 정보 DB로부터 3D 컨텐츠의 전체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들을 획득한다. 이후,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파라메타 값을 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전체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값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결정한다. 또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체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산출된 평균값들을 합산하고, 그 합산된 값을 피로 유발 요인들 개수로 나누어 3D 컨텐츠의 전체 평균값을 산출한다. 이후,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산출된 3D 컨텐츠의 전체 평균값으로부터 3D 컨텐츠의 전체 피로도 레벨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피로 유발 요인들 별 전체 평균 피로도 레벨과 3D 컨텐츠의 전체 피로도 레벨이 결정되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결정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 전체 평균 피로도 레벨과 3D 컨텐츠의 전체 피로도 레벨을 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에 따라 해당 3D 컨텐츠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의 프레임의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에서 피로도가 높은 물체 또는 영역을 깜빡거리도록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컨텐츠로부터 피로도가 많은 물체 또는 영역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3D 컨텐츠의 전체 구간들 중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구간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3D 컨텐츠에 대한 편집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3D 컨텐츠의 전체 프레임들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의 전체 프레임들을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구간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들의 피로도 레벨을 분석한다. 이후,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분석 결과에 따라, 도 4a와 같이 피로도 정도가 높은 구간을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간별 피로도 정도를 고려하여 3D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 정보 DB(140)에 저장된 다수의 3D 컨텐츠들의 피로도 정도를 상이하게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다수의 3D 컨텐츠들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참조하여 각각의 3D 컨텐츠들의 전체 피로도 레벨을 결정한다. 이후,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3D 컨텐츠들 별로 결정된 전체 피로도 레벨에 따라 각각의 3D 컨텐츠들의 아이콘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한다. 즉,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4b와 같이 다수의 3D 컨텐츠들 중 피로도가 가장 낮은 3D 컨텐츠의 아이콘을 녹색으로 표시하고, 피로도가 보통인 3D 컨텐츠의 아이콘을 노란색으로 표시하며, 피로도가 가장 높은 3D 컨텐츠의 아이콘을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3D 컨텐츠들의 전체 피로도 정도가 높은지 혹은 낮은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각종 전자 장치에 구비된 C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3D 컨텐츠 입력부 120 : 제어부
121 : 파라미터 값 산출부 122 : 3D 컨텐츠 재생부
123 :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 124 :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3D 컨텐츠 정보 DB

Claims (20)

  1.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깊이 및 화소 정도에 따라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 유발 요인은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공간적 복잡도와 깊이 변화를 포함하는 깊이 정도 요인과 시간적 복잡도, 평균 움직임 속도 및 밝기 차이를 포함하는 화소 정도 요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3D 컨텐츠 프레임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여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하는 파라미터 값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파라미터 값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과 상기 피로도 레벨과 관련된 3D 컨텐츠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를 포함하는 3D 컨텐츠 재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는:
    정규화된 파라미터 값 내에서 산출 가능한 파라미터 값들과 대응하는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가 저장되는 3D 컨텐츠 정보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산출된 파라미터 값과 대응하는 피로도 레벨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결정된 실시간 피로도 레벨 및 상기 피로 유발 요인들의 실시간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피로도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추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 결정된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는:
    적어도 하나의 3D 컨텐츠와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파라메타 값 및 피로도 레벨이 저장되며,
    상기 3D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와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 및 상기 피로 유발 요인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참조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 전체 평균 피로도 레벨 및 상기 3D 컨텐츠의 전체 평균 피로도 레벨을 결정하여 이를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참조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구간별 피로도 정도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컨텐츠 피로도 제공부는: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2. 외부 장치로부터 촬영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깊이 및 화소 정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로 유발 요인과 관련된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는 단계;
    정규화된 파라미터 값 내에서 산출 가능한 파라미터 값들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피로도 레벨 단계 정보가 저장된 3D 컨텐츠 정보 DB로부터 상기 산출된 파라미터 값과 관련된 피로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피로도 레벨과 상기 3D 컨텐츠를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 유발 요인은
    상기 입력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공간적 복잡도와 깊이 변화를 포함하는 깊이 정도 요인과 시간적 복잡도, 평균 움직임 속도 및 밝기 차이를 포함하는 화소 정도 요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 및 상기 결정된 피로도 레벨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피로 유발 요인들 별로 결정된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
  16.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3D 컨텐츠의 피로도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에 저장된 다수의 3D 컨텐츠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3D 컨텐츠의 재생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3D 컨텐츠 정보 DB로부터 상기 선택된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깊이 정도 요인과 화소 정도 요인을 포함하는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피로도 레벨과 상기 선택된 3D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 및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참조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피로 유발 요인들 별 평균 피로도 레벨 및 상기 3D 컨텐츠의 전체 평균 피로도 레벨을 바(Bar) 또는 텍스트(Text) 형태로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물체 또는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컨텐츠의 프레임별 피로 유발 요인들의 피로도 레벨을 분석하여 상기 3D 컨텐츠의 전체 구간들 중 피로도 증가와 관련된 구간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컨텐츠의 피로도 제공 방법.
KR1020110066450A 2011-07-05 2011-07-05 3차원 컨텐츠의 시청 피로도를 제공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피로도 제공 방법 KR101850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450A KR101850861B1 (ko) 2011-07-05 2011-07-05 3차원 컨텐츠의 시청 피로도를 제공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피로도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450A KR101850861B1 (ko) 2011-07-05 2011-07-05 3차원 컨텐츠의 시청 피로도를 제공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피로도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82A true KR20130005082A (ko) 2013-01-15
KR101850861B1 KR101850861B1 (ko) 2018-04-20

Family

ID=4783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450A KR101850861B1 (ko) 2011-07-05 2011-07-05 3차원 컨텐츠의 시청 피로도를 제공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피로도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8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2847A (zh) * 2017-06-16 2017-12-01 福建天晴数码有限公司 一种远程测试虚拟角色加速度值的方法及系统
KR20190066429A (ko) * 2017-12-05 2019-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현실 콘텐츠의 시청 피로도 예측 모델에 관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10832483B2 (en) 2017-12-05 2020-11-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monitoring VR sickness prediction model for virtual reality cont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2847A (zh) * 2017-06-16 2017-12-01 福建天晴数码有限公司 一种远程测试虚拟角色加速度值的方法及系统
CN107422847B (zh) * 2017-06-16 2020-04-17 福建天晴数码有限公司 一种远程测试虚拟角色加速度值的方法及系统
KR20190066429A (ko) * 2017-12-05 2019-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현실 콘텐츠의 시청 피로도 예측 모델에 관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10832483B2 (en) 2017-12-05 2020-11-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monitoring VR sickness prediction model for virtual reality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861B1 (ko)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3931B2 (ja) 設定メニューを表示する方法及び対応するデバイス
Du et al. A metric of visual comfort for stereoscopic motion
JP5183277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US20140111627A1 (en) Multi-viewpoint image generation device and multi-viewpoint image generation method
TWI547901B (zh) 模擬立體圖像顯示方法及顯示設備
JP2012227924A (ja) 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07310B2 (en) Field display system, field display method, and field display program
US867504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ulti-eye digital camera, and program
US20130127989A1 (en) Conversion of 2-Dimensional Image Data into 3-Dimensional Image Data
KR20100121492A (ko) 홀 채움을 위한 방법 및 이미지-프로세싱 디바이스
US10210654B2 (en) Stereo 3D navigation apparatus and saliency-guided camera parameter control method thereof
EP37928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a quality of image capture of a scene
KR101220223B1 (ko)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시스템에서의 시각적 불편감 측정 장치 및 방법, 시각적 불편감 측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40046563A (ko) 디스플레이의 방향을 고려하여 영상 렌더링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797035B1 (ko) 오버레이 영역의 3d 영상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05082A (ko) 3차원 컨텐츠의 시청 피로도를 제공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피로도 제공 방법
KR201400043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25778A1 (en) System for producing stereoscopic images with a hole filling algorithm and method thereof
KR101356427B1 (ko)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 및 영상의 시각 피로도를 시각화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92121B1 (ko) 양안시차 및 깊이 정보를 이용한 애너그리프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402930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tereoscopic subtitles by analyzing three-dimensional (3d) space
EP2590417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40085434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JP5962125B2 (ja) 表示装置、同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619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