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071A - 진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071A
KR20130005071A KR20110066425A KR20110066425A KR20130005071A KR 20130005071 A KR20130005071 A KR 20130005071A KR 20110066425 A KR20110066425 A KR 20110066425A KR 20110066425 A KR20110066425 A KR 20110066425A KR 20130005071 A KR20130005071 A KR 20130005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arts
vibration
reduction device
variable
vibration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6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호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06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071A/ko
Publication of KR2013000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071A/ko

Links

Image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진동 저감 장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한 가변적인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회전축들,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들 각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고정 질량부들,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질량부들과 결합하여 왕복이송 운동을 하는 제1 및 제2 가변 질량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저감 장치{VIBRATION REDUCTION DEVICE}
본 출원은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축과 불균형 질량부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진동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는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 저감 장치는 선박 등에 적용되어 엔진 또는 프로펠러 등과 같은 기진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켜 주는 장치를 말한다. 진동 저감 장치는 일정한 무게의 불평형 질량을 특정의 주파수가 발생되도록 회전시켜서 기진원에서 발생되어 거주구 등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승선감을 향상시켜준다. 진동 저감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 주파수는 구조물에 전달되는 진동에 대응되어야 하기 때문에 먼저 기진원 또는 설치장소 등에 전달되는 진동위상을 산출한 후에 상기 진동 저감 장치를 적정의 작동위상으로 가동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은 한국 등록특허 10-0182082에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은 회전축과 불균형 질량부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진동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는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진동 저감 장치는 진동 저감 장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한 가변적인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회전축들,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들 각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고정 질량부들,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질량부들과 결합하여 왕복이송 운동을 하는 제1 및 제2 가변 질량부들을 포함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질량부들과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질량부들이 결합하여 제1 및 제2 불평형 질량부들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불평형 질량부들은 상기 가변적인 회전 운동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질량부들은 각각 제1 및 제2 스크류들과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들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왕복 이송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들은 제1 핸들 및 제2 핸들과 결합되어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질량부들은 상면 또는 하면의 관점에서 동일한 위치의 제1 및 제2 왕복 이송부들에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측정되는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회전축과 불균형 질량부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불균형 질량부가 회전 운동하여 발생하는 진동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의 진동 저감 장치에서 불균형 질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동 저감 장치(100)는 외함(110), 모터(120), 제1 및제2 회전축들(130, 140), 제1 및 제2 기어들(150, 160) 및 제1 및 제2 불균형 질량부들(170, 180)을 포함한다.
외함(110)은 진동 저감 장치(100)의 외관을 제공하고, 제1 및 제2 회전축들(130, 140), 제1 및 제2 기어들(150, 160) 및 제1 및 제2 불균형 질량부들(170, 18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회전축들(130, 140)은 외함(110) 내부 상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모터(120)는 외함(1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불균형 질량부들(170, 180)의 회전 방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모터(120)는 외함(110)의 외부에 설치된다. 모터(120)는 제1 회전축(130)과 연결될 수 있고, 모터(120)에 의한 동력은 제1 회전축(130)을 회전시켜 제1 및 제2 기어들(150, 160)을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터(120)는 타이밍 벨트를 이용하여 제1 회전축(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불균형 질량부(170)는 제1 고정 질량부(171), 제1 스크류(173), 제1 왕복 이송부(175), 제1 핸들(177) 및 제1 가변 질량부(179)를 포함한다. 제1 불균형 질량부(170)는 제1 회전축(130)에 대하여 불평형한 질량을 제공하여 선박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역진동을 발생시키고 제1 회전축(130)을 통해 제1 기어(150)와 결합된다.
제2 불균형 질량부(180)는 제2 고정 질량부(181), 제2 스크류(183), 제2 왕복 이송부(185), 제2 핸들(187) 및 제2 가변 질량부(189)를 포함한다. 제2 불균형 질량부(180)는 제2 회전축(140)에 대하여 불평형한 질량을 제공하여 선박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역진동을 발생시키고 제2 회전축(140)을 통해 제2 기어(160)와 결합된다.
도 2 는 도 1의 진동 저감 장치에서 제1 및 제2 불균형 질량부들(170, 18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불균형 질량부(170)는 제2 불균형 질량부(18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불균형 질량부(17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불균형 질량부(180)는 제2 고정 질량부(181), 제2 스크류(183), 제2 왕복 이송부(185), 제2 핸들(187) 및 제2 가변 질량부(189)를 포함한다. 제2 스크류(183)와 제2 핸들(187)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제2 스크류(183)에 제2 왕복 이송부(185)가 결합되어 제2 핸들(187)을 회전하면 제2 왕복 이송부는(185) 제2 스크류(183)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변 질량부(189)는 가변적인 회전 운동의 속도에 따른 진동의 폭을 특정한 값 이상으로 발생하여 외부의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한 값은 선박의 엔진에 의한 진동이 거소에 전달될 때의 통상적으로 측정되는 진동 크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변 질량부(189)는 가변적인 회전 운동의 속도에 따른 진동의 변화에 따라 제2 왕복 이송부(185)에 상면 또는 하면의 관점에서 동일한 위치에 적층될 수 있고, 제2 가변 질량부(189)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자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왕복 이송부(185)와 결합된 제2 가변 질량부(189)가 제2 핸들(187)과 제2 스크류(183)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면서 제2 회전축(140)과 제2 가변 질량부(179)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하게 되어 제2 불균형 질량부(180)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측정되는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회전축과 불균형 질량부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불균형 질량부가 회전 운동하여 발생하는 진동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진동 저감 장치 110 : 외함
120 : 모터 130 : 제1 회전축
140 : 제2 회전축 150 : 제1 기어
160 : 제2 기어 170 : 제1 불균형 질량부
171 : 제1 고정 질량부 173 : 제1 스크류
175 : 제1 왕복 이송부 177 : 제1 핸들
179 : 제1 가변 질량부 180 : 제2 불균형 질량부
181 : 제2 고정 질량부 183 : 제2 스크류
185 : 제2 왕복 이송부 187 : 제2 핸들
189 : 제2 가변 질량부

Claims (6)

  1.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한 가변적인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회전축들;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들 각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고정 질량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질량부들과 결합하여 왕복이송 운동을 하는 제1 및 제2 가변 질량부들을 포함하는 진동 저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질량부들과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질량부들이 결합하여 제1 및 제2 불평형 질량부들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3. 제1항과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불평형 질량부들은
    상기 가변적인 회전 운동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질량부들은
    각각 제1 및 제2 스크류들과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들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왕복 이송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들은
    제1 핸들 및 제2 핸들과 결합되어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6. 제1항과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질량부들은
    상면 또는 하면의 관점에서 동일한 위치의 제1 및 제2 왕복 이송부들에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KR20110066425A 2011-07-05 2011-07-05 진동 저감 장치 KR20130005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6425A KR20130005071A (ko) 2011-07-05 2011-07-05 진동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6425A KR20130005071A (ko) 2011-07-05 2011-07-05 진동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71A true KR20130005071A (ko) 2013-01-15

Family

ID=4783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66425A KR20130005071A (ko) 2011-07-05 2011-07-05 진동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0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193B1 (ko) * 2020-03-18 2020-12-03 신천기계공업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진동상쇄장치 제조방법
KR102186194B1 (ko) * 2020-03-18 2020-12-03 신천기계공업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진동상쇄장치 커버 제조방법
KR102322082B1 (ko) 2021-02-03 2021-1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제어력 변경이 가능한 진동제어장치 및 동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2523657B1 (ko) * 2021-11-02 2023-04-18 양동호 가진력 가변형 진동 보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193B1 (ko) * 2020-03-18 2020-12-03 신천기계공업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진동상쇄장치 제조방법
KR102186194B1 (ko) * 2020-03-18 2020-12-03 신천기계공업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진동상쇄장치 커버 제조방법
KR102322082B1 (ko) 2021-02-03 2021-1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제어력 변경이 가능한 진동제어장치 및 동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2523657B1 (ko) * 2021-11-02 2023-04-18 양동호 가진력 가변형 진동 보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5071A (ko) 진동 저감 장치
JP6001971B2 (ja) 回転電機
JP2008157458A5 (ko)
JP2009067216A5 (ko)
JP5393238B2 (ja) 電動機駆動システム,電動機制御装置及び電動機の駆動方法
KR101089557B1 (ko) 진동보상을 위한 가진기
CN106655958B (zh) 永磁电机转矩补偿方法及装置
CN103016613B (zh) 一种消除机械设备振动力矩的对转平衡方法及其平衡结构
KR101105209B1 (ko) 진동보상을 위한 직립형 가진기
EP2800269A1 (en) Permanent magnet motor controller
JP2002196828A5 (ko)
KR20130005064A (ko) 진동 저감 장치
EP3133287B1 (en) Low vibration scroll compressor for aircraft application
US20160020670A1 (en) Energy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RU2017103379A (ru) Балансировочный узел двигателя, содержащий электромоторы
JP6948455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KR20130005069A (ko) 진동 저감 장치
Ermolaev et al. Analysis of mechanical power flow in an electric drive operating under vibration conditions
CN203067656U (zh) 一种消除机械设备振动力矩的对转平衡结构
Kani et al. Vibration Suppression Using Vibration Coordinate System Based on dq Transform with Specific Frequency
KR20110115700A (ko) 진동감쇄장치
Liu et al. Study on the kinematic synchronization of three axis inertial vibration exciter
RU228276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равновешивания вибрационных нагрузок в роторных машинах
KR20230140933A (ko) 선체 진동저감장치의 등속 제어 장치 및 방법
ATE531462T1 (de) Schwingungserre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