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943U -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 Google Patents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943U
KR20130004943U KR2020120000989U KR20120000989U KR20130004943U KR 20130004943 U KR20130004943 U KR 20130004943U KR 2020120000989 U KR2020120000989 U KR 2020120000989U KR 20120000989 U KR20120000989 U KR 20120000989U KR 20130004943 U KR20130004943 U KR 201300049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infant
nursing
dispos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436Y1 (ko
Inventor
권오용
Original Assignee
권오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용 filed Critical 권오용
Priority to KR2020120000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43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4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은 내측에 수유모의 복부 사이즈에 상응하는 수용홈이 마련되고 수유모가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며 착용 후 절개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하여 측면에 고정수단이 부착되고 유아들이 주로 배치되는 쿠션본체와, 상기 쿠션본체상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쿠션본체의 전면과 수용홈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유아쿠션부가 포함되어, 쿠션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유아가 편안하게 힘들이지 않고 수유자의 방향으로 안기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유아의 성장에 따라 쿠션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아쿠션부의 위치를 이동시켜 확장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유아의 성장에 따라서도 사용기간이 연장되게 되어 사용효율이 높아지며, 유아가 태내에 있을 때의 웅크리는 자세를 태어나서도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유아의 웅크리는 습성에 맞게 유아쿠션부에 보조쿠션이 추가되어 유아의 습성에 맞게 적응되어 유아가 편리하게 수유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A nursing cushion }
본 고안은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유시에 편안하게 유아의 머리가 자연스럽게 높이 위치되게 안아서 수유할 수 있도록 쿠션본체위에 유아가 편안하게 눕혀지고 수유자의 손이 하부에 위치되어 유아의 머리가 다리보다 높게 위치되어 수유가 편리하게 되고 유아의 휴식시에도 다리가 머리보다 높게 배치되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유아의 성장에 따라서 쿠션본체의 가로방향의 넓이를 확장시켜 오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에게 모유 혹은 분유 수유시 유아를 직접 팔로 안은 채 또는 옆으로 누워서 행하여지고 있다.
엄마 또는 기타 가족들이 행하는 수유 동작은 유아에게 수유를 하는 어른에게 많은 힘을 필요로 하며, 안겨있는 유아에게도 배김현상이 있기 때문에 오래 안겨 있을수록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젖병을 사용해 수유를 할 때에는 한 손으로 유아를 안고 다른 한손으로는 젖병을 잡고 먹여야 되며, 역류를 방지하고 용이한 삼킴을 위하여 머리가 다리보다 위로 위치되어야 하게 되어 유아의 머리가 몸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팔을 올려 주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튜브형의 수유쿠션을 이용하였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튜브형 수유쿠션을 착용한 수유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 튜브형 수유쿠션은 솜이나 스펀지가 충진된 'C'자 형상의 쿠션으로서, 허리에 끼워지는 원형의 홈으로 된 허리삽입요홈이 편재하여 형성되며 쿠션의 몸체는 이어진 부분이 보다 넓은 면을 형성하고 끊어진 부분이 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을 형성한다. 상기 허리삽입요홈은 수유하는 사람의 허리가 타이트하게 끼워질 정도의 크기를 갖고, 쿠션의 몸체의 상부면은 아기를 누일 수 있을 만큼의 넓은 면을 확보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튜브형 수유쿠션은 허리에 끼워지는 원형의 홈을 통해 착용한 다음 쿠션본체의 저면은 허벅지로 지지한다. 그리고, 유아를 안은 수유모가 상기 쿠션본체의 상면에 상체(특히 유아를 안은 팔)를 기댄 상태로 수유를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튜브형 수유쿠션은 수유하는 사람에 따라 허리 사이즈가 다르므로 착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고, 움직임이 많은 유아에게는 누일 면적이 협소하여 안정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모유 수유시 수유모는 유아를 흉부 쪽으로 끌어당기고 상체를 숙여서 밀착된 상태로 수유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약 20분 내외 정도 장기적으로 지속하게 되면 수유모가 허리 통증 및 유아를 안은 팔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분유 수유시에는 유아와 수유하는 사람 사이에 거리로 인해 유아가 정서적으로 불안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7649호의 '유아용 수유쿠션'을 제안하여, 쿠션본체의 하부에 보조받침대를 설치하는 수유쿠션을 제안하였으나, 이러한 수유쿠션이 일부의 문제는 개선하였으나, 보조받침대를 쿠션본체의 하부에 부착시키거나 해제시키는 것이 불편하여 사용이 되지 않고 있으며, 수유자가 한 손으로 유아의 머리부분을 밀착시키는데는 여전하게도 그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57649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쿠션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유아가 편안하게 힘들이지 않고 수유자의 방향으로 안기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아의 성장에 따라 쿠션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아쿠션부의 위치를 이동시켜 확장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유아의 성장에 따라서도 사용기간이 연장되게 되어 사용효율이 높아지는 것이 가능한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가 태내에 있을 때의 웅크리는 자세는 태어나서도 4~6개월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유아의 웅크리는 습성에 맞게 유아쿠션부에 보조쿠션이 추가되어 유아의 습성에 맞게 적용되는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내측에 수유모의 복부 사이즈에 상응하는 수용홈이 마련되고 수유모가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며 착용 후 절개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하여 측면에 고정수단이 부착되고 유아들이 주로 배치되는 쿠션본체와, 상기 쿠션본체상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쿠션본체의 전면과 수용홈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은 내측에 수유모의 복부 사이즈에 상응하는 수용홈이 마련되고 수유모가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며 착용 후 절개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하여 측면에 고정수단이 부착되고 유아들이 주로 배치되는 쿠션본체와, 상기 쿠션본체상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쿠션본체의 전면과 수용홈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유아쿠션부가 포함되어, 쿠션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유아가 편안하게 힘들이지 않고 수유자의 방향으로 안기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유아의 성장에 따라 쿠션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아쿠션부의 위치를 이동시켜 확장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유아의 성장에 따라서도 사용기간이 연장되게 되어 사용효율이 높아지며, 유아가 태내에 있을 때의 웅크리는 자세를 태어나서도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유아의 웅크리는 습성에 맞게 유아쿠션부에 보조쿠션이 추가되어 유아의 습성에 맞게 적응되어 유아가 편리하게 수유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유쿠션의 사용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수유쿠션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에 의한 수유시의 사시도
도 6은 유아쿠션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I-I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8은 유아가 휴식을 취할 때의 유아쿠션부의 가상도
도 9는 유아쿠션부의 이동에 의한 확장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A)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들이 주로 배치되는 쿠션본체(10)와, 상기 쿠션본체(10)상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쿠션본체(10)의 전면과 수용홈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유아쿠션부(20)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쿠션본체(10)는 수유모가 쿠션본체(10)를 착용시 통상 가로방향이나 대각방향으로 유아를 안고 수유를 하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 쿠션본체(10)는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타원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본체(10)는 수유모의 착용을 위해 내측에 수유모의 복부 사이즈에 상응하는 수용홈(S)이 마련되고, 수유모가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며, 쿠션본체(10) 착용 후 절개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하여 쿠션본체(10)의 측면에 고정수단(13)이 부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3)은 쿠션본체(10)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결착부재(13a)와, 상기 결착부재(13a)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걸고리(1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아쿠션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머리가 배치되는 유아쿠션본체(21)와, 상기 유아쿠션본체(21)의 연결단부(211)에 고정되며 보조쿠션(225)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쿠션부(22)와, 상기 유아쿠션본체(21)의 연결단부(211)에 삽입되며 상기 쿠션본체(10)와 유아쿠션부(20)를 묶는 체결끈(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아쿠션본체(21)는 외피(21a)와 상기 외피(21a)의 내부에 수납되는 쿠션부(21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피(21a)는 상기 보조쿠션부(22)가 연결되는 연결단부(211)에 제1연결수단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끈(23)이 연결되는 제2연결수단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부(21b)는 수유자의 몸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외측부의 높이(H1)가 내측부의 높이(H2)보다 더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되게 형성되어 편안하게 유아의 얼굴이 수유자측으로 돌아가게 형성되어 있으며, 쿠션부(21b)의 표면에는 키가 작은 유아의 수유시 유아의 머리부분이 배치되도록 형성된 작은 크기의 구석요홈(214)과 유아가 성장시 성장한 유아의 키에 맞춰 쿠션부(21b)를 외측으로 이동시킨 후 유아의 머리가 배치되도록 중간에 큰 크기의 중간요홈(2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쿠션부(22)는 상기 유아쿠션본체(21)의 연결단부(211)의 제1연결수단부(2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수단부(221)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중간에는 벨크로지(222)가 배치된 직물판부(223)와, 상기 직물판부(223)의 벨크로지(2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표면에 벨크로지(224)가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삼각형의 보조쿠션(22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체결끈(23)은 상기 유아쿠션본체(21)의 외피(21a)의 제2연결수단부(213)에 삽입되고 양단부에는 벨크로지(23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쿠션본체(10)의 전면(10a)과 수용홈(S)사이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상기 유아쿠션부(20)는 쿠션본체(10)와는 별개의 상품구성으로 이불위나 거실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별개의 상품으로 판매되고 사용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A)의 사용을 이하에 설명하면, 유아를 수유하고자 할 경우에, 유아쿠션부(20)의 체결끈(23)을 이용하여 유아쿠션부(20)를 쿠션본체(10)상에 고정시키고, 유아의 머리가 유아쿠션본체(21)의 중간요홈(214)상에 배치되게 눕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본체(10)와 유아쿠션부(20)사이에 수유자의 팔을 넣고서, 수유자의 팔목의 아래에는 보조쿠션(225)을 배치시키고 유아의 머리가 쿠션부(21b)의 구석요홈(214) 또는 중간요홈(215)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유를 하게 되면, 유아도 편안한 상태로 수유가 되면서 수유자도 유아쿠션부(20)에 의하여 유아를 머리가 높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유자의 품으로 가깝게 위치되게 되어 자연스럽게 편안하게 되고 팔목은 보조쿠션(225)에 의하여 받쳐주게 되므로서 편안한 자세에서 아무런 피로가 없이 장기간의 수유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아를 안고자 할 경우에도, 유아쿠션부(20)의 상기 쿠션부(21b)는 수유자의 몸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외측부의 높이(H1)가 내측부의 높이(H2)보다 더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되게 형성되어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유아의 얼굴이 수유자측으로 돌아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부러 팔을 높이 올리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안한 상태로 유아를 안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가 태내에 있을 때의 웅크리는 자세는 태어나서도 4~6개월 유지하게 되는 습성이 있으며, 이러한 유아의 웅크리는 습성에 맞게 유아쿠션부(20)의 보조쿠션부(22)상에 보조쿠션(225)이 배치되어, 유아가 웅크린 상태에서 유아의 발부위에 지지되는 부분에 보조쿠션(225)이 유아의 발을 지지하게 되어 유아가 웅크리는 자세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A)이 일정기간이 사용되어 유아가 성장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쿠션부(20)의 위치를 쿠션본체(10)의 외측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아가 누울 수 있는 전체적인 공간이 확장되게 되어 유아의 성장에 따라서 그 크기를 가변시킬 수도 있게 되어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아쿠션부(20)는 유아용 요 위에 위치하게 되어 쿠션본체(10) 없이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아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은 일반적인 봉제산업에도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고안이라고 할 것이다.
10. 쿠션본체 20. 유아쿠션부
21. 유아쿠션본체 22. 보조쿠션부
23. 체결부 211. 연결단부
212. 제1연결수단부 213. 제2연결수단부
214. 구석요홈 215. 중간요홈

Claims (5)

  1.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A)에 있어서,
    상기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A)은, 유아들이 주로 배치되는 쿠션본체(10)와,
    상기 쿠션본체(10)상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쿠션본체(10)의 전면과 수용홈사이에 고정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유아쿠션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쿠션부(20)는, 유아의 머리가 배치되는 유아쿠션본체(21)와,
    상기 유아쿠션본체(21)의 연결단부(211)에 고정되며 보조쿠션(225)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쿠션부(22)와,
    상기 유아쿠션본체(21)의 연결단부(21a)에 삽입되며 상기 쿠션본체(10)와 유아쿠션부(20)를 묶는 체결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쿠션본체(21)는 외피(21a)와 상기 외피(21a)의 내부에 수납되는 쿠션부(2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21a)는 상기 보조쿠션부(22)가 연결되는 연결단부(211)에 제1연결수단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3)가 연결되는 제2연결수단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21b)는 수유자의 몸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외측부의 높이(H1)가 내측부의 높이(H2)보다 더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되게 형성되며, 쿠션부(21b)의 표면에는 유아의 머리가 배치되는 작은크기의 구석요홈(214)과 큰 크기의 중간요홈(2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쿠션부(22)는 상기 유아쿠션본체(21)의 연결단부(211)의 제1연결수단부(2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수단부(221)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중간에는 벨크로지(222)가 배치된 직물판부(223)와,
    상기 직물판부(223)의 벨크로지(2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표면에 벨크로지(224)가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삼각형의 보조쿠션(2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5. 유아들이 자거나 수유하는 유아쿠션부(20)에 있어서,
    상기 유아쿠션부(20)는, 유아의 머리가 배치되는 유아쿠션본체(21)와,
    상기 유아쿠션본체(21)의 연결단부(211)에 고정되며 보조쿠션(225)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쿠션부(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아쿠션본체(21)는 외피(21a)와 상기 외피(21a)의 내부에 수납되는 쿠션부(2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21a)는 상기 보조쿠션부(22)가 연결되는 연결단부(211)에 제1연결수단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21b)는 수유자의 몸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외측부의 높이(H1)가 내측부의 높이(H2)보다 더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되게 형성되고, 쿠션부(21b)의 표면에는 유아의 머리가 배치되는 작은 크기의 구석요홈(214)과 큰 크기의 중간요홈(215)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쿠션부(22)는 상기 유아쿠션본체(21)의 연결단부(211)의 제1연결수단부(2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수단부(221)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중간에는 벨크로지(222)가 배치된 직물판부(223)와, 상기 직물판부(223)의 벨크로지(2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표면에 벨크로지(224)가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삼각형의 보조쿠션(22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쿠션부.


KR2020120000989U 2012-02-09 2012-02-09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KR200469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989U KR200469436Y1 (ko) 2012-02-09 2012-02-09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989U KR200469436Y1 (ko) 2012-02-09 2012-02-09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43U true KR20130004943U (ko) 2013-08-20
KR200469436Y1 KR200469436Y1 (ko) 2013-10-11

Family

ID=5073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989U KR200469436Y1 (ko) 2012-02-09 2012-02-09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4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56U (ko) * 2020-06-15 2021-12-22 홍형석 유아용 역류 방지 쿠션
KR102379722B1 (ko) * 2021-09-02 2022-03-28 (주)쁘띠엘린 영유아 역류방지쿠션
JP2022091311A (ja) * 2020-12-09 2022-06-21 千里 大杉 双子用授乳クッショ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281B1 (ko) 2021-02-08 2021-08-02 성유진 역류방지 수유쿠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123Y1 (ko) 2002-11-06 2003-02-14 양지영 보조베개가 결합된 수유용쿠숀
US7788752B2 (en) 2003-07-01 2010-09-07 The Boppy Company, Llc Booster accessory for support pillows
US7117553B2 (en) 2004-06-09 2006-10-10 Fairchild Amy D Apparatuses for infant support and develop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56U (ko) * 2020-06-15 2021-12-22 홍형석 유아용 역류 방지 쿠션
JP2022091311A (ja) * 2020-12-09 2022-06-21 千里 大杉 双子用授乳クッション
KR102379722B1 (ko) * 2021-09-02 2022-03-28 (주)쁘띠엘린 영유아 역류방지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436Y1 (ko) 201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354B1 (en) Adjustable wrap for pillow used for supporting baby when nursing
US6189169B1 (en) Adjustable wrap for pillow used for supporting baby when nursing
US9980580B2 (en) Baby handling device
KR102377913B1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KR200469436Y1 (ko) 유아쿠션부가 구비된 수유쿠션
US20150121627A1 (en) Baby handling device
KR200457649Y1 (ko) 유아용 수유쿠션
JP2013052094A (ja) クッション
JP2013179974A (ja) 多機能クッション
KR20110006436U (ko) 수유쿠션 및 다용도베개 세트
KR20110005207U (ko) 임부용 슬리핑 쿠션
KR200464442Y1 (ko) 수유용 쿠션
CN203073888U (zh) 哺乳垫
KR101677806B1 (ko) 다용도 수유 쿠션
KR20120055799A (ko) 신생아와 유아의 다기능 쿠션기능 및 침대
CN209058534U (zh) 一种多功能哺乳枕
KR101886795B1 (ko) 다기능 유아용 침구
KR20150000736U (ko) 젖병 고정기
CN211065876U (zh) 一种多功能安抚枕
CN220024637U (zh) 一种便于新生儿进食的哺乳枕
CN209678049U (zh) 一种可调节u型环抱定型枕
KR200167674Y1 (ko) 유아용 포대기
CN211431928U (zh) 一种省力母乳喂养组合靠垫
KR200452635Y1 (ko) 수유용 방석
CN212466405U (zh) 一种新生儿护理鸟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