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849A -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849A
KR20130004849A KR1020110066148A KR20110066148A KR20130004849A KR 20130004849 A KR20130004849 A KR 20130004849A KR 1020110066148 A KR1020110066148 A KR 1020110066148A KR 20110066148 A KR20110066148 A KR 20110066148A KR 20130004849 A KR20130004849 A KR 20130004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ocation
indoor
access point
indoor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849A/ko
Publication of KR2013000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1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using a radio-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9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not involving signal parameters, i.e. only involving ident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주소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위치 주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외 위치 주소 정보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제1이동 단말기와, 상기 위치 주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를 이용하여 실외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제2이동 단말기와, 상기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실내 위치 추적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OF A MOBIL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진보함에 따라 단순한 무선 통신 수단을 넘어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과 같이 무선 통신 외적인 기능들이 이동 단말기에 부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은 이동 단말기의 표시창 개선과 고속 통신의 실현에 의해 점차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며, 결국, 이동 단말기가 궁극적인 휴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사용되기 위해,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러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만, 이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이동 단말기의 대략적인 위치를 추적할 수 있지만, 특정 이동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추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럼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이동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무선랜 망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정 이동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특정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랜 망 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주소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위치 주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외 위치 주소 정보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제1이동 단말기와, 상기 위치 주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를 이용하여 실외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제2이동 단말기와, 상기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실내 위치 추적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찾아가기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위치 찾아가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실내의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포함하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실내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내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추적 요청을 송신하여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상기 제1이동 단말기와, 상기 위치 찾아가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위치 찾아가기 승인을 전송하는 상기 제2이동 단말기와, 상기 실내 위치 추적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실내 위치 추적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제1이동 단말기가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주소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주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가 상기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며,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를 이용하여 실외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제1이동 단말기가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찾아가기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찾아가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실내의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포함하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을 전송하고,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찾아가기 승인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실내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내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추적 요청을 송신하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가 상기 실내 위치 추정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랜 망을 이용하여 특정 이동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정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랜 망 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특정 이동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위치 주소를 표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위치 주소를 요청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위치 주소를 제공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위치 추적을 요청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실내 위치를 제공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실내 위치 추적 서버가 실내 위치를 제공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실외 위치와 실내 위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제1이동 단말기(101)와 이동 통신망(103)과 무선랜 망(105)과 무선랜 망(105)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액세스 포인트(107, 109, 111)가 무선랜 망(105) 내에 위치하는 제2이동 단말기(113)와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이동 통신망(103)은 제1이동 단말기(101)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통신을 연결하고, 무선랜 망(105)은 제2이동 단말기(113)와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이동 통신망(103)을 통해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 주소를 요청하고,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위치 주소 정보를 수신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장소의 주소를 확인하라는 요청이 입력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가 위치하는 장소의 주소를 요청하는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103)을 통해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위치 주소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위치 주소 정보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장소의 실외 주소와 실내 주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수신된 위치 주소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제2이동 단말기(113)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주소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 주소 정보를 문자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가 건물과 도로 등의 실외 지역에 대한 대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제1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제1맵 정보에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맵핑하고, 상기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가 맵핑된 제1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특히,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이동 단말기(101)의 사용자에 의해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요청인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입력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103)을 통해서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승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위치 찾아가기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거부된 것으로 결정한 후, 위치 찾아가기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달리,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이동 단말기는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승인된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GPS 좌표와 무선랜 ID 리스트 정보와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한다.
만약에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승인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외 위치를 표시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로부터 GPS 좌표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GPS 좌표를 확인하고, 제1맵 정보에 확인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GPS 좌표와 검출된 제2이동 단말기(113)의 GPS 좌표를 맵핑한 후, 맵핑된 제1맵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1이동 단말기(101)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GPS 좌표를 확인하고, 확인된 GPS 좌표를 제1맵 정보에 맵핑함으로써, 제1이동 단말기(101)의 동선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실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1이동 단말기(101)는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로부터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검출하고,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한다. 그리고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내에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가 존재한다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실내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한다. 이와 달리,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내에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 아이다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실내에 진입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한다.
만약에 실내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로부터 서비스 아이디를 검출하고,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검출된 서비스 아이디와 확인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추적 요청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나타내는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지도로 표시한 제2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로부터 제2맵 정보를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의 위치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보고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이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 내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하고,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는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109)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2액세스 포인트(109)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의 실내 위치 주소를 포함하는 실내 주소 정보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GPS 좌표를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제1맵(MAP)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GPS 좌표에 대응되는 실외 주소를 검색한다. 여기서, 제1맵 정보는 GPS 좌표별로 실외 주소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실내 주소 정보 메시지로부터 실내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내 주소와 검색된 실외 주소를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한 후,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제2이동 단말기(113)가 신라 호텔에 위치한다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맵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GPS 좌표에 대응되는 실외 주소인 서울 특별시 중구 장충동 2가 202번지 신라 호텔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실내 주소인 1층, 로비와 실외 주소인 서울 특별시 중구 장충동 2가 202번지 신라 호텔을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실내 위치를 파악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요청이며,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위치 찾아가기가 요청되었음을 제2이동 단말기(113)의 사용자에게 보고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거부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위치 찾아가기 요청을 거부함을 나타내는 위치 찾아가기 거부 메시지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 후, 위치 찾아가기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달리,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승인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실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요청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와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승인한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이때,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가 실행됨을 나타내는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서비스 승인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현재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GPS 좌표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확인된 GPS 좌표와 생성된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정보가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새로이 생성한 후,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즉,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되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GPS 좌표와 무선랜 ID 리스트 정보와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의 실내 위치를 파악한 후,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의 실내 위치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요청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이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 내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하고,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는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에,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109) 내에 위치한다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2액세스 포인트(109)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요청에 따라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주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실내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 주소를 포함하는 실내 주소 정보 메시지를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 별로 해당 실내 주소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있으므로, 실내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해당 실내 주소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제2액세스 포인트가 특정 건물의 2층, 201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실내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제2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주소인 1층, 로비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요청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와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승인한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에 대한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를 실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수신된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1이동 단말기(101)의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승인하였음을 데이터 베이스화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에 대한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를 실행하고,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가 실행됨을 나타내는 서비스 아이디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서비스 승인 메시지를 제2이동 단말기(115)로 전송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제2이동 단말기(113)에 대한 실내 위치 추적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추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실내 위치 추적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한다.
만약에 실내 위치 추적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실내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이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 내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하고,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는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에,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109) 내에 위치한다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2액세스 포인트(109)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 별로 해당 실내 주소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있으므로,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해당 실내 위치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제2액세스 포인트가 특정 건물의 2층, 201호에 설치되어 있고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실내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제2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위치인 1층, 로비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1이동 단말기(101)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들을 이용하여 실내 건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제2맵 정보에 제1이동 단말기(101)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맵핑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버서(115)는 맵핑된 제2맵 정보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위치 주소를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장소의 주소를 확인하라는 요청이 입력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203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장소의 주소를 확인하라는 요청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201 단계를 반복한다. 만약에, 203 단계로 진행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가 위치하는 장소의 주소를 요청하는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103)을 통해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 후, 205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205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이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 내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ID)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 후, 207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는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에,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109) 내에 위치한다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2액세스 포인트(109)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207 단계에서,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실내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파악한 후, 209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 별로 해당 실내 주소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있으므로, 실내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해당 실내 주소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제2액세스 포인트가 특정 건물의 2층, 201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실내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제2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주소인 1층, 로비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209 단계에서,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 주소를 포함하는 실내 주소 정보 메시지를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 후, 211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211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GPS 좌표를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맵(MAP)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GPS 좌표에 대응되는 실외 주소를 검색한다. 여기서, 맵 정보는 GPS 좌표별로 실외 주소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실내 주소 정보 메시지로부터 실내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내 주소와 검색된 실외 주소를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한 후, 213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제2이동 단말기(113)가 신라 호텔에 위치한다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맵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GPS 좌표에 대응되는 실외 주소인 서울 특별시 중구 장충동 2가 202 번지 신라 호텔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실내 주소인 1층, 로비와 실외 주소인 서울 특별시 중구 장충동 2가 202 번지 신라 호텔을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213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생성된 위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 후, 215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215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위치 주소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주소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제2이동 단말기(113)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주소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 주소 정보를 문자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가 건물과 도로 등의 실외 지역에 대한 대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제1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제1맵 정보에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맵핑하고, 상기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가 맵핑된 제1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이동 단말기가 위치 주소를 요청하는 흐름도이다.
30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장소의 주소를 확인하라는 요청이 입력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303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장소의 주소를 확인하라는 요청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301 단계를 반복한다. 만약에, 303 단계로 진행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가 위치하는 장소의 주소를 요청하는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103)을 통해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 후, 305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305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위치 주소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후, 307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위치 주소 정보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장소의 실외 주소와 실내 주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307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는 수신된 위치 주소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제2이동 단말기(113)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주소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 주소 정보를 문자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가 건물과 도로 등의 실외 지역에 대한 대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제1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제1맵 정보에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맵핑하고, 상기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가 맵핑된 제1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 주소를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401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2이동 단말기(113)는 40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1 단계를 반복한다.
만약에 403 단계로 진행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이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 내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하고,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 후, 405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는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109)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2액세스 포인트(109)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주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405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의 실내 위치 주소를 포함하는 실내 주소 정보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부터 수신한 후, 40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07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GPS 좌표를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제1맵(MAP)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GPS 좌표에 대응되는 실외 주소를 검색한다. 여기서, 제1맵 정보는 GPS 좌표별로 실외 주소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실내 주소 정보 메시지로부터 실내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내 주소와 검색된 실외 주소를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한 후,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제2이동 단말기(113)가 신라 호텔에 위치한다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맵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GPS 좌표에 대응되는 실외 주소인 서울 특별시 중구 장충동 2가 202 번지 신라 호텔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실내 주소인 1층, 로비와 실외 주소인 서울 특별시 중구 장충동 2가 202 번지 신라 호텔을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사용자에 의해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요청인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입력되면, 50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01 단계를 반복한다. 만약에 503 단계로 진행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103)을 통해서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 후, 505 단계를 진행한다. 여기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505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위치 찾아가기가 요청되었음을 제2이동 단말기(113)의 사용자에게 보고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사용자에 의해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승인되면, 50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07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507 단계로 진행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 찾아가기 요청을 거부하는 것을 나타내는 위치 찾아가기 거부 메시지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509 단계로 진행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요청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와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승인한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 후, 511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511 단계에서,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1이동 단말기(101)의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승인하였음을 데이터 베이스화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에 대한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를 실행한 후, 51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513 단계에서,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를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서비스 아이디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서비스 승인 메시지를 제2이동 단말기(115)로 전송한 후, 515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515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현재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GPS 좌표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확인된 GPS 좌표와 생성된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정보가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새로이 생성한 후,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 후, 517 단계로 진행한다. 즉,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되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GPS 좌표와 무선랜 ID 리스트 정보와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517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외 위치를 표시한 후, 519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로부터 GPS 좌표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GPS 좌표를 확인하고, 맵 정보에 확인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GPS 좌표와 검출된 제2이동 단말기(113)의 GPS 좌표를 맵핑한 후, 맵핑된 맵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GPS 좌표를 확인하고, 확인된 GPS 좌표를 표시된 맵 정보에 맵핑함으로써, 제1이동 단말기(101)의 위치를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519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검출의 실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실내에 진입한 경우, 제1이동 단말기(101)는 52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19 단계를 반복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로부터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검출하고,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한다. 그리고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내에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가 존재한다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실내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한 후, 521 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내에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 아이다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실내에 진입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한 후, 519 단계를 반복한다.
만약에, 521 단계로 진행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로부터 서비스 아이디를 검출하고,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검출된 서비스 아이디와 확인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추적 요청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 후, 52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523 단계에서,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파악한 후, 525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이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 내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하고,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는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에,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109) 내에 위치한다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2액세스 포인트(109)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 별로 해당 실내 주소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있으므로,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해당 실내 위치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제2액세스 포인트가 특정 건물의 2층, 201호에 설치되어 있고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실내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제2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위치인 1층, 로비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525 단계에서,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나타내는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 후, 527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1이동 단말기(101)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들을 이용하여 실내 건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제2맵 정보에 제1이동 단말기(101)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맵핑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맵핑된 제2맵 정보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그리고 527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는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로부터 제2맵 정보를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의 위치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보고한다. 이때, 제1이동 단말기(101)는 사용자에 의해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의 종료가 요청될 때까지 521 단계 내지 527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실내에서의 제1이동 단말기(101)의 동선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이동 단말기가 위치 추적을 요청하는 흐름도이다.
601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사용자에 의해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요청인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입력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60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01 단계를 반복한다. 만약에 603 단계로 진행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103)을 통해서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 후, 605 단계를 진행한다. 여기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승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위치 찾아가기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거부된 것으로 결정한 후, 위치 찾아가기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달리,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이동 단말기는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승인된 것으로 결정한 후, 607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GPS 좌표와 무선랜 ID 리스트 정보와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한다.
만약에 607 단계로 진행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외 위치를 표시한 후, 609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로부터 GPS 좌표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GPS 좌표를 확인하고, 제1맵 정보에 확인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GPS 좌표와 검출된 제2이동 단말기(113)의 GPS 좌표를 맵핑한 후, 맵핑된 제1맵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1이동 단말기(101)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GPS 좌표를 확인하고, 확인된 GPS 좌표를 제1맵 정보에 맵핑함으로써, 제1이동 단말기(101)의 동선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그리고 609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실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로부터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검출하고,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한다. 그리고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내에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가 존재한다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실내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한 후, 611 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내에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 아이다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실내에 진입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한 후, 609 단계를 반복한다.
만약에, 611 단계로 진행되면, 제1이동 단말기(101)는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로부터 서비스 아이디를 검출하고,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검출된 서비스 아이디와 확인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추적 요청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 후, 61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613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나타내는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부터 수신한 후, 615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지도로 표시한 제2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615 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기(101)는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로부터 제2맵 정보를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의 위치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보고한다. 이때, 제1이동 단말기(101)는 사용자에 의해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의 종료가 요청될 때까지 611 단계 내지 615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실내에서의 제1이동 단말기(101)의 동선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이동 단말기가 실내 위치를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701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703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요청이며,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703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수신된 위치 찾아가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위치 찾아가기가 요청되었음을 제2이동 단말기(113)의 사용자에게 보고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사용자에 의해 위치 찾아가기 요청이 승인되면, 7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11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711 단계로 진행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위치 찾아가기 요청을 거부함을 나타내는 위치 찾아가기 거부 메시지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 후, 위치 찾아가기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달리, 705 단계로 진행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실행한 후, 707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요청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와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승인한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이때,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가 실행됨을 나타내는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서비스 승인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707 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현재 제2이동 단말기(113)가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GPS 좌표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확인된 GPS 좌표와 생성된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정보가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새로이 생성한 후,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 후, 709 단계로 진행한다. 즉,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되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 메시지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GPS 좌표와 무선랜 ID 리스트 정보와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709단계에서,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의 실내 위치를 파악한 후,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의 실내 위치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요청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이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 내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하고,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는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에,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109) 내에 위치한다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2액세스 포인트(109)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실내 위치 추적 서버가 실내 위치를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801 단계에서,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2이동 단말기(113)로부터 수신한 후, 803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요청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와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승인한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803 단계에서,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에 대한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를 실행한 후, 805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수신된 위치 추적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이동 단말기(101)의 아이디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1이동 단말기(101)의 위치 찾아가기 서비스를 승인하였음을 데이터 베이스화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에 대한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를 실행하고,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가 실행됨을 나타내는 서비스 아이디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서비스 승인 메시지를 제2이동 단말기(115)로 전송한다.
그리고 805 단계에서,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제2이동 단말기(113)에 대한 실내 위치 추적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1이동 단말기(101)로부터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추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실내 위치 추적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한 후, 80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05 단계를 반복한다.
그리고 807 단계에서,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실내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2이동 단말기(113)의 실내 위치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제2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이동 단말기(113)는 자신이 위치하는 무선랜 망(105) 내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를 확인하고,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를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로 전송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는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에,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109) 내에 위치한다면, 제2이동 단말기(113)는 제2액세스 포인트(109)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 별로 해당 실내 주소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있으므로, 실내 위치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해당 실내 위치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제2액세스 포인트가 특정 건물의 2층, 201호에 설치되어 있고 제2이동 단말기(113)가 제2액세스 포인트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실내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제2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위치인 1층, 로비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서버(115)는 제1이동 단말기(101)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들을 이용하여 실내 건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제2맵 정보에 제1이동 단말기(101)와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맵핑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추적 버서(115)는 맵핑된 제2맵 정보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확인 메시지를 제1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실외 위치와 실내 위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901 화면은 실외 위치를 표시하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화면이고, 903 화면은 실내 위치를 표시하는 제1이동 단말기(101)의 화면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이동 단말기(113)가 국민 은행 건물에 위치하는 경우, 제1이동 단말기(101)는 건물 및 도로 등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1맵 정보에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표시하고 자신의 위치도 표시함으로써, 901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 단말기(101)는 국민은행 건물에 진입한 경우, 국민 은행 건물 내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제2맵 정보에 제2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표시하고 자신의 위치도 표시함으로써, 903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101: 제1이동 단말기 103: 이동 통신망
105: 무선랜 망 107: 제1액세스 포인트
109: 제2액세스 포인트 111: 제3액세스 포인트
113: 제2이동 단말기 115: 실내 위치 추적 서버

Claims (20)

  1.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주소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위치 주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외 위치 주소 정보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제1이동 단말기와,
    상기 위치 주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를 이용하여 실외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제2이동 단말기와,
    상기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실내 위치 추적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 단말기는 상기 위치 주소 정보를 문자와 그래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 단말기는 GPS 좌표별로 실외 위치 주소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화된 실외 위치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GPS 좌표에 대응되는 상기 실외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위치 추적 서버는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별로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화된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6.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찾아가기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위치 찾아가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실내의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포함하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실내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내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추적 요청을 송신하여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상기 제1이동 단말기와,
    상기 위치 찾아가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위치 찾아가기 승인을 전송하는 상기 제2이동 단말기와,
    상기 실내 위치 추적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실내 위치 추적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내에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이동 단말기는 상기 실내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위치 추적 서버는, 상기 실내 위치 추적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내 위치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이동 단말기는 상기 실내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실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위치 추적 서버는 상기 실내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맵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맵 정보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맵핑하고, 상기 맵핑된 맵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11.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제1이동 단말기가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주소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주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실내 위치 추적 서버가 상기 실내 주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를 이용하여 실외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와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주소 정보를 문자와 그래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GPS 좌표별로 데이터 베이스화된 실외 위치 주소의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GPS 좌표에 대응되는 실외 위치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액세스 포인트 아이디별로 데이터 베이스화된 실내 위치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상기 실내 위치 주소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16.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제1이동 단말기가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찾아가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찾아가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실내의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포함하는 위치 찾아가기 승인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찾아가기 승인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실내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내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추적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실내 위치 추적 서버가 상기 실내 위치 추정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랜 아이디 리스트 내에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에 진입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위치 추적 서버가 상기 실내 위치 추적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의 실내 위치를 요청하는 실내 위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상기 실내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 위치 추적 서버가 상기 실내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맵 정보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맵핑하고, 상기 맵핑된 맵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실내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KR1020110066148A 2011-07-04 2011-07-04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4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148A KR20130004849A (ko) 2011-07-04 2011-07-04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148A KR20130004849A (ko) 2011-07-04 2011-07-04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49A true KR20130004849A (ko) 2013-01-14

Family

ID=4783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148A KR20130004849A (ko) 2011-07-04 2011-07-04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8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9205B2 (en) 2015-10-14 2020-11-24 Current Lighting Solutions, Llc Luminaire having a beacon and a directional antenn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9205B2 (en) 2015-10-14 2020-11-24 Current Lighting Solutions, Llc Luminaire having a beacon and a directional antenn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8004B2 (en) User-in-the-loop architecture for indoor positioning
US10390173B2 (en) Techniques for establishing and using associations between location profiles and beacon profiles
US201702235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location mapping and tracking
EP3203792A1 (en) Automatic place detection
CN106170995B (zh) 定位系统中的反馈
WO2006047213A4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location-specific images on a mobile device
JP7126112B2 (ja) 通信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2680093C2 (ru) Определение радиуса погрешности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KR20070029373A (ko)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 찾기 장치 및 방법
JP2004357216A (ja) 位置探索システム及び位置探索方法
KR101661058B1 (ko) 주차 차량 위치 안내 시스템
KR20120061206A (ko) 이동 단말간 목적지 도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932734B (zh) 一种确定终端之间距离的方法、装置及系统
JP2018125572A (ja) 位置検知システム、そのサーバ装置、携帯端末
KR10107990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9232203A (ja) 位置誘導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携帯電話端末およびルート情報配信サーバ
KR2013000484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618277B1 (ko) 영상통화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4152799B2 (ja) 無線基地局及びモバイル機器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TWI549541B (zh) 訊息傳遞方法
KR102046366B1 (ko) 위치 등록 및 위치 확인 시스템
JP2017228952A (ja) 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の位置特定方法、プログラム
JP6431494B2 (ja) ユーザ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1913573B1 (ko) 크라우드 소싱에 의한 내비게이션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JP2016090407A (ja) 位置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