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706U - 양말용 깔창 - Google Patents

양말용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706U
KR20130004706U KR2020120000609U KR20120000609U KR20130004706U KR 20130004706 U KR20130004706 U KR 20130004706U KR 2020120000609 U KR2020120000609 U KR 2020120000609U KR 20120000609 U KR20120000609 U KR 20120000609U KR 20130004706 U KR20130004706 U KR 201300047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band
fixed
fixing
inso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중구
Original Assignee
장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중구 filed Critical 장중구
Priority to KR2020120000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706U/ko
Publication of KR201300047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7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7Hosiery with an added sole, e.g. sole made of rubber or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8Attachable overshoes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elevated heel parts in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깔창을 발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수단이 양말을 통하여 노출되지 않는 것은 물론, 깔창과 이용자의 발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보행 과정에서도 유동 현상과 이질감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양말용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앞쪽보다는 뒤쪽의 높이가 높고 후측 상면에 발 뒤꿈치가 수용될 수 뒤꿈치홈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깔창바디와, 상기 깔창바디에는 이용자의 발과 긴밀한 상태의 밀착을 유지하여 유동을 방지하고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결속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탄력을 가지고 개략 T형상의 결속밴드로 구성하고, 상기 결속밴드는 깔창바디 후미에 고정되는 수직밴드와, 상기 수직밴드의 상단에 긴 길이의 중앙부를 고정하여 이용자의 발목과 발등을 감아서 고정하는 수평밴드로 구성하고, 상기 수직밴드의 하측은 깔창바디 후미 중앙에서 저면 까지 형성되는 수직밴드홈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수평밴드의 양단부에는 깔창바디 선측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고정되는 1고정수단과 고정할 수 있도록 2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양말용 깔창{SOCKS TYPE FUNCTIONAL INSOLE}
본 고안은 양말용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말 내부에 착용하여 신발을 벗고 실내에 들러가게 되더라도 깔창 사용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고 실내에서도 실외에서와 같은 키 높이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한 양말용 깔창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깔창은 신발의 내부 바닥에 쿠션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였으나, 키가 작거나 또는 자신의 키를 더 크게 보이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키 높이 신발을 착용할 때 신발의 뒷굽이 유난히 높은 것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키 높이 신발을 신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는 것을 우려하여 뒷굽의 높이는 일반적인 신발과 대동소이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의 내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깔창 외에 키를 크게 보이게 하기 위한 별도의 키 높이 깔창을 내장하여 많이 착용하고 다니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키 높이 깔창은 일반적인 깔창과는 달리 뒷굽 위치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착용자의 뒤꿈치를 올려줌으로써 주는 것으로서, 외관상으로 보았을 경우에는 신발의 뒷굽이 높지 않고 신발 내부에 높은 깔창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신발을 벗지 않은 이상 키 높이 깔창을 하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알 수 없기 때문에 많이 애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키 높이 깔창의 구성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키 높이 깔창(1)은, 신발(2)의 내부 뒷부위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선측보다 뒷측이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깔창바디(3)를 구비하고, 상기 깔창바디(3)의 상면에는 이용자의 발 뒤꿈치가 안착 될 수 있도록 뒤꿈치와 동일한 형상의 발안치홈(4)을 형성한다.
상기 깔창(1)을 구성하는 깔창바디(3)는 이용자의 발 뒤꿈치가 지속적으로 연접되더라도 충격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쿠션재질로 구성하고, 발과 닿는 부분에는 촉감이 우수하도록 직물재 또는 가죽재질의 마감피복(5)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키 높이 깔창의 경우에는, 신발을 벗지 않는 실외에서만 활동할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사회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실내에 출입하지 않는 경우는 없게 된다.
즉, 사무실에서 실내화로 갈아 신을 수도 있으며 식사를 위하여 식당에 들어갔을 경우에도 신발을 벗을 수 있는 등 다양한 환경에 처할 수 있으므로 키 높이 깔창이 내장된 신발을 벗을 경우에는 자신의 키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신발을 벗으므로 인하여 키 높이 깔창의 사용이 드러나게 되고, 이 경우에는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여러 사람에게 탄로나 이를 확인한 주변 사람들이 별다른 이야기를 하지 않아도 자신이 부끄럽고 창피함으로 인하여 당혹케 되는 것은 물론 자신감을 잃어 사회생활에 적응이 힘들게 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키 높이 깔창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노출되자 일부 이용자들의 경우에는 실내에 들어가기 위하여 신발을 벗을 경우에도 키 높이 깔창의 사용을 노출시키지 않기 위하여 키 높이 깔창을 신발에 내장하지 않고 양말 내부에 위치시켜 실내에서도 키 높이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키 높이 깔창이 양말 내부에 있더라도 신발에 의하여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나,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는 키 높이 깔창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걸음을 정상적으로 걷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실내에서 보행할 때 키 높이 깔창과 양말이 독립적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깔창이 발의 뒤꿈치에 가지런하게 위치하지 못하고 좌,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은 물론, 깔창이 발의 중간이나 앞 부분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시각적으로 쉽게 깔창을 하고 있음이 노출되기 때문에 개인적인 프라이버시가 유지되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앞쪽보다는 뒤쪽의 높이가 높고 후측 상면에 발 뒤꿈치가 수용될 수 뒤꿈치홈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깔창바디와, 상기 깔창바디에는 이용자의 발과 긴밀한 상태의 밀착을 유지하여 유동을 방지하고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결속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탄력을 가지고 개략 T형상의 결속밴드로 구성하고, 상기 결속밴드는 깔창바디 후미에 고정되는 수직밴드와, 상기 수직밴드의 상단에 긴 길이의 중앙부를 고정하여 이용자의 발목과 발등을 감아서 고정하는 수평밴드로 구성하고, 상기 수직밴드의 하측은 깔창바디 후미 중앙에서 저면 까지 형성되는 수직밴드홈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수평밴드의 양단부에는 깔창바디 선측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고정되는 1고정수단과 고정할 수 있도록 2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양말 내부에 깔창을 착용하기 때문에 신발의 착용 여부에 관계없이 키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깔창을 발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수단이 양말을 통하여 노출되지 않는 것은 물론, 깔창과 이용자의 발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보행 과정에서도 유동 현상과 이질감을 배제하여 품질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양말 내부에 착용할 수 있는 깔창을 제공하여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도 키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깔창이 제 위치를 유지하여 깔창을 착용한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도록 함으로서 깔창 착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은 물론, 착용감을 우수하게 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깔창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의 상면이 보이게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의 저면이 보이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일반적인 깔창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의 상면이 보이게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의 저면이 보이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양말용 깔창(100)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앞쪽보다는 뒤쪽의 높이가 높고, 후측 상면에는 이용자의 발 뒤꿈치가 수용될 수 뒤꿈치홈(101)을 형성하여 발뒤꿈치와 동일한 형상의 깔창바디(102)를 구비한다.
상기 깔창바디(102)의 상면에는 신체와 접촉시 촉감을 부드럽게 하면서 발에서 발생하는 땀으로 인하여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직물재질로 이루어진 밀착패드(103)를 부착한다.
상기 깔창바디(102)는 하드한 재질의 하측바디와 소프트한 재질의 상측바디로 이중 구성하여도 되며, 깔창바디(102)의 상면에는 통기의 원활성을 위하여 다수개의 통기공(104)을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깔창바디(102)의 상면에는 이용자의 발바닥을 눌어주어 지압효과를 높여 발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도록 경혈이 위치한 부위에 지압돌기(105)를 더 형성하여도 되며, 이 지압돌기(105)는 깔창바디(102)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보다는 지압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세라믹, 옥, 천연석, 자석 등과 같은 이종(異種)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깔창바디(102)에는 이용자의 발과 긴밀한 상태의 밀착을 유지하여 유동하여 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속수단(110)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결속수단(110)은, 신축성 탄력성을 가지는 개략 T형상의 결속밴드(111)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밴드(111)는 깔창바디(102)의 후미에 고정되는 짧은 길이의 수직밴드(112)와, 상기 수직밴드(112)의 상단에 긴 길이의 중앙부를 고정하여 이용자의 발목과 발등을 감아서 고정하는 수평밴드(113)로 구성한다.
상기 수직밴드(112)의 하측은 깔창바디(102)의 후미 중앙에서 저면까지 형성되는 수직밴드홈(114)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밴드(113)의 양단부에는 깔창바디(102)의 선측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홈(115)에 고정되는 1고정수단(116)과 고정할 수 있도록 2고정수단(117)을 구비한다.
상기 1,2고정수단(116,117)은 단추, 클립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이나 주기적으로 탈부착하여야하는 상황에 적합하게 벨크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수평밴드(113)를 이용하여 깔창(100)을 발에 유지할 때에는 좌측부는 우측으로 우측부는 좌측으로 경유하여 1,2고정수단(116,117)과 결합 되게 함으로서 수직밴드(112)는 뒤꿈치 중앙에 위치하고, 수평밴드(113)는 발목 뒷부분과 발등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밴드홈(114)과 고정홈(115)의 깊이는 수직밴드홈(114)을 고정하였을 때 또는 1고정수단(116)과 수평밴드(113)의 양단부에 고정된 2고정수단(117)이 결합하였을 때 외면이 일직선을 이루어 양말을 착용한 상태에서 결속밴드(111)가 표시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말용 깔창(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깔창바디(102)의 상면에 형성되는 뒤꿈치홈(101)이 이용자의 발 뒤꿈치와 밀착되도록 한 후, 결속밴드(111)를 구성하는 수직밴드(112)는 발목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수평밴드(113)의 우측은 발목의 우측과 발등을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 평밴드(113)의 우측단에 구비되는 2고정수단(117)은 깔창바디(102)의 좌측을 통하여 깔창바디(102) 저면에 고정된 1고정수단(116)과 결합 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밴드(113)의 좌측은 발목의 좌측과 발등을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 수평밴드(113)의 좌측단에 구비되는 2고정수단(117)은 깔창바디(102)의 우측을 통하여 깔창바디(102)의 저면에 고정된 1고정수단(116)과 결합 되도록 한다.
그러면, 결속수단(110)을 구성하는 결속밴드(111)가 이용자의 발목을 감싸면서 발등이 조여지는 형태가 되므로 깔창(100)이 이용자의 발과 긴밀한 상태의 밀착을 이루어 쉽게 유동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보행 과정에서도 깔창(100)과 이용자의 발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말을 착용하게 되므로 깔창(100)이 시각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신발을 착용한 상태 또는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도 깔창(100)을 이용하여 키 높이를 하고 있음을 타인에게 알려지지 않으므로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말 내부에 깔창을 착용하기 때문에 신발의 착용 여부에 관계없이 키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깔창을 발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수단이 양말을 통하여 노출되지 않는 것은 물론, 깔창과 이용자의 발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보행 과정에서도 쉽게 유동하는 현상을 배제하면서 이질감을 없도록 함으로서 깔창의 품질을 높이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양말용 깔창
102; 깔창바디
110; 결속수단
111; 결속밴드
112; 수직밴드
113; 수평밴드
115; 수직밴드홈
115; 고정홈
116; 1고정수단
117; 2고정수단

Claims (3)

  1. 깔창바디에 이용자의 발과 긴밀한 상태의 밀착을 유지하여 유동을 방지하고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결속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깔창바디 후미에 고정되는 수직밴드와;
    상기 수직밴드의 상단에 긴 길이의 중앙부를 고정하여 이용자의 발목과 발등을 감아서 고정하는 수평밴드로 구성되는 개략 T형상의 결속밴드로 구성하고;
    상기 수직밴드의 하측은 깔창바디 후미 중앙에서 저면 까지 형성되는 수직밴드홈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수평밴드의 양단부에는 깔창바디 선측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고정되는 1고정수단과 고정할 수 있도록 2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용 깔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밴드의 좌측부는 우측으로 우측부는 좌측으로 경유하여 1,2고정수단과 결합시켜, 수직밴드는 뒤꿈치 중앙에 위치하고, 수평밴드는 발목 뒷부분과 발등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용 깔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밴드홈과 고정홈의 깊이는 수직밴드홈을 고정하였을 때 또는 1고정수단과 2고정수단이 결합하였을 때 외면이 일직선을 이루어 양말을 착용한 상태에서 결속밴드가 표시 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용 깔창.
KR2020120000609U 2012-01-26 2012-01-26 양말용 깔창 KR201300047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609U KR20130004706U (ko) 2012-01-26 2012-01-26 양말용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609U KR20130004706U (ko) 2012-01-26 2012-01-26 양말용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06U true KR20130004706U (ko) 2013-08-05

Family

ID=5371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609U KR20130004706U (ko) 2012-01-26 2012-01-26 양말용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70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570A1 (ko) * 2016-08-25 2018-03-01 윤선미 뒤꿈치 가림용 풋웨어
CN114698901A (zh) * 2020-12-16 2022-07-05 株式会社岩水 一种带支撑的鞋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570A1 (ko) * 2016-08-25 2018-03-01 윤선미 뒤꿈치 가림용 풋웨어
CN114698901A (zh) * 2020-12-16 2022-07-05 株式会社岩水 一种带支撑的鞋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56471U (zh) 具有气垫、磁疗、负离子和远红外按摩的多功能鞋
US20140345032A1 (en) Functional socks
KR20130004706U (ko) 양말용 깔창
CN204259965U (zh) 拇外翻五趾舒展鞋
KR101126601B1 (ko) 다 기능성 신발깔창
CN109666197A (zh) 一种多功能鞋底
KR100666938B1 (ko) 키높이 이중인솔
KR200341150Y1 (ko) 헬스 신발
CN108402576A (zh) 一种赤脚鞋
JP6385030B2 (ja) フットカバー
KR102457984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슬리퍼
JP3239512U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バランスの取れたインソール構造
KR20180011574A (ko) 키높이용 양말
CN213756880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酒店拖鞋
CN212306982U (zh) 一种减震按摩男鞋
CN210248606U (zh) 一种按摩效果好的保暖鞋
CN219835252U (zh) 一种气垫保健型休闲鞋
CN209677501U (zh) 一种可提高舒适性的高跟鞋
CN219108757U (zh) 一种抗震透气型运动袜
JP3181417U (ja) 動揺歩行ができる靴および中敷
CN213604755U (zh) 一种柔软耐压的酒店拖鞋
CN209121301U (zh) 一种功能型前掌隐形趾袜
CN210611198U (zh) 一种透气隐形增高鞋垫
CN209473729U (zh) 具有乳胶缓冲体的磁性按摩避震透气鞋垫
KR100615025B1 (ko) 양말 내측에 착용되는 키높이용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