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907U -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907U
KR20130003907U KR2020110011344U KR20110011344U KR20130003907U KR 20130003907 U KR20130003907 U KR 20130003907U KR 2020110011344 U KR2020110011344 U KR 2020110011344U KR 20110011344 U KR20110011344 U KR 20110011344U KR 20130003907 U KR20130003907 U KR 201300039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utting
vacuum cleaner
dog
ai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지
Original Assignee
이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지 filed Critical 이인지
Priority to KR2020110011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907U/ko
Publication of KR20130003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9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44Suction means for collecting severed hairs or for the skin to be shav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는 공기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청소기; 상기 진공청소기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흡입력을 통해 애완견의 털을 흡입하는 청소기배관; 상기 청소기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청소기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흡입력을 전달받는 컷팅연결구; 및, 상기 컷팅연결구의 내측에 배치되며, 프로펠러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날개부의 외측에 칼날부가 형성되는 회전컷팅부;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공기흡입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컷팅부에 의해 애완견의 털을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된 털이 즉각적으로 진공청소기의 필터에 유입되도록 하여 털을 절단함과 동시에 털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길이조절구와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컷팅부를 이용하여 진동하는 칼날이 직접적으로 애완견의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애완견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칼날이 애완견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의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컷팅부의 회전만으로 애완견의 털을 절단할 수 있으므로, 애완견이 위축되거나 놀라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애완견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털을 잘라내는 미용작업을 종래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HAIR CUTTING DEVICE FOR DOG USING A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애완견의 털을 커팅하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애완견의 털을 깍는 기구는 보통 사람이 이용하는 헤어커터기를 이용하여 털을 깍게 된다.
이 경우, 애완견의 털은 사람의 머리카락보다 긴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애완견의 털을 깍는 경우에 발생하는 털의 양은 매우 많은 양을 차지하므로, 잘라진 털을 청소하는데에 매운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애완견의 털을 깎는 경우에 종래 진동모터를 이용한 헤어커터기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애완견은 헤어커터기의 진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모터에서 전달되는 떨림에 의해 위축되거나 매우 놀라게 된다.
이러한 소음이나 진동은 애완견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게 되며, 스트레가 심한 경우에는 애완견이 죽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위축되거나 놀란 애완견은 순간적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종래의 헤어커터기는 진동모터에 칼날이 부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헤어커터기의 칼날이 애완견의 피부에 상처를 입히등의 문제를 유발하게 되며, 놀란 애완견은 자꾸 움직이려 하기 때문에 미용사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로 털을 절단할 수 없게 되어 애완견의 미용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애완견의 털을 깍는 경우에 발생하는 털을 즉각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애완견의 털을 깍는 경우에 털을 절단하는 칼날이 애완견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애완견의 털을 깍는 경우에 진동이나 소음이 애완견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애완견이 위축되거나 놀라지 않도록 하여 애완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는 공기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청소기; 상기 진공청소기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흡입력을 통해 애완견의 털을 흡입하는 청소기배관; 상기 청소기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청소기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흡입력을 전달받는 컷팅연결구; 및, 상기 컷팅연결구의 내측에 배치되며, 프로펠러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날개부의 외측에 칼날부가 형성되는 회전컷팅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는 고정컷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정컷팅부는 상기 컷팅연결구의 내측을 가로 질러 배치되며, 일측에 칼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컷팅부의 중앙에는 제1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컷팅부의 중앙에는 제2핀홀이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핀홀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제2핀홀에 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는 길이조절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컷팅연결구의 일 단에는 상기 컷팅연결구의 외경보다 적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끼움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구는 상기 끼움부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상기 끼움부와 끼움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구는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통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구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길이조절구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길이조절구 각각은 상기 끼움부와 끼움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공기흡입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컷팅부에 의해 애완견의 털을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된 털이 즉각적으로 진공청소기의 필터에 유입되도록 하여 털을 절단함과 동시에 털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진동모터의 떨림을 이용하는 칼날이 장착된 헤어커터기를 이용하지 않고, 길이조절구에 의해 애완견의 피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컷팅부를 이용하여 애완견의 털을 절단함으로써, 애완견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칼날이 애완견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진동모터의 떨림을 이용하는 칼날이 장착된 헤어커터기의 진동이나 소음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공청소기의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컷팅부의 회전만으로 애완견의 털을 절단할 수 있으므로, 애완견이 위축되거나 놀라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애완견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털을 잘라내는 미용작업을 종래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진동모터에 칼날을 부착시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되는 헤어커터기와는 달리 진공청소기의 공기흡입력만으로 애완견의 털을 잘라낼 수 있으므로, 털을 잘라내는 장치의 구조가 획기적으로 간단해져 생산에 따른 비용과 시간 및 경쟁력등과 같은 모든 측면에서 종래의 헤어커터기보다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길이조절구와 함께 다른 길이조절구를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먼저,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들과, 상기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 및, 상기 구성요소들 각각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는 진공청소기(10), 청소기배관(20), 컷팅연결구(30) 및, 회전컷팅부(40)를 포함하며, 고정컷팅부(50)와 회전축(60) 및 길이조절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청소기(10)는 먼지 및 잔존물을 흡입하는 공기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진공청소기(10)는 공기흡입펌프(미도시)를 이용한 모든 종류의 진공청소기(1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배관(20)은 진공청소기(10)에 연결되며, 공기흡입력을 통해 애완견의 털을 흡입하게 된다. 이러한 청소기배관(20)은 진공청소기(10)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컷팅연결구(30)로 연결되지 않도록 연장됨으로써, 소음이나 진동이 애견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컷팅연결구(30)는 청소기배관(20)과 연결되며, 청소기배관(20)을 통해 공기흡입력을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컷팅연결구(30)는 타단의 외경이나 내경에 청소기배관(20)이 끼움결합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수지재질이나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컷팅연결구(30)는 'ㄱ'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컷팅연결구(30)의 형상과 길이는 다양한 관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되거나 복수 개로 중첩된 형태로 배관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컷팅연결구(30)는 애완견의 털을 깍는 경우에 미용사가 손으로 부여잡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회전컷팅부(40)와 고정컷팅부(50) 및 길이조절구(70)가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회전컷팅부(40)는 컷팅연결구(3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회전컷팅부(40)는 프로펠러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함으로써,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컷팅부(40)는 날개부의 외측에 제1칼날부(41)가 형성됨으로써, 공기흡입력에 흡입된 애완견의 털을 제1칼날부(41)가 절단하게 된다.
상기 고정컷팅부(50)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컷팅연결구(30)의 내측을 가로 질러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컷팅부(50)와 컷팅연결구(30)의 결합은 내삽형결합방식이나 끼움결합방식 또는 볼트결합방식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컷팅부(50)는 일측에 제2칼날부(51)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컷팅부(50)는 회전컷팅부(40)가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이와 동시에 제2칼날부(51)가 형성됨으로써, 회전컷팅부(40)의 회전력에 의해 밀어지는 애완견의 털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고정컷팅부(50)는 회전컷팅부(40)와 함께 이중으로 애완견을 털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60)은 핀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회전컷팅부(40)의 중앙에는 제1핀홀(42)이 형성되고, 고정컷팅부(50)의 중앙에는 제2핀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60)은 일단이 제1핀홀(42)에 삽입결합되어 회전컷팅부(4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핀홀(52)에 핀결합됨으로써, 회전컷팅부(40)가 고정컷팅부(50)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회전축(60)의 결합관계는 일단이 제1핀홀(42)에 핀결합되고, 타단이 제2핀홀(52)에 삽입결합될 수 도 있다.
상기 길이조절구(70)는 관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컷팅연결구(30)의 일 단에는 컷팅연결구(30)의 외경보다 적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끼움부(31)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길이조절구(70)는 끼움부(31)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끼움부(31)와 끼움결합된다. 이러한 길이조절구(70)는 탈착가능하게 컷팅연결구(30)의 끼움부(31)에 결합됨으로써, 길이조절구(70)의 길이에 따라 털의 길이가 일정하게 잘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면에 예시된 길이조절구(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 개의 길이조절구(70)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길이조절구(70) 각각은 끼움부(31)와 끼움결합되어 이용됨으로써, 길이조절구(70)의 길이에 따라 자르고자 하는 애완견의 털 길이를 일정하게 자를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절구(70)는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통과홈(71)이 형성된다. 여기서, 공기통과홈(71)은 길이조절구(70)의 일단이 애완견의 피부에 밀착되는 경우, 흡입되는 공기의 연결로가 막혀 애완견의 털이 흡입되는 것이 방해되거나 진공청소기(10)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의 사용 방법에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는 이용전에 자르고자 하는 털의 길이에 맞는 길이조절구(70)를 선택하고, 선택한 길이조절구(70)를 컷팅연결구(30)의 끼움부(31)에 끼움결합하게 된다.
이후, 미용사는 진공청소기(10)의 전원을 공급하여 진공청소기(10)가 공기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미용사는 청소기배관(20)을 길게 늘어뜨림으로써, 진공청소기(10)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애완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후, 미용사는 길이조절구(70)를 애완견의 피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애완견의 털이 공기흡입력을 통해 컷팅연결구(30)의 내측으로 흡입되도록 한다.
이때, 길이고절구에 형성된 공기통과홈(71)에는 공기가 통과하게 되므로, 공기통과홈(71)에 의해 통과되는 공기는 진공청소기(10)의 공기흡입력에 의해 컷팅연결구(30)의 내측으로 빠르게 유입된다.
이 경우, 컷팅연결구(30)의 내측에 배치된 회전컷팅부(40)는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이때, 컷팅연결구(30)의 내측에 흡입된 애완견의 털은 회전컷팅부(40)의 제1칼날부(41)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회전컷팅부(40)의 회전력에 밀려져 고정컷팅부(50)의 제2칼날부(51)에 의해서도 절단된다.
여기서, 회전컷팅부(40)와 고정컷팅부(50)에 의해 절단된 털은 진공청소기(10)의 먼지필터로 유입되어 쌓이게 된다.
따라서, 잘라진 애완견은 털은 바닥등에 흘려지지 않고 곧바로 진공청소기(10)에 유입됨으로써, 즉각적으로 애완견의 털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진동모터의 떨림을 이용하는 칼날이 장착된 헤어커터기를 이용하지 않고, 길이조절구(70)에 의해 애완견의 피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컷팅부(40)를 이용하여 애완견의 털을 절단함으로써, 애완견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칼날이 애완견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진동모터의 떨림을 이용하는 칼날이 장착된 헤어커터기의 진동이나 소음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공청소기(10)의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컷팅부(40)의 회전만으로 애완견의 털을 절단할 수 있으므로, 애완견이 위축되거나 놀라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애완견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털을 잘라내는 미용작업을 종래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진동모터에 칼날을 부착시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되는 헤어커터기와는 달리 진공청소기(10)의 공기흡입력만으로 애완견의 털을 잘라낼 수 있으므로, 털을 잘라내는 장치의 구조가 획기적으로 간단해져 생산에 따른 비용과 시간 및 경쟁력등과 같은 모든 측면에서 종래의 헤어커터기보다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와 같이 설명된 본 고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진공청소기
20 ; 청소기배관
30 ; 컷팅연결구
40 ; 회전컷팅부
50 ; 고정컷팅부
60 ; 회전축
70 ; 길이조절구

Claims (5)

  1. 공기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청소기(10);
    상기 진공청소기(10)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흡입력을 통해 애완견의 털이 흡입되는 청소기배관(20);
    상기 청소기배관(20)과 연결되며, 상기 청소기배관(20)을 통해 상기 공기흡입력을 전달받는 컷팅연결구(30); 및,
    상기 컷팅연결구(30)의 내측에 배치되며, 프로펠러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날개부의 외측에 칼날부가 형성되는 회전컷팅부(40); 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10)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연결구(30)의 내측을 가로 질러 배치되며, 일측에 칼날부가 형성되는 고정컷팅부(50); 를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10)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컷팅부(40)와 상기 고정컷팅부(50) 사이에 핀결합되어 상기 회전컷팅부(40)를 상기 고정컷팅부(50)에서 회전시키는 회전축(60); 을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10)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연결구(30)의 일 단에는 상기 컷팅연결구(30)의 외경보다 적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끼움부(31)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1)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상기 끼움부(31)와 끼움결합되는 길이조절구(7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구(70)는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통과홈(7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10)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구(70)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길이조절구(70)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길이조절구(70) 각각은 상기 끼움부(31)와 끼움결합되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10)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KR2020110011344U 2011-12-21 2011-12-21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KR201300039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344U KR20130003907U (ko) 2011-12-21 2011-12-21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344U KR20130003907U (ko) 2011-12-21 2011-12-21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907U true KR20130003907U (ko) 2013-07-01

Family

ID=5242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344U KR20130003907U (ko) 2011-12-21 2011-12-21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90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18Y1 (ko) * 2014-07-16 2014-10-10 이인지 애완동물 털 커팅장치
KR20200120346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한스테크놀로지 반려동물 관리기
WO2021095963A1 (ko) * 2019-11-14 2021-05-20 박철웅 반려동물용 탈부착식 털집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펫 하우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18Y1 (ko) * 2014-07-16 2014-10-10 이인지 애완동물 털 커팅장치
KR20200120346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한스테크놀로지 반려동물 관리기
WO2021095963A1 (ko) * 2019-11-14 2021-05-20 박철웅 반려동물용 탈부착식 털집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펫 하우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101822A4 (e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AU2018206189B2 (en)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EP3250349B1 (en) Hair clipping device
CN107107352B (zh) 毛发修剪装置
JP6309066B2 (ja) 手持ち式電気器具
AU2015233175B2 (e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JP2019055295A5 (ko)
US9427880B2 (en) Personal grooming apparatus and blade assembly
KR20130003907U (ko)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견용 털 커팅 장치
JP2008000382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16518213A5 (ko)
JP6629761B2 (ja) 鼻毛および耳毛用クリッパー
US11027347B2 (en) Reciprocating saw
EP3099211B1 (en) Accessory tool for a vacuum cleaner
US9149105B2 (en) Hair drier
EP2954814A1 (en) Suction tool for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using same
KR200488685Y1 (ko) 털 혹은 모발을 흡입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이발 기구
KR20120003151U (ko) 헤어 클리퍼용 머리카락 흡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헤어 클리퍼
JP2009254771A (ja) 吸引式毛切断装置及びその装置に用いる羽根車
US20140298660A1 (en) Air-powered hair cutter
JPWO2017068679A1 (ja) バキューム掃除機用の掃除機ヘッド、及びバキューム掃除機
JP3084600U (ja) 無電源集毛バリカン
KR20160003095U (ko) 털 감김이 방지되는 애완동물 털 커팅장치
KR20130013281A (ko) 애완동물용 커트기
KR20180117510A (ko) 청소 효율성 및 편의성을 갖는 미니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