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454A -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 Google Patents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3454A KR20130003454A KR1020110064825A KR20110064825A KR20130003454A KR 20130003454 A KR20130003454 A KR 20130003454A KR 1020110064825 A KR1020110064825 A KR 1020110064825A KR 20110064825 A KR20110064825 A KR 20110064825A KR 20130003454 A KR20130003454 A KR 201300034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work machine
- main frame
- tractor
- sli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for connection to the front of the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01B63/108—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on the front pa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중량의 작업기 하중이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미치도록 하고, 특히 작업용도가 상이한 여러 작업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ctor work device coupling device that allows a heavy work machine load to be unevenly and unevenly distributed, and in particular, to use a variety of work machines having different working purposes. It is about.
농용 트랙터에는 로더를 체결한 후 상기 로더에 체결되어 있는 버킷을 탈,부착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기존 로더의 경우 로더 버킷을 착탈시킬 때 회동핀을 이용하고 있으나, 회동핀을 이용하는 방식은 회동핀의 결합 또는 분리작업이 어려워 버킷의 탈부착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The tractor is fastened to the agricultural tractor to remove and attach the bucket is fastened to the loader to perform a variety of tasks, and the existing loader is used to rotate the pin when the loader bucket detachable, but the rotation pin Using the method is difficult to combine or detach the rotation pin will have a significant difficulty in the detachment of the bucke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0312761호(트랙터 부착용 프론트 로우더 커플러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위 기술은 커플러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작동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12761 (Tractor attachment front loader coupler device) has been disclosed. However, the above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coupler device is complicated and troublesome to operate.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0343858호(농용트랙터 로더의 버킷 탈부착 장치의 구조), 제0416471호(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제0413755호(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가 제안되면서 보다 간단한 구조로 연결장치를 구성하여 용이하게 버킷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Accordingly, Utility Model No. 0343858 (the structure of detachable bucket of agricultural tractor loader), No. 0416471 (connector for tractor work device), and 0413755 (connector for tractor work device) were proposed to make the connection device with simpler structure. It was configured so that the bucke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외부의 압력 및 부주의로 인해 원치 않는 로킹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되고, 로킹 해제시 어터치브라켓에서 버킷에 고정된 고리브라켓이 해제되어 버킷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 technique may cause an unwanted unlocking due to external pressure and carelessness, and when the unlocking occurs, a ring bracket fixed to the bucket is released from the touch bracket, causing the bucket to be separ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exclud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is.
또한, 버킷에 고정된 고리브라켓에 어터치브라켓을 정확하게 진입시켜야만 상호 결합이 가능함에 따라 버킷의 부착작업이 어려우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기존 기술은 부착된 버킷의 좌우 이동이 불가능하여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의 효과적인 작업이 어려웠으며, 버킷의 폭길이가 트랙터의 폭길이보다 대부분 작음에 따라 트랙터의 양쪽 가장자리의 작업은 불가능하였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attach the bucket as it requires mutual entry of the touch bracket correctly into the hook bracket fixed to the bucke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is difficult to move the attached bucket left and right, so that it is difficult to work effectively in a narrow space. It was impossible.
또한, 기존 기술은 하나의 연결장치에 하나의 작업기, 즉 작업용도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작업기는 해당 용도의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구입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one work device, that is, several types of work machines having different working purposes, must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work devices of the corresponding purpose, thereby increasing the purchase cost. It became a fac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중량의 작업기를 연결장치에 용이하게 연결함은 물론 연결되는 작업기의 하중이 연결장치에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미치도록 하고, 특히 연결하고자 하는 작업기의 작업용도 및 분야가 상이하더라도 각각의 작업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착탈시키면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connect a heavy weight working machine to the connecting device, as well as to make the load of the working machine connected unevenly and unevenly spread on the connecting device. In particular, even if the work purpose and field of the work machine to be connected are different, it is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that can be used as a separate and easy to remove each work machi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구성은, 트랙터의 로더 선단부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 양측에 장착되는 브라켓고정구와, 작업기의 좌우측에 조립 또는 용접되어 상기 브라켓고정구에 탈부착되는 작업기브라켓을 포함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고정구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고정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연장되는 보조슬라이더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슬라이더에는 브라켓고정구에 연결되는 작업기와 작업용도가 상이한 제2작업기를 연결하여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작업기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frame is mounted to the loader front end of the tractor, the bracket fixtures mounted on the front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nd assembled or weld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rk machine is detachable to the bracket fixture In the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comprising a work machine bracket, the bracket fixture is provided with a slider that is slidingly moved to the main frame,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racket fixture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as the slider to the slider An auxiliary slider is provided to extend, and the auxiliary slider is formed with a work machine connecting portion to be used in combination by connecting a second work machine having a work purpose different from a work tool connected to the bracket fixture.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는 각각의 레일이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각 레일을 수용하며 결합되어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일측 일부만이 개방되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ront of the main frame is formed so that each rail is protruded out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main frame, the slider is coupled to accommodate each of the rails and only one side portion is opened to slide along the rail It is preferably formed.
여기서, 상기 브라켓고정구의 상부 및 하부측면에는 상기 작업기브라켓의 상하부에 형성된 고리부와 고정부에 결합되게 각각 걸림봉과 결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고정구는 폭조절실린더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폭조절실린더의 작동시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서 폭조절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결속부가 결속 또는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racket fixtures are formed with engaging rods and binding portions to be coupled to the hook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orking bracket, respectively, the bracket fixtu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width adjustment cylinder in the width adjustment cylind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inding portion is bound or released from the fixed portion while the width is adjusted on the main fram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작업기연결부는, 상기 보조슬라이더 중 상부 슬라이더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작업기에 결합되는 작업기브라켓의 상측 고리부가 걸려지는 걸림턱과, 상기 보조슬라이더 중 하부 슬라이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작업기브라켓의 하측 고정부와 결속수단으로 결속결합되는 제2결속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ork machin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lider of the auxiliary slider and the engaging jaw engaging the upper ring of the work machine bracket coupled to the second working machine,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lider of the auxiliary slider the work mach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fixing portion of the bracket and the second binding portion that is engaged by the binding means.
또한, 상기 보조슬라이더가 형성되지 않은 브라켓고정구의 타측에도 상기 제2작업기를 연결시키도록 상부 및 하부에는 작업기브라켓의 고리부와 고정부에 체결되게 각각 걸림돌기 및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hooks and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racket fixing tool to which the auxiliary slider is not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ook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of the working machine bracket,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2작업기가 베일집게 또는 지게발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2작업기에는 작업시 대상물의 후면을 받쳐주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받침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f the second working machine is any one of the bale tongs or forklif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work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to support the rear of the object during the operation.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브라켓고정구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고정구를 메인프레임 상에서 좌우 왕복이동시키도록 위치조절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frame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bracket fixture, the position adjustment cylinder is provided to move the bracket fixture on the main frame left and righ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기의 하중이 연결장치에 편중되게 미치지 않고 균일하게 미치도록 하여 작업기를 이용한 해당 작업을 하는 경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특히 작업용도 및 분야가 상이한 여러종류의 작업기를 손쉽게 착탈시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o ensure that the load of the work machine is uniformly distributed without being unbiased to the connecting device to ensure the stability when the corresponding work using the work machine as well as to extend the life of the connecting devic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various types of work machines different in work use and the field can be used as a combin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와 작업기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작업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고정구에 작업기가 고정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고정구에 작업기가 해제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측 단면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고정구 일측의 작업기연결부에 제2작업기가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제2작업기가 연결된 상태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고정구 타측에 다른 제2작업기가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8의 다른 제2작업기가 연결된 상태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ctor wo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orking device is separat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machine coupled state in Figure 1,
3 is a front view of a working machine fixed to the bracket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ork machine is released to the bracket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ctor work devic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orking machine is connected to the working machine connecting portion of one side of the bracket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second working device of Figure 6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orking machin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other second working device of Figure 8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connect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이하, '연결장치'라 한다}는 버킷, 톤백프레임, 베일집게, 지게발 등의 작업기(100)를 트랙터 로더와 연결하는 장치로서, 트랙터에 연결된 로더의 선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작업기를 로더에 손쉽게 탈부착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Connect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hereinaf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necting device') is a device for connecting a
상기 연결장치는 트랙터의 로더 선단부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200)과, 상기 메인프레임의(200) 전면 양측에 장착되는 브라켓고정구(400)와, 작업기(100)의 좌우측에 조립 또는 용접되어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에 탈부착되는 작업기브라켓(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device is assembled or welded to the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후면에는 커플러(21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커플러는 로더의 선단부와 연결설치함은 물론 메인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커플러의 구조 및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으며, 트랙터의 로더 선단부와 연결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A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전면에는 각각의 레일(220)이 메인프레임(200)과 일체로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에는 상기 각 레일(220)을 수용하며 결합되어 그 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430)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front of the
이때, 상기 슬라이더(430)는 일측 일부만이 개방되어져 상기 레일(220)을 수용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슬라이더(430)가 상기 각 레일(220)을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게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only one side of the
상기 슬라이더(430)의 일 측 일부를 개방시킨 이유는, 메인프레임(200)과 각 레일(220)이 일체로 되는 목 부분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각 레일(220)이 메인프레임(20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한 이유는 메인프레임(200)의 견고성 확보와 슬라이더(430)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유도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one side of the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슬라이더(43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상기 슬라이더(430)에 연장되어 보조슬라이더(435)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보조슬라이더(435)에는 작업기연결부(440)가 더 형성된다.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이때, 상기 작업기연결부(440)는 브라켓고정구(400)에 연결되는 작업기(100)와 작업용도 또는 분야가 상이한 다른 제2작업기(110)를 연결하여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work
따라서, 버킷, 톤백프레임, 베일집게, 지게발 등과 같이 작업용도 및 분야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작업기를 하나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착탈시켜 겸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사용상 편의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convenience for the operator by easily detaching and using various types of work machines having different working purposes and fields such as buckets, tone back frames, bale tongs, forklifts, etc. using a single connection device. .
상기 작업기(100)에는 작업기브라켓(30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작업기브라켓(3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고리부(310)와 고정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The
이때, 상기 작업기브라켓(300)에 연결되는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의 상부 및 하부측면에는 상기 작업기브라켓(300)의 상하부에 형성된 고리부(310)와 고정부(320)에 결합되게 각각 걸림봉(410)과 결속부(420)가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ide surfaces of the
상기 걸림봉(410)은 단면형상이 원형, 사각 등 형상에 제한이 없으며, 상기 고리부(310)는 상기 걸림봉(410)에 걸려지게 구비됨에 따라 그 고리형상이 상기 걸림봉(4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브라켓고정구(400)는 폭조절실린더(25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메인프레임(200)에 설치되어져 상기 폭조절실린더(250)의 작동시 상기 메인프레임(200) 상에서 폭조절되면서 상기 고정부(320)에 결속부(420)가 결속 또는 해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여기서, 상기 고정부(320)와 결속부(4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고정구(400)의 슬라이딩이동으로 결속 또는 해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320)는 상기 결속부(420)가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이고, 상기 결속부(420)는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의 측벽에 관통된 관통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따라서, 상기 폭조절실린더(250)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고정구(400)를 이동시켜 상기 돌기를 관통구멍에 끼움으로써 상기 작업기브라켓(300)을 브라켓고정구(400)에 결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와는 반대로 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고정구(400)를 다시 원상태로 이동시킨 후 걸림봉(410)에 걸쳐진 고리부(310)를 분리함으로써 탈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by moving the
이때, 상기 고정부와 결속부는 각각의 형상을 반대로 하여 서로 끼움결합시켜 고정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fixing part and the binding part may be fixed by fitting each other by reversing their respective shapes.
상기와 같이 상기 폭조절실린더(250)는 한쌍으로 이루어진 브라켓고정구(40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실린더로서, 상기 브라켓고정구(400)를 메인프레임(200)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고정부(320)에 상기 결속부(420)를 결속 또는 해제시켜 상기 작업기브라켓(300)을 탈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트랙터를 작업기(100)에 정확하게 진입시키지 않고도 상기 걸림봉(410)의 길이 범위내에서는 상기 폭조절실린더(250)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기브라켓(300)을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기의 연결작업이 편리할 뿐 아니라 보다 단시간내에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200)에는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고정구(400)를 메인프레임(200)상에서 좌우 왕복이동시키는 위치조절실린더(26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위치조절실린더(260)에 의해 브라켓고정구(400)의 위치가 메인프레임(200) 상에서 변할 수 있어 작업상황 및 여건에 따라 브라켓고정구(400)의 위치를 변경하여 작업기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한편, 상기 보조슬라이더(435)에 형성되는 작업기연결부(440)에는 브라켓고정구(400)에 연결설치되는 작업기(100)와 다른 종류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 즉 제2작업기(110)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제2작업기(11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발, 베일집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ork
물론, 위에 기재한 버킷이나 톤백프레임도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나, 버킷이나 톤백프레임의 연결시에는 폭 조절이 필요하지 않을 뿐 아니라 연결시 상당한 어려움이 있음으로써 일체로 이루어진 작업기보다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 지게발이나 베일집게를 작업기연결부(44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다.Of course, the bucket or toneback frame described above may also be connected, but the width of the bucket or toneback frame is not required to be connected, and there i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connection.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the foot or the bale tongs connected to the working
상기 제2작업기(110)는 연결장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폭조절실린더(250)에 의한 브라켓고정구(400)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제2작업기(11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져 작업 폭이 조절되어 진다.The second working
상기 제2작업기(110)와, 그 제2작업기(110)가 연결되는 상기 작업기연결부(44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상기 제2작업기(110)에는 작업기브라켓(300)이 설치된 상기 작업기(100)와 같이 작업기브라켓(350)이 조립 또는 용접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작업기브라켓(35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고리부(360)와 고정부(370)가 형성되어 있다.Looking at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econd working
그리고, 상기 작업기연결부(440)는 상기 보조슬라이더(435) 중 상부 슬라이더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작업기(110)에 결합되는 작업기브라켓(350)의 상측 고리부(360)가 걸려지는 걸림턱(442)과, 상기 보조슬라이더(435) 중 하부 슬라이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작업기브라켓(350)의 하측 고정부(370)와 결속수단으로 결속결합되는 제2결속부(444)로 구성되어 진다.In addition, the work
상기 고정부(370)는 관통구멍이고, 상기 제2결속부(444)는 결속구멍(445)이 형성된 브라켓이며,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결속구멍(445)과 관통구멍을 통해 끼워져 서로 결속시키는 결속봉(447)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한편, 상기 제2작업기(110)가 베일집게 또는 지게발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2작업기(110)에는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받침부(120)가 설치되어 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working
따라서, 베일집게나 지게발과 같은 제2작업기(110)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운반, 적층작업시 부피가 큰 대상물인 경우 그 대상물의 후면을 받쳐주도록 하여 작업시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the object is bulky during transportation and lamination by using a
여기서,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는 상기 보조슬라이더(435)가 형성되지 않은 브라켓고정구(400)의 타측, 즉 상기 작업기연결부(440)의 반대부위에도 상기 제2작업기(110)를 연결시키도록 상부 및 하부에는 작업기브라켓(350)의 고리부(360)와 고정부(370)에 체결되게 각각 걸림돌기(450) 및 체결부(460)가 형성된다.Here,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걸림돌기(450)는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의 측면으로 돌출된 돌기형태로, 상기 걸림봉(410)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60)는 관통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370)와 체결부(460)는 상기 결속수단과 같은 봉체, 즉 체결봉(470)으로 상호 체결되어져 유동되지 않게 된다.The locking
이때, 상기 제2작업기가 브라켓고정구(40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작업기브라켓(350)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고정부(370)와 체결부(460)가 상기 걸림돌기(450) 및 체결부(460)에 체결되는 것 외에도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의 측벽을 감싼 채로 상기 고정부(370)가 걸림봉(410)에 걸려져 체결부(460)가 체결봉(470)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working machine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200)에 슬라이딩되게 브라켓고정구(400)를 설치하고, 이 브라켓고정구(400)에 작업기브라켓(300)을 연결설치하여 연결장치를 완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연결장치는 작업기(100)의 중량이 연결장치에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미치게 되어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install the
또한, 브라켓고정구(400)의 일측에 작업기연결부(440)가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고정구(400)에 연결되는 작업기(100)와 작업용도 또는 분야가 상이한 다른 제2작업기(110)를 작업기연결부(44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연결장치로 여러 종류의 작업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In addition, a work
100: 작업기 110: 제2작업기
120: 받침부 200: 메인프레임
210: 커플러 220: 레일
250: 폭조절실린더 260: 위치조절실린더
300, 350: 작업기브라켓 310, 360: 고리부
320, 370: 고정부 400: 브라켓고정구
410: 걸림봉 420: 결속부
430: 슬라이더 435: 보조슬라이더
440: 작업기연결부 442: 걸림턱
444: 제2결속부 445: 결속구멍
447: 결속봉 450: 걸림돌기
460: 체결부 470: 체결봉100: working machine 110: second working machine
120: support 200: mainframe
210: coupler 220: rail
250: width adjustment cylinder 260: position adjustment cylinder
300, 350:
320, 370: fixing part 400: bracket fixing tool
410: locking rod 420: binding portion
430: slider 435: auxiliary slider
440: work machine connecting portion 442: locking jaw
444: second binding unit 445: binding hole
447: Binding Bar 450: Block
460: fastening portion 470: fastening rod
Claims (7)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에는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430)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더(43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430)에 연장되는 보조슬라이더(435)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슬라이더(435)에는 브라켓고정구(400)에 연결되는 작업기(100)와 작업용도가 상이한 제2작업기(110)를 연결하여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작업기연결부(4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The main frame 200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tractor, the bracket fixture 400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main frame 200, and assembled or weld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rk machine 100, the bracket fixture 400 In the tractor work machine connecting device comprising a work bracket bracket 300 detachable to,
The bracket fixture 400 is provided with a slider 430 which is slidably moved to the main frame 200, an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racket fixture 40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as the slider 430 and the The auxiliary slider 435 is provided extending to the slider 430,
The auxiliary slider 435 is a tra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machine connecting portion 440 is formed to be used in combination by connecting the second working machine 11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ork machine 100 and the work purpose is connected to the bracket fixture 400 Attachment for work tool.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전면에는 각각의 레일(220)이 메인프레임(200)과 일체로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430)는 상기 각 레일(220)을 수용하며 결합되어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일측 일부만이 개방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200, each rail 22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main frame 200,
The slider (43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rails 220 is coupled to the tractor wo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opening only one side portion to slide along the rail.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의 상부 및 하부측면에는 상기 작업기브라켓(300)의 상하부에 형성된 고리부(310)와 고정부(320)에 결합되게 각각 걸림봉(410)과 결속부(420)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고정구(400)는 폭조절실린더(25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폭조절실린더(250)의 작동시 상기 메인프레임(200) 상에서 폭조절되면서 상기 고정부(320)에 결속부(420)가 결속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upper and lower side surfaces of the bracket fixture 400, the engaging rod 410 and the binding portion 420 ar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ring portion 310 and the fixing portion 320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ork machine bracket 300, respectively. Become,
The bracket fixture 400 i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width adjustment cylinder 250, the width of the adjustment on the main frame 200 when the operation of the width adjustment cylinder 250, the binding portion 420 to the fixed portion 320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or release.
상기 작업기연결부(440)는, 상기 보조슬라이더(435) 중 상부 슬라이더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작업기(110)에 결합되는 작업기브라켓(350)의 상측 고리부(360)가 걸려지는 걸림턱(442)과, 상기 보조슬라이더(435) 중 하부 슬라이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작업기브라켓(350)의 하측 고정부(370)와 결속수단으로 결속결합되는 제2결속부(4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ork machine connection unit 4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lider of the auxiliary slider 435, the locking jaw (360) of the upper ring portion 360 of the work machine bracket 350 is coupled to the second work machine 110 ( 442 and a second binding part 444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lider of the auxiliary slider 435 and coupled to the lower fixing part 370 of the working bracket 350 by a binding means. For tractor implements.
상기 보조슬라이더(435)가 형성되지 않은 브라켓고정구(400)의 타측에도 상기 제2작업기(110)를 연결시키도록 상부 및 하부에는 작업기브라켓(350)의 고리부(360)와 고정부(370)에 체결되게 각각 걸림돌기(450) 및 체결부(4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ok part 360 and the fixing part 370 of the work machine bracket 350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fixing tool 400 in which the auxiliary slider 435 is not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reof so as to connect the second work machine 110.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s 450 and the fastening portion 460 are form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상기 제2작업기(110)가 베일집게 또는 지게발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2작업기(110)에는 작업시 대상물의 후면을 받쳐주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받침부(1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second working machine 110 is any one of a bale tongs or forklift, the second working machine 110 supports the projecting portion 120 to protrude upward of the main frame 200 to support the rear of the object during the work.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s installed.
상기 메인프레임(200)에는 상기 브라켓고정구(400)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고정구(400)를 메인프레임(200) 상에서 좌우 왕복이동시키도록 위치조절실린더(2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frame 20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bracket fixture 400, the positioning mechanism 260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cylinder 260 to reciprocate the bracket fixture 400 on the main frame 200 Attachment for work tool.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4825A KR101247750B1 (en) | 2011-06-30 | 2011-06-30 |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
EP11844136.9A EP2647275A4 (en) | 2010-11-30 | 2011-11-07 | Connection device for tractor work |
PCT/KR2011/008395 WO2012074209A2 (en) | 2010-11-30 | 2011-11-07 | Connection device for tractor 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4825A KR101247750B1 (en) | 2011-06-30 | 2011-06-30 |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454A true KR20130003454A (en) | 2013-01-09 |
KR101247750B1 KR101247750B1 (en) | 2013-03-26 |
Family
ID=4783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4825A KR101247750B1 (en) | 2010-11-30 | 2011-06-30 |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7750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3858Y1 (en) | 2003-12-08 | 2004-03-10 | 오대석 | The structure of a bucket hitch attach device of an agriculture tractor loader. |
KR200413756Y1 (en) | 2006-01-10 | 2006-04-13 | 김문수 | Hydraulic couplings for tractor implements |
KR101013496B1 (en) * | 2008-11-08 | 2011-02-10 | 정길동 | Attach device of tractor loader bucket |
KR100906036B1 (en) | 2008-12-04 | 2009-07-02 | 이리중 | Connector for tractor operation machine |
-
2011
- 2011-06-30 KR KR1020110064825A patent/KR10124775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7750B1 (en) | 2013-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3522859A5 (en) | ||
US9187874B1 (en) | Receiver plate-coupler plate assembly | |
KR200413755Y1 (en)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
US20120107080A1 (en) | Loader Mast-To-Mounting_Frame Pin Retaining Arrangement | |
KR102070080B1 (en) | Lift fork for excavators | |
EP2647275A2 (en) | Connection device for tractor work | |
KR101247750B1 (en) |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 |
KR200416471Y1 (en) | 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 |
KR101446760B1 (en) | Safety locking apparatus for quick coupler | |
KR101034668B1 (en) |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 |
KR101379302B1 (en) | Automatic safety device for quick coupler | |
KR101102516B1 (en) | 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 |
KR200463378Y1 (en) | 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 |
KR20130126378A (en) | Structure for harrow installation | |
US6939099B1 (en) | Hook attachment device | |
CN212657365U (en) | Pipeline sliding support device | |
KR101102515B1 (en) | 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 |
KR101809406B1 (en) | Multifunctional forceps device for excavators | |
KR200462294Y1 (en) | The scrap iron cutting device using the crane | |
KR101209273B1 (en) | Working machine for tractor | |
KR200362596Y1 (en) | An attaching apparatus for tinstruments of tractor | |
KR101102517B1 (en) | 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 |
CN112227438A (en) | Quick change device and excavator | |
KR100961612B1 (en) | An apparatus for connecting a farm implements to a tractor | |
KR101378570B1 (en) | Attachment quick changer for backho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