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755Y1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Google Patents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3755Y1 KR200413755Y1 KR2020060000775U KR20060000775U KR200413755Y1 KR 200413755 Y1 KR200413755 Y1 KR 200413755Y1 KR 2020060000775 U KR2020060000775 U KR 2020060000775U KR 20060000775 U KR20060000775 U KR 20060000775U KR 200413755 Y1 KR200413755 Y1 KR 2004137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machine
- loader
- coupling
- shaft
- wor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기와 로더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전방 일측에는 상기 작업기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구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작업기 결합공을 형성하되 상부 일측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축을 구비하고 하부 일측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축을 형성한 한 쌍의 연결부재와, 하부에는 상기 고정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축 삽입홈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의 선단부와 결합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로더 결합공을 구비한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축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걸림홈을 형성한 한 쌍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연결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축을 고정 및 유동시키기 위한 로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축을 형성하되 상기 연결축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락킹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축과 연결프레임의 사이에는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형성한 락킹부재로 구성되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 내부에 들어가 탈부착 레버를 조작하던 방식을 배제하고 작업기의 외측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와 로더의 탈부착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 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 내부에 들어갈 필요가 없으므로 중량물인 작업기의 추락 및 이탈로 인해 발생하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고안은 제조사별로 규격이 서로 다른 작업기 및 로더의 연결위치 및 설치간격에 따라서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에 불필요하게 낭비되던 작업기와 로더의 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농가의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device for a known tractor work machine is formed between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to be detachable, the front one side is formed a plurality of work machine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a pair of connectors formed on one side of the work machine However, the upper one side has a locking shaft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the lower one side has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forming a fixed shaft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and the lower side is formed with a fixed shaft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fixed shaft can be inserted into the rear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loader to form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loader coupling holes so as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so that the locking shaft is fitted from the upper to the lower direction A pair of coupling members, a connecting fram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coupling members, and the body It is formed between the lock and fixed to the fixed shaft and the flow is formed between the lock to form a connecting shaf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is exposed to the outer dir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so that the operator can operate To provide a connect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device comprising a locking member provided with a lever and a spring for generating a tension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connecting fram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worker narrowed between the worker and the loader It eliminates the method of operating the detachable lever inside the space and can be operated quickly and conveniently from the outside of the work machine, which eliminates the hassle and inconvenience of work as well as shortening the detachment time of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It has the advantage to increa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enter inside the narrow space of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in advanc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worker caused by falling and falling of the heavy work machin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location and installation intervals of work machines and loader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by manufacturers, so a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nge of the connection device for tractor work tools, It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can generate the economic benefits of farms because it can reduce the cost of retrofitting.
트랙터, 로더, 작업기, 연결, 체결, 탈부착, 장치 Tractor, Loader, Work Tool, Connect, Fasten, Detachable
Description
도 1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Figure 1-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Figure 2-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3-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도 4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actor work impl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Figure 5-perspective view from behind of the inventive tractor work tool.
도 6 - 본 고안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Figure 6-Separat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 - 본 고안에 있어서 연결부재와 위치유도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positional too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또는 도 9 - 본 고안에 있어서 락킹부재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8 or 9-a flowchart for showing step by step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3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기를 체결하기 위한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10 to 13-a flow chart for showing step by step state for fastening the work machine by using the connection device for the tractor work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Figure 14-Reference state of use of the connection device for the tractor work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Figure 15-Reference state of use of the connection device for the tractor work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100: connection device for the tractor tractor design
110: 연결부재 110a: 결합공110: connecting
111: 작업기 결합공 112: 걸림축111: work machine coupling hole 112: locking shaft
113: 고정축 114: 브라켓113: fixed shaft 114: bracket
114a: 장공(長孔) 115: 체결구114a: long hole 115: fastener
120: 결합부재120: coupling member
121: 몸체 121a: 로더 결합공121:
122: 걸림축 삽입홈 123: 고정축 삽입홈122: locking shaft insertion groove 123: fixed shaft insertion groove
124: 위치유도구 125: 고정구124: positioning tool 125: fixture
126: 안전핀 127: 걸림돌기126: safety pin 127: jamming
130,131: 연결프레임130,131: connecting frame
140: 락킹부재 141: 로크(Lock)140: locking member 141: lock
142: 스프링 143,144: 연결축142: spring 143,144: connecting shaft
145: 락킹레버145: locking lever
A: 작업기(버켓, 베일집게, 포크) B: 연결구A: Work tools (bucket, bale tongs, forks) B: End connections
C: 로더(loader) D: 트랙터C: loader D: tractor
본 고안은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켓 및 베일집게 등과 같은 작업기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트랙터의 로더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기의 규격 및 형상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범위를 증대시키기 위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a work machine such as a bucket and a bale tong to the loader's loader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as well as the size and shape of the work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tor work linkage device for increasing the range of application by allowing the detachable to be efficiently attached and detached.
일반적으로 트랙터(D)의 전방에는 관절운동을 통해 전후,상하동작을 하기 위한 로더(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로더(C)의 선단부에는 농가의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여러 종류의 작업기(A)가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the front of the tractor (D) is provided with a loader (C) for the front and rear, up and down movement through the joint movement, the various ends and the shape of the loader (C)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of the farmhouse. Various kinds of work machines A are selectively installed and used.
그러나 상기한 로더(C)와 작업기(A)는 제작사에 따라서 규격 및 체결방식이 서로 상이하여 호환(互換)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농가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하게 동일한 제작사의 로더 및 작업기를 구입해야 하거나, 또는 부득이하게 로더(C)와 작업기(A)를 별도의 개조작업을 통해서 사용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However, the loader (C) and the work machine (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nd the fastening method is not compatible (互換), so in order to use this efficiently in farms, you need to purchase the loader and work machine of the same manufacturer unnecessarily. Inevitably, the loader (C) and the work machine (A) have had an inefficient problem that must be used through separate modification work.
특히 상기와 같이 로더(C)와 작업기(A)의 구입비용 및 개조작업을 위해서 소요되는 비용이 그대로 농가에 전가되므로 이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이 이중으로 가중되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cost for the purchase and renovation of the loader (C) and the work machine (A) is passed on to the farm as it is, thereby resulting in a double burden of economic burden.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함은 물론 로더(C)와 작업기(A) 를 효율적으로 탈부착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well as to efficiently attach and detach the loader (C) and the work machine (A),
트랙터용 프론트로우더 제2절 프레임과, 상기 제2절 프레임에 장착되는 작업기 커플러와 작업기를 구비하고, 좌우 제2절 프레임을 연결하는 저부 지지봉과 제2절 프레임의 내측판을 연장한 지지판과, 지지판에 부설한 상부 걸대와, 지지판의 내측에 부설하고 조립핀 안내관을 구비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구멍에 삽입된 조립핀과, 조립핀의 개폐장치와, 걸대에 부합시킨 작업기측 걸개와, 지지판의 조립핀에 대응시킨 작업기측 조립구멍으로 작업기 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조립핀의 개폐장치로서 안내관과 조립핀에 록커를 설치한 2상태 안정 개폐장치로 구성되는 "로우더 커플러 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12761호로 안출된 바 있다.A front loader for tractor 2 section frame, a work coupler and a work machine mounted to the section 2 frame, a bottom support rod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ection 2 frames, and a support plate extending the inner plate of the section 2 frame; An upper hanger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a support plat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n assembly pin guide tube, an assembly pin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support plate, an opening / closing device of the assembly pin, and a work machine side hanger adapted to the hanger, A loader-side coupler device comprising a two-way stable switchgear having a guide tube and a locker provided on the assembly pin as an opening-and-closing device of the work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pin of the support plate. Was registered a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12761.
즉, 종래의 "로우더 커플러 장치"는 작업기와 로더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중앙부 위치한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조립핀이 안내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업기와 로더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loader coupler device" in order to connect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the assembly pin is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while the worker moves left and right about the hinge axis by manipulating the handl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work machine and a loader are connected.
그러나 상기한 "로우더 커플러 장치"는 작업자가 로더와 작업기의 협소한 공간 사이에 들어가 내부에 형성된 핸들을 조작하여야 하는데, 이때 작업기의 하중 및 마모 또는 부식으로 인해 로더와의 결속력이 해지되어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핸들 조작을 위한 작업자의 신변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However, the "loader coupler device" should be operated between the loader and the narrow space of the work machine to operate the handle formed therein, in which the load and wear or corrosion of the work machine terminates the binding force of the loader and falls Occurs frequently, which has a problem of threatening the worker's personality for steering wheel operation.
아울러 상기한 "로우더 커플러 장치"는 핸들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에 작업자가 들어가야 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으로 인해 작업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협소한 공간에서 불완전한 자세로 핸들을 조작할 경우 연령이 많은 작업자의 경우에는 허리와 같은 관절부위에 심한 신체적인 무리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In addition, the "loader coupler device" described above requires a worker to enter a narrow space of a work machine and a loader in order to operate a handle, thereby reducing work efficiency due to the hassle and inconvenience of work, and incomplete posture in a narrow space. In the case of manipulating the furnace handle, older worker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severe physical force is generated in the joints such as the waist.
특히 상기한 "로우더 커플러 장치"는 규격이 서로 다른 작업기와 로더를 연결시키기 위한 좌우 및 상하방향의 간격 조절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므로, 결국 호환성 및 적용성이 전혀 감안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로 인해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In particular, since the "loader coupler device" is not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 gap adjus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the compatibility and applicability are not considered at all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 that the use efficiency and range of use can be extremely limited.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면서 작업기와 로더의 탈부착 조작을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기와 로더의 규격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and loader can be made more securely, and the tractor work machine connecting device which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selectively applying irrespective of the size of the work machine and loader than ever before is possible. All are urgently needed.
이처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종래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에 들어가 핸들을 조작하던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구조를 탈피하여 작업자가 작업기의 외측에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작하여 작업기와 로더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효율 및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avoids the inconvenient and inefficient structure in which a conventional worker enters a narrow space of a work machine and a loader to operate a handle, thereby allowing the worker to move outside of the work machine. In order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that can improve the use efficiency and operation reliability by allowing a simple and convenient operation to detach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또한, 본 고안은 작업기 및 로더의 규격 및 형태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설치간격 및 위치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to increase the range and convenience of use because it can be applied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installation interval and position irrespective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work machine and loade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hen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actor work device for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actor work device for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It is.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100)는 작업기(A)와 로더(C)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에 있어서,The
전방 일측에는 상기 작업기(A)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구(B)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작업기 결합공(111)을 형성하되 상부 일측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축(112)을 구비하고 하부 일측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축(113)을 형성한 한 쌍의 연결부재(110)와, 하부에는 상기 고정축(1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축 삽입홈(123)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C)의 선단부와 결합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로더 결합공(121a)을 구비한 몸체(121)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축(112)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걸림홈(122)을 형성한 한 쌍의 결합부재(120)와, 상기 결합부재 (120)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연결프레임(130,131)과, 상기 몸체(121)의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축(113)을 고정 및 유동시키기 위한 로크(141)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141)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축(143)을 형성하되 상기 연결축(143)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120)의 외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락킹레버(145)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축(143,144)과 연결프레임(130,131)의 사이에는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142)을 형성한 락킹부재(140)로 이루어진다.One front sid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ork
상기 연결부재(110)는 작업기(A)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구(B)와 결합하여 로더(C)와의 탈부착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즉 작업기(A)의 제조사 및 규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치 간격(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The connecting
이때 상기 연결구(B)의 상부와 하부에는 연결핀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작업기 결합공(111)과 결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nector B, respectively, so that the working
특히 상기 걸림축(112)은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이는 상기 걸림축 삽입홈(122)의 내부에 안착되어 작업기(A)의 물리적인 하중을 지지 및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작업기(A)가 지면을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한편, 상기 연결부재(110)는 작업기(A)와의 효율적인 연결을 위한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110a)과, 상기 결합공(110a)과 체결구(115)에 의해서 관통 결합하는 장 공(114a)을 천공하되 전방에는 상기 작업기(A)와 결합하기 위한 작업기 결합공(111)이 구비된 브라켓(114)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따라서 상기 작업기(A)의 제조사별로 규격 및 설치간격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브라켓(114)을 상부와 하부방향으로 조절한 후 상기 체결구(115)를 이용하여 결합공(110a)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을 갖는 작업기(A)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f the specifications and installation intervals are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of the work machine (A) by adjusting the
상기 결합부재(120)는 로더(C)의 선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재(110)와 신속하고 효율적인 탈부착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걸림축 삽입홈(122)은 상기 결합부재(120)가 로더(C)에 장착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상승할 때 상기 걸림축(112)을 내부에 삽입시켜 들어올리게 되므로 상기 작업기(A)와의 체결력 및 지지력을 확보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로더 결합공(121a)은 몸체(121)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로더(C)의 규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oader coupling hole (121a) is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rear of the
상기 고정축 삽입홈(123)은 고정축(113)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절개되는 형태를 갖으며, 이때 상기 몸체(121)의 사이에 형성된 로크(141)가 회전하여 상기 고정축(113)을 고정 및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작업기(A)와 로더(C)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The fixed
특히 상기 몸체(121)의 사이에는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부재(110)의 정확한 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124a)을 전방에 구비한 위치유도구(124)가 형성된다.In particular, between the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10)와 결합부재(120)의 연결과정에서 상기 유도홈(124a)의 내부에 연결부재(110)가 삽입됨으로써 정확한 중심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걸림축(112)과 걸림축 삽입홈(122)의 결합위치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연결부재(110)와의 부딪힘으로 인한 심한 충격 및 손상(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스톱퍼(Stopper)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 since the connecting
한편 상기 결합부재(120)의 외측에는 상기 락킹레버(145)의 조작편의성 및 회전반경을 결정하기 위한 고정구(125)와 걸림돌기(127)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구(125)는 로크(141)가 고정축(113)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락킹레버(145)를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며, 반대로 상기 걸림돌기(127)는 상기 락킹레버(145)를 상기 로크(141)가 고정축(113)을 분리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락킹레버(145)를 유도함은 물론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스톱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특히 상기 락킹레버(145)의 형성각도는 작업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위해서 상기 작업기(A)와 로더(C)의 연결상태일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125)를 형성하였으며, 반대로 상기 걸림돌기(127)는 상기 작업기(A)와 로더(C)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전방으로 밀어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120)의 몸체(121)의 전방 외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forming angle of the locking
따라서 작업기(A)와 로더(C)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락킹레버(145)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서 당기면 되고, 반대로 작업기(A)와 로더(C)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락킹레버(145)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면 된다. Accordingly, the locking
이때 상기 고정구(125)는 락킹레버(145)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전방에는 삽입된 락킹레버(14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핀(126)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특히 상기 안전핀(126)은 락킹레버(145)를 고정구(125)에 고정시켜 작업자의 부주의 및 장치의 노후로 인해 상기 락킹레버(145)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축(113)과 로크(141)의 고정이 해지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이때 상기 안전핀(126)은 작업자가 손쉽게 손으로 잡아서 상기 고정구(125)에 삽입 및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한 쌍의 결합부재(120)를 지지하고 연결시킴은 물론 작업기(A) 또는 로더(C)의 규격 변화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20)의 설치간격을 조절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즉,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분하되 일측의 연결프레임(130)의 내부에 타측의 연결프레임(131)이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10) 및 결합부재(120)의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상기 락킹부재(140)는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기(A)와 로더(C)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몸체(121)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로크(141)의 동작으로 상기 고정축 삽입홈(123)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축(113)을 고정 및 유동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로크(141)의 사 이에는 연결축(143,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상기 로크(141)를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락킹레버(145)가 형성된다.The locking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로크(141)는 갈고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축(113)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고정 및 유동의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로크(141)는 상기 결합부재(120)의 몸체(121) 사이에 각각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작업자가 결합부재(120)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락킹레버(145)를 동작시켜 상기 로크(141)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고정축(113)을 고정 및 유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결국 작업기(A)와 로더(C)를 탈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operator operates the locking
이로 인해 기존에 작업자가 작업기(A)와 로더(C)의 사이에 들어가서 레버를 조작하면서 발생하던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을 사전에 차단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Therefore, the worker has an effect of blocking in advance the cause of the safety accident that occurred while the operator enters between the work machine (A) and the loader (C) to operate the lever.
한편, 상기 스프링(142)은 인장력을 발생시켜 상기 고정축(113)의 고정과정에서 상기 로크(141)를 항상 상부방향으로 당기게 되어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스프링(142)은 상기 연결프레임(130,131)과 연결축(143,144)의 사이에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별도의 연결 브라켓을 형성하여 간격 및 설치공간을 조절한 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연결축(143,144)은 로크(142)를 서로 지지하고 연결시킴은 물론 작업기(A) 또는 로더(C)의 규격 변화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20)의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ng
즉, 상기 연결축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분하되 일측의 연결축(142)의 내부에 타측의 연결축(144)이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10) 및 결합부재(120)의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onnecting shaft is bisected based on the center, but is formed so that the other connecting
한편, 상기 락킹레버(145)는 결합부재(1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작업기(A)와 로더(D)의 사이에 들어가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A)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cking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100)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hen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ractor work
도 10 내지 도 13은 본 고안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기를 체결하기 위한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10 to 13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by-step state for fastening the work machine by using the connection device for the tractor 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10)와 결합부재(120)는 각각 작업기(A)의 연결구(B)와, 로더(C)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작업을 선행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0, the
다음,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축(112)을 걸림구 삽입홈(122)의 내부에 삽입시킨 후, 상기 로더(C)를 전방으로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축(113)이 고정축 삽입홈(123)의 내부에 삽입되어 서로 맞닿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1 or 12, after the locking
이때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위치유도구(124)와 맞닿게 되므로 상기 고정축(113)과 고정축 삽입홈(123)의 중심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마지막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13)과 고정축 삽입홈(123)이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락킹레버(145)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로크(141)가 연결축(143,14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축(141)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작업기(A)와 로더(C)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Lastly, as shown in FIG. 13,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locking
이때 상기 연결축(143,144)과 연결프레임(130,131)의 사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스프링(142)으로 인해 상기 로크(141)가 항상 상부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기 때문에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because the
한편, 상기 작업기(A)와 로더(C)를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작업순서에 반대로 진행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분리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separating the work machine (A) and the loader (C)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eparation work quickly and efficiently by proceeding in reverse to the work order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본 고안은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규격 및 형태를 갖는 작업기(A)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 및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pplying a work machine (A) having a variety of specifications and shapes as shown in Figure 14 or 15 will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and operator convenienc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to those which ar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이처럼 본 고안은 종래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 내부에 들어 가 탈부착 레버를 조작하던 방식을 배제하고 작업기의 외측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와 로더의 탈부착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trouble and inconvenience of the work because it can be operated quickly and conveniently from the outside of the work machine, excluding the manner in which the conventional worker enters the narrow space of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and operates the detachable lever.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the detachment time of the work machine and loader.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작업기와 로더의 협소한 공간 내부에 들어갈 필요가 없으므로 중량물인 작업기의 추락 및 이탈로 인해 발생하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worker does not need to enter the narrow space of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in advanc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worker caused by the fall and departure of the heavy work machine.
특히 본 고안은 제조사별로 규격이 서로 다른 작업기 및 로더의 연결위치 및 설치간격에 따라서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의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에 불필요하게 낭비되던 작업기와 로더의 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농가의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location and installation intervals of work machines and loader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by manufacturers, so a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nge of the connection device for tractor work tools, It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can generate the economic benefits of farms because it can reduce the cost of retrofitting.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0775U KR200413755Y1 (en) | 2006-01-10 | 2006-01-10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0775U KR200413755Y1 (en) | 2006-01-10 | 2006-01-10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3755Y1 true KR200413755Y1 (en) | 2006-04-13 |
Family
ID=4929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0775U KR200413755Y1 (en) | 2006-01-10 | 2006-01-10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3755Y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3824B1 (en) | 2007-05-28 | 2008-08-22 | 이리중 | The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worker |
KR100906036B1 (en) | 2008-12-04 | 2009-07-02 | 이리중 | Connector for tractor operation machine |
KR100994763B1 (en) | 2009-03-20 | 2010-11-16 | 태호(주) | Detachable and attachable apparatus of work machine |
KR101013496B1 (en) | 2008-11-08 | 2011-02-10 | 정길동 | Attach device of tractor loader bucket |
KR101036065B1 (en) | 2010-08-20 | 2011-05-19 | 장진만 | Tractor binding equipment |
KR101137431B1 (en) * | 2010-02-03 | 2012-04-20 | 장진만 | Discrete type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
KR101426868B1 (en) | 2012-04-10 | 2014-08-06 | 김문수 | Device coupling rotary for tractor instrument |
WO2017188636A1 (en) * | 2016-04-28 | 2017-11-02 | 대동공업 주식회사 | Working machine attachment apparatus for multipurpose vehicle |
KR20220039996A (en) * | 2020-09-23 | 2022-03-30 | 남기성 | One-touch multi-connection device for bucket |
KR20220064687A (en) * | 2020-11-12 | 2022-05-19 | 남기성 | One touch multi connection device for bucket |
-
2006
- 2006-01-10 KR KR2020060000775U patent/KR20041375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3824B1 (en) | 2007-05-28 | 2008-08-22 | 이리중 | The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worker |
KR101013496B1 (en) | 2008-11-08 | 2011-02-10 | 정길동 | Attach device of tractor loader bucket |
KR100906036B1 (en) | 2008-12-04 | 2009-07-02 | 이리중 | Connector for tractor operation machine |
KR100994763B1 (en) | 2009-03-20 | 2010-11-16 | 태호(주) | Detachable and attachable apparatus of work machine |
KR101137431B1 (en) * | 2010-02-03 | 2012-04-20 | 장진만 | Discrete type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
KR101036065B1 (en) | 2010-08-20 | 2011-05-19 | 장진만 | Tractor binding equipment |
KR101426868B1 (en) | 2012-04-10 | 2014-08-06 | 김문수 | Device coupling rotary for tractor instrument |
WO2017188636A1 (en) * | 2016-04-28 | 2017-11-02 | 대동공업 주식회사 | Working machine attachment apparatus for multipurpose vehicle |
KR20170123148A (en) * | 2016-04-28 | 2017-11-07 | 대동공업주식회사 | Working machinery attachment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KR102496021B1 (en) * | 2016-04-28 | 2023-02-06 | 주식회사 대동 | Working machinery attachment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KR20220039996A (en) * | 2020-09-23 | 2022-03-30 | 남기성 | One-touch multi-connection device for bucket |
KR102473137B1 (en) | 2020-09-23 | 2022-11-30 | 남기성 | One-touch multi-connection device for bucket |
KR20220064687A (en) * | 2020-11-12 | 2022-05-19 | 남기성 | One touch multi connection device for bucket |
KR102501849B1 (en) | 2020-11-12 | 2023-02-20 | 남기성 | One touch multi connection device for buck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3755Y1 (en)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
KR200416471Y1 (en) | 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 |
KR200413756Y1 (en) | Hydraulic couplings for tractor implements | |
US7549832B2 (en) | Device for coupling a loader to a tractor | |
US7198451B2 (en) | Quick-coupler device | |
US20080100034A1 (en) | Draw pin hitches | |
US8979468B2 (en) | Loading work apparatus with attachment tools | |
KR101446760B1 (en) | Safety locking apparatus for quick coupler | |
KR100994763B1 (en) | Detachable and attachable apparatus of work machine | |
KR100981213B1 (en) | Device coupling hand operated type for tractor work machine | |
KR101628984B1 (en) | Locking device for quick coupler | |
KR200463378Y1 (en) | 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 |
KR200441686Y1 (en) | Hitch member for tractor | |
JP2014033635A (en) | Traction device of tractor | |
KR20100025670A (en) | Device coupling hand operated type for tractor work machine | |
KR20120123936A (en) | Attachment quick change construction for heavy equipment | |
KR101995300B1 (en) | Working tools changer for agricultural machine | |
KR200269560Y1 (en) | working machine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 |
KR101809406B1 (en) | Multifunctional forceps device for excavators | |
KR100961612B1 (en) | An apparatus for connecting a farm implements to a tractor | |
KR101870713B1 (en) | Conneting structure of quick coupler for construction machine | |
KR20150051022A (en) | 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 |
KR20150093360A (en) | quick coupler for construction machine | |
KR200259631Y1 (en) | Quick-hitch for tractor | |
JP2005090197A (en) | Adaptor for installing attachment on work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