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222U - 버팀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버팀보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3222U KR20130003222U KR2020110010375U KR20110010375U KR20130003222U KR 20130003222 U KR20130003222 U KR 20130003222U KR 2020110010375 U KR2020110010375 U KR 2020110010375U KR 20110010375 U KR20110010375 U KR 20110010375U KR 20130003222 U KR20130003222 U KR 2013000322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pper plate
- connecting rod
- brace
- copper
- connec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버팀보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버팀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 연결장치는, 연결하고자 하는 두 버팀보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마구리판; 및 맞대어지는 두 마구리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두 마구리판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 버팀보 연결장치에 의하면, 연결대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두 버팀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두 버팀보의 연결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여 가시설공사에 소요되는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버팀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두 버팀보를 연결하기 위한 버팀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건설현장에서는 구조물 축조(토목/건축현장)를 위한 지반굴착시 굴착 배면의 토사 붕괴방지 및 변위억제를 위해 통상적인 방법으로 가설 흙막이 공사를 시행한다. 이때 굴착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법을 적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버팀보 공법이나 앵커 공법 등이 적용된다.
버팀보 공법은 토류벽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고정된 띠장을 설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띠장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버팀보를 설치하여 토류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도록 하는 공법으로서 H-파일과 원형강관이 버팀보로 사용된다.
이러한 버팀보 공법은 마주보는 띠장의 간격에 따라 버팀보의 길이가 연장되어야 한다. 버팀보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흙막이 벽체 지지용 버팀보의 연결구조’라는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공보(제10-0699040호, 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른 흙막이 벽체 지지용 버팀보의 연결구조에 따르면, 두 개의 버팀보 단부를 서로 맞댄 후, 두 버팀보를 연결판 및 보강재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연결판 및 보강재는 버팀보에 볼트 결합되어 두 버팀보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흙막이 벽체 지지용 버팀보의 연결구조에 따르면, 버팀보와 버팀보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연결판 및 보강재를 버팀보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 체결작업 및 해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 버팀보를 간편하게 연결하고 해체할 수 있는 버팀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 연결장치는, 연결하고자 하는 두 버팀보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마구리판; 및 맞대어지는 두 마구리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두 마구리판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한다.
두 마구리판의 양면 중 서로 접면되지 않는 면의 가장자리에는 연결대의 슬라이딩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부는 높이가 일정한 하나의 돌부가 길게 형성된 형태이거나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대는 마구리판의 가장자리에 접면되는 접면부; 접면부의 양측으로부터 일측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두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부와 함께 가이드부를 감싸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마구리판의 가장자리는 버팀보의 외측면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
마구리판은 사각으로 형성되며, 연결대 중 마구리판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대는 마구리판의 양측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마구리판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대는 마구리판의 상부 및 하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2연결대는 제1연결대가 마구리판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커버링한다.
본 고안 버팀보 연결장치에 의하면, 연결대의 슬라이딩 결합만으로 두 버팀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두 버팀보의 연결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여 가시설공사에 소요되는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버팀보에 결합된 마구리판의 사용으로 흙막이 벽체로부터 발생되는 토압이 마구리판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고, 그 힘이 다른 버팀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팀보 연결장치에 의해 두 버팀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팀보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선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 선단면도.
도 6은 도 2의 C-C 선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 연결장치에 의해 두 버팀보가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버팀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버팀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팀보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선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 선단면도.
도 6은 도 2의 C-C 선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 연결장치에 의해 두 버팀보가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버팀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버팀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팀보 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팀보 연결장치에 의해 두 버팀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팀보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 선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C-C 선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팀보 연결장치(100)는 연결하고자 하는 두 버팀보(1)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마구리판(110)과, 맞대어지는 두 마구리판(110)을 서로 연결하는 제1,2연결대(120)(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구리판(110)은 사각의 판 형태로 형성된다. 두 마구리판(110)의 양면 중 서로 접면되지 않는 면의 가장자리에는 제1,2연결대(120)(130)의 슬라이딩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2연결대(120)(130)를 가이드부(111)에 끼워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두 마구리판(110)을 연결할 수 있고, 가이드부(111)로부터 제1,2연결대(120)(130)를 슬라이딩시켜 분리함으로써 두 마구리판(110)을 분리할 수 있다. 제1,2연결대(120)(130)를 이용해 두 마구리판(110)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부러 분리하지 않는 한 제1,2연결대(120)(130)는 가이드부(11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가이드부(111)는 높이가 일정한 하나의 돌부가 길게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즉, 마구리판(110)의 네 가장자리에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고, 요철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하나의 돌부가 길게 형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갖는 마구리판(110)의 네 가장자리는 버팀보(1)의 외측면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버팀보(1)의 외측면보다 돌출된 위치에 가이드부(111)가 각각 형성된다.
제1,2연결대(120)(130)는 맞대어지는 두 마구리판(110)의 네 가장자리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두 마구리판(110)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마구리판(110)의 상면, 저면 및 양측면에 각각 접면되는 접면부(121)(131), 접면부(121)(131)의 양측으로부터 일측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22)(132), 및 연장부(122)(132)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부(122)(132)와 함께 가이드부(111)를 감싸는 걸림부(123)(133)를 포함한다.
걸림부(123)(133)가 가이드부(111)에 걸림으로써 제1,2연결대(120)(130)는 슬라이딩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2연결대(120)(130) 중 마구리판(110)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연결대(120)의 길이는 마구리판(110)의 양측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마구리판(11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대(130)의 길이는 마구리판(110)의 상부 및 하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대(120)는 마구리판(11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고, 제2연결대(130)는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연결대(130)는 마구리판(110)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1연결대(120)는 양측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처럼, 제2연결대(130)의 길이를 마구리판(110)의 상,하부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제1연결대(120)가 마구리판(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커버링함으로써, 제2연결대(130)를 분리하지 않고는 제1연결대(120)를 마구리판(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즉, 제1,2연결대(120)(130)로 두 마구리판(110)을 결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제2연결대(130)를 분리하지 않는한 제1연결대(120)가 마구리판(110)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 연결장치에 의해 두 버팀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두 버팀보(1)를 연결하기 전에 두 버팀보(1)의 단부에 사각으로 된 마구리판(110)을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시킨다. 이 때, 마구리판(110)의 네 가장자리 모두 버팀보(1)의 외측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접합된다.
두 마구리판(110)을 접면시킨 후에는 제2연결대(130)를 마구리판(11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11)에 끼운 후 슬라이딩시켜 두 마구리판(110)의 하부를 마감하고, 제1연결대(120)를 마구리판(11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11)에 끼운 후 슬라이딩시켜 두 마구리판(110)의 양측을 마감한다. 이 때, 제2연결대(130)로 인해 제1연결대(120)의 분리가 방지된다. 제1연결대(120)의 마감 후에는 제2연결대(130)를 마구리판(11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11)에 끼운 후 슬라이딩시켜 두 마구리판(110)의 상부를 마감한다.
이로써, 두 버팀보(1)는 견고하게 연결된다. 두 버팀보(1)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연결대(130)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므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분리하지 않는 한 마구리판(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제1연결대(120)는 제2연결대(130)에 의해 커버링되어 분리가 방지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버팀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버팀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보(1)로 사각강관 외에 원형강관 또는 H형-강관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 버팀보 연결장치(100)에 의하면, 마구리판(110)의 네 가장자리가 버팀보(1)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기만 하면 버팀보(1)의 형상과 상관없이 버팀보(1)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버팀보 연결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100 : 버팀보 연결장치 110 : 마구리판
111 : 가이드부 120 : 제1연결대
121 : 접면부 122 : 연장부
123 : 걸림부 130 : 제2연결대
131 : 접면부 132 : 연장부
133 : 걸림부
111 : 가이드부 120 : 제1연결대
121 : 접면부 122 : 연장부
123 : 걸림부 130 : 제2연결대
131 : 접면부 132 : 연장부
133 : 걸림부
Claims (6)
- 연결하고자 하는 두 버팀보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마구리판; 및
맞대어지는 상기 두 마구리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두 마구리판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버팀보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마구리판의 양면 중 서로 접면되지 않는 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연결대의 슬라이딩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연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높이가 일정한 하나의 돌부가 길게 형성된 형태이거나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연결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마구리판의 가장자리에 접면되는 접면부;
상기 접면부의 양측으로부터 일측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두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와 함께 상기 가이드부를 감싸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연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판의 가장자리는 상기 버팀보의 외측면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판은 사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 중 상기 마구리판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대는 마구리판의 양측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마구리판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대는 상기 마구리판의 상부 및 하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대는 상기 제1연결대가 상기 마구리판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커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375U KR20130003222U (ko) | 2011-11-23 | 2011-11-23 | 버팀보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375U KR20130003222U (ko) | 2011-11-23 | 2011-11-23 | 버팀보 연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222U true KR20130003222U (ko) | 2013-05-31 |
Family
ID=5242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10375U KR20130003222U (ko) | 2011-11-23 | 2011-11-23 | 버팀보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3222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1604A (ko) * | 2018-03-23 | 2019-10-02 | 주식회사 포스코 | 조립식 강관구조체 |
-
2011
- 2011-11-23 KR KR2020110010375U patent/KR2013000322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1604A (ko) * | 2018-03-23 | 2019-10-02 | 주식회사 포스코 | 조립식 강관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9440B1 (ko) |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 |
KR100991208B1 (ko) | 개량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강재띠장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243984B1 (ko) |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20160074148A (ko) |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52146B1 (ko) | 띠장과 버팀보 일체형 단위 흙막이 가시설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0998253B1 (ko) |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 | |
KR20140028250A (ko) | 비계용 단위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비계 | |
CN105421748A (zh) | 一种悬挑脚手架的锚固装置 | |
KR20200032316A (ko) |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 |
KR101599672B1 (ko) |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 |
KR100916546B1 (ko) |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 |
KR20130007502U (ko) |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 |
KR101811001B1 (ko) | 작업 발판을 구비하는 원형 강관 버팀보 | |
KR101448390B1 (ko) | 사각강관 띠장과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구조 | |
KR102133053B1 (ko) | 지하 흙막이 공사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띠장-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체 | |
KR101348339B1 (ko) | 비개착공법용 지중압입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45570B1 (ko) | 흙막이 판넬 조립체 | |
KR101538074B1 (ko) | 회동식 마디부재가 구비된 내진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 |
JP2014206025A (ja) | カルバート | |
KR20130003222U (ko) | 버팀보 연결장치 | |
JP4982534B2 (ja) | 深礎基礎用の配筋作業のための補助具、及び、この補助具を用いた配筋の施工方法 | |
KR101045000B1 (ko) | 탈부착형 합벽지지대 | |
KR101664668B1 (ko) |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 |
KR101958768B1 (ko) |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 |
KR20100004374U (ko) | 트러스형 합벽 지지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