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099U - 일자형 전원 플러그 - Google Patents

일자형 전원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099U
KR20130003099U KR2020130002494U KR20130002494U KR20130003099U KR 20130003099 U KR20130003099 U KR 20130003099U KR 2020130002494 U KR2020130002494 U KR 2020130002494U KR 20130002494 U KR20130002494 U KR 20130002494U KR 20130003099 U KR20130003099 U KR 201300030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plug
power
ground
out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출
Original Assignee
정현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출 filed Critical 정현출
Priority to KR2020130002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099U/ko
Publication of KR20130003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0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자형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에 2 개의 플러그핀과 접지단자가 구비된 상,하 플러그 몸체의 후측으로 전원코드와 접지코드가 인출된 공지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플러그 몸체의 중심부 후측의 좌,우 양측단부에 코드 유인구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코드 유인구 사이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코드 유인구의 후측부에 코드 고정부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가 형성된 코드 지지구와 코드 고정구 사이에 외부 피복이 벗겨진 전원코드 및 접지코드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코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로 압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하 플러그 몸체에 손가락을 집어넣기 위한 고리나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부를 추가시키지 않고도,
기존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의 기본적 형태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플러그 몸체의 중심부 후측의 좌,우 양측단부에 전원코드와 접지코드가 인입되는 코드 유인구를 형성하여, 이 좌,우측 코드 유인구 사이에 확보된 공간부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외부 피복이 벗겨진 전원코드 및 접지코드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코드가 코드 지지구와 코드 고정구 사이의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에 의하여 각각의 직경에 맞춰 고르게 압착 고정되게 하여, 플러그 몸체에 전원코드와 접지코드를 보다 견고히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자형 전원 플러그{FLATHEAD SHAPE POWER PLUG}
본 고안은 일자형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지형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를 멀티탭에서 분리시킬 때, 플러그를 분리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일자형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플러그는 전원코드의 인출 방향에 따라, 전원코드가 플러그 몸체의 후측으로 일직선상으로 인출된 일자형 전원 플러그와, 플러그 몸체의 하측 방향으로 ㄱ자형으로 꺾여 인출된 ㄱ자형 전원 플러그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이들 전원 플러그는 플러그를 멀티탭에서 분리시킬 때, 플러그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플러그 몸체를 손으로 잡기 편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 여러 형태로 강구되어 있다.
이러한 분리 수단의 하나로서, 플러그 몸체에 여러 형태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플러그 몸체가 손에서 미끌어지지 않게 하는 방법이 다수 공지되어 있으나,
멀티탭의 접속단자에 삽입된 플러그핀의 접속력이 대부분 매우 강해 플러그를 분리시킬 때, 비교적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제품에 따라서는 접속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분리시키는데 아주 애를 먹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접지형의 멀티탭에 접속된 접지형 플러그는 무접지 플러그에 비하여 접지단자의 접속력이 추가되어 더욱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되고,
더구나 어린이나 여성들과 같은 노약자의 경우, 전원 플러그를 멀티탭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힘든 나머지, 전력 낭비를 무릅쓰고 전원 플러그를 멀티탭에 그냥 꽂아두는 형편에 있었다.
그리고 ㄱ자형 플러그의 경우, 플러그 몸체의 후측부에 고리를 추가로 형성하여 고리에 손가락을 걸어 잡아당길 수 있게 하는 방식이 여러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나,
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부를 플러그 몸체의 후측부에 별도로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플러그의 크기가 매우 커지고, 그에 따라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폐단이 있으며,
일자형 플러그의 경우, 플러그 몸체 전방의 플러그핀과 접지단자에 전원코드와 접지코드를 각각 접속시킨 뒤, 플러그 몸체의 중심부를 통하여 상기 전원코드와 접지코드를 후측으로 인출시켜 고정볼트로 상,하 플러그 몸체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자형 플러그는 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부의 확보가 어려워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일자형 플러그는 상기와 같은 일자형 전원 플러그가 갖는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ㄱ자형 전원 플러그와 같이, 고리를 배치시키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고리를 구비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에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는 플러그핀과 접지단자에 접속된 전원코드와 접지코드를 플러그 몸체에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코드 고정구가 전원코드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나 벗겨지지 않은 부분이나 구분없이 동일하게 압착시키게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코드 고정구를 피복이 벗겨진 부분에 맞춰 고정시키면, 피복이 벗겨지지 않아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코드를 코드 고정구로 지나치게 압착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반면에, 코드 고정구를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부분에 맞춰 고정시키면, 피복이 벗겨져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부분이 코드 고정구로 너무 느슨하게 압착되어 플러그 몸체에 전원코드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자형 전원 플러그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부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자형 전원 플러그의 플러그핀과 접지단자에 접속된 전원코드와 접지코드를 플러그 몸체에 보다 견고히 압착 고정시켜, 전원코드가 플러그 몸체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전방에 2 개의 플러그핀과 접지단자가 구비된 상,하 플러그 몸체의 후측으로 전원코드와 접지코드가 인출된 공지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플러그 몸체의 중심부 후측의 좌,우 양측단부에 코드 유인구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코드 유인구 사이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코드 유인구의 후측부에 코드 고정부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가 형성된 코드 지지구와 코드 고정구 사이에 외부 피복이 벗겨진 전원코드 및 접지코드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코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로 압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하 플러그 몸체에 손가락을 집어넣기 위한 고리나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부를 추가시키지 않고도,
기존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의 기본적 형태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플러그 몸체의 중심부 후측의 좌,우 양측단부에 전원코드와 접지코드가 인입되는 코드 유인구를 형성하여, 이 좌,우측 코드 유인구 사이에 확보된 공간부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외부 피복이 벗겨진 전원코드 및 접지코드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코드가 코드 지지구와 코드 고정구 사이의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에 의하여 각각의 직경에 맞춰 고르게 압착 고정되게 하여, 플러그 몸체에 전원코드와 접지코드를 보다 견고히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는,
상,하 플러그 몸체에 손가락을 집어넣기 위한 고리나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부를 추가시키지 않고도,
기존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의 기본적 형태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플러그 몸체의 중심부 후측의 좌,우 양측단부에 전원코드와 접지코드가 인입되는 코드 유인구를 형성하여, 이 좌,우측 코드 유인구 사이에 확보된 공간부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외부 피복이 벗겨진 전원코드 및 접지코드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코드가 코드 지지구와 코드 고정구 사이의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에 의하여 각각의 직경에 맞춰 고르게 압착 고정되게 하여, 플러그 몸체에 전원코드와 접지코드를 보다 견고히 압착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일자형 전원 플러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외형 사시도,
도 2 는 하부 플러그 몸체를 연 상태의 상부 플러그 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A-A' 선 단면도,
도 5 는 도 2 의 B-B' 선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일자형 전원 플러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외형 사시도,
도 2 는 하부 플러그 몸체를 연 상태의 상부 플러그 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A-A' 선 단면도,
도 5 는 도 2 의 B-B' 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는,
전방에 2 개의 플러그핀(1)(1')과 접지단자(2)가 구비된 상,하 플러그 몸체(3)(3')의 후측으로 전원코드(4)(4')와 접지코드(5)가 인출된 공지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플러그 몸체(3)(3')의 중심부 후측의 좌,우 양측단부에 코드 유인구(8)(8')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코드 유인구(8)(8') 사이에 통공(7)(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드 유인구(8)(8')의 후측부에는 코드 고정부(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코드 고정부(9)의 하측 플러그 몸체(3')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10)(10')가 형성된 코드 지지구(1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드 지지구(11)의 상부에는 상기 코드 인출구(10)(10')와 부합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12)(12')가 형성된 코드 고정구(14)가 당접되어 있으며,
상기 코드 지지구(11)와 코드 고정구(14) 사이의 전방의 작은 직경의 코드 인출구(10)(12) 사이에는 외부 피복이 벗겨진 전원코드(4)(4')와 접지코드(5)가, 후측의 큰 직경의 코드 인출구(10')(12') 사이에는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코드(15)가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 단부가 고정 볼트(16)(16')로 압착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공(7)(7')의 전방부에는 볼트공(17)이 형성되어 상,하 플러그 몸체(3)(3')가 볼트(19)로 고정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1,21' 는 전원코드 접속용 볼트, 23 은 접지코드 접속공, 25 는 코드 인입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는,
전방의 2 개의 플러그핀(1)(1')과 접지단자(2)에 각각 접속된 전원코드(4)(4')와 접지코드(5)가 상,하 플러그 몸체(3)(3')의 중심부 후측에 형성된 통공(7)(7')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나뉘어 상기 통공(7)(7')의 좌,우 양측단부에 형성된 코드 유인구(8)(8')를 통하여 인출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 플러그 몸체(3)(3')에 손가락을 집어넣기 위한 고리나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부를 추가시키지 않고도,
기존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의 기본적 형태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플러그 몸체(3)(3')의 중심부 후측의 좌,우 양측단부에 전원코드(4)(4')와 접지코드(5)가 인입되는 코드 유인구(8)(8')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좌,우측 코드 유인구(8)(8') 사이에 확보된 공간부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통공(7)(7')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드 유인구(8)(8')를 통하여 인출된 전원코드(4)(4')와 접지코드(5)가 코드 유인구(8)(8')의 후측부의 코드고정부(9)에 구비된 코드 지지구(11)와 코드 고정구(14) 사이의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10)(10')(12)(1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코드 지지구(11)와 코드 고정구(14) 사이의 전방의 작은 직경의 코드 인출구(10)(12) 사이에는 외부 피복이 벗겨진 전원코드(4)(4')와 접지코드(5)가, 후측의 큰 직경의 코드 인출구(10')(12') 사이에는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코드(15)가 삽입되어 양측 단부가 고정 볼트(16)(16')로 압착 체결되기 때문에,
외부 피복이 벗겨진 전원코드(4)(4') 및 접지코드(5)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코드(15)가 코드 지지구(11)와 코드 고정구(14) 사이의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10)(10')(12)(12')에 의하여 각각의 직경에 맞춰 고르게 압착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에 의하면,
상,하 플러그 몸체(3)(3')에 손가락을 집어넣기 위한 고리나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부를 추가시키지 않고도,
기존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의 기본적 형태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플러그 몸체(3)(3')의 중심부 후측의 좌,우 양측단부에 전원코드(4)(4')와 접지코드(5)가 인입되는 코드 유인구(8)(8')를 형성하여, 이 좌,우측 코드 유인구(8)(8') 사이에 확보된 공간부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통공(7)(7')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외부 피복이 벗겨진 전원코드(4)(4') 및 접지코드(5)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코드(15)가 코드 지지구(11)와 코드 고정구(14) 사이의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10)(10')(12)(12')에 의하여 각각의 직경에 맞춰 고르게 압착 고정되게 하여, 플러그 몸체(3)(3')에 전원코드(4)(4')와 접지코드(5)를 보다 견고히 압착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플러그 몸체(3)(3')와 통공(7)(7')의 형태와 크기 등은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1, 1' : 플러그핀
2 : 접지단자
3, 3' : 상,하 플러그 몸체
4, 4' : 전원코드
5 : 접지코드
7, 7' : 통공
8, 8' : 코드 유인구
9 : 코드 고정부
10, 10', 12, 12' : 코드 인출구
11 : 코드 지지구
14 : 코드 고정구
15 : 코드
16, 16' : 고정 볼트
17 : 볼트공
19 : 볼트
21, 21': 전원코드 접속용 볼트
23 : 접지선 접속공
25 : 코드 인입구

Claims (2)

  1. 전방에 2 개의 플러그핀(1)(1')과 접지단자(2)가 구비된 상,하 플러그 몸체(3)(3')의 후측으로 전원코드(4)(4')와 접지코드(5)가 인출된 공지의 일자형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플러그 몸체(3)(3')의 중심부 후측의 좌,우 양측단부에 코드 유인구(8)(8')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코드 유인구(8)(8') 사이에 통공(7)(7')이 형성되며,
    상기 코드 유인구(8)(8')의 후측부에 코드 고정부(9)가 형성되고,
    상기 코드 고정부(9)의 하측 플러그 몸체(3')에 코드 지지구(11)가 구비되며, 이 코드 지지구(11)의 상부에 코드 고정구(14)가 당접되어 양측 단부가 고정 볼트(16)(16')로 압착 체결되고,
    상기 통공(7)(7')의 전방부에 볼트공(17)이 형성되어 상,하 플러그 몸체(3)(3')가 볼트(19)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전원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지지구(11)는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10)(10')가 형성되고,
    상기 코드 고정구(14)는 상기 코드 인출구(10)(10')와 부합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전협후광의 코드 인출구(12)(12')가 형성되어,
    상기 코드 지지구(11)와 코드 고정구(14) 사이의 전방의 작은 직경의 코드 인출구(10)(12) 사이에는 외부 피복이 벗겨진 전원코드(4)(4')와 접지코드(5)가, 후측의 큰 직경의 코드 인출구(10')(12') 사이에는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코드(15)가 삽입되어 압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전원 플러그.
KR2020130002494U 2013-04-03 2013-04-03 일자형 전원 플러그 KR201300030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494U KR20130003099U (ko) 2013-04-03 2013-04-03 일자형 전원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494U KR20130003099U (ko) 2013-04-03 2013-04-03 일자형 전원 플러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768A Division KR20130030358A (ko) 2011-09-17 2011-09-17 일자형 전원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099U true KR20130003099U (ko) 2013-05-24

Family

ID=5242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494U KR20130003099U (ko) 2013-04-03 2013-04-03 일자형 전원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09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81062B (zh) 电连接装置和多极电插头连接器
BR102015017131A2 (pt) conjunto de bloco de terminal
US7511224B1 (en) Compression connector with tap port configured to engage multiple sized tap wires in a single tap port
WO2007143603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tether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WO2012159144A3 (de) Mehrfachverteiler mit einem einen stecker aufweisenden stromanschluss
US3163481A (en) Clasp for holding an attachment plug to an electrical outlet
US10069227B2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WO2008098268A3 (de) Steckersystem
RU201611327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ы электрической проводки
KR20130030358A (ko) 일자형 전원 플러그
US20150372400A1 (en) Connector assembly
KR20130003099U (ko) 일자형 전원 플러그
US1941488A (en) Electrical attachment fitting
EP3093930A1 (en) Extension cord
US6074252A (en) Electrical plug
KR101952781B1 (ko) 자성체가 구비된 멀티탭 접지단자
CN202749556U (zh) 端子结构改良
KR20090000802U (ko) 가변커넥터
EP3651276A3 (en) Lamp
CN111342298B (zh) 网络插头
GB2511811A (en) Repair plug
US1941489A (en) Electrical attachment fitting
KR200407850Y1 (ko) 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CN105588084A (zh) 一种电连接母端子及应用的led灯
US1498296A (en) Screwless tubular connecter for electric w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