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025U - Overshoe for preventing from sliping - Google Patents

Overshoe for preventing from sli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025U
KR20130003025U KR2020110010123U KR20110010123U KR20130003025U KR 20130003025 U KR20130003025 U KR 20130003025U KR 2020110010123 U KR2020110010123 U KR 2020110010123U KR 20110010123 U KR20110010123 U KR 20110010123U KR 20130003025 U KR20130003025 U KR 201300030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boot
slip member
presen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1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승휴
정권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025U/en
Publication of KR20130003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02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 덧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의 패턴을 최적화하여 보행이 편리하면 동시에 각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미끄럼 방지 덧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덧신에 있어서, 상기 덧신의 바닥에 패턴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재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미끄럼 방지 덧신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slip boo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slip boot,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slipping in each direction at the same time when the walking is convenient by optimizing the pattern of the anti-slip member attached to the flo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slip boot provided with a non-slip boot, wherein the non-slip member having a patter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ot is detachable.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덧신{Overshoe for preventing from sliping}Overshoe for preventing from sliping}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 덧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의 패턴을 최적화하여 보행이 편리하면 동시에 각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미끄럼 방지 덧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slip boo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slip boot,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slipping in each direction at the same time when the walking is convenient by optimizing the pattern of the anti-slip member attached to the floor.

일반적으로 덧신은 보온이나 유아들의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신으로서 통상 양말의 위에 겹쳐서 신는다.Generally, overshoes are shoes that are used to keep warm or to prevent slipping of infants. They are usually worn over socks.

특히 유아들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덧신은 바닥에 고무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부재가 복수 개 부착되어 유아들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overshoes for slipping of infants are attached to the floor with a plurality of non-slip members made of rubber to prevent the children from slipping.

한편 조선소와 같은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탈착이 불편한 안전화를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화의 바닥이 직접 접촉해서는 안되는 공간인 윤활유가 도포된 장소 등을 출입할 때 덧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in industrial sites such as shipyards, since workers wear safety shoes that are inconvenient to remove and detach, safety shoes are often used when entering and leaving places where lubricating oil is applied.

이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덧신의 일 예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9127(2002. 12. 11.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As such, an example of the overshoe used in an industrial site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299127 (published Dec. 11, 20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도 1은 특허문헌 1에 따른 덧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overshoes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따른 덧신은 작업화의 외부에 겹쳐서 신는 덧신(1)으로, 하부에 코팅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층(2), 덧신(1)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입구에 형성된 밴드(3), 상기 덧신(1)의 상부 전방에 형성되어 덧신(1)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벨크로 패스너(4) 및 덧신(1)의 상부 후방에 형성되어 덧신(1)을 걸어둘 수 있도록 된 고리(5)로 이루어진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overshoes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s an overshoes 1 worn on the outside of the work shoes to prevent the slipper layer 2 and the overshoes 1 from being coated on the bottom to prevent slipping. Band (3) formed in the upper inlet, the Velcro fastener (4) and the overshoe (1) formed on the upper front of the overshoe (1)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overshoe (1) and overshoe (1) It is made of a hook (5) to hang.

이와 같은 덧신(1)은 하부에 미끄럼 방지층(2)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덧신(1)을 착용한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overshoes 1 are coated with a non-slip layer 2 on the lower side, the worker wearing the overshoes 1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덧신은 하부가 전면적으로 코팅되어 있으므로 보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vershoe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walking is inconvenient because the entire bottom is coated.

아울러 덧신의 하부가 전면적으로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에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덧신을 재활용할 수 없고 별도의 미끄럼 방지 덧신을 준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ttom of the boot is coated on the entire surf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cycle the boot to be used in an existing industrial site and prepare a separate anti-slip boot.

또한 덧신의 바닥이 윤활유 등이 도포된 장소와 닿았을 때 덧신 바닥과 유막이 형성된 장소 사이에 유막이 형성되어 미끄러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il film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boot and the place where the oil film is formed when the bottom of the boot is in contact with the place where the lubricating oil or the like is applied.

1.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9127(2002. 12. 11. 공개함)1.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299127 (published Dec. 11, 20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덧신의 하부에 패턴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재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기존에 사용중인 덧신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된 미끄럼 방지 덧신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non-slip member with a patter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ot to enable the non-slip boot to be able to recycle the boot in the existing use.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부재는 패턴을 최적화하여 보행이 편리하고 동시에 각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는 미끄럼 방지 덧신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slip boot, in which the anti-slip member optimizes the pattern to prevent walking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slipping in each direction.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덧신에 있어서, 상기 덧신의 바닥에 패턴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재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미끄럼 방지 덧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slip boot provided with a non-slip boot, wherein the non-slip member having a patter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ot is detachable.

또한 미끄럼 방지부재는 패턴이 상기 덧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부로 이루어지는 십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non-slip member is preferably a cross-shaped pattern consisting of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vershoes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여기서 상기 세로부는 상기 가로부를 중심으로 후방측이 더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horizontal portion.

아울러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non-slip member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is formed.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패턴은 패턴의 외측방향으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트렌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attern of the non-slip member is preferably formed in the trench to be drain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patter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은 덧신의 하부에 패턴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재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기존에 사용중인 덧신을 재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ti-slip b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having a pattern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ot to enable detachment of the existing boo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은 미끄럼 방지부재의 패턴을 최적화하여 보행이 편리하고 동시에 각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slip boo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timize the pattern of the non-slip member to prevent walking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slipping in each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은 패턴의 외측방향으로 트렌치가 형성되어 덧신의 패턴에 의해 압축되는 윤활유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p s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ench form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pattern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lubricant compressed by the pattern of the boot can prevent the worker from slipping.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덧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의 바닥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의 바닥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oversho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slip boo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anti-slip booti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a portion A of FIG. 3.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anti-slip booti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anti-slip boo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의 바닥을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slip boo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non-slip boot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portion A of FIG. to be.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은 안전화(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몸체(10),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판상의 바닥체(20) 및 상기 바닥체(20)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30)로 이루어진다.Anti-slip booti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10 made to accommodate the safety shoes 12, the plate-shaped bottom body 20 and the bottom body 2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It consists of a non-slip member (30) attached to.

상기 몸체(10)는 비닐 또는 얇은 천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의 입구는 안전화(12)가 벗어지지 않도록 고무줄(14)로 둘러져 있다.The body 10 is made of vinyl or a thin cloth and the inlet at the top is surrounded by a rubber band 14 so that the safety shoes 12 do not fall off.

상기 바닥체(20)는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에 비하여 방수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바닥체(20)는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또는 고무 등의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The bottom body 2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than the body 10. Therefore, the bottom body 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polyester or rubber.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는 상기 바닥체(20)에 부착되어 덧신의 착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는 바인더인 수지에 연마재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패턴을 달리하도록 구비된다.The non-slip member 30 is attached to the bottom body 20 to prevent the wearer of the overshoes from slipping. The non-slip member 30 is made of a mixture of abrasives and a binder resin is provided to vary the pattern as necessar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의 패턴은 십자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30a)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부(3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의 패턴은 세로부(30a) 뿐만 아니라 가로부(30b)가 형성되므로 작업자의 보행방향 뿐만 아니라 보행방향과 수직방향에 대해서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의 세로부(30a)는 가로부(30b)를 중심으로 후방측이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안전화를 착용한 작업자의 이동시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횡족궁(transverse arch)에서 가로부(30b)와 세로부(30a)의 교차구간이 형성되므로 하중이 분산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The pattern of the non-slip member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vertical portion (30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ross shape and a horizontal portion (30b)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Since the pattern of the non-slip member 30 is formed not only in the vertical portion 30a but also in the horizontal portion 30b, it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in not only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worker but also the walking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30a) of the non-slip member 30 has a longer rear side around the horizontal portion (30b). Therefore,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horizontal section 30b and the vertical section 30a is formed in the transverse arch where the load acts the most when the worker wears safety shoes, the load is distributed to prevent slipping more effectively. .

아울러 상기 세로부(30a)와 가로부(3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트렌치(32)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렌치(32)는 외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바닥창(20)이 바닥에 닿았을 때 윤활유는 유막을 형성하지 않고 트렌치(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유막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30a and the horizontal portion 30b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renches 32 that are open in the out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4. Since the trench 32 is open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lubricating oi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ench 32 without forming an oil film when the sole 20 contacts the bottom. Therefore, the worker can be further prevented from sliding by the oil film.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의 바닥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slip boo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non-slip boot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덧신은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화(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몸체(10),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판상의 바닥체(20) 및 상기 바닥체(20)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40)로 이루어진다.Anti-slip booti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10 made to accommodate the safety shoes 12, plate-like bottom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s. It consists of a sieve 20 and the non-slip member 40 attached to the bottom body 20.

여기서 상기 몸체(10)와 바닥체(20)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10 and the bottom body 20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의 특징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40)는 상기 바닥체(20)에 부착되어 덧신의 착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40)는 바인더인 수지에 연마재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패턴을 달리하도록 구비된다.The non-slip memb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bottom body 20 so as to prevent the wearer of the overshoes from slipping. The anti-slip member 40 is made of a binder mixed with the resin and is provided to vary the pattern as necessar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40)의 패턴은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방측 미끄럼 방지부재(40a)는 안전화(12)를 착용한 작업자의 이동시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전방측의 횡족궁(transverse arch)과 대응되고, 상기 후방측 미끄럼 방지부재(40b)는 작업자의 정지시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후방측의 발뒤꿈치에 각각 대응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보행을 지속하는 경우나, 보행자가 정지한 후 보행을 시작하는 경우 모두 효과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atterns of the anti-slip member 4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Here, the front non-slip member 40a corresponds to a transverse arch on the front side where the load acts the most when the worker wearing the safety shoes 12 moves, and the rear anti-slip member 40b is Corresponds to the heel of the rear side where the load acts the most when the operator stops. Therefore, when the worker keeps walking or starts walking after the pedestrian stop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slipping.

아울러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40) 또한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복수의 트렌치가 형성되어 바닥창이 바닥에 닿았을 때 윤활유가 유막을 형성하지 않고 트렌치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작업자가 유막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n-slip member 40 is also formed with a plurality of trenches that are opened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when the sole touches the floor, the lubricant does not form an oil film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ench. You can prevent it.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 기재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0 : 몸체
20 : 바닥체
30, 40 : 미끄럼 방지부재
30a : 세로부
30b : 가로부
32 : 트렌치
40a : 전방측 미끄럼 방지부재
40b : 후방측 미끄럼 방지부재
10: Body
20: bottom body
30, 40: non-slip member
30a: vertical section
30b: horizontal section
32: trench
40a: front side non-slip member
40b: rear side non-slip member

Claims (5)

미끄럼 방지 덧신에 있어서,
상기 덧신의 바닥에 패턴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재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덧신.
In the anti-slip booties,
An anti-slip boot,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slip member formed with a pattern on the bottom of the gumshoes is detach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패턴은 상기 덧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부로 이루어지는 십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덧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n-slip member is a non-slip sho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hape consisting of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vershoes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는 상기 가로부를 중심으로 후방측이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덧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vertical part is a non-slip sho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ide is formed longer than the horizontal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덧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n-slip member is a non-slip sho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패턴은 패턴의 외측방향으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트렌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덧신.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non-slip member of the anti-slip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nch is formed to be dra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pattern.
KR2020110010123U 2011-11-15 2011-11-15 Overshoe for preventing from sliping KR2013000302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123U KR20130003025U (en) 2011-11-15 2011-11-15 Overshoe for preventing from sli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123U KR20130003025U (en) 2011-11-15 2011-11-15 Overshoe for preventing from sli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025U true KR20130003025U (en) 2013-05-23

Family

ID=5242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123U KR20130003025U (en) 2011-11-15 2011-11-15 Overshoe for preventing from sli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025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721B2 (en) Articles of footwear
US7047672B2 (en)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urfaces
CN203884822U (en) Safety shoe
KR20160086866A (en) Outsole tread pattern
US20100058615A1 (en) Traction control device
US10609981B1 (en) Insole sandal and shoe system
US10897948B2 (en) Footwear roofing shoes
US7997008B2 (en) Overshoe for use while finishing concrete
WO2008146376A1 (en) Shoe and insole for the same
KR101223095B1 (en) Fishing boots having attaching and detaching type shoe sole
JP3194695U (en) socks
KR20130003025U (en) Overshoe for preventing from sliping
CN104905482A (en) Safety shoes with illuminating lamps
CN201798096U (en) Shoe with high foot flexibility
KR200422022Y1 (en) Shoes for aquatic leisure
KR20070094530A (en) Anti-slippery footwear
CN210043274U (en) Slippers
JP5563389B2 (en) Work shoes
CN211581726U (en) Effectual safety shoe of antiskid
JP2008173410A (en)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shoe protection rain gear for protecting shoe worn in rain from rainwater
US20220395047A1 (en) Shoe, in particular a bathing sandal
CN210094786U (en) Sock shoe
US20210315321A1 (en) Anti-slip shoe straps
KR200285201Y1 (en) A cover for heel wall of shoes
JP3201336U (en) s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