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792U -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및 그 제작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및 그 제작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792U
KR20130002792U KR2020120002105U KR20120002105U KR20130002792U KR 20130002792 U KR20130002792 U KR 20130002792U KR 2020120002105 U KR2020120002105 U KR 2020120002105U KR 20120002105 U KR20120002105 U KR 20120002105U KR 20130002792 U KR20130002792 U KR 201300027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ght
color saturation
printing
high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첸 황
Original Assignee
유-첸 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첸 황 filed Critical 유-첸 황
Publication of KR20130002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7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으로서, 표면이 인쇄되는 투명판 및 인쇄 마스크에 인쇄 보호층을 가진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 그 인쇄 패턴은 디지털 인쇄 기술로 만들어지고, 그 색상 채도 영역값은 40%보다 크며, 전체 광투과율은 15%에서 95% 사이이다. 그 중 그 투명판 표면에는 최소 한 개의 미세 구조가 있어서, 빛의 방향과 강도를 조절한다. 발광 다이오드 광원과 결합시켜 고효율의 장식 효과를 가진 조명 장치를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및 그 제작된 조명 장치{A highly color saturated light modulator and lighting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주로 고색상 채도를 이용한 디지털 인쇄 투명판이 투명판 표면의 광학 미세 구조와 결합하여, 고균일도의 광확산을 얻는 동시에, 높은 밝기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광원과 결합되어 고효율의 장식 효과를 지닌 조명 장치가 될 수 있다.
일반 LED는 점상 광원으로서, 만약 처리를 거치지 않으면, 광원 사이에 비교적 밝고 비교적 어두운 영역이 반드시 나타나게 되기 때문에, 화면에 명암이 불균형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확산 필름을 추가하여, 한편으로는 점상 광영 현상을 제거하고, 또 한편으로는 광원의 광선을 더욱 전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일부분이 지나치게 어둡거나 또는 지나치게 밝아지는 현상을 방지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방법은 입자를 고분자 필름속에 넣어서, 빛이 이 필름에 진입할 때 굴절 지수가 각각 다른 재료속을 부단히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굴절, 확산 및 반사를 발생시킴으로써, 광확산의 기능을 얻는 것이다. 또 표면을 조화시키는 방식으로 광확산 목적을 얻기도 하나, 제조 과정 시간이 비교적 많이 걸리고 원가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지금은 무기 입자를 추가하는 전통 방식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확산판의 그 주요 기능은 광선을 광학 복합 재료를 통해 난 반사시켜서 밝기가 균일하게 분포되는 면광원을 만들고, 밝기 강화 작용을 얻는 것이다. LED 조명 업계는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는데, 눈을 자극하는 빛을 제거함으로써, 거주 환경을 더욱 안락하게 하기 위해, 모든 제품에 이미 확산판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LED 램프에서 임계 조도에 달할 때, 조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은 확산판 밖에 없다. 조명용 확산판의 광투과율은 최근에야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시작했는데, 조명은 2.5미터 밖에서 조도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30와트의 램프가 확산판 투광율의 임계점 이상에서 1%씩 낮아지면, 광원은 반드시 1.5%로 보충해야 한다. 만약 투광율이 3%보다 낮은 확산판을 사용한다면, 4.5와트의 광원을 더 사용해서 보충해야 하는데, 이 때, 광원에 추가되는 비용은 고투광율 확산판 비용보다 훨씬 많이 필요하다.
전통적 확산판은 고 헤이즈, 저 광침투성의 반투명 재료로서, 확산 효과가 안좋을 뿐 아니라, 광 밝기도 대폭 하락되어,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이라는 LED의 주요 장점도 사라져버린다.
전통적인 조명 기술은 발광 효율이 낮고, 전력 소모량이 크며, 사용 수명이 짧다. 최근 과학자들의 기술 발전을 통해, 일종의 신형 광원 기술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조명 기술이 발전 추세로서 생산이 시작되고,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LED 광원은 밝기가 높지만, 매우 높은 방향성이 있기 때문에, 확산판을 사용해서 밝기를 균일하게 분포시켜야만, 일부분에 핫스팟(hot spot)이 생기는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전체 공간이 충분한 조명을 받을 수 있고, 조명 장치를 직시할 때, 눈이 피로하지 않게 된다. 전통적인 확산판은 보통 수지에 각각의 굴절 지수 입자를 첨가하여, 광확산 효과를 얻는다. 높은 밝기와 양호한 확산 효과를 얻기 위해서 표면에 미세 구조가 있는 확산판도 갈수록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심지어 도광과 확산이 결합된 전체 설계가 앞으로의 주류 추세가 되고 있다.
점상 LED 광원을 면광원으로 확산시켜야 할 뿐 아니라, 조명 장치는 또 예술성과 미학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색채 예술은 광학 조광 설계와 일체로 결합되어야 하지만, 기존의 문서 또는 공개 발표된 제품속에서는 한번도 게시되거나 암시된 적이 없었다. 본 고안은 고색상 채도의 디지털 인쇄 기술과 결합되어, 완벽한 예술 패턴을 표현하고, 또 인쇄 잉크속의 안료 입자를 광확산 입자로 사용함으로써, 고색상 채도와 광확산 기능을 지닌 조광판을 얻고, 더 나아가 도광을 미세 구조와 결합시켰다. 본 고안은 예술 인쇄 패턴을 지닌 높은 밝기의 조광판을 얻을 수 있으며, 이 기술은 기존 기술의 조합을 통해 손쉽게 완성된 것이 아니다.
여기에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해서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주로 고색상 채도의 디지털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투명판에 고채도의 컬러 패턴을 표현하고, 고색상 채도의 안료 입자는 광확산 효과를 지니고 있어, 광확산 기능을 얻을 수 있다. 투명판 표면의 광학 미세 구조를 통해 고균일도와 밝기가 증강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디지털 인쇄를 이용한 고색상 채도 조광판은 광확산 효과가 있고, 또 예술적 장식 기능도 얻을 수 있다.
표면 구조 설계 부분에 있어서, 프리즘 모양의 표면을 통해, 조광판을 투과하는 광선이 진일보 조명될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고, 광원을 충분히 이용하여, 균일하게 확산된 후의 광원의 빛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반구면으로 결합된 구조에서도 동시에 확산과 밝기 증가의 이중 효과를 통해, 더욱 높은 광균일성을 얻고, 상동한 밝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투명판에서의 인쇄는 망판 인쇄를 선택해서 기타 색상의 채도를 우수하게 할 수 있지만, 해상도가 낮아서, 고정밀 패턴의 인쇄에는 효과가 좋지 않다. 또 다른 인쇄 기술인 잉크젯 인쇄, 특히 디지털 인쇄는 고속 생산이라는 장점으로 인해, 소량의 다양한 인쇄에 있어서 생산 유연성이 특히 우수하다. 잉크젯 인쇄는 디지털화 정보를 이용해 이미지를 저장하기 때문에, 인쇄판이 불필요한 상황하에서 직접 출력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출력하기 전이라면 언제든지 출력 내용을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판이나 프린팅 다운 절차 및 과정에 필요한 시간과 재료를 생략할 수 있다. 그 밖에, 그 비접촉성 인쇄 방식으로 인해, 올록볼록한 재료에도 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잉크젯 인쇄는 보통 직접 또는 산성 염료의 수성 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잉크가 비록 난연 내화 및 오염 물질 감소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건조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인쇄하려는 재료에 특별한 처리를 해야 한다. 잉크와 인쇄할 재료가 반드시 정확하게 조화를 이루고, 인쇄할 재료의 표면 특성이 조정되어야만, 부착성이 우수하고 매우 선명한 인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대한 위의 내용과 기타 목적, 특징, 장점과 실시예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의 결선도,
도 2는 프리즘 구조를 가진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결선도,
도 3은 반구형 렌즈 구조를 가진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결선도,
도 4는 또 다른 프리즘 구조를 가진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결선도,
도 5는 고색상 채도를 가진 조광판의 측광식 LED 조명 장치 결선도,
도 6은 도광판을 가진 고색상 채도 조광판의 측광식 LED 조명 장치 결선도,
도 7은 또 다른 도광판을 가진 고색상 채도 조광판의 측광식 LED 조명 장치 결선도,
도 8은 고색상 채도를 가진 조광판의 직하식 LED 조명 장치 결선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명판(1)을 사용한 인쇄용 기재에서, 만약 유리처럼 사용한 투명판과 잉크의 부착력이 좋지 않다면, 고정밀 디지털 잉크젯 인쇄 전에 유리위에 먼저 표면 변형층(2)을 추가해야 하며, 만약 잉크 부착력이 좋은 기재라면, 표면 처리층이 필요없다. 인쇄를 거친 후의 인쇄층(3)은 표면에 잉크 보호층(4)을 코팅해서 잉크가 손상되거나 수성 잉크가 흡수 확산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인쇄 효과의 내구성에 영향이 없도록 해야 한다.
양호한 컬러 예술 패턴을 표현하고, 충분한 광확산 효과를 얻기 위해, 패턴의 색상 채도 영역값은 40%보다 커야 한다. 인쇄된 채도가 좋지 않으면, 강한 측광 또는 배광원하에서 충분한 패턴 대비가 나타날 수 없어서, 효과가 좋지 않다. 그러나 만약 채도가 80%보다 크고, 인쇄 면적이 80%보다 크면, 전체 투광도가 20%보다 크게 되는데, 즉, 조명 장치 사용 효과에 크게 제한을 받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패턴의 색상 채도 영역값이 40%보다 크고, 전체 광투과율도 20%에서 95% 사이가 되게 해야만 최상의 예술적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밝기를 증가시키는 미세 구조의 조명과 결합되면, 고색상 채도와 고대비되는 패턴을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높은 전체 광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패턴의 색상 채도 영역값은 각각의 안료 선택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인쇄 패턴의 두께를 증가시켜서도 색상 채도 영역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체 광투과율은 조광판이 있는 것과 없는 조명 장치의 조도(Illuminance) 비율이다. 조도는 조도계(Illuminance meter)로 직접 측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빛의 밝기와 방향을 진일보 조정하기 위해서 비인쇄면 표면에 프리즘 구조(5)를 추가하거나, 또는 직접 프리즘 구조(5)를 지닌 투명판을 기재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타이어 테크놀러지의 EML 시리즈의 미세 구조판은 다른 면에서 인쇄를 한다.
프리즘 구조(5)의 가장 주요 기능은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을 통과한 균일 광선을 반사와 굴절 방식으로 광선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범위에 광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것이다. 광원은 대부분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조명 온도를 상승시키고, 조명 장치 자체를 가속 악화시키기 때문에, 프리즘 구조(5)는 절대적으로 그 필요성이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리즘 구조 필름의 제작 방법은 자외선을 반응성 광선으로 하고, 정밀한 미세 복제 기술로 수지를 경화시키면, 마지막으로 미세한 프리즘 구조가 형성되며, 다시 이 프리즘 구조로 빛의 각도를 관리하면, 밝기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원이 확산막에 진입한 후 균등하게 광선을 내보내고, 프리즘 구조에 진입한 후의 광선은 경로와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빛의 밝기와 균일성을 더욱 진일보 조정하기 위해서 비인쇄면 표면에 반구형의 프리즘 구조(6)를 가진 추가층을 추가하거나, 직접 반구형의 프리즘 구조(6)의 투명판을 기재로 사용하여, 다른 면에서 인쇄를 진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은 인쇄 패턴과 인쇄 보호층이 그 투명판 표면의 미세 구조(6)면 또는 비미세 구조면에 있을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 변형층(2), 인쇄층(3)과 잉크 보호층(4)는 모두 비미세 구조면에 있다. 하지만, 패턴도 투명판 표면의 미세 구조(6)면에서 인쇄될 수 있어서, 나타나는 광학과 예술 효과가 약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능과 미학적 기호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 변형층(2), 인쇄층(3)과 잉크 보호층(4)은 모두 미세 구조(6)면에 있다.
본 고안의 조광판의 실제 응용상에 있어서, 종종 도광판과 함께 결합 사용되고, 광원을 더하여 각종 조명 장치를 형성한다. 도광판의 원리는 역시 전반사 원리를 이용하여 광원 광선을 도광판의 원단으로 전달하고, 다시 도광판의 바닥면을 이용해 도안 확산점을 인쇄한다. 반사광이 각 코너로 확산되고, 밀도, 크기가 다른 확산점 도안 설계를 사용해 광선의 전반사를 파괴시키고, 광선을 도광판 정면으로 인도하며, 굴절 지수가 클수록 그 도광 능력이 좋다. 램프는 후단 조광 방식으로 광선을 도광판으로 보내고, 일부 광선은 도광판의 정면에서 나가며, 남은 확산되지 못한 광선은 바닥의 반사판에서 다시 도광판으로 도입된다. 도광판의 주요 원료는 폴리메틸 메타크릴에이트(PMMA) 수지와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COP), 폴리 카보네이트(PC)이며, PMMA를 주로 사용한다.
본 고안의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이 고투명도의 플라스틱판이나 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직접 도광판을 인쇄 투명 기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인쇄 기재가 동시에 도광 기능을 구비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LED광원(7)과 결합되면, 측광원이 쉽게 투명판(1)의 두께 방향을 통해 전체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에 도입되고, 다시 비인쇄면에서 빛이 나간다. 별도로 도광판 두께를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얇고 고밝기이며, 예술적인 조명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 설계는 필요에 따라 전체 조광판 후방 (즉, 보호층(4) 후방)에 반사판을 더하여, 전체 조명 장치의 밝기와 패턴의 대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은 또한 도광판(8)을 추가할 수 있으며, LED 광원(7)을 도광판(8)의 양측에 놓아서, 예술적 분위기가 풍기는 측광형(Edge type) LED 조명 장치를 만들 수 있다. 그 중, 투명판(1)과 미세 구조(5)는 유리 외부 표면에 프리즘 구조를 지닌 플라스틱 필름 (또는 휘도 향상 필름, Light Enhancement Film이라고도 한다)이거나 또는 미세 구조를 지닌 도광판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 미세 구조는 투명판 또는 도광판과 일체형을 이루거나 또는 외부에 미세 구조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비록 도 5의 설계보다 도광판이 한층 더 있지만, 그 설계의 변화성이 비교적 크고, 비교적 간편하게 광학 효과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의 차이는 인쇄면이 평활면 또는 구조용 표면에 있다. 이 설계중의 도광판(8)은 일반 도광판이나, 휘도 향상 필름이 추가된 도광판, 또는 미세 구조를 지닌 도광판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도광판 후방에 반사판을 추가하여, 전체 조명 장치의 밝기와 패턴의 대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LED 광원(7)을 광원 캐리어 보드(9) 위에 놓고, 상술한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을 ,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술적 분위기의 직하식(Direct type) LED 또는 평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지닌 조명 장치가 만들어지며, OLED 광원은 일본의 Lumiotec사의 145밀리미터 X 145밀리미터 발광판을 사용한다. 그 중, 캐리어 보드(9)는 금속화된 투명 필름이나, LED 또는 OLED 광원으로서, 금속면을 전지로 이용해 직접 그 위의 배선에 전기가 흐르게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금속화된 투명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기재로 사용하며, 산화 인듐 주석 (Indium Tin Oxide, ITO)으로 만들어진다.
상술한 ITO 도전성 필름 역시 직접 투명판(1)을 대체하여, 디지털 인쇄의 기판이 될 수 있는데, ITO면에 인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연하고 얇은 조명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비록 도 4에서 도 8까지의 표면 구조를 모두 프리즘 구조로 예로 들었지만, 실제 응용상에서는 프리즘 구조로만 국한되지 않고, 반구형인 렌즈 구조, 피라미드형이나 기둥형도 될 수 있으며, 필요한 광학 효과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상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해 사용한 기술 수단 및 효능을 진일보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제시한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에 근거한 그 구체적 실시 방식, 구조, 방법 순서, 특징 및 그 효과,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 도면은 단지 참고와 설명 용도일 뿐이며, 본 고안을 국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 120미터, 너비 80미터의 알칼리 유리위에 표면 변형층(2)를 코팅하여, 잉크 흡착성과 흡수 속도를 증가시킨 후, 다시 EPSON 산업용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로 정밀 도안을 프린트한다. 도안 정밀도는 1인치당 800픽셀보다 크고, 또 도안 위쪽에 아크릴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인 투명 수지로 하드 코팅층을 추가한다. 이렇게 하면 본 고안의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을 얻을 수 있으며, 그 중 그 인쇄된 패턴 영역의 총 점유 면적은 50%이고, 그 색상 채도 영역값은 55%이다.
인쇄 패턴이 없는 유리의 다른 한측에는 미국 3M사의 비퀴티 필름(Vikuiti film)을 붙여서, 고밝기의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을 형성한다. 인타이어사의 EGP 미세 구조 도광판과 결합시키고, 도광판 양측(너비 방향)에 각각 옵토테크사의 36와트 LED 20개를 놓아 얇은 예술 LED 조명 장치를 만든다.
상술한 방법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조명 장치는 균일한 고색상 채도의 램프 섀이드 패턴과 고밝기의 균일한 빛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체 광투과율은 25%이다.
실시예 2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타이어사의 EML 시리즈 프리즘 구조(5)판은 투명판(1)으로서, 프리즘 구조(5)면위에 표면 변형층(2)를 추가하여 디지털 인쇄 컬러 예술 패턴을 진행하면, 인쇄층(3)이 나타나고, 실시예 1의 제작 방법을 사용해서 보호층(4)를 더하면,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을 만들 수 있다. 도광판을 추가하지 않고 직접 본 고안의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양측에 각각 옵토테크사의 36와트 LED 20개를 놓으면 얇은 예술적 LED 조명 장치를 만들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조명 장치는 균일한 고색상 채도의 램프 섀이드 패턴, 고밝기와 균일한 빛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체 광투과율은 87%이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모두 양호한 빛 균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2의 전체 컬러 대비와 광균일성, 전체 광투과율이 모두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더 좋다.
이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일 뿐으로서, 본 고안을 형식상으로 제한할 수 없다. 비록 본 고안이 위와 같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로 공개했지만, 이로써 본 고안을 한정할 수 없으며, 본 기술을 잘 알고 있는 기술자들이 본 고안의 기술 방안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 위에서 공개한 방법 및 기술 내용을 이용해 변경이나 수정등으로 동등하게 변화하는 동등한 실시예를 만들 수는 있다. 하지만, 본 고안 기술 방안을 벗어나지 않는 내용으로, 본 고안의 기술에 근거하여, 실질적으로 위의 실시예에서 한 모든 간단한 수정, 동등한 변화 수정에 대해서는 모두 본 고안 기술 방안의 범위내에 속한다.
1. 투명판
2. 표면 변형층
3. 인쇄층
4. 보호층
5. 프리즘 구조
6. 반구형 렌즈 구조
7. LED 광원
8. 도광판
9. 광원 캐리어 보드

Claims (10)

  1.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에서,
    표면 인쇄의 투명판 및 인쇄면에 인쇄 보호층을 지닌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쇄 패턴은 디지털 인쇄 기술로 만들어지고, 색상 채도 영역값은 40%보다 크며, 전체 광투과율은 20~95% 사이이며,
    투명판 표면에는 최소 한 개의 미세 구조가 있어서, 빛의 방향과 강도를 조절하는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은 플라스틱판, 유리 또는 금속화 투명 필름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과 패턴 사이에 표면 변형층을 추가하여, 개면 접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 표면의 미세 구조면은 그 인쇄 패턴과 인쇄 보호층을 가지는,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 표면의 비미세 구조면은 그 인쇄 패턴과 인쇄 보호층을 가지는,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 표면의 미세 구조는 프리즘 구조, 반구형 렌즈 구조 및 양자의 조합으로 선택되며, 상기 미세 구조는 투명판과 일체형을 이루거나 또는 외부에 미세 구조 필름을 붙이는 방식으로 얻어진,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7. 조명 장치에서,
    제 1항의 고색상 채도 조광판 및 발광 다이오드 광원을 조합하여 만들며, 조광판은 광원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인쇄 패턴 외관이 필요한 바를 제공하는, 조명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광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인, 조명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광원은 도광판을 통해, 빛을 조광판에 도입시키며, 필요에 따라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미세 구조를 만들거나 상기 도광판의 후방에 반사판을 추가한, 조명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광원은 직하식 평면 또는 점상 발광 다이오드 광원으로 캐리어 보드와 조합해서 얻어진, 조명 장치.
KR2020120002105U 2011-10-28 2012-03-16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및 그 제작된 조명 장치 KR2013000279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220397 2011-10-28
TW100220397U TWM432781U (en) 2011-10-28 2011-10-28 A high color saturation light modulator and lighting device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92U true KR20130002792U (ko) 2013-05-08

Family

ID=4602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105U KR20130002792U (ko) 2011-10-28 2012-03-16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및 그 제작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10911B2 (ko)
JP (1) JP3176073U (ko)
KR (1) KR20130002792U (ko)
AU (1) AU2012100931A4 (ko)
BR (1) BR202012021349U2 (ko)
DE (1) DE202012100806U1 (ko)
TW (1) TWM43278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66496A4 (en) * 2013-03-08 2016-10-26 Yu-Chen Hwang MULTI-FUNCTION ELECTRONIC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30202A (ko) 2013-07-02 2016-03-1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편평형 도광체
US9382622B2 (en) * 2013-12-06 2016-07-0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Glass substrate for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159837A1 (en) * 2013-12-11 2015-06-11 Chi Lin Optoelectronics Co., Ltd Illuminati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7833B2 (en) * 2002-03-26 2005-03-15 Giantplus Technology Co., Ltd. Transflective mode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US20060110580A1 (en) * 2003-04-28 2006-05-25 Aylward Peter T Article comprising conductive conduit channels
WO2006109880A1 (ja) * 2005-04-11 2006-10-19 Nippon Carbide Kogyo Kabushiki Kaisha 印刷像が設置されている再帰反射シート
TWI323329B (en) 2007-06-13 2010-04-11 Ama Precision Inc Led ligh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10911B2 (en) 2014-08-19
BR202012021349U2 (pt) 2013-10-08
AU2012100931A4 (en) 2012-07-26
JP3176073U (ja) 2012-06-14
DE202012100806U1 (de) 2012-04-03
US20130107342A1 (en) 2013-05-02
TWM432781U (en) 201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46360B (zh) 照明装置
CN102667543B (zh) 透反制品和灯组件
JP6370537B2 (ja) 照明装置
CN104813098B (zh) 照明装置和包括该照明装置的车灯
KR101466546B1 (ko) 에지형 면광원 양방향 표지판
TW201310132A (zh) 背光模組及顯示裝置
JP2010218693A (ja) 点状光源用導光板
KR20130002792U (ko) 고색상 채도의 조광판 및 그 제작된 조명 장치
CN202649505U (zh) 有色导光板及具有该有色导光板的led平面光源
CN102687186A (zh) 用于节能指示牌的光导向复合膜
KR102125827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1934427B1 (ko) 조명 장치
CN101261390A (zh) 复合式光学基板
CN202613325U (zh) 一种高色彩饱和度的调光板及其所制作的照明装置
CN112180497A (zh) 一种玻璃导光板与玻璃扩散板融合背光结构
KR102028386B1 (ko) 조명 장치
KR102047847B1 (ko) 조명 장치
KR20200042167A (ko) 휘도 및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킨 직하형 면광원 장치
CN210894757U (zh) 一种直下式玻璃扩散板结构
CN108488691A (zh) 一种复合扩散板、背光模组和显示装置
KR102058006B1 (ko) 조명 장치
CN214375370U (zh) 一种玻璃导光板与玻璃扩散板融合背光结构
KR101985148B1 (ko) 휘도 및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킨 직하형 면광원 장치
CN202629803U (zh) 侧光源处理模块以及应用该侧光源处理模块的照明装置
KR101355714B1 (ko) 우수한 빛 확산효과를 갖는 타포린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