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761U -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761U
KR20130002761U KR2020110009620U KR20110009620U KR20130002761U KR 20130002761 U KR20130002761 U KR 20130002761U KR 2020110009620 U KR2020110009620 U KR 2020110009620U KR 20110009620 U KR20110009620 U KR 20110009620U KR 20130002761 U KR20130002761 U KR 201300027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iece
cover
opening
wing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696Y1 (ko
Inventor
이창석
Original Assignee
(주)퍼시픽패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시픽패키지 filed Critical (주)퍼시픽패키지
Priority to KR2020110009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69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6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 B65D5/6661Flaps provided over the total length of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 B65D5/6664Flaps provided over the total length of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combined with flaps or tabs provided at the side edges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상자의 상자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동시에 덮개 개폐에 따라 펼침 및 접힘을 반복하는 날개형의 접철식 스커트부가 포장상자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 포장상자 측면의 덮개와 상자본체 간 절단면이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덮개 폐쇄 상태가 더 잘 유지될 수 있는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통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대한 물품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 상자본체와, 상기 개방부의 어느 한 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그 회전을 통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개방부의 한 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날개편 및 상기 제1 날개편과 접힘선을 가지며 연결되어 상기 덮개의 한 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날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완전 개방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지고 상기 덮개의 완전 닫힘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이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접히며, 상기 개방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Package box having blade for side}
본 고안은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장상자의 상자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동시에 덮개 개폐에 따라 펼침 및 접힘을 반복하는 날개형의 접철식 스커트부가 포장상자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 포장상자 측면의 덮개와 상자본체 간 절단면이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덮개 폐쇄 상태가 더 잘 유지될 수 있는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기타 각종 물품의 포장, 보관 및 이송을 위해 박스(box) 형상의 상자(이하 “포장상자”)가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장상자는 내부에 수용된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운반 및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포장상자는 통상 상부를 개방한 형태로 이루어져, 포장되는 물건이 그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납된 후, 개방된 상부가 덮개로 폐쇄되어 수납된 물건의 이탈이 방지되는 형태이다.
도 1은 통상적인 포장상자의 덮개 개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통상적인 포장상자의 덮개 폐쇄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 포장상자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10)는 상자본체(11)와 덮개(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자본체(11)는 그 내측에 상부를 개방한 물품 수용 공간(11a)이 형성되고, 덮개(12)는 상자본체(11)의 개방된 상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되, 이러한 덮개(12)의 선단에 덮개 고정 스커트(12a)가 구비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 덮개(12)가 상자본체(11)의 개방된 상부를 향해 하향 회전되고, 이렇게 하향 회전된 덮개(12)의 덮개 고정 스커트(12a)가 상자본체(11)의 물품 수용 공간(11a) 내로 삽입된다. 이때, 덮개 고정 스커트(12a)는 물품 수용 공간(11a) 외부로 펼쳐지는 탄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덮개 고정 스커트(12a)의 바깥쪽 면이 상자본체(11)의 물품 수용 공간(11a) 내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이러한 덮개 고정 스커트(12a)의 지지 작용에 의해서, 덮개(12)는 상자본체(11)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상자는 그 덮개 고정 스커트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면을 정면, 이러한 정면과 마주하는 면을 배면, 그리고 정면과 배면을 연결하는 두 면을 각각 우측면 및 좌측면이라 정할 때, 좌·우측면의 상단 및 덮개의 좌우측 양단이 상호 간의 연결 매체 없이 완전히 분리된 형태이다. 이에 따라, 덮개는 상자본체에 대한 개방 상태에서는 물론이고 상자본체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그 절단면이 보이는 동시에 그 좌우 양단이 상자본체의 좌·우측면 상단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소정 크기의 틈새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부호 13이 덮개의 좌우 양단과 상자본체의 좌·우측면 상단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이유로, 상자본체와 덮개 간의 틈새를 통해 먼지나 기타 외부 이물질이 상자본체의 물품 수용 공간 내로 유입되고, 이는 포장상자에 물품을 장기간 보관시, 포장된 제품의 외부 및 포장상자의 내부가 먼지 및 기타 이물질로 오염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리고, 덮개의 좌우 양단과 상자본체의 좌·우측면 상단에 걸치는 무늬나 그림 등을 인쇄하더라도, 이러한 인쇄 면이 덮개의 좌우 양단과 상자본체의 좌·우측면 상단 간의 끊김 현상에 의해 외부에 본래대로 표시되지 못하고, 이는 포장상자의 미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다시 말해, 최근 들어 제품의 품질도 중요하지만 디자인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을 고려할 때, 포장상자는 단순히 물품을 보호하는 기능 외에도 해당 제품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보다 공격적인 기능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포장상자는 상부의 덮개 개폐를 통해서만 물품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포장상자 상부의 개방 부위를 통해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포장상자의 정면이 방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포장상자의 물품 수용 공간 및 그에 수용되는 물품의 크기가 유사할 때 이런 현상이 더 잘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포장상자의 상자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동시에 덮개 개폐에 따라 펼침 및 접힘을 반복하는 접철형 스커트부를 포장상자의 좌우 측면에 형성하여 상자본체에 대한 덮개 폐쇄시 이러한 날개형의 접철식 스커트부에 의해 상자본체와 덮개 간 접촉 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포장상자의 상면 및 측면에 걸쳐 형성된 디자인적인 인쇄 면이 덮개 개방시에 끊기는 부분 없이 완전히 연결된 형태로 포장상자 측면에 표시되고, 덮개 폐쇄시에도 상자본체와 덮개 간 접촉 부분에서의 끊김 현상 없이 일체로 연결된 면을 형성하며 표시될 수 있는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포장상자의 상면 및 그와 연결되는 어느 한 측면이 개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 시 이러한 두 면을 모두 개방 후 포장상자의 물품 수용공간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물품 수용 공간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할 수 있는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통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대한 물품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 상자본체와, 상기 개방부의 어느 한 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그 회전을 통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개방부의 한 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날개편 및 상기 제1 날개편과 접힘선을 가지며 연결되어 상기 덮개의 한 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날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완전 개방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지고 상기 덮개의 완전 닫힘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이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접히며, 상기 개방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은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날개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자본체의 면들 중 상기 덮개와 연결되는 일면을 배면, 상기 배면과 마주하는 일면을 정면, 상기 배면의 양단과 상기 정면의 양단을 연결하는 두 면을 각각 우측면과 좌측면으로 정할 때, 상기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날개편 및 상기 제1 날개편과 접힘선을 가지며 연결되어 상기 정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날개편을 포함하며, 상기 정면의 포장상자 외측 방향으로의 전개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이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지고 상기 정면이 원래 위치로 복귀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이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접히며, 상기 정면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스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스커트부의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은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날개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상자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수용공간 내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덮개 고정편을 접힘선을 통해 그 일단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장상자의 상자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동시에 덮개 개폐에 따라 펼침 및 접힘을 반복하는 날개형의 접철식 스커트부가 포장상자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고, 이러한 날개형의 접철식 스커트부에 의해서, 상자본체에 대한 덮개 폐쇄시 상자본체와 덮개 간 접촉 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포장상자의 상면 및 측면에 걸쳐 형성된 디자인적인 인쇄 면이 덮개 개방시에 끊기는 부분 없이 완전히 연결된 형태로 포장상자 측면에 표시되고, 덮개 폐쇄시에도 상자본체와 덮개 간 접촉 부분에서의 끊김 현상 없이 일체로 연결된 면을 형성하며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포장상자의 상면 및 그와 연결되는 어느 한 측면이 개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 시 이러한 두 면을 모두 개방 후 포장상자의 물품 수용 공간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물품 수용 공간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포장상자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래 포장상자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다른 형태의 하부판을 갖는 예를 보인 전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덮개 및 정면이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덮개 및 정면이 닫힌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전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100 : 이하 “포장상자”라 함)는 상자본체(101), 덮개(150), 한 쌍의 스커트부(170,18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자본체(101)는 내측에 물품의 수용공간(100a)이 형성되며, 이러한 수용공간(100a)은 상자본체(101)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외부와 통한다. 그리고, 상자본체(101)의 개방부를 통해서 수용공간(100a)에 물품이 수납되거나 반대로 수용공간(100a)에 수납된 물품이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자본체(101)는 정면판(110), 배면판(120), 좌측면판(140), 우측면판(130), 하부판(160), 정면판(110)에 연결되어 상자본체의 내측으로 접히는 내측 정면판(115)을 포함한다. 여기서 내측 정면판(115)은 포장상자(100) 조립시 정면판(110) 상단에 절단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판들은 서로 간의 접힘선을 가지며 연결되고, 따라서 접힘선을 중심으로 각각의 판들은 접어 상자본체(101)를 조립한다.
덮개(150)는 상자본체(101)에 형성된 개방부의 어느 한 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며, 이러한 덮개(150)는 그 회전을 통해 상자본체(101)의 개방부를 개폐한다. 부연 설명하면, 덮개(150)는 개방부의 한 변을 중심으로 개방부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부를 완전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그리고, 덮개(150)는 타단에 덮개 고정편(150a)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덮개 고정편(150a)은 접힘선을 통해 덮개(150)의 타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덮개 고정편(150a)의 기능은 상자본체(101)의 수용공간(100a)에 삽입된 후 수용공간(100a)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덮개(150)의 회전 방지를 통해 덮개(150)의 상자본체(101)에 대한 폐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 쌍의 스커트부(170,180)는 덮개(150)와 상자본체(101)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스커트부(170,180)는 덮개(150)의 하단과 상자본체(101)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스커트부(170,180)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한 쌍의 스커트부(170,180)는 상자본체(101)의 개방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우측 스커트부(17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우측 스커트부(170)는 제1 날개편(171) 및 이러한 제1 날개편(171)과 접힘선(173)을 가지며 연결되는 제2 날개편(17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날개편(171)은 그 일단이 상자본체(101)에 형성된 개방부의 한 변에 연결되고, 제2 날개편(172)은 그 일단이 덮개(150)의 한 변에 연결되며, 제1 날개편(171)의 타단과 제2 날개편(172)의 타단이 접힘선(173)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우측 스커트부(170)는 덮개(150)의 완전 개방시 제1 날개편(171)과 제2 날개편(172)이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지며, 덮개(150)의 완전 닫힘시 제1 날개편(171)과 제2 날개편(172)이 접힘선(173)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접힌다. 또한, 제1 날개편(171)과 제2 날개편(172)은 접힘선(173)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날개형 구조로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181, 182, 183은 각각 좌측 스커트부(180)의 제1 날개편(181), 제2 날개편(182), 그리고 접힘선(183)을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도 3은 좌·우측 스커트부(170,180)가 덮개(150) 개방에 따라 각각 펼쳐진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따라 포장상자(100)의 덮개(150) 개방시, 포장상자(100)의 좌우 측면부에 중간 부분에 절단 부위를 가지지 않는 일체로 연결된 형태의 인쇄면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좌·우측 스커트부(170)가 덮개(150) 닫힘에 따라 각각 접혀지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5의 상태에서 덮개(150)가 완전히 닫히더라도 포장상자(100) 상부의 덮개(150)와 상자본체(101) 간 연결 부분이 좌·우측 스커트부(170,18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좌·우측 스커트부(170,180)는 덮개(150)가 완전히 닫히 상태에서 덮개(150)를 상자본체(101)에 대한 닫힘 상태로 더 잘 유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즉, 덮개(150)는 좌·우측 스커트부(170,180)의 지지 작용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들리는 현상이 억제되며, 이는 덮개(150)가 상자본체(101)에 대한 닫힘 상태를 잘 유지하는 작용으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덮개(150)는 그 일단에 덮개 고정편(150a)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덮개 고정편(150a)은 상자본체(101)의 수용공간(100a)에 삽입되어 그 일면이 수용공간(100a)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이러한 덮개 고정편(150a)의 지지 작용에 의해 덮개(150)는 상자본체(101)의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유지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정면판 및 하부판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동시에 상세 설명은 생략하며, 정면판(310) 및 하부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정면판(310)은 좌측면판(140)의 일측에 접힘선을 통해 연결되며, 하부판은 네 개의 날개형 하부조립판(360a~360d)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네 개의 날개형 하부조립판(360a~360d)은 배면판(120), 우측면판(130), 좌측면판(140), 정면판(310)의 하부에 접힘선을 통해 각각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의 날개형 하부조립판(360a~360d)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1 내지 제4의 날개형 하부조립판(360a~360d)이 서로 조립되어 단일 형태의 하부판을 형성한다.
또한, 내측정면판(115)과 제1 날개형 하부조립판(360a) 및 제4 날개형 하부조립판(360d) 등에 접착부(300a)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접착부(300a)는 포장상자(300)의 조립 후 일부 면을 서로 접합시켜 상자의 임의적인 펼침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300)를 조립하면,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포장상자(100)의 외형과 동일하며, 포장상자(300)를 아래쪽에서 바라보거나 또는 덮개(150)를 개방한 상태에서 포장상자(300)를 위쪽에서 바라볼 때 하부판의 네 날개형 하부조립판(360a~360d) 간의 연결 면이 보이는 점에서 다르다.
다음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덮개 및 정면이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의 덮개 및 정면이 닫힌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200)는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00)와 비교하여 상자본체(201)의 좌·우 측면판(230,240)과 정면판(210)의 사이에 한 쌍의 보조 스커트부(291,292)가 더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보조 스커트부(291,29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한 쌍의 보조 스커트부(291,292)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포장상자(200)의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보조 스커트부(29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우측 보조 스커트부(291)는 제1 날개편(291a) 및 이러한 제1 날개편(291a)과 접힘선(291c)을 가지며 연결되는 제2 날개편(291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날개편(291a)은 그 일단이 우측면판(230)에 연결되고, 제2 날개편(291b)은 그 일단이 정면판(210)에 연결되며, 제1 날개편(291a)의 타단과 제2 날개편(291b)의 타단이 접힘선(291c)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우측 보조 스커트부(291)는 정면판(210)이 포장상자(200)의 외측 방향으로 전개시, 그 제1 날개편(291a)과 제2 날개편(292b)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펼쳐지고, 이 과정에서 상자본체(201)의 정면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정면판(210)이 원래 상태로 복귀시, 제1 날개편(291a)과 제2 날개편(291b)은 접힘선(291c)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접힌다. 또한, 제1 날개편(291a)과 제2 날개편(291b)은 접힘선(291c)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날개형 구조로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도 7은 포장상자(200)의 덮개(250)와 정면판(210)이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포장상자(200)의 덮개(250)와 정면판(21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즉, 도 8과 같이 포장상자(200)는 그 상부 및 정면을 연결한 확장된 개방 부위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포장상자(200)의 수용공간(200a)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더 용이하게 물품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다.
상기한 도 3 내지 도 8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장상자(100.200)는 상자본체(101,201)와 덮개(150,250)를 연결하는 동시에 덮개(150,250) 개폐에 따라 펼침 및 접힘을 반복하는 날개형의 접철식 스커트부(170,180,270,280)가 포장상자(100)(20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날개형의 접철식 스커트부(170,180,270,280)에 의해서, 상자본체(101,201)에 대한 덮개(150,250) 폐쇄시 상자본체(101,201)와 덮개(150,250) 간 접촉 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포장상자(100,200)의 상면 및 측면에 걸쳐 형성된 디자인적인 인쇄 면이 덮개 개방시에 끊기는 부분 없이 완전히 연결된 형태로 포장상자(100,200) 측면에 표시되고, 덮개(150,250) 폐쇄시에도 상자본체(101,201)와 덮개(150,250) 간 접촉 부분에서의 끊김 현상 없이 일체로 연결된 면을 형성하며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포장상자(100,200)의 상면 및 그와 연결되는 어느 한 측면이 개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 시 이러한 두 면을 모두 개방 후 포장상자(100,200)의수용공간(100a,200a)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수용공간(100a,200a)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200 : 포장상자 100a,200a : 수용공간
101,201 : 상자본체 110,210 : 정면판
120,220 : 배면판 130,20 : 우측면판
140,240 : 좌측면판 150,250 : 덮개판
150a,250a : 덮개 고정 스커트 160,260 : 하부판
170,270 : 우측 스커트부 171,181,271,281 : 제1 날개편
180,280 : 좌측 스커트부 172,182,281,282 : 제2 날개편
291 : 우측 보조 스커트부 292 : 좌측 보조 스커트부
291a,292a : 제1 날개편 291b,292b : 좌측 보조 스커트부
291c,292c : 접힘선

Claims (5)

  1.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통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대한 물품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 상자본체;
    상기 개방부의 어느 한 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그 회전을 통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
    상기 개방부의 한 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날개편 및 상기 제1 날개편과 접힘선을 가지며 연결되어 상기 덮개의 한 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날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완전 개방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지고 상기 덮개의 완전 닫힘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이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접히며, 상기 개방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은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날개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의 면들 중 상기 덮개와 연결되는 일면을 배면, 상기 배면과 마주하는 일면을 정면, 상기 배면의 양단과 상기 정면의 양단을 연결하는 두 면을 각각 우측면과 좌측면으로 정할 때,
    상기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날개편 및 상기 제1 날개편과 접힘선을 가지며 연결되어 상기 정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날개편을 포함하며, 상기 정면의 포장상자 외측 방향으로의 전개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이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지고 상기 정면이 원래 위치로 복귀시 상기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이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접히며, 상기 정면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스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커트부의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은 상기 접힘선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날개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상자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수용공간 내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덮개 고정편을 접힘선을 통해 그 일단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KR2020110009620U 2011-10-31 2011-10-31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KR200468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620U KR200468696Y1 (ko) 2011-10-31 2011-10-31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620U KR200468696Y1 (ko) 2011-10-31 2011-10-31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61U true KR20130002761U (ko) 2013-05-08
KR200468696Y1 KR200468696Y1 (ko) 2013-09-04

Family

ID=5139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620U KR200468696Y1 (ko) 2011-10-31 2011-10-31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69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4997A (zh) * 2018-03-21 2018-07-17 苏州优乐赛供应链管理有限公司 一种自锁底循环箱
KR20210080119A (ko) * 2019-12-20 2021-06-30 (주)페이퍼월드 분할가능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EP4001143A3 (de) * 2020-11-11 2022-08-31 Van Genechten Packaging N.V. Faltschacht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13U (ko) * 2007-02-05 2008-08-08 유희태 식료품 케이스
KR200453128Y1 (ko) * 2009-04-16 2011-04-13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케이크 포장용 상자 덮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4997A (zh) * 2018-03-21 2018-07-17 苏州优乐赛供应链管理有限公司 一种自锁底循环箱
CN108284997B (zh) * 2018-03-21 2024-05-28 苏州优乐赛供应链管理有限公司 一种自锁底循环箱
KR20210080119A (ko) * 2019-12-20 2021-06-30 (주)페이퍼월드 분할가능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EP4001143A3 (de) * 2020-11-11 2022-08-31 Van Genechten Packaging N.V. Faltschach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696Y1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696Y1 (ko)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JP2018535152A (ja) 消費財用のパック
KR101420287B1 (ko) 수납기능이 구비된 포장박스
KR102575192B1 (ko) 힌지식 뚜껑 패키징
RU2673605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и/или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KR200491906Y1 (ko) 상자
KR200446805Y1 (ko) 다용도 포장박스
KR101571004B1 (ko) 선물세트용 포장상자
KR101735939B1 (ko) 포장용 상자
KR20140078803A (ko) 물품 포장박스
TWI548571B (zh) 菸草相關物品包裝及該包裝之製造方法
KR101508732B1 (ko) 포장용 상자
CN207360826U (zh) 一种展示包装盒
KR101664135B1 (ko) 오픈 상자
KR20170011880A (ko) 포장용 박스
KR20200017914A (ko) 포장용 상자
KR200430540Y1 (ko) 접이형 포장박스
KR20130109279A (ko) 평면형태로 접철가능한 포장용 상자
CN213650209U (zh) 一种产品包装展示一体盒
JP2013227038A (ja) 包装箱
KR20110047530A (ko) 경대형상품지기
CN216943982U (zh) 一种折叠自锁多储物格包装盒
KR200492463Y1 (ko) 지함
KR20080114121A (ko) 상부개방 포장상자
KR101692957B1 (ko)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