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748A -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748A
KR20130002748A KR1020110063907A KR20110063907A KR20130002748A KR 20130002748 A KR20130002748 A KR 20130002748A KR 1020110063907 A KR1020110063907 A KR 1020110063907A KR 20110063907 A KR20110063907 A KR 20110063907A KR 20130002748 A KR20130002748 A KR 20130002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ositioning
transmitt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914B1 (ko
Inventor
오종민
박상진
박진효
류재현
안동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9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9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not involving signal parameters, i.e. only involving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패킷 코어;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패킷 코어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상기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Parameter)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측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할 경우, 측위 장치가 3GPP에서 정의한 규격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기 타입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측위를 바로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할 경우, 측위 장치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정의한 규격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기 타입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측위를 바로 수행하도록 하는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특히,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휴대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 측정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의 셀 반경인 전파환경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네트워크 기반(Network Based) 방식과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한 핸드셋 기반(Handset Based) 방식, 그리고 이들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혼합(Hybrid) 방식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방식 중, GPS 음영지역에서 네트워크 기반 측위 기술이 점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네트워크 기반 측위 기술은 중계기 환경 등으로 인해 측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3GPP에서 정의한 규격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기 타입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측위를 바로 수행하도록 하는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패킷 코어;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패킷 코어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상기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Parameter)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측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단말기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패킷 코어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부;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하는 전송기 타입 확인부; 상기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현재 위치 산출부;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현재 위치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단말기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패킷 코어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하는 전송기 타입 확인 단계; 상기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현재 위치 산출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현재 위치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위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할 경우, 측위 장치가 3GPP에서 정의한 규격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기 타입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측위를 바로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3GPP에서 정의한 규격인 식별 정보인 ECGI(E-UTRAN Cell Global Identifier)를 이용하여 서버 또는 단말기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고 바로 측위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할 경우 ECGI를 이용하여 해당 전송기의 유형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은 단말기(110), 전송기(120), 패킷 코어(130) 및 측위 장치(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치 측위 시스템이 단말기(110), 전송기(120), 패킷 코어(130) 및 측위 장치(14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위치 측위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단말기(110)는 통상적인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구비된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기(120) 및 패킷 코어(130)와 연동하며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재된 단말기(110)는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는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측위를 위해 연동하는 전송기(120) 또는 패킷 코어(130)의 정보를 측위 장치(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기(11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무선랜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측위를 위해 GPS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110)가 무선랜 모듈을 구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구비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하여 주변에 인식되는 AP(Access Point)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각종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AP는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송신측 정보에서 수신측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 통로를 지정한 후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즉, AP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며,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AP는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중계기 및 브릿지(Bridge)를 포함한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는 무선랜 기반 측위를 위해, 통신하는 AP로부터 무선랜 전파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측위 장치(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랜 전파 환경 정보는 무선랜 신호를 중계하는 AP에 대한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맥 어드레스 별 수신 신호 세기(RSS: Received Signal Strength), AP 채널(Channel) 정보, AP 주파수(Frequency)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단말기(110)가 GPS 모듈을 구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구비한 GPS 모듈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전파 신호로부터 항법 데이터(Navigation Data)를 추출하여 측위 장치(140)로 송신한다.
이러한, 단말기(11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및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기(110)는 측위를 위해 GPS 정보, 무선랜 전파 환경 정보 및 기지국 전파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한 수집 정보를 측위 장치(14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110)는 측위 장치(14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단말기(110)는 측위 장치(140)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여 자립형(Stand Alone)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측위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경우에 사용자의 명령 또는 조작에 의해 측위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GPS 정보, 무선랜 전파 환경 정보 및 기지국 전파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한 수집 정보를 측위 장치(140)로 전송한다. 이러한 측위를 위해 단말기(110)는 측위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110)에 측위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예컨대,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친구찾기 애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해 단말기(11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인스톨한 후 이를 이용하여 측위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11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측위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단말기(110)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측위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 구동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전송기(120)는 위치 등록, 무선 채널 할당,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하며, 신호 채널 중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전송기(120)는 패킷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기(120)는 eNodeB인 것이 바람직하며, E-UTRAN(Evolved UTRAN)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UTRAN은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를 말하며, UMTS는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을 말한다. eNodeB란 LTE 등의 차세대 기술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비로서, 전송신호의 RF화, 송수신, 신호세기,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및 채널 카드(Channel Card 자원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eNodeB와 EPC를 합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칭할 수 있다.
패킷 코어(130)는 제어 처리부(132), 트래픽 처리부(134) 및 패킷 처리부(1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패킷 코어(130)가 제어 처리부(132), 트래픽 처리부(134) 및 패킷 처리부(136)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패킷 코어(13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패킷 코어(130)는 EPC(Evolved Packet Core)를 말한다.
즉, 본원발명의 패킷 코어(130)와 전송기(120)는 종래의 교환기와 같은 회선교환 영역이 배제되고, 네트워크 계층 구조가 기존의 4단계 계층구조(NodeB - RNC - SGSN - GGSN)에서 2단계 계층 구조(eNodeB - EPC)로 단순화되어 네트워크 복잡도가 감소시키며, 다양한 네트워크와의 연동할 뿐 아니라,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을 통해 유선전화망과 접속도 가능하다. 여기서, IMS란 호 제어 및 멀티미디어(Multimedia) 처리 기능을 IP 전송방식을 통해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W)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서, 기존 CS 영역(Domain)과 PS 영역의 하이브리드(Hybrid) 성격을 지닌 새로운 영역이라는 표현 대신 구성 요소(Subsystem)라 표현한 신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IMS는, IP 기반 서비스와 멀티미디어를 네트워크의 변경 없이 도입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전송기술(WCDMA, CDMA, PSTN, Cable Access 등)간의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며,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All-IP화 과정에서 서비스 영역을 IP화 한다.
이하에서는 패킷 코어(130)에 포함되는 제어 처리부(132), 트래픽 처리부(134) 및 패킷 처리부(136)에 대해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 처리부(132)는 기본적으로 단말기(110)에 대한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 처리부(132)는 MME(Mobile Management Entity)로서, 위치등록 및 페이징(Paging), 인증 등의 호제어를 담당하고, 호제어부에 대한 합법적 감청 기능 및 기존 SGSN(Support GPRS Serving Node)의 데이터 호 제어 기능과 같은 데이터 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 처리부(132)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11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노드로서 세션(Session) 관리, 아이들(Idle) 가입자 관리, 페이징(Paging), 가입자 인증 기능 등을 담당한다.
트래픽 처리부(134)는 S-GW(Serving Gateway)로서, 액세스(Access)망에 대한 게이트웨이며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망(WCDMA, EPS, GSM)내에서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또한, 트래픽 처리부(134)는 호 트래픽에 대한 합법적 감청 등을 처리하며, 기존 SGSN의 트래픽 처리와 유사한 트래픽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트래픽 처리부(134)는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컨트롤(Session Control) 및 사용자 플랜(User Plane) 노드로서 전송기(120)인 eNodeB와 연동하며 인터(Inter) 핸드오버를 지원하고 패킷 처리부(136)와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Context)를 설정하고 터널링(Tunneling)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한다. 한편, 트래픽 처리부(134)와 제어 처리부(132)의 분리 구현을 통해 트래픽 증가 또는 제어 신호 증가에 따른 유연한 확장가능하다.
패킷 처리부(136)는 P-GW(PDN Gateway)로서, IMS, 인터넷등 PDN(Packet Data Network)에 대한 게이트웨이며 Non-3GPP망에 대한 이동성을 관리하며, 정책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며 유해 패킷 차단 등을 담당한다. 기존의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패킷 처리부(136)는 단말기(110)의 IP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Non-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컨트롤 및 사용자 플랜으로서 패킷 서비스를 위해 트래픽 처리부(134) 및 외부망과 라우팅(Routing) 정보를 유지하며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또한, 패킷 처리부(136)는 트래픽 처리부(134) 및 외부망으로 PDU를 전달한다.
이러한 패킷 코어(130)인 EPC는 세가지 펑션 엔티티(Functional Entity)인 제어 처리부(132)인 MME, 트래픽 처리부(134)인 S-GW, 패킷 처리부(136)인 P-GW의 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세 노드는 물리적으로 통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여기서, 제어 처리부(132)인 MME와 트래픽 처리부(134)인 S-GW를 결합하는 경우 기존의 SGSN의 기능과 유사하며, 패킷 처리부(136)인 P-GW는 기존의 GGSN과 기능과 유사하다. 또한, 다수의 벤더(Vendor)들은 제어 처리부(132)인 MME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트래픽 처리부(134)인 S-GW와 패킷 처리부(136)인 P-GW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한다. 이때, S-GW, P-GW를 합쳐서 A-GW(Access GW) 또는 EPC-GW라고 칭할 수 있다.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장치로서, 측위 장치(140)는 GPS 기반 측위를 수행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구축된 위성 수신 장치를 통해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며, 측위를 요청한 단말기(110)의 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위를 수행한다. 즉,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기(110)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연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의 위치 결정을 돕기 위한 에이딩(Aiding) 데이터를 전송하고, GPS 인공위성과 단말기(11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측위 장치(140)는 기지국 기반 측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말기(1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그 위치 정보를 LBSP(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측위 장치(140)는 측위 결과 데이터인 위경도 데이터와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PPM(Pilot Phase Measurement, 이하 "PPM"이라 칭함)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위를 수행한다. 측위 장치(140)는 LBSP으로부터 위치 측위 요청 신호(Location Request)를 수신하며, HLR로 위치 측위 대상에 해당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SMREQ(Short Message Request) 신호를 송신한다. 측위 장치(140)는 해당 HLR로부터 위치 측위 대상에 해당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담은 smreq(short message request) 신호를 수신한다.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한 후 위치 측위 결과를 포함한 위치 측위 응답 신호(Location Result)를 LBSP로 전송한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PPM 데이터는 단말기(110)에서 측정한 시스템 정보 및 인접 기지국의 시간과 거리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110)가 수집하는 기본 데이터는 현재 서비스 중인 시스템의 정보, 인접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 신호 세기 등이다. 현재 서비스 중인 시스템의 정보는 시스템 ID(SID: System ID, 이하 "SID"라 칭함), 네트워크 ID(NID: Network ID, 이하 "NID"라 칭함), 기지국 ID(BSID: Base Station ID, 이하 "BSID"라 칭함) 및 현재 서비스 중인 기지국 섹터 번호(Ref_PN: Reference PN, 이하 "Ref_PN"이라 칭함), Ref_PN 내의 파일롯 페이즈, 신호 세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인접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집되는 인접 기지국 섹터 번호(Measurement PN), 각 인접 기지국 섹터 번호 내의 파일롯 페이즈, 신호 세기 등과 같은 거리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로부터 기지국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기지국 환경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삼각 측량을 수행하여 삼각측량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기지국 환경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 정보가 세 개 이상인 경우, 신호 세기가 특정 값 이상인 기지국 식별 정보 세 개를 삼각형으로 연결하고, 해당 삼각형의 중심점을 산출하고, 해당 중심점을 삼각측량 위치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측위 장치(140)가 무선랜 기반 측위를 수행하기 위해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로부터 무선랜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랜 환경 정보에 따른 무선랜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측위 장치(14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pCell ID 별로 구분된 격자 셀과 격자 셀에 매칭된 무선랜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위 대상에 해당하는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하는 서버이다. 한편,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에서 측위 장치(140)로 측위 요청이 발생한 경우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단말기(110)로부터 수신 PPM 데이터와 패턴 정합성이 가장 좋은 격자 셀을 선택하여 이를 최종적인 측위 결과로써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서비스 요청자에게 정확한 측위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는 측위 요청 시점에서의 기지국 기반 환경 정보, 무선랜 환경 정보, 측위 시스템 상태 등과 같은 측위 환경의 변화를 더욱 잘 반영할 수 있는 최신의 데이터(예를 들어, PN, 파일롯 페이즈, 신호세기, 맥 어드레스 등)로 항상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패킷 코어(130)로부터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측위 장치(140)는 수신된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하는데,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며, 현재 위치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측위 장치(140)는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자면,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중 기지국 식별 정보와 셀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 정보는, 피코(Pico) 셀 및 펨토(Femto) 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측위 장치(140)는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측위를 수행한다. 여기서, 우선순위 정보는 GPS 기반 측위, 무선랜 기반 측위, 기지국 기반 측위 및 식별 정보 기반 측위의 순서로 설정된 정보이다.
펨토 셀이란 사무실 또는 가옥 등과 같은 옥내에 설치된 광대역 망을 통해 이동 통신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소형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작은 셀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소형 기지국은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는 소출력의 기지국으로, 매크로(Macro) 기지국, 자가 구성형(Self Configurable) 기지국, 소형(Compact) 기지국, 실내(Indoor) 기지국, 홈(Home) 기지국, 펨토(Femto) 기지국 등으로 불릴 수 있는데, 이러한 펨토 기지국이 통제 가능한 서비스 영역(Coverage area)을 펨토 셀이라 칭한다. 여기서, 매크로 기지국의 커비리지는 약 400 내지 500 m 내외이며, 펨토 기지국의 커버리지는 약 20 내지 30 m 내외이다. 펨토 기지국은 단말기(110)와 매크로 기지국 간의 무선 자원을 각 펨토 셀들에게 분배하여, 단말 입장에서는 고속의 데이터를 저렴하고 안정적인 방법으로 송수신할 수 있고, 매크로 기지국 입장에서는 특정 단말기에게 집중되는 과도한 무선자원을 펨토 기지국을 통해 분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펨토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과 연동하여야 하며, 단말기는 펨토 기지국과 매크로 기지국을 전환하면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즉, 무선 환경에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과 펨토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져 단말기가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하나의 매크로 셀에는 대략 수 천 개의 펨토 셀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펨토 셀을 구별하는 식별자 중 하나인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PCID)는 매크로 셀 내에서 중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피코 셀이란 광신호를 이용해서 중계 기지국까지 전송하고 중계 기지국에서 각 가입자 등으로 무선 전송하는 방식을 광무선(Radio over Fiber) 방식이라고 하며,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피코-셀 시스템(Pico-Cell system)이라고 한다. 피코-셀 시스템은 광신호를 라디오 주파수로 변환시키고, 라디오 주파수를 광신호로 변환시켜서 송수신시키는 무선 원격 기지국을 포함한다.
또한, 식별 정보는 ECGI(E-UTRAN Cell Global Identifier)이되, ECGI는 MCC(Mobile Co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eNodeB ID 및 Cell 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MCC는 ECGI 내에 12 비트(Bit)로 할당되고, MNC는 ECGI 내에 8 내지 12 비트로 할당되며, eNodeB ID는 ECGI 내에 20 비트로 할당되며, Cell ID는 ECGI 내에 8 비트로 할당된다. 한편, 이러한 ECGI는 3GPP에서 정의한 규격의 메시지로서, 총 48 비트 내지 52 비트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ECGI는 전송기(120)인 eNodeB와 제어 처리부(132)인 MME간의 위치 등록을 위해 단말기(110)가 일측 셀에서 타측 셀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 단말기는 새롭게 이동한 셀의 eNodeB을 통해 새로운 위치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해야만 하는데, 먼저, 단말기(110)의 위치가 변경되면 즉, A 셀에서 B셀로 이동하면 단말기(110)는 B 셀의 전송기(120)인 eNodeB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eNodeB는 이러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MME로 전송하고, MME는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갱신하고 해당 단말기의 이전 위치에 대한 등록을 해제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일련의 위치 등록 과정을 통해 각각의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에 대한 등록 및 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되는데, 위치 등록 과정은 각각의 단말기가 개별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패킷 코어(130)인 EPC는 ECGI에 MCC, MNC뿐만 아니라, eNodeB ID 및 Cell ID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 장치(140)는 수신부(210), 식별 정보 수신부(220), 전송기 타입 확인부(230), 현재 위치 산출부(240) 및 현재 위치 제공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측위 장치(140)가 수신부(210), 식별 정보 수신부(220), 전송기 타입 확인부(230), 현재 위치 산출부(240) 및 현재 위치 제공부(24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측위 장치(14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수신부(210)는 단말기(110)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식별 정보 수신부(220)는 패킷 코어(130)로부터 단말기(1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전송기 타입 확인부(230)는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ECGI이되, ECGI는 MCC, MNC, eNodeB ID 및 Cell 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MCC는 ECGI 내에 12 비트(Bit)로 할당되고, MNC는 ECGI 내에 8 내지 12 비트로 할당되며, eNodeB ID는 ECGI 내에 20 비트로 할당되며, Cell ID는 ECGI 내에 8 비트로 할당된다.
현재 위치 산출부(240)는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 정보는 피코 셀 및 펨토 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현재 위치 산출부(240)는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중 기지국 식별 정보와 셀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현재 위치 산출부(240)는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측위를 수행한다. 여기서, 우선순위 정보는 GPS 기반 측위, 무선랜 기반 측위, 기지국 기반 측위 및 식별 정보 기반 측위의 순서로 설정된 정보이다. 현재 위치 제공부(240)는 현재 위치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310). 측위 장치(140)는 패킷 코어(130)로부터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320). 여기서, 식별 정보는 ECGI이되, ECGI는 MCC, MNC, eNodeB ID 및 Cell 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MCC는 ECGI 내에 12 비트(Bit)로 할당되고, MNC는 ECGI 내에 8 내지 12 비트로 할당되며, eNodeB ID는 ECGI 내에 20 비트로 할당되며, Cell ID는 ECGI 내에 8 비트로 할당된다. 한편, 이러한 ECGI는 3GPP에서 정의한 규격의 메시지로서, 총 48 비트 내지 52 비트가 할당될 수 있다.
측위 장치(140)는 수신된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30). 단계 S330에서 측위 장치(140)는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해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중 기지국 식별 정보와 셀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 정보는, 피코 셀 및 펨토 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셀이란 사무실 또는 가옥 등과 같은 옥내에 설치된 광대역 망을 통해 이동 통신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소형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작은 셀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피코 셀이란 광신호를 이용해서 중계 기지국까지 전송하고 중계 기지국에서 각 가입자 등으로 무선 전송하는 방식을 광무선 방식이라고 하며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피코-셀 시스템이라고 한다.
단계 S330의 확인 결과,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측위 장치(140)는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S340). 단계 S340에서 측위 장치(140)는 전송기 타입 정보가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에 해당하는 경우,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의 커버리지의 위치에 단말기(110)가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예컨대,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의 커버리지가 약 20 내지 30 m 내외에 해당하므로, 해당 반경 내에 단말기(110)가 위치하게 되므로, 측위 오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단계 S330의 확인 결과,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측위 장치(140)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측위를 수행한다(S350). 여기서, 우선순위 정보는 GPS 기반 측위, 무선랜 기반 측위, 기지국 기반 측위 및 식별 정보 기반 측위의 순서로 설정된 정보이다. 즉, 단계 S350에 대해 예를 들자면, 측위 장치(140)는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GPS 전파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고, GPS 전파 신호가 있는 경우 GPS 기반을 측위를 수행한다. 만약, GPS 전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로부터 무선랜 전파 환경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된 무선랜 전파 환경 신호가 있는 경우, 무선랜 기반 측위를 수행한다. 만약, GPS 전파 신호와 무선랜 전파 환경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전파 환경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기지국 전파 환경 신호가 있는 경우, 기지국 기반 측위를 수행하는 것이다.
측위 장치(140)는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60). 즉, 측위 장치(140)는 패킷 코어(130) 및 전송기(120)를 경유하여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6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측위 장치(140)는 단말기(110)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패킷 코어(130)로부터 단말기(1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때, 식별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GI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ECGI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 MNC, eNodeB ID 및 Cell 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CC는 ECGI 내에 12 비트(Bit)로 할당되고, MNC는 ECGI 내에 8 내지 12 비트로 할당되며, eNodeB ID는 ECGI 내에 20 비트로 할당되며, Cell ID는 ECGI 내에 8 비트로 할당된다. 한편, 이러한 ECGI는 3GPP에서 정의한 규격의 메시지이다. 여기서, ECGI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전송기(120)인 eNodeB와 제어 처리부(132)인 MME간의 위치 등록을 위해 단말기(110)가 일측 셀에서 타측 셀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 단말기는 새롭게 이동한 셀의 eNodeB을 통해 새로운 위치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해야만 하는데, 먼저, 단말기(110)의 위치가 변경되면 즉, A 셀에서 B셀로 이동하면 단말기(110)는 B 셀의 전송기(120)인 eNodeB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eNodeB는 이러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MME로 전송하고, MME는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갱신하고 해당 단말기의 이전 위치에 대한 등록을 해제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일련의 위치 등록 과정을 통해 각각의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에 대한 등록 및 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되는데, 위치 등록 과정은 각각의 단말기가 개별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패킷 코어(130)인 EPC는 ECGI에 MCC, MNC뿐만 아니라, eNodeB ID 및 Cell ID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측위 장치(140)에서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송기 타입이 구분이 가능하도록 ECGI 파라미터가 설정되어야 한다. 도 4와 같이 ECGI가 설정된 경우, LTE 시스템에서는 ECGI의 확인만으로 실내의 소규모 지역을 서비스하는 소형 기지국(피코 또는 펨토 셀)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측위 장치(140)는 제어 처리부(132)인 MME에서 전송한 ECGI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기 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 이때, ECGI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기 타입 별로 MNC가 할당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MNC를 확보한 통신 사업자의 경우, MNC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전송기 타입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ECGI에는 eNodeB ID 또는 셀 ID가 전체 또는 일부가 할당될 수 있다. 즉, eNodeB ID, Cell ID 또는 eNodeB ID + Cell ID 를 표시하는 Bit 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전송기 타입에 할당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GPP에서 정의한 규격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기 타입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측위를 바로 수행하도록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3GPP에서 정의한 규격인 식별 정보인 ECGI(E-UTRAN Cell Global Identifier)를 이용하여 서버 또는 단말기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고 바로 측위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10: 단말기 120: 전송기
130: 패킷 코어 140: 측위 장치
210: 수신부 220: 식별정보 수신부
230: 전송기 타입 확인부 240: 현재 위치 산출부
250: 현재 위치 제공부

Claims (11)

  1. 단말기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패킷 코어;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패킷 코어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상기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Parameter)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측위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위 시스템.
  2. 단말기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패킷 코어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부;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하는 전송기 타입 확인부;
    상기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현재 위치 산출부;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현재 위치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산출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중 기지국 식별 정보와 셀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 정보는,
    피코(Pico) 셀 및 펨토(Femto) 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산출부는,
    상기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측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정보는,
    GPS 기반 측위, 무선랜 기반 측위, 기지국 기반 측위 및 식별 정보 기반 측위의 순서로 설정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코어는,
    제어 처리부, 트래픽 처리부 및 패킷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EPC(Evolved Packet Co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ECGI(E-UTRAN Cell Global Identif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CGI는 MCC(Mobile Co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eNodeB ID 및 Cell 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CC는 상기 ECGI 내에 12 비트(Bit)로 할당되고, 상기 MNC는 상기 ECGI 내에 8 내지 12 비트로 할당되며, 상기 eNodeB ID는 상기 ECGI 내에 20 비트로 할당되며, 상기 Cell ID는 상기 ECGI 내에 8 비트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장치.
  11. 단말기에 대한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패킷 코어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기 타입 정보를 확인하는 전송기 타입 확인 단계;
    상기 전송기 타입 정보가 기 설정된 전송기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현재 위치 산출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현재 위치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위 방법.
KR1020110063907A 2011-06-29 2011-06-29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845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907A KR101845914B1 (ko) 2011-06-29 2011-06-29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907A KR101845914B1 (ko) 2011-06-29 2011-06-29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48A true KR20130002748A (ko) 2013-01-08
KR101845914B1 KR101845914B1 (ko) 2018-04-05

Family

ID=4783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907A KR101845914B1 (ko) 2011-06-29 2011-06-29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9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827A1 (ko) 2013-02-20 2014-08-28 Seo Yong Chang 기준 포즈 데이터와 유사한 포즈를 가지는 동기단말을 검출하는 방법,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37270A (ko) * 2014-09-26 2016-04-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망의 셀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73640A (ko)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80122120A (ko) * 2017-05-02 2018-11-1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측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51794A1 (ko) * 2018-02-02 2019-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기반한 측위 방법 및 전자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827A1 (ko) 2013-02-20 2014-08-28 Seo Yong Chang 기준 포즈 데이터와 유사한 포즈를 가지는 동기단말을 검출하는 방법,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37270A (ko) * 2014-09-26 2016-04-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망의 셀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73640A (ko)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80122120A (ko) * 2017-05-02 2018-11-1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측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51794A1 (ko) * 2018-02-02 2019-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기반한 측위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914B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5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432853B2 (en) Position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constructing wireless LAN information of device, positioning ser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riving server
US201301435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Within Heterogeneous Networks
WO2012005466A2 (ko) 무선랜 신호를 이용한 측위 오차 판별 방법 및 장치
US20140274059A1 (en) Plmn selection at handover to a target shared location being shared between core network operators
WO2012053791A2 (ko)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ap 위치 추정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US20210250822A1 (en) Neighbor Relations for Moving Cells
TW201130365A (en) Multi-user, multi-mode baseband signaling methods, timing/frequency synchronization, and receiver architectures
KR100757526B1 (ko) 비동기 wcdma망에서 왕복 시간을 이용한 위치 추정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2695A (ko) 전파 환경 정보를 이용한 측위 방법 및 장치
KR101845914B1 (ko)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8364152B2 (en) Macrocell to Femtocell and Femtocell to Femtocell handoff
WO2020037660A1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
WO2020239128A1 (zh) 一种终端设备的网络接入方法及装置
JP524779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情報取得方法
CN115767625A (zh) 拥塞处理方法及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64954A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무선 접속점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TWI618423B (zh) 使用者裝置、行動熱點裝置、後端裝置及其路徑損耗模型資料庫建立方法
WO2014101079A1 (zh) 切换判决方法、基站和用户设备
KR20120006750A (ko) 이동통신단말기 측위 장치 및 그 장치의 측위 방법, 이동통신단말기 측위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US20150087318A1 (en) Dual-protocol femtocell-less communications
KR100941544B1 (ko) 이동단말의 상태에 무관한 WiMAX 망에서의 위치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19274B1 (ko) 무선랜 정보를 이용하는 측위 장치 및 그 장치의 측위 방법, 그리고 무선랜 정보를 이용하는 측위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US114837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network notification
CN103442404B (zh) 一种呼叫路由的方法、系统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