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569U - 통합형 다기능 가구 - Google Patents

통합형 다기능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569U
KR20130002569U KR2020110009331U KR20110009331U KR20130002569U KR 20130002569 U KR20130002569 U KR 20130002569U KR 2020110009331 U KR2020110009331 U KR 2020110009331U KR 20110009331 U KR20110009331 U KR 20110009331U KR 20130002569 U KR20130002569 U KR 201300025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groove
shelf
storage
pedestal
storag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단희
임동구
Original Assignee
구단희
임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단희, 임동구 filed Critical 구단희
Priority to KR2020110009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569U/ko
Publication of KR201300025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47B83/045Tables combined with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합형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가구로 수납장, 책상, 테이블, 화장대, 화장품 냉장고, 거울 등의 기능을 통합하여 일체화시킨 통합형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면에서 가로 길이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의해 상부 제1수납부와 하부 제2수납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2수납부의 하부로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가 구비된 제1본체; 및 상기 체결홈에 그 일측이 삽입지지되어 테이블을 형성하는 선반부와, 상기 선반부의 타측 하부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가 구비된 제2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합형 다기능 가구{MULTI FUNCTION FURNITURE}
본 고안은 통합형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가구로 수납장, 책상, 테이블, 화장대, 화장품 냉장고, 거울 등의 기능을 통합하여 일체화한 통합형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화장대는 통상 화장을 주목적으로 한 독립적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공부를 하기 위한 책상과 식사나 차를 마실 수 있는 테이블 등이 별도로 함께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가 좁을 경우에는 여러 가구들에 의해서 실내 공간이 지나치게 좁아져 활동공간이 협소해질 뿐만 아니라 각각의 가구들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도 수반되었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화장대는 충분한 수납공간을 가지고 있지 않고 수납공간이 있다 하더라도 수납공간의 높이가 낮아 높이가 높은 화장품을 보관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화장대 위에 화장품 및 기타 미용용품을 배치할 수밖에 없어 물건들이 상시 노출되어 정리정돈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가구는 그 형태가 고정되어 단일 이미지의 고정된 인테리어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실내 인테리어에 변화를 주기 위해 가구를 교체 또는 수리하거나 장식하는데 추가적인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한편, 화장품은 유통기한 내에도 보관방법과 외부 온도 및 습도 등의 영향으로 변질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화장품의 보관을 위해 화장품 냉장고가 가정 내 별도로 배치하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하나의 가구(디자인) 안에 수납장, 책상, 테이블, 화장대의 기능을 통합하여 협소한 공간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통합형 다기능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통합형 다기능 가구는, 상부 제1수납부와 하부 제2수납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2수납부의 하부로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가 구비된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에 그 일측이 삽입지지되어 테이블을 형성하는 선반부와, 상기 선반부의 타측 하부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가 구비된 제2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수납부에는 화장품 냉장고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이 형성되며, 프레임과, 전면에 거울을 형성하고 후면에 장식용 패널이 형성된 회전거울을 구비하는 개폐도어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가구에 수납장, 책상, 테이블, 화장대의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충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화장품, 미용용품 및 각종 보관용 소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대 위를 항상 깔끔하게 정돈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전면부에 거울을 이동형으로 디자인하여 가구를 통해 공간을 부분적으로 한정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적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거울의 이동정도에 따라 가구의 전면부 디자인에 변화를 줄 수 있어 실내 분위기를 선택적으로 연출할 수 있으며, 화장품 냉장고를 제1본체에 빌트인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별도로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에 회전거울을 형성하고, 전면에 거울, 후면에 인테리어 장식을 위한 장식용 패널을 형성함으로써, 실용성 및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다기능 가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다기능 가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다기능 가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수납부 및 제2수납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통합형 다기능 가구의 개폐도어에 구비된 회전거울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회전거울을 회전시켜 장식용 패널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개폐도어를 폐쇄시킨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다기능 가구의 일실시예에 의한 후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형 다기능 가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제1본체(100)는 전방에 가로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체결홈(130)이 형성되고, 체결홈(130)에 의해 상부에 형성된 제1수납부(110)와 하부에 형성된 제2수납부(120)로 구획되며, 제2수납부(120)의 하부로는 소정 높이를 가지며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140)가 구비된다.
도면상에는 제2수납부(120)의 하부 모서리부에 각각 하나씩 4개의 받침대(14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받침대(140)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본체(100)의 형상도 사각 기둥 형상으로 도시하고, 모서리부를 라운딩지게 도시하였으나, 제1본체(100)의 형상 및 크기도 이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본체(200)는 제1본체(100)의 체결홈(130)에 그 일측이 삽입지지되어 테이블을 형성하는 선반부(210)와, 선반부(210)의 타측 하부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220)가 구비된다.
제2본체(200)에 형성된 받침대(220)는 선반부(210)와 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선반부(210) 및 받침대(220)를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제작할 수 있다.
제2본체(200)에 형성된 받침대(220)의 형상 및 개수도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한정하지 않으나, 선반부(2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일체감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130)을 통해 선반부(210)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선반부(210)의 타측이 화장대 및 책상 등의 테이블로 사용된다.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의 결합시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체결홈(130)에 선반부(210)가 삽입된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의 결합 위치를 달리하여 사용하거나, 결합수단 등을 이용하여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제2본체(200) 만으로 테이블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전면에서 가로 길이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체결홈(130)이 형성되고, 체결홈(130)에 의해 상부 제1수납부(110)와 하부 제2수납부(120)로 구획되며, 제2수납부(120)의 하부로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140)가 구비된 제1본체(100); 및 체결홈(130)에 삽입되어 테이블을 형성하는 선반부(210)와, 선반부(210)의 양측 하부로 각각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220)가 구비된 제2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과 같이 구성시에는,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를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제2본체(200)의 위치는 사용목적에 따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결홈(130)의 깊이나 선반부(210)의 형태, 크기 및 길이도 도시된 상태로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홈(130)에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선반부(210)의 나머지 부분은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제1수납부(110) 및 제2수납부(120)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제1수납부(110)는 제1수납부(110)의 전면부에서 제1수납부(11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 프레임(112)과, 프레임(112)의 내측에 프레임(112)의 상하중심 또는 좌우중심 양측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면에 거울을 형성하고, 후면에 장식용 패널이 형성된 회전거울(113)을 구비하며,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개폐도어(111); 및 개폐도어(111)의 후방으로 제1수납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본체(100)의 상부 일측, 즉, 제1수납부(110)의 일측으로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높이의 홀이 형성되며, 이 홀을 통해 개폐도어(111)가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된다.
개폐도어(111)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112)의 일측(우측) 후방으로 파지홈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파지홈을 파지하여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제1수납부(1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는, 개폐도어(111)의 일측으로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손잡이를 파지하여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제1수납부(110)를 개폐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파지홈 또는 손잡이 등은 당업자에 따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제1수납부(110)의 전방 일측(우측) 및 하부를 제외한 테두리부에는 내측으로 개폐도어(111)의 폐쇄시 밀착지지되어 결합되도록 홈이 형성되며, 개폐도어(111)의 결합시 개폐도어(111)의 하부는 선반부(210)의 상단면에 접면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도 1에는 개폐도어(111)를 제1본체(100)에 결합시킨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개폐도어(111)는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 결합 후 마지막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는 개폐도어(111)를 일측(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타측(좌측)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는 회전거울(113)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거울(113)의 전면에는 거울이 형성되고, 회전거울(113)의 후면에는 장식용 패널이 형성된다.
또한, 장식용 패널에 형성되는 장식 패턴 및 종류는 도시된 상태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 무늬 및 색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회전거울(1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2)의 좌우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112)의 중심부 양측에 지지대(114) 등이 형성되며, 이에 회전거울(113)의 중심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도 5에는 회전거울(113)을 회전시켜 장식용 패널이 전면에 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도 6은 장식용 패널이 전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개폐도어(111)를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제1수납부(110)를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회전거울(113)의 전면에 형성된 거울 또는 후면에 형성된 장식용 패널을 선택적으로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장식용 패널을 전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화장대 사용 또는 거울 사용시 거울을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사용한다.
또한, 제1수납부(110)에는 화장품 냉장고(116)가 구비되며, 제1수납부(110)의 내측으로 구비된 수납장(115)은 도면 상에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수납장(115)의 형태, 종류, 위치 및 크기 등은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냉장고(116)가 형성된 제1수납부(110)의 후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화장품 냉장고(116)와 연결된 전원선(117)이 연결된다.
한편, 제1본체(100)의 체결홈(130)을 기준으로 하부, 즉, 선반부(2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수납부(120)는 서랍장 식으로 형성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며, 전면에 거울을 형성하거나 제1수납부(110)의 후면에 형성된 장식용 패널과 같이 다양한 형상, 무늬 및 색상 등을 갖는 패널 또는 기타 마감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수납부(120)의 경우 미닫이나 여닫이 방식의 개폐도어(111)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서랍장 식으로 구성할 경우 미도시 하였으나, 하부에 파지홈을 구비하여 전후로 슬라이딩시켜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수납부(120)의 내부 수납 공간의 구성도 도시된 상태로 한정하지 않으며, 수납 공간을 적어도 복수 개로 구획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합형 다기능 가구를 설치할 경우, 화장대, 책상, 화장품 냉장고, 거울, 티(tea) 테이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를 한정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제1본체 110 : 제1수납부
111 : 개폐도어 112 : 프레임
113 : 회전거울 114 : 지지대
115 : 수납장 116 : 화장품 냉장고
117 : 전원선
120 : 제2수납부 130 : 체결홈
140 : 받침대
200 : 제2본체 210 : 선반부
220 : 받침대

Claims (5)

  1. 전면에서 가로 길이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의해 상부 제1수납부와 하부 제2수납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2수납부의 하부로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가 구비된 제1본체; 및
    상기 체결홈에 그 일측이 삽입지지되어 테이블을 형성하는 선반부와, 상기 선반부의 타측 하부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가 구비된 제2본체를 포함하는 통합형 다기능 가구.
  2. 전면에서 가로 길이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의해 상부 제1수납부와 하부 제2수납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2수납부의 하부로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가 구비된 제1본체; 및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테이블을 형성하는 선반부와, 상기 선반부의 양측 하부로 각각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가 구비된 제2본체를 포함하는 통합형 다기능 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제1수납부의 전면부에서 상기 제1수납부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프레임의 상하중심 또는 좌우중심 양측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면에 거울을 형성하고, 후면에 장식용 패널이 형성된 회전거울을 구비하며,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의 후방으로 상기 제1수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을 포함하는 통합형 다기능 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부는,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며, 전면에 거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기능 가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에는,
    화장품 냉장고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기능 가구.
KR2020110009331U 2011-10-20 2011-10-20 통합형 다기능 가구 KR201300025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31U KR20130002569U (ko) 2011-10-20 2011-10-20 통합형 다기능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31U KR20130002569U (ko) 2011-10-20 2011-10-20 통합형 다기능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69U true KR20130002569U (ko) 2013-04-30

Family

ID=5242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331U KR20130002569U (ko) 2011-10-20 2011-10-20 통합형 다기능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5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0241A (zh) * 2020-02-24 2020-05-15 厦门富计初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书桌化妆台两用桌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0241A (zh) * 2020-02-24 2020-05-15 厦门富计初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书桌化妆台两用桌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99945A1 (en) Multipurpose vanity
CA110065S (en) Cabinet
KR101658646B1 (ko) 다기능 화장대
KR20130002569U (ko) 통합형 다기능 가구
KR20150003918U (ko) 다기능 침대
KR20080018391A (ko) 화장대
KR200400957Y1 (ko) 수납장과 책상을 겸비한 침대
KR200389214Y1 (ko) 화장품 보관통이 구성된 화장대겸용 서랍장
KR100658514B1 (ko) 수납장과 책상을 겸비한 침대
CN209677781U (zh) 一种增加空间使用率的收纳柜
KR200396790Y1 (ko) 다용도 장식장
CN2899592Y (zh) 梳妆台式抽屉
CN104643639A (zh) 圆形可展开中岛式橱柜
KR20100112794A (ko) 다용도 서랍장
KR20130003698U (ko) 전면 조명을 갖는 가구형 화장대
KR20180002245U (ko) 의자 일체형 화장대
CN209135710U (zh) 一种带有格子间的衣柜
CN205214709U (zh) 充分利用转角空间的美容转角柜
CN202664816U (zh) 儿童组合家具
CN210354456U (zh) 一种浴室边柜
KR200252530Y1 (ko) 거실장
KR20220128794A (ko) 화장대겸용 및 화장품 보관통이 구성된 서랍장
CN202950148U (zh) 一种多功能首饰收纳盒
CN104840011A (zh) 一种可展开式红木梳妆台
KR20060106537A (ko) 화장품 보관통이 구성된 화장대겸용 서랍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